'알리미' 검색결과 총 827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18 강남서초내일신문 ‘중학생 학부모를 위한 고교선택 강좌’ 후기 ‘학교알리미’ 사이트에서 고교 검색 → 교육과정 편성 중 2~3학년 선택 교과 살필 것지난 10월 4일 중동고등학교 강당에서 ‘2022학년도 대입제도 이슈와 향후 전망(1강)’ 및 ‘대학입시와 교육과정 고려한 고교 선택 전략 및 고교 3년 로드맵(2강)’을 주제로 중학교 학부모 교육 강좌가 열렸다. 김찬휘 대성마이맥 입시센터장과 김철수 전 서울고 진학부장이 강의를 맡았다. 1부와 2부로 진행된 강남서초내일신문 ‘강남에서 고등학교 가기-중학생 학부모를 위한 고교 선택 강좌’ 핵심 내용을 정리했다.1강 = 2022학년도 대입제도 이슈와 전망대성마이맥 김찬휘 입시센터장‘2015 개정 교육과정’의 두드러진 특징은 ‘공통 교과 + 맞춤형 선택 교과(일반 선택, 진로 선택 등)’ 개설이다. 이는 수시 지원 시 선택 교과의 영향력이 커짐을 의미하며, 2022학년도 수능도 선택형 교과가 포함돼 사실상 ‘선택형 교육과정, 선택형 수능 체제’를 이룬다. 선택형 교육과정, 선택형 수능수능에서 ‘국어영역’은 공통교과(독서, 문학)과 선택교과(화법과 작문 or 언어와 매체)가 있다. 김찬휘 센터장은 “국어영역 선택 교과는 과탐처럼 과목마다 표준편차를 내는 것이 아니라, 공통교과(75%) + 선택교과(25%) 성적이 합쳐져서 산출된다”며 유불리 예측이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수학 영역의 경우 공통(수Ⅰ, 수Ⅱ)과 선택(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교과인데, 여기서 문/이과 학생의 수학 선택교과를 조심스럽게 예측했다. 김 센터장은 “이과 수학은 과목이 축소(확통이나 미적분 중 하나만 택) 되고, 상위권 의학계열 및 중상위권 이상 공대 희망 학생은 ‘미적분’ 지정 가능성이 높다. 단, 진로선택 교과인 ‘기하’를 선택할 때는 유불리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 문과는 대부분 ‘확률과 통계’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며 문이과 통합 교육이지만, 수능에서는 사실상 계열이 구분되어 있다는 것이다. 탐구 영역도 계열 구분 없이 17과목(사회 9과목, 과학 8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하지만, 현실적으로 문과 학생이 사탐+과탐 조합을, 이과 학생이 과탐+사탐 조합을 선택할 확률이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대입제도 세밀하게 들여다보기2022학년도 수능에서 정시(수능위주 전형) 비율 30% 확대 권고의 의미도 언급했다. 주요대 19개 대학 중 6개 대학만 영향을 받으며, 증가되는 모집인원도 고려대(서울) 479명, 서울대 270명, 아주대 192명, 이화여대 127명, 인하대 290명, 중앙대(서울) 236명으로 총 1천 명이 채 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온다. 변화된 입시 제도가 그리 큰 변화는 아니라는 점이다. 또, 학생부 기재 개선 내용 중 수상경력을 언급하며 대입 제공 수상경력 갯수는 학기당 1개, 총 6개까지 제한돼, 대학의 입장에서 ‘어떤 수상을, 몇 개 볼 것인가’가 더 중요하므로 수상을 위해 지나치게 소모적으로 매달리는 것은 지양하라고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김찬휘 센터장은 중학교 학부모에게 당부의 말을 덧붙이며 ‘잘못된 입시 상식’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수시 모든 전형을 합한 70% 선발의 의미를 제고해봐야 한다. 연세대를 예로 들면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특기자, 논술 중에 학종 비율은 17%다. 결국 연세대 학종을 지원하는 학생에게는 실질적으로 수시 70%가 아닌, 17%의 기회인 셈이다. 현실적으로 모든 전형을 다 준비할 수는 없으므로, 어느 것 하나를 뚜렷하게 잘하는 것이 없다면 역량을 분산하지 말고 하나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Tip 진로 선택 교과(예시)- 국어(실용 국어, 심화 국어, 고전 읽기)- 수학(실용 수학, 기하, 경제 수학, 수학과제 탐구)- 영어(실용 영어,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영미 문학 읽기), 사회(여행지리, 사회문제 탐구, 고전과 윤리), 과학(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기술/가정(농업 생명 과학, 공학 일반, 창의 경영, 해양 문화와 기술, 가정과학, 지식 재산 일반), 제2외국어(독일어Ⅱ, 프랑스어Ⅱ, 스페인어Ⅱ, 중국어Ⅱ, 일본어Ⅱ, 러시아어Ⅱ, 아랍어Ⅱ, 베트남어Ⅱ), 한문Ⅱ2강 = 대입과 교육과정 고려한 고교 선택 전략전 서울고 김철수 진학부장전 서울고 김철수 진학부장은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중 진로 선택 교과는 대학에 ‘전공적합성’과 ‘발전가능성’을 드러낼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진로 선택 교과는 평가 기준이 ‘등급 산출(9등급제 : 원점수와 표준편차‧전교 석차 등 기재)’가 아닌, 성취평가제(3단계 : A. B. C)이므로, 학생 입장에서는 성적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든다. 그는 “특히 고2‧ 고3 때 선택하는 진로 선택 교과는 어떤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느냐에 따라 수시를 준비하는 학생에게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로선택 교과인 ‘물리Ⅱ’를 이수(성취도 B)한 학생이 있다면, 공학계열을 지원할 때 대학 측에서는 물리Ⅱ 성취도 B를 받았다고 해도, 물리Ⅱ 과목을 아예 배우지 않은 학생보다는 낫다고 생각할 것이다. ‘수준이 아니라 이수 개념’이라는 점, 그리고 진로선택 교과가 대학에 미치는 영향력을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학교알리미에서 지원 고교 교육과정 들여다보기이처럼 학생이 스스로 선택형 교육과정이 중요해지면서, 어떤 기준으로 고교 선택을 해야 할지 고민에 빠지게 된다. 하지만 그는 “강남지역 고등학교들은 다른 지역과 달리 ‘사립고, 공립고’의 차이가 별로 없다. 특히 고교마다 상위권은 평준화되어 있고 우수한 학생이 많이 몰려 있는 만큼 입시 성과가 두루 좋기 때문에 자녀의 진로와 성향, 지원하고자 하는 학교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학교를 밀도 있게 들여다보고 교육과정 특징과 강점을 파악하라는 것이다. 먼저, 학교알리미 사이트(www.schoolinfo.go.kr)에서 학교별로 검색해 전체 항목-표시과목별 교원 현황-학교 교육과정 편성‧ 2018-10-11
- 취업특성화 대학 구미대, 3년 연속 장학금 등록금의 70% 경북 구미대학교(총장 정창주)는 지난해 결산 기준 학생 1인당 지급한 연평균 장학금은 414만원으로 연평균 등록금의 72.6%를 기록해 2015년 71.2%, 2016년 71.1%에 이어 3년 연속 70%를 넘어섰다고 밝혔다.구미대학교의 3년간 연평균 등록금은 566~570만원으로, 장학금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등록금에 대한 한 해 부담금이 학생 1인당 160만원 내외가 되는 셈이다. 구미대는 지난해 공식 정보공시(대학알리미)를 기준으로 2년 연속 장학금 전국 1위(전문대, 재학생 5천명 이상)를 차지했다. 구미대가 장학금 지급률이 높은 이유는 일반적인 성적장학금과 국가장학금 외에 학생들의 자기계발과 인성함양, 인재양성과 복지 등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내장학금 제도를 확대해가고 있기 때문이다.전공 자격증 취득이나 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의 능력과 인성 함양에 노력하면 점수를 주고 이를 장학금으로 지급하는 도전마일리지 장학금을 비롯 인문학 인재양성을 위한 교양독서 장학금 이외에도 글로벌인재양성 장학금, 가족장학금, 군(軍)장학금, 근로장학금, 저소득장학금 등으로 학생들의 수혜 폭을 넓혀 가고 있다. 그 결과 재학생 장학금 수혜율이 90%를 넘어 구미대 학생 10명 중 9명 이상이 장학금 혜택을 받고 있다. 한편 구미대는 취업률 또한 전국 최상위로 잘 알려져 있다. 교육부가 건강보험가입을 기준으로 취업률을 발표한 2010년 이후로 5년 연속 전국 1위(전문대 ‘가, 나’군별)를 차지한 취업특성화 대학이다.5년 연속 취업률 전국 1위는 국내 대학으로는 전무후무한 기록이다. 최근 7년 평균 취업률이 82.5%로 졸업생 10명 중 8명 이상이 취업에 꾸준히 성공하고 있다. 취업의 질도 높아 대기업 취업률이 42.3%에 이른다. 구미대 정창주 총장은 “국가적 과제인 청년 실업률 해소를 위해 사회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대학의 시대적 역할이자 사명”이라고 강조하고 “학비 부담 없이 공부하고, 졸업 후 취업이 걱정 없는 대학이라는 모범적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결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김성자 리포터 sakgane@hanmail.net 2018-09-17
- 2019학년도 영재학교/과학고 경쟁률 변화 분석 2019학년도 전국 8개 영재학교 입시가 마무리되었고, 전국 20개 과학고는 지난 9월 7일 제주과학고를 마지막으로 지원이 마감되었다. 영재학교와 과학고 모두 2018학년도 입시보다 경쟁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얼마나 증가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살펴봤다. 8개 영재학교 경쟁률 지난해 14.0:1에서 올해 14.4:12019학년도 영재학교 입시에서 8개 영재학교의 전체(정원 내) 평균 경쟁률은 14.4:1로 지난해의 14.0:1보다 상승했다. 학교별로는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가 21.5: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서울과학고가 6.6:1로 가장 낮았다. 경기과학고와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도 각각 19.7:1, 19.3: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대구과학고는 지난해 대비 경쟁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표1> 8개 영재학교 지원 경쟁률 변화학교명2018학년도2019학년도경쟁률증감모집정원지원자수경쟁률모집정원지원자수경쟁률서울과학고120 909 7.6120 7866.6-1.0경기과학고120 2,145 17.9120 2,36319.7+1.8한국과학영재학교1201,635 13.6 120 1,40711.7-1.9대전과학고90 1,218 13.5 90 1,17213.0-0.5대구과학고90 1,782 19.8 90 1,59417.7-2.1광주과학고90 667 7.4 90 8169.1+1.7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84 1,589 18.984 1,80621.5+2.6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75 1,110 14.875 1,44419.3+4.5합계789 11,055 14.0789 11,38814.4+0.4* 경쟁률 자료: 종로학원 하늘교육20개 과학고 경쟁률 지난해 3.09:1에서 올해 3.54:1로 상승전국 20개 과학고의 전체(정원 내) 평균 경쟁률은 모집정원 1638명에 5802명이 지원해 3.54:1의 경쟁률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경쟁률인 3.09:1보다 0.45 상승한 수치이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곳은 경기북과학고로 8.53:1이라는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전국 20개 과학고 중 부산일과학고를 제외한 19개 과학고에서 경쟁률이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전년도 대비 정원 내 경쟁률 증가폭이 큰 학교는 경기북과학고(전년도 6.85:1→올해 8.53:1, 1.68 증가), 세종과학고(전년도 2.67:1→올해 3.80:1, 1.13 증가), 경북과학고(전년도 1.68:1→올해 2.80:1, 1.12 증가)이며, 부산일과학고의 경쟁률은 0.32 감소했다(전년도 3.17:1→올해 2.85:1). <표2> 20개 과학고 지원 경쟁률 변화지역학교명2018학년도2019학년도경쟁률증감모집정원지원자수경쟁률모집정원지원자수경쟁률서울한성과학고1405533.951405954.25+0.3세종과학고1604272.671606083.80+1.13부산부산과학고1002362.361002662.66+0.3부산일과학고1003173.171002852.85-0.32대구대구일과학고802443.05802633.29+0.24인천인천과학고802252.81802533.16+0.35인천진산과학고802272.84802533.16+0.32대전대전동신과학고802563.20803003.75+0.55울산울산과학고721802.50722152.99+0.49경기경기북과학고1006856.851008538.53+1.68강원강원과학고601592.65601732.88+0.23충북충북과학고541522.81541542.85+0.04충남충남과학고721912.65722433.38+0.73전북전북과학고601362.27601472.45+0.18전남전남과학고801972.46802132.66+0.2경북경북과학고40671.68401122.80+1.12경산과학고601282.13601362.27+0.14경남경남과학고1002782.781003143.14+0.36창원과학고803023.78803063.83+0.05제주제주과학고401002.50401132.83+0.33합계(20개 학교)1,6385,0603.091,6385,8023.54+0.45* 경쟁률 자료: 종로학원 하늘교육서울권 2개 과학고 경쟁률 지난해 3.27:1에서 올해 4.01:1로 상승서울지역 과학고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한성과학고와 세종과학고 2개 학교 모두 지난해보다 경쟁률이 상승했다. 한성과학고 전체 경쟁률은 4.25:1로 지난해 3.95:1보다 0.3 상승했지만, 일반전형만 비교해보면 지난해 4.51:1에서 올해 5.09:1로 전체 경쟁률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사회통합전형은 지난해 1.71:1에서 올해 0.89:1로 하락했다.세종과학고의 전체 경쟁률은 3.80:1로 지난해 2.67:1보다 1.13 상승했다. 일반전형 경쟁률은 지난해 3.08:1에서 올해 4.49:1로 큰 폭으로 상승했고, 사회통합전형은 지난해와 올해 모두 1.03:1의 경쟁률을 보였다. <표3> 서울권 2개 과학고 지원 경쟁률 변화학교명2018학년도2019학년도경쟁률증감전형모집정원지원자수경쟁률전형모집정원지원자수경쟁률한성과고일반112 505 4.51 일반1125705.09+0.58사회통합28 48 1.71 사회통합28250.89-0.82전체140 553 3.95 전체140 5954.25 +0.3세종과고일반128 394 3.08일반128 5754.49+1.41사회통합32 33 1.03 사회통합32 331.030전체160 427 2.67 전체160 6083.80+1.13합계3009803.27합계3001,2034.01+0.74* 경쟁률 자료: 종로학원 하늘교육현 중3 학령인구는 소폭 증가교육부 공시 사이트 ‘학교알리미’에서 조회(2018년 9월 2일 조회)한 바에 따르면 현 중3 학생들은 46만4900명으로 지난해 고입을 치른 현 고1 학생 45만6869명보다 8031명이 많다. 이는 비율로는 1.76% 증가한 것이다. 학령인구 소폭 증가가 영재학교, 과학고 경쟁률 증가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각각의 증가 인원을 비율로 따져보면 학령인구는 1.76% 증가했고, 영재학교 지원자 수는 3.01%, 과학고 지원자 수는 14.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학령인구 증가 폭보다 전국 영재학교와 과학고 지원자 수 증가 폭이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령인구 증가 외에도 경쟁률이 증가한 또 다른 요인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표4> 2018년 기준 전국 중1~고1 학령인구 변화구분재학인원증감인원고1456,869 중3464,900+8,031중2448,228-16,672중1415,474-32,754* 학년별 학령인구 자료: 학교알리미 사이트 조회영재학교, 과학고 지원자는 최대 4중 지원 2018-09-13
- 2019학년도 노원구 중학교 영재학교 실적 2019학년도 전국 8개 영재학교 입시가 지난 7월과 8월에 걸쳐 합격자를 발표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올해는 특목고와 자사고의 후기고 전환 논란으로 경쟁률이 다소 상승했다. 노원구 중학교들의 영재학교 합격자 수를 알아보았다. 불암중, 중계중, 상명중 나란히 6명씩 합격자 배출매년 5명 이상씩 꾸준히 영재학교, 과학고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는 불암중, 중계중이 올해 2019학년도 영재학교 입시에서도 각각 6명씩의 합격자를 배출했다.(표 참조) 9월 8일로 신청을 마무리 하는 과학고까지 더하면 올해 노원구 중학교들의 영재/과학고 실적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상명중의 약진이 눈에 띤다. 상명중은 올해 서울과학고 1명, 경기과학고 3명 등 총 6명의 합격자를 배출했으며 2학년 학생이 두 명이나 포함되었다. 전체적으로는 서울과고 5명, 경기과고 6명,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7명 등 수도권 지역 학교의 합격자 수가 많았다.영재학교 입시는 크게 1단계 서류전형, 2단계 지필고사, 3단계 영재캠프 등 3단계로 이루어진다. 학교마다 전형이 조금씩 다르며 경기과고는 1, 2단계 전형이 합쳐져 있어 서류를 낸 학생 모두 지필고사를 볼 수 있게 한다. 1단계 서류전형은 학교생활기록부 전체와 교사의 관찰소견서 등이 포함돼 학교생활이 중요하지만 2단계 지필고사부터는 개인의 역량에 의해 당락이 결정된다. 단, 3단계 전형 합격이후에도 2학기 학생부를 반영,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합격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영재학교 학생이 의?치?한의학계열 대학으로 진학을 희망하는 경우 재학 중 받은 지원금 반납, 교사 추천서를 받을 수 없는 등의 불이익이 있다. 표1.< 2019 노원구 내 중학교 영재학교 합격자 수 >중학교서울과고경기과고한국과학영재학교대전과고대구과고광주과고세종과학예술영재인천과학예술영재합계불암중2(1) 21 16중계중2112 6상명중13(2)116태랑중 1 23상계중 1 12하계중 112상계제일중 11을지중11합계5612402727※ 학교 확인 수(노코멘트 학교 제외), ( )는 2학년 수표2.< 2017 ~ 2019학년도 영재학교 정원내 경쟁률 증감 >학교명지역영재학교개교년도2017학년도2018학년도2019학년도모집지원경쟁률모집지원 경쟁률 증감 모집 지원 경쟁률 증감 서울과고서울시종로구20091201,0288.571209097.58▽0.991207866.55▽1.03경기과고 경기도수원시20101202,09017.421202,14517.88▲0.461202,36319.69▲1.81한국과학영재학교부산시부산진구20031202,00416.701201,63513.63▽3.071201,40711.73▽1.90대전과고 대전시유성구2014901,39615.51901,21813.53▽1.98901,17213.02▽0.51대구과고대구시수성구2011902,03522.61901,78219.80▽2.81901,59417.71▽2.09광주과고(전국단위) 광주시북구20144552411.64454359.67▽1.974553811.96▲2.29세종과학예술영재세종특별자치시2015841,53718.30841,58918.92▲0.62841,80621.50▲2.58인천과학예술영재인천시연수구2016831,06412.82751,11014.80▲1.98751,44419.25▲4.45합계75211,67815.5374410,82314.55▽0.9874411,11014.93▲0.38※ 각 학교 홈페이지표3.< 2016~2018년 노원구 중학교 영재학교/과학고 합격자 수 >No.중학교 2018년2017년2016년영재/과학고(명)비율%영재/과학고(명)비율%영재/과학고(명)비율%1불암중7262712중계중6251513광운중4211104상계중3152515상명중3131526중평중3131317태랑중3110218하계중2172319수락중21211010상계제일중21211011중원중21102112온곡중21003113청원중21001014노일중11103115을지중10526216한천중10211017상원중10101018공릉중10000019신상중00115220재현중00313121노원중00111022상경중00211023녹천중00110024염광중00000025신창중00001026월계중000011합계465362※ 학교 알리미 자료 2018-09-06
-
학교알리미를 통해 본 안산지역 사립고교 어떤 고등학교를 선택할지 중3 학생과 학부모들의 고민이 깊다. ‘공립 고등학교가 좋을까? 사립 고등학교가 좋을까?’도 고민 중 하나. 예전엔 명문 사립학교가 있어 고교 입시부터 과열되긴 했지만 평준화로 바뀌고 난 후 특별히 공립과 사립의 차이는 줄어들었다. 하지만 수시전형이 늘어나면서 교사의 역할도 적지 않아 사립 고등학교 중 선택하겠다는 사람도 적지 않다. 사립학교에서는 3년간 학생의 성장을 꾸준히 살핀 교사가 고3 대입 진학지도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안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중 사립학교는 강서, 경안, 안산 고등학교 3 곳이다. 학교 재단이 운영주체인 사립고등학교는 비슷할 것 같지만 재단에 따라 각 학교마다 차이가 존개한다. 학교알리미 사이트 자료를 통해 안산지역 3개 사립 고등학교를 비교해 봤다.학생 1인당 교육비 학교마다 달라강서>안산>경안고교 순일반계 사립고등학교는 학교재단이 운영하지만 대부분 교육에 필요한 비용을 국가가 부담한다. 중앙정부와 사립학교보조금, 사학법인법정부담금과 등록금, 급식비, 방과 후 활동비 등 학부모가 부담하는 비용으로 학교가 운영된다. 학교 알리미 사이트에 공개한 최근 3년간 결산서를 분석한 결과 강서학원(강서고 학교재단)의 재단전입금이 가장 노았다. 강서고는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약 4700여만원을 학교교육에 투자했으며 달재학원(경안고)와 안산학원(안산고)는 각각 1500여만원과 1200여만원을 투자했다.<표참조>학생 1인당 교육비도 학교마다 차이가 난다. 학생 1인당교육비는 학교가 1년간 학생 1인 교육에 쓰는 금액인데, 투자액이 높을수록 교육 수준이나 학생 복지가 우수하다고 평가한다. 전체 지출금액을 학생 수로 나눈 1인당 교육비는 강서고등학교가 895만9530원으로 가장 높고 안산고등학교가 지난해 784만1790원, 경안고등학교가 777만 3400원을 지출했다. 하지만 안산지역 사립고등학교 1인당 교육비는 전국평균 990만4296원보다 낮고 경기도 평균 939만9892원보다 1백만원 이상 낮다.장학금 제도는 경안고등학교가 가장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월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경안고등학교는 31명에게 2314만5700원을 장학금으로 지급했으며 강서고등학교는 2명 333만7440원. 안산고등학교는 7명에게 660만원을 지급했다.강서고경안고안산고2014년15642640438100042468602015년14887430755206031744902016년1668315032240005105880* 안산지역 사립고등학교 사학법인 법정부담금(최근 3년간 결산서 기준)교육프로그램과 동아리 현황 학교별 비교가능학교알리미 사이트에는 재정상황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 진행하는 동아리 방과 후 활동 프로그램을 공개하고 있어 내 아이에게 맞는 학교교육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강서고등학교는 창의적체험활동을 진행하는 동아리 49개와 학생자율동아리 43개가 활동 중이며 학교에서는 동아리활동에 약 580만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경안고등학교는 창의적 체험동아리 87개와 자율동아리 101개 등 총 188개의 동아리가 꾸려져 가장 활발한 활동 중이다. 자율동아리 활동을 하는 학생 비율도 48%나 돼 경기도 평균(50.9%)에 가깝다. 다만 학교측에서 동아리 활동을 위해 지원하는 예산배정은 없다. 안산고등학교는 창의적 체험동아리 55개와 자율동아리 67개가 활동 중이다. 안산고등학교는 창의적 체험동아리 활동에 1600여만원을 지원한다. 각 학교 창의적체험활동 동아리참여비율은 99%대이며 자율동아리 참가율은 강서고등학교 46%, 안산고등학교 37.8%다.각 학교별 공시항목에 들어가면 동아리 활동계획서를 다운 받아 볼 수 있어 동아리 내용과 활동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재수생 비율 높은 경안고 진학률은 낮아학교별 진학률을 비교분석하는 것도 학교 선택 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안산지역 3개 사립학교 졸업생은 대부분 대학교나 전문대학으로 진학한다. 강서고등학교는 올해 졸업생 450명중 264명이 4년제 대학교에 진학하고 151명이 전문대학에 진학했다. 경안고등학교 타학교 졸업생들에 비해 재수를 선택한 학생들이 많아 대학진학율은 낮은 편이다. 지난해 졸업생 558명 중 238명이 4년제 대학에 진학했고 136명이 전문대학에 진학했다. 진학률은 낮으나 지난해 서울대 합격생을 3명이나 배출할 정도로 상위권학교 진학이 많고 국외 대학에 진학한 학생이 10명이나 되는 점도 특이한 점이다. 안산고등학교 졸업생 433명중 410명이 대학이나 전문대학에 진학 가장 높은 진학률을 보였다. 졸업생 중 59.8%인 259명이 4년제 대학에 34.9%인 151명이 전문대학 진학에 성공했다.이밖에도 알리미 사이트에는 학부모들이 궁금해 하는 입학금·수업료·학교 운영지원금·기숙사비·급식비·방과 후 학교 활동비·현장 체험 학습비와 더불어 졸업 앨범 대금이나 교복 구입비까지 항목별 액수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다. 2018-08-29
-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 서울시교육청이 지난 7월 18일,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일부 변경, 발표했다. 자사고·외고·국제고 지원자의 일반고 2단계 지원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이번 변경은 지난 6월 헌법재판소의 헌법소원심판청구사건에 대한 효력정지가처분 일부 인용 결정에 따른 것으로 교육부 및 시도교육청과 공동 협의한 내용을 반영했다.2019 고교 유형별 전형 일정과 함께 후기고 전형 핵심을 알아봤다.자료참조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변경 후)’/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학교알리미/하이인포고입, 전·후기 전형으로 진행고입 전형은 크게 전기고등학교와 후기고등학교로 구분되는데 전기고등학교에는 과학·예술·체육계열, 산업수요맞춤형고, 특성화고, 일반고 중 예·체능고(서울미술고) 등이 해당되며, 후기고등학교는 특수목적고(외고·국제고), 자율형 사립고, 교육감선발 후기고(일반고), 자율형공립고 등이 해당된다. 2019학년도 전기고와 후기고의 입학전형 일정은 표1과 같다.고교선택제 유지, 중점학급 운영학교는 지원서와 함께 별도 원서 작성후기고 전형 중 먼저 대다수의 학생들이 지원하는 교육감 선발 후기고등학교 전형을 살펴보면 방법은 고교 선택제(선 지원 후 추첨)로 진행한다. 일반고와 자율형공립고가 포함되며 지원은 2단계, 배정은 총 3단계로 진행되는데 그 방법은 표2와 같다. 전기고등학교 전형에 선발되거나 추가합격한 학생은 후기고등학교 전형 대상에서 제외된다. 한편, 변경된 2019학년도 ‘고입전형 기본계획’에 따르면 자사고, 외고, 국제고 지원자 중 희망하는 경우 교육감 선발 후기고 1, 2단계 중 2단계에 지원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또, ‘교육감 선발 후기고 1단계 지원자 중’이라는 내용을 추가해 예술·체육·과학 중점학급 운영학교에 지원 방법을 변경했다. 지원은 중점학급 운영학교 중 1개교만을 선택하여 지원할 수 있으며, 학교별 지원서와 별도로 후기고등학교 원서를 작성·제출해야 한다. 아울러 중점학급 운영학교 내에서 교육과정 변경(중점학급⇒일반학급)은 할 수 없다.▶과학중점학급 운영학교 및 전형지원 방법교육감 선발 후기고와 동일배정 방법1단계학교 소재 일반학교군 거주 지원자 중, 학교별 모집 정원의 50%를 전산추첨으로 배정2단계1단계 탈락자를 포함해 타 학교군 거주 지원자 중, 나머지 50%를 전산추첨으로 배정비고※ 송파강동 과학중점학급 : 강일고, 방산고, 잠신고▶예술·체육 중점학급 운영학교 및 전형선발(전형)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1·2단계를 거쳐 선발 1단계중학교 내신성적(220점)과 자기소개서(80점)로 정원 1.5배수 선발2단계1단계 성적과 면접(60점)으로 최종 합격자 선발비고서울전체음악중점-대원여고,영신여고/미술중점-송곡여고/체육중점-송곡고학교장 선발 후기고, 특목고·자사고·학교장 선발 일반고학교장 선발 후기고등학교로는 특수목적고(외국어·국제계열)와 자율형사립고, 학교장 선발 일반고(한국삼육고·한광고)가 있다. 특수목적고에는 서울국제고, 대원외고, 대일외고, 명덕외고, 서울외고, 이화외고, 한영외고 7개교가 포함되며 입학전형위원회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선발한다. 1단계는 영어 내신 성적 및 출결(감점)로 정원의 1.5배수 선발, 2단계에서 1단계 성적과 면접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자율형사립고는 경문고, 경희고, 대광고, 대성고, 동성고, 배재고, 보인고, 선덕고, 세화고, 세화여고, 숭문고, 신일고, 양정고, 이대부고, 이화여고, 장훈고, 중동고, 중앙고, 한가람고, 한대부고, 현대고, 휘문고 등의 22개교와 하나고가 해당된다. 하나고를 제외한 자사고는 학교별 입학전형요강에 따라 면접 없이 추첨만으로 선발하거나,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추첨 후 면접으로 선발하는데 면접 실시 기준은 8월(예정)에 발표하는 학교별 입학전형요강을 참조하면 된다. 하나고는 1단계 내신 성적 및 출결(감점)로 정원의 1.5~2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과 면접으로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 한편, 변경된 고입전형 기본계획의 전문은 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의 전자민원-고입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표1.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주요 일정구분학교계열입학원서 접수합격자 발표일전기고 과 학 고2018.8.16(목) ~ 8.20(월)2018.12.05(수)서울체고특별10.22(월) ~ 10.23(화)10.26(금)일반10.29(월) ~ 10.30(화)11.06(화)예술계고(서울미고 포함)10.22(월) ~ 10.25(목)11.02(금)마이스터고(특별/일반)11.09(금)특성화고특별11.26(월) ~ 11.27(화)11.30(금)일반12.03(월) ~ 12.04(화)12.05(수)관악예술과11.26(월) ~ 11.28(수)11.30(금)추가모집12.05(수) ~ 12.06(목)12.07(금)후기고 학교장 선발고 한국삼육고, 한광고12.06(목) ~ 12.07(금)12.11(화)외국어고·국제고(원서접수 및 서류 제출기간)12.10(월) ~ 12.12(수)(면접대상자 자기소개서 제출기간)12.17(월) ~ 12.18(화)12.28(금)자사고경문고 등22교(원서접수 및 출력물 제출기간)12.10(월) ~ 12.12(수)(면접대상자 서류 제출기간)12.20(목) ~ 12.21(금)2019.1.4(금)하나고(원서접수 및 서류 제출기간)12.10(월) ~ 12.12(수)(면접대상자 자기소개서온라인 제출기간)12.18(화) ~ 12.23(일)예술・체육 중점학급12.10(월) ~ 12.12(수)12.19(수)교육감 선발고(일반고, 자공고)12.10(월) ~ 12.12(수)2019.01.09(수)추가모 집한국삼육고, 한광고,예술・체육중점학급 2019.1.09(수)~1.10(목)2019.01.14(월)자사고·외국어고·국제고2019.1.16(수)~1.17(목)2019.01.21(월)▪ 교육감 선발고 결과 발표- 배정학교 발표 : 2019.01.30.(수) - 입학등록 : 2019.01.30.(수) ~ 02.01.(금)▪ 교육감 선발고 입학전 전학- 인터넷 접수 : 2019.02.07.(목)~02.08.(금)- 서류접수(방문) : 2019.02.11.(월)~02.13.(수)- 배정학교 발표 : 2019.02.20.(수)- 입 학 등 록 : 2019.02.20.(수)~02.22.(금)표2. 교육감 선발 후기고(일반고) 지원 및 배정방법지원 방법 1단계서울시 전체 고등학교 중에서 서로 다른 2개교 선택·지원 2018-08-22
-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 변경 공고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지난 7월 18일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 변경 공고’를 발표했다. 올해부터 외고·국제고·자사고 지원자의 일반고 동시 지원으로 일부 ‘변경사항’을 추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이중 전기고 전형(과학고, 예술고, 체육고, 미술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관악예술과)과 특별학생 및 추가 전형(고입 특례대상자, 특수교육대상자, 보훈자 자녀, 체육특기자 등)은 제외하고, 후기고 전형 중심으로 핵심 내용을 요약했다. 자료참조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변경 내용 포함)’참고 사이트 서울특별시교육청 홈페이지, 학교알리미, 하이인포후기고와 자사고·특목고 지원 변경 내용입학전형 주요 일정 변경 공시변경 내용이 포함된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 변경 공고(전후 비교표)’에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전국단위 모집학교 포함), 특수목적고등학교(외국어고, 국제고) 지원자 중 희망하는 경우 후기고 2단계에 선택·지원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또, ‘교육감 선발 후기고 1단계 지원자 중’이라는 내용을 추가해 예술·체육·과학 중점학급 운영학교에 지원 방법을 변경했다.자사고, 외고, 국제고 지원자는 ‘교육감 선발 후기고등학교 2단계에 지원’할 수 있다는 내용도 담겨 있다. 아울러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주요 일정도 변경, 공고했다.# 교육감 선발 후기고교육감 선발 후기고는 고교 선택제(선 지원 후 추첨)로 진행된다. 지원 방법은 2단계, 배정방법은 3단계로 진행된다.(표1 참조)표1. 교육감 선발 후기고 지원 및 배정방법지원 방법 1단계서울시 전체 고등학교 중에서 서로 다른 2개교 선택·지원2단계거주지 일반학교군 소속 고등학교 중에서 서로 다른 2개교 선택·지원배정 방법1단계단일학교군지원자 중에서 지망 순위별로 학교별 모집 정원의 20%(중부학교군은 60%)2단계일반학교군지원자 중에서 지망 순위별로 학교별 모집 정원의 40%전산추첨 배정(*추가추첨 배정 포함)※ 추가추첨 배정이란? 1~2단계 배정 후 각 단계별 잔여정원이 발생한 학교에 대하여 해당 학교를 지원하였으나 배정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잔여정원 만큼 추첨 배정3단계통합학교군1~2단계에서 전산추첨 배정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1~2단계 지원 사항과 통학 편의, 학교별 배치여건 및 적정 학급 수 유지, 종교 등을 고려해 통합학교군 범위 내에서 전산추첨 배정# 예술·체육·과학중점학급 운영학교예술·체육·과학중점학급은 중점학급 운영학교 중 1개교만을 선택해 지원할 수 있다. ‘교육감 선발 후기고 1단계 지원자 중 예술·체육·과학 중점학급 운영학교에 지원하려면’ 학교별 지원서와 별도로 후기고 원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 단, 중점학급 운영학교 내에서 교육과정 변경(중점학급 → 일반학급)은 할 수 없다.▶ 과학중점학급 운영학교지원 방법교육감 선발 후기고와 동일배정 방법1단계학교 소재 일반학교군 거주 지원자 중, 학교별 모집 정원의 50%를 전산추첨으로 배정2단계1단계 탈락자를 포함해 타 학교군 거주 지원자 중, 나머지 50%를 전산추첨으로 배정비고※ 강남서초 과학중점학급 : 경기고, 반포고, 서울고▶ 예술·체육 중점학급 운영학교선발(전형)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1·2단계를 거쳐 선발 1단계중학교 내신성적(220점)과 자기소개서(80점)로 정원 1.5배수 선발2단계1단계 성적과 면접(60점)으로 최종 합격자 선발# 특수목적고(외국어·국제계열)특목고 모집단위는 서울특별시와 외국어고·국제고가 없는 시도이며, 입학원서 등 제출서류를 각 고교에 개별 지원하면 된다. 서울국제고, 대원외고, 대일외고, 명덕외고, 서울외고, 이화외고, 한영외고 7개교가 있다.선발(전형)입학전형위원회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선발 1단계영어 내신성적 및 출결(감점)로 정원의 1.5배수 선발2단계1단계 성적과 면접으로 최종합격자 선발# 자율형사립고자율형사립고는 모집단위는 서울특별시, 자사고가 없는 광역시·도 22개교와 하나고가 해당된다. 온라인으로 입력한 원서를 출력해 지원학교에 직접 제출하며, 자사고(하나고 제외)는 성적 제한 없이 지원 가능하다. 2단계 면접대상자만 자기소개서,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를 지원학교에 직접 제출한다.(하나고 제외) (표2 참조)표2. 자율형사립고 선발(전형) 방법선발(전형)추첨 또는 입학전형위원회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선발 자율형사립고22개교학교별 입학전형요강에 따라 면접 없이 추첨만으로 선발하거나,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추첨 후 면접으로 선발※ 2018. 8월(예정)에 발표하는 학교별 입학전형 요강 참조 ※ 강남서초 자율형사립고 : 중동고, 세화고, 세화여고, 현대고, 휘문고하나고 1단계내신성적 및 출결(감점)로 정원의 1.5 ~ 2배수 선발2단계1단계 성적과 면접으로 최종합격자 선발※8월 중 발표하는 ‘2019학년도 신입생 입학전형 요강’ 참조 표3. 2019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주요 일정구분학교계열입학원서 접수합격자 발표일전기고 과 학 고2018.8.16(목) ~ 8.20(월)2018.12.05(수)서울체고특별10.22(월) ~ 10.23(화)10.26(금)일반10.29(월) ~ 10.30(화)11.06(화)예술계고(서울미고 포함)10.22(월) ~ 10.25(목)11.02(금)마이스터고(특별/일반)11.09(금)특성화고특별11.26(월) ~ 11.27(화)11.30(금)일반12.03(월) ~ 12.04(화)12.05(수)관악예술과11.26(월) ~ 11.28(수)11.30(금)추가모집12.05(수) ~ 12.06(목)12.07(금)후기고 학교장 선발고 한국삼육고, 한광고12.06(목) ~ 12.07(금)12.11(화)외국어고·국제고(원서접수 및 서류 제출기간)12.10(월) ~ 12.12(수)(면접대상자 자기소개서 제출기간)12.17(월) ~ 12.18(화)12.28(금)자사고경문고 등22교(원서접수 및 출력물 제출기간)12.10(월) ~ 12.12(수)(면접대상자 서류 제출기간)12.20(목) ~ 12.21(금)2019.1.4(금)하나고(원서접수 및 서류 제출기간)12.10(월) ~ 12.12(수)(면접대상자 자기소개서온라인 제출기간)12.18(화) ~ 12.23(일)예술・체육 중점학급12.10(월) ~ 12.12(수)12.19(수)교육감 선발고(일 2018-08-16
- 2022학년도 ‘깜깜이’ 대입전형, ‘꼼꼼한’ 데이터 분석으로 대응하자 대입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고교 선택을 목전에 둔 중학생, 학부모들은 현 중3이 치를 ‘2022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 결과 발표에 귀를 쫑긋했을 것이다. 혼란스러운 가운데 8월 말 교육부 ‘대입제도 개편 방안’ 최종 발표를 기다리고 있을 학생, 학부모들에게 이런 조언을 드리고 싶다. ‘기본에 충실하자.’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와 관련한 조사결과를 통해 2022학년도 대입을 예측해 본다면 첫째, 정시모집 선발인원이 늘어나면서 수능 비중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능 최저 기준 또한 지금정도의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기에 수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수능 공부를 일정 수준 해야 한다. 둘째, 학생부 교과 성적과 비교과 관리를 잘 해야 수시모집 대비를 할 수 있으므로 1학년 때부터 학생부 관리에 충실해야한다. 결국, 대입제도가 개편된다고 해서 우리가 ‘준비해야할 것’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각 전형이 차지하는 비중이 달라질 수는 있어도 대학이 학생에게 원하는 것이 ‘충실한 학습능력’과 ‘적극적 학교생활’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교 선택을 앞둔 학생, 학부모는 꼼꼼한 데이터 분석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능력치’를 최대한으로 발휘시켜줄 수 있는 특색을 가진 고등학교를 선택해야하며 진학 후 입시전략에 맞춰 3년의 로드맵을 구성해 나가야한다. 학교 선택의 팁으로 ‘학교알리미’사이트를 통한 송파구 고등학교 현황을 데이터로 분석한 내용을 제시하고자한다. 단순한 수치 비교가 아닌 데이터 속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 알리미 사이트의 2017, 2018 공시자료를 취합하여 교육법인(주)에듀서강에서 재구성한 ‘송파구 고등학교별 현황’분석 자료에 의하면 송파지역 학생들의 전체 진학률은 58.4%이다. 이는 전국(77.2%)과 서울시(60.5%)대비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대학 순위에 따른 데이터가 아니기에 앞서 밝혔듯 단순한 수치비교가 아닌 해석능력이 요구된다. 송파구 고교 가운데 2018입시에서 4년제 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은 학교(일반고15,자사고1)는 보인고(51.3%)>잠실고(49.3%)>창덕여고(44.2%)>배명고(43.5%),정신여고(43.5%) 순이다. 이 역시 순위만을 볼 것이 아니라 어느 학교에 많이 진학했는가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또한 주로 재수가 예상되는 기타 분류 항목의 경우 송파구 평균은 38.6%, 영동일고(48.1%)>보인고(48%)>보성고(47.8%)>창덕여고(46.8%)>정신여고(43%) 순이다. 이 학교들은 졸업생의 반 정도가 재수를 하고 있다고 예측해볼 수 있다. 특히 2019학년도 고교 신입생이 중점적으로 볼 항목은 학교 교육과정이다. 입시는 학교별 차이가 있는 교육과정에서 판가름 나기 때문이다. 또한 동아리, 학교별 특색 사업은 비교과 영역을 판단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주는지 꼼꼼히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실제적인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입시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대목이다. 예를 들어 자율동아리 활동 참여비율의 경우 배명고(97%)>정신여고(94.9%)>영동일고(66.8%)>보인고(57.3%)>잠일고(49.6%) 순으로 나타나지만, 동아리 활동의 수준이나 결과물 등 세부적 내용은 알 수 없으며 학생의 히스토리와의 연관성을 따져보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입시 데이터를 분석하다보면 하나의 통일된 법칙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우주가 아름다운 까닭은 다양한 현상 가운데서도 통일된 하나의 법칙이 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통일된 법칙이 놀랍도록 다양한 현상을 만들어내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대답했다.’는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의 한 대목처럼 대입에 있어 수시와 정시라는 큰 틀 아래 ‘충실한 학업’과 ‘적극적 학교생활’이라는 기본적 내용을 바탕으로 어떤 고등학교를 선택하고 어떤 전형에 맞춰 준비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는 것이 입시의 매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원장 조영은교육법인 서강학원고등관 2018-08-16
- 마곡2중(가칭) 개교… ‘염강초 폐교’ 논란 서울시교육청은 마곡지구에 중학교(마곡2중, 가칭)를 하나 더 짓기 위해 강서구 내 염강초·공진중·송정중 등 3개교를 통폐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염강초와 공진중을 폐교하고 송정중을 마곡2중으로 바꿔 통폐합하는 것이다. 이를 추진하기 위해 '염강초 통폐합 관련 지역주민 설명회'가 통폐합 방안 발표 이후 처음으로 지난 7월 18일 오후 강서구 서울염강초등학교에서 열렸다.중학교 만들자고 초등학교 폐교?문제는 마곡지구 내에 중학교를 하나 더 신설하고자 아이들이 멀쩡히 다니고 있는 염강초등학교가 폐교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이다. 이 학교가 폐교대상에 포함된 건 정부에서 추진 중인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 때문이다.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이란 전교생 수 300명 이하인 학교를 합쳐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다.염강초 학부모들은 강서양천교육지원청 주관으로 지난 7월 18일 통폐합 방안 발표 이후 처음으로 열린 학교 통폐합 관련 설명회에서 반대 목소리를 강하게 냈다. 이날 학부모들이 주장한 염강초 통폐합 추진과정의 문제점은 ▲근거 없는 폐교 사유 ▲불투명한 진행 과정 ▲밀실·불통행정 등이었다. 지난 5월 업데이트된 학교알리미 공시자료에 따르면, 올해 염강초의 신입생 수는 남학생 26명, 여학생 19명으로 총 45명이다. 지난해에는 남학생 16명, 여학생 17명으로 총 33명이 입학했다. 2016년에는 남학생 11명, 여학생 8명으로 총 19명이다. 공시 자료에 따르면 염강초 신입생 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염강초 장경희 교장은 설명회에서 신입생이 계속 늘고 있다는 근거를 들어 “지금 6학년 졸업하는 학생 수가 14명이다. 그런데 2018년도에 1학년 학생 수는 46명에서 45명”이라며 “그럼 14명이 졸업하고 적게 잡아서 40명 정도 입학한다고 하면 200여 명에 육박하게 된다”며 강하게 호소했다.설명회에서 강서양천교육지원청 측은 통폐합 학교 검토내역으로 ▲통학 거리와 시간 ▲인근 지역의 개발 계획 여부 ▲학생 변동 추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한편 지난 2016년 말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는 2020년 3월 개교를 목표로 30학급 9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마곡지구 제2중학교를 세우기 위해 세 학교를 대상으로 폐교를 권고했다. ‘염강초 폐교’에 대한 견해차는 학부모, 교육청 관계자 등이 포함된 협의체를 구성해 재논의하기로 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협의체 구성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2018-08-09
- 2018년 송파지역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 송파지역 고교 졸업생들의 진로 현황은 어떨까?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시된 자료를 바탕으로 진로 현황을 알아보았다. 각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대학교 진학률, 전문대학 진학률, 취업현황을 살펴보고 분석했다. *자료 취합 기준 : 2018년 5월, 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시된 2018년 2월 고교별 졸업생 진로 현황 자료를 취합했다. 송파지역의 일반계고 16개 고교를 대상으로 취합, 분석했다. 송파지역에 위치한 학교는 아니지만 송파학생들이 다수 진학을 하고 있는 인근 강동구와 강남구, 성동구에 위치한 몇몇 학교도 참고 자료로 취합하였다. 참고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시항목 ‘졸업생의 진로 현황’(2018년 5월 공시 기준) # 전국, 서울, 송파, 인근지역 진로현황은?대학교와 전문대학 진학률-전국·서울대비, 송파 낮음 송파지역 학생들의 전체 진학률을 살펴보면 전국(77.2%)과 서울시(60.5%)대비 낮은 수준을 보인다. 송파구 고교 졸업생의 대학진학률(38.9%) 역시 서울시(41.0%)와 전국(55.3%)대비 낮은 비율을 나타낸다. 전문대학 진학률은 서울시(19.1%)와 송파구가 같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전국(21.6%)대비 낮다. 고교졸업 후 취업하는 학생은 송파지역 고교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송파구(3.0%)가 서울시(1.8%)와 전국(2.0%)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송파지역 학생들은 송파권내에 있는 고교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강동구와 강남구, 성동구에 위치한 선호하는 일반고와 자사고에 진학하는 학생도 다수 있다. 인근지역의 진로현황은 아래 표1)을 통해 함께 비교해 볼 수 있다. 표1) 전국, 서울, 송파와 인근 지역 진로현황구분진학률(%)전문대학진학률(%)대학교진학률(%)국외진학률(%)취업률(%)기타(%)송파구58.419.138.90.43.038.6강동구62.119.842.10.33.534.3강남구46.77.838.80.10.353.0성동구61.623.937.60.22.336.0서울특별시60.519.141.00.41.837.7전국77.221.655.30.32.020.9# 송파지역 고교 졸업생 진로 현황은?진학률 ‘58.4%’, 기타 ‘38.6%’국외진학률은 전국, 서울과 비슷한 수준취업자는 오금고, 잠신고, 문정고, 방산고에서 많아2018년 2월에 졸업한 송파지역 일반고 16개 학교의 졸업생은 5800명이다. 이 중 상위학교인 대학교로 진학한 학생은 38.9%인 2214명이다. 1116명(19.1%)의 학생은 전문대학으로 진학하였다, 전문대학 진학 비율은 송파지역 고교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국외진학률은 집계에서 누락된 경우가 많아 신뢰도가 낮기는 하지만 송파구(0.4%)는 전국(0.3%), 서울(0.4%)와 비슷한 수준을 보인다. 송파구 졸업생 중 25명의 학생이 국외진학을 했는데 보성고와 잠신고 졸업생이 각각 6명씩, 정신여고에서는 5명의 학생이 국외진학을 선택했다. 고교졸업 후 취업을 하는 경우도 집계에서 누락되거나 한시적인 일자리를 얻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낮은 편이긴 하다. 취업자 수를 전혀 표기하지 않은 학교도 많았다. 2018년 송파구 고교 졸업생 중 169명의 학생이 취업을 했다. 오금고가 41명(11.6%), 잠신고가 40명(10.5%), 문정고가 37명(12.1%), 방산고 24명(6.4%)의 비율을 보였다. 남학생 VS 여학생 전체진학률 평균 비슷하나 남고가 비율이 가장 높아송파지역의 고교를 남녀공학, 남고와 여고로 나누어 진학률을 살펴보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남고 4개교의 진학률은 60.55%이다. 보성고와 보인고는 52% 정도의 비슷한 진학률을 보이고 있으나 배명고가 62.6%. 잠실고가 75.4%의 높은 진학률을 보여 남고 진학률평균을 끌어올렸다. 여고 4개교의 진학률 평균은 59.3%를 나타낸다. 창덕여고는 53.2%의 진학률을 보이고 있으며 정신여고가 56.8%. 영파여고가 60.8%, 잠실여고가 66.5%로 높은 진학률을 보인다. 남녀공학의 경우에는 8개교의 진학률 평균이 57.1%이다. 문현고가 진학률이 62.8%로 가장 높았으며 잠신고가 50.8%의 진학률로 가장 낮았다. 공립고 VS 사립고 전체 진학률은 공립고가 사립고보다 1.8% 높고전문대학 진학률은 공립고가 사립고보다 8.5% 높아송파지역 일반고는 공립고가 9개교, 사립고가 7개교이다. 공립고와 사립고를 구분해서 진학률을 살펴보면 전체 공립고 진학률의 평균은 59.3%이며 사립고 진학률의 평균은 57.5%로 공립고의 진학률이 더 높다. 전체 진학률이 높은 공립고는 문정고(62.4%), 문현고(62.8%), 방산고(60.3%), 잠실고(75.4%)가 높은 진학률을 보이고 있다. 반면 전문대학 진학률을 살펴보면 9개 공립고의 평균은 24.1%로 나타나며 사립고의 평균은 15.6%로 차이가 많이 난다. 공립고 중에서 창덕여고의 전문대학 진학률은 9.1%로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문현고가 33.3%로 전문대학 진학률이 가장 높다. 사립고 중에서 전문대학 진학률이 높은 학교는 영파여고가 28.7%로 가장 높으며 잠실여고가 24.7%, 배명고가 19.1%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사립고 중에서 전문대학 진학률이 가장 낮은 학교는 자사고인 보인고로 0.7%의 학생이 전문대학에 진학하였다. 자사고인 보인고와 사립고인 보성고는 대학교 진학률에서 보성고가 40.6%, 보인고가 51.3%로 10%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전문대학 진학률에서 보성고(10.3%)가 보인고(0.7%) 진학률보다 높아 전체 진학률은 52% 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재수 예상되는 기타 분류 학생 평균 비율은 38.6%몇 학교는 50%에 육박, 재수 비율 여전히 높은 편고교 졸업 후 진로가 진학이나 취업이 아닌 기타로 분류된 학생 비율이 가장 낮은 학교는 잠실고로 21.4%, 문정고가 25.5%의 비율을 보인다. 기타로 분류되는 학생들은 대부분 재수생일 것으로 예상되므로 송파지역의 경우 영동일고(48.1%), 보인고(48.0%), 보성고(47.8%), 창덕여고(46.8%), 정신여고(43.0%)가 높게 나타난다. 이 학교는 졸업생의 반 정도의 학생이 재수를 하고 있다고 예측해 볼 수도 있다. .학교명남/여일반/자사공립/사립졸업자대학교전문대학국외대학진학(계)취업자기타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인원비율가락고남/여일반공립34610229.59226.6 19456.1 15243.9문정고남/여일반공립30610434.08527.820.719162.43712.17825.5문현고남/여일반공립2587529.18633.310.416262.851.99135.3방산고남/여일반공립37512132.310327.520.522660.3246.412533.3보성 2018-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