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검색결과 총 41,558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태권도공원 7년간 9천억원 파급효과 무주에 조성되는 태권도공원이 7년간 9400여억원의 파급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태권도공원 개념정립 및 공간구성 연구용역’에 따르면 태권도공원은 국고 4591억원, 지방비 490억원, 민자 1274억원 등 총 6355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원은 또 태권도 공원을 조성함에 따라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년간 생산 5549억원, 고용 71억원, 소득 1213억원, 부가가치 2346억원, 조세 222억원 등 모두 9401억원의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했다. 2001년 타당성 조사에서는 1644억원(국고 1000억원 포함)의 사업비로 9년간(2002~2010) 생산 3500억원, 고용창출 6000명의 파급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결과가 나온 바 있다. 연구원은 태권도공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태권도계 4명, 관광계 4명, 건축계2명으로 연구진을 구성, 3월 28일부터 7월 5일까지 연구활동을 벌여 왔다. 연구원은 국내외 태권도인과 일반관광객을 대상으로 향후 30년간(2011~2040년) 방문수요 예측 조사를 벌여 왔으며 시설규모는 국가시설 개장시점인 2011년 방문수요인 284만명을 기준으로 산정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태권도공원은 ‘태권도 르네상스를 통한 가치창조와 문화창출의 장 구축’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태권도의 본산이라는 상징성 △전세계 태권도 네트워크 구축 △문화관광 명소 육성 이라는 세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에 따라 공원에는 태권전당(정신관) 정신문화원(특별수련장) 연구소 연구원 국제경기장 극기훈련장 종합수련원 야외다목적수영장 태권도전시관(명예의 전당) 방문자센터 태권도정원 유스호스텔 및 전통숙박시설 등이 들어서게 된다. 문화관광부는 올해 태권도공원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내년 기본 및 실시설계, 부지매입 등 기반구축을 통해 2007년부터 3년간 중심시설공사를 마칠 계획이다. 또 2010년부터 2013년까지는 보조시설공사도 완공한다는 목표다. 문화부는 문화관광정책연구원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투자규모 및 타당성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태권도공원 사업을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한편, KDI 분석에 따르면 태권도공원과 더불어 무주지역 대표적인 개발사업인 관광레저도시 추진사업은 1조900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통해 추진될 전망이다. KDI는 관광레저도시 건설사업의 경우 약 3조3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만8000여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문화관광부는 이같은 내용을 토대로 오늘부터 이틀간 전주·무주지역 지역현안 점검보고회를 갖고 전주전통문화도시 및 태권도공원, 관광레저형 기업도시에 대한 지역주민 등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장유진 기자 yjchang@naeil.com 2005-07-27
- 개인 ‘팔자세’ 언제 멈추나 최근 주식시장이 상승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투자가들의 매도세가 끊이질 않자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수상승기에 간접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간접투자문화가 정착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기관투자가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개인의 직접투자는 다소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27일 코스콤 등에 따르면 올 들어 26일까지 투자주체별 매매동향을 분석한 결과, 개인 매도세는 5조9533억원으로 6조원대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그 추세는 최근 들어 더욱 심화되고 있다. 5월초부터 개인은 5조396억원을 매도하고 있고, 7월 들어서도 1조7516억원어치의 순매도를 기록, 매도세는 멈추지 않고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 5월 초부터 이달 26일까지 모두 60거래일 동안 6거래일을 제외한 54거래일 동안 매도우위를 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 기간 기관은 2조4624억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있고, 외국인도 1조7620억원치를 순매수해 개인의 투자 방향과는 대조를 보였다. 특히 외국인은 지수 1000포인트대의 견조한 상승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7월 들어서만 1조5733억원대의 순매수를 기록 지수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이는 외국인의 국내 증시 지배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음을 반증한 것이기도 하다. 한편 개인의 매도우세 속에서도 최근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주식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3조원대를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달 들어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26일까지 3조517억원으로 3조원대를 넘어선 것. 이로써 지난 3월 2조9325억원을 기록한 이래 4월과 5월 각각 2조513억원, 1조7216억원으로 급락했던 일평균 거래대금은 올 들어 첫 3조원 시대를 맞이한 셈. 거래대금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지수가 저항선으로 여겨지는 1000대에 안착하면서 매매공방이 치열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같은 거래 활황기에 따라 올 들어 개인투자가들의 매매비중도 59.68%를 기록, 지난해(57.85%)보다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지난 93년 수준인 65%대를 회복하지는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가들의 매매비중은 감소세를 보여 왔으나 2002년까지는 70%대 이상을 줄곧 유지해왔다. 이 같은 추이는 일반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지난해 이후 급격히 위축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이같은 추세는 좀 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양성현 기자 shyang@naeil.com 2005-07-26
- 씨티은행 대출이자 부당취득 조사 변동금리 부동산대출 이자를 고정이자로 높게 받아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를 받고 있는 (구)씨티은행에 대한 금융당국의 조사가 이번주중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현재 정기검사를 위해 나와 있는 FRB(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에게도 이 내용이 전달돼 조사에 착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미은행 노조는 지난 19일 씨티은행 국내지점이 3개월 단위 변동금리 부동산담보대출을 2002년말 현재 3만건, 6000억원규모를 팔았으나 이후 시장금리 하향추세에 맞춰 인하하지 않고 고금리로 이자를 받아 최소 74억원을 불법취득했다며 한국씨티은행과 씨티은행 리차드잭슨 소비자금융그룹 대표 겸 수석부행장을 사기혐의로 서울지검에 고발했다. 25일 한미은행 노동조합에 따르면 지난주까지 한국씨티은행 영업점에 나가 있던 FRB 검사인력들이 이번 주부터는 본점검사에 나와 노조와 만남을 갖고 부동산 대출이자 부당이득 취득과 관련된 내용을 전달받을 예정이다. 노조 관계자는 “(구)씨티은행이 고객에게 변동금리 부동산대출을 해준 이후에도 금리를 낮추지 않고 고정금리로 받아 챙긴 혐의에 대한 자료를 이번주중 FRB에 전달할 예정”이라면서 “소송 관련 문건을 포함, 그동안 문제시됐던 내용을 모두 영문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씨티은행이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금감원 관계자 역시 “현재 은행권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 현장검사에 나가 있는 검사인력과 FRB와 같이 한국씨티은행 검사에 착수한 직원들이 이 사안(불법 이익취득 혐의)에 대해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미은행 노조는 민노당 심상정 의원과 함께 씨티은행을 해외투기자본으로 규정짓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채비를 하고 있다. 또 투기자본감시센터와 연계해 대외홍보활동 등도 진행 중이다. 한편 대출금리를 부당하게 적용했다는 이유로 검찰에고발된 옛 씨티은행의 3개월 변동금리부 주택담보대출 상품 피해 고객이 금융감독원을 거쳐 재정경제부에도 민원을 제출했으나 해당 민원이 다시 금감원으로 이첩됐던것으로 알려졌다. 재경부에 따르면 M씨는 지난 2001년 3월 씨티은행에서 대출을 받았으나 그해 6월 이자율이 연 7.9%에서 8.3%로 올랐다가 9월에 다시 7.9%로 떨어진 뒤 올해 2월대출을 갚을 때까지 약 3년6개월간 똑같은 고금리를 적용받았다며 조사를 요구하는민원을 지난 14일 은행제도과에 제기했다. 또 M씨는 민원서를 통해 앞서 금감원에 조정을 요구했지만 은행 내부고시 기준금리가 적용됐다는 얘기와 당사자간 약정에 따라 결정할 사안이라며 시정해주지 않았다고 재경부에까지 민원을 제기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박준규 고병수 기자 jkpark@naeil.com 2005-07-25
- 현대백화점, 아산 신도시에서 할인점 사업 본격화 농협유통과 손잡은 현대백화점이 충남 아산 신도시에서 할인점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현대백화점은 충남 아산신도시 복합단지 안에 첫 대형할인점을 지을 계획이며 내년 3월 공사에 들어가, 2008년 1월 매장을 개점한다고 24일 밝혔다. 매장 규모는 연면적 1만4000평 규모가 될 예정이다. 아산신도시 복합단지는 대한주택공사가 추진하는 개발프로젝트로, 현대백화점은 SK건설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참여해 최근 사업권을 확보했다. SK컨소시엄은 앞으로 고속철도 천안아산역사 주변 4개 블록, 1만7642평 부지에 1조1848억원을 들여 오는 2010년까지 대형할인점, 백화점, 오피스, 주상복합 737가구 등 연면적 15만8000평에 이르는 역세권 복합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현대백화점은 컨소시엄 참여업체들과 함께 이 부지 중 8040평을 활용할 예정이다. 한편 현대백화점이 아산에서 할인점 사업을 가시화하는 것에 대해 회사측은 크게 2가지 의미를 부여했다. 먼저 그동안 할인점이 없었던 현대백화점은 이번 사업을 통해 롯데, 신세계와 경쟁 구도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맞게 될 전망이다. 또 현대백화점은 아산 할인점 인근에 2681평의 부지 위에 연면적 2만4000평 짜리 백화점도 함께 지을 예정이므로, 서울 및 수도권 그리고 영호남 및 충청지역까지 전국적 백화점 유통망을 확보할 계획이다. /전예현 기자 newslove@naeil.com 2005-07-24
- 수원 신매탄동 위브하늘채 1순위 마감 두산산업개발과 코오롱건설은 지난 19일부터 일반 청약접수를 시작한 수원 신매탄 ‘위브하늘채’가 1순위에서 전 평형 마감됐다고 20일 밝혔다. 평형별로는 32평A형이 가장 높은 9.12대1을 비롯, 32평B형 4.9대1, 29평 1.25대1이며 평균경쟁률은 2.89대1을 기록했다. ‘위브하늘채’가 이같은 경쟁률을 보인 것은 수원 중심지역에 3391세대의 대단지라는 점과 풍부한 녹지공간을 갖고 있어 쾌적한 환경과 입지가 청약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이라고 회사측은 풀이했다. 실제 전체 대지면적의 30% 이상을 조경면적으로 꾸몄으며 주변 효원공원까지 보행자 전용 육교를 설치해 단지에서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앞서 두산산업개발이 지난 3월 분양한 동탄 신도시 ‘두산위브’도 2순위에서 100% 청약과 계약률을 기록했다. /성홍식 기자 2005-07-20
- 분양원가, ‘공공 공개·민간 자율’ 원칙 지켜야 최근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논란이 다시 벌어지고 있는 것은 ‘공공 공개·민간 자율’이란 원칙을 정부가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는 2004년 2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공공택지 공급시 택지가격 총액과 함께 평당가격을 함께 공고해 아파트를 분양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았다.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를 수차례 미루다가 흐지부지 시킨 것이다. 택지 공급가격이 드러나면 건축비는 평당 250만원~300만원 안팎으로 비슷하기 때문에 사실상 분양원가가 공개되는 효과가 있어, 주택건설업체가 높은 분양가로 폭리를 취하는 것에 제동을 걸 수 있을 것을 기대됐다. 하지만 택지 공급가격 공개가 이뤄지지 않음으로써 지난해 분양된 화성 동탄, 용인 동백 등에서 주택건설업체가 폭리를 취하는 것을 사실상 방치하는 결과를 낳았고, 올해 또다시 분양원가 공개 요구가 터져 나오는 배경이 된 것이다. ◆택지공급가격 공개의 의미 = 2003년부터 제기된 분양원가 공개 요구에 대해 건설교통부는 2004년 2월12 대통령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분양원가 전면공개는 수용하지 않되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를 의무화하고 △주공 아파트 건축비 공개 등을 약속했다. 공공택지 공급시 총액만을 공고하던 방식에서 총액과 함께 평당가격을 공고해 일반인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설업체명과 공급가격·평당가격 등 공공택지 공급정보를 연간 1회 신문에 공고하고 토지공사와 주택공사 홈페이지에도 게시토록 한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주택용지의 절반 이상이 공공택지에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택시장에 큰 파장이 예상됐다. 택지비와 건축비로 구성된 분양원가 중 택지비가 공개되게 되면, 원가공개 요구는 건축비 검증작업으로 바뀌게 되고, 공사 도급계약서와 자재비 등 건축비에 대한 검증 작업이 벌어지게 된다. 결국 이같은 과정에서 주택건설업체가 분양가를 투입원가가 아닌 시세에 따라 임의대로 책정해온 관행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기대된 것이다. 이에 대해 건교부는 2004년 2월 중 토지공사와 주택공사의 업무처리 지침을 개정해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 의무화 제도를 즉시 시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화성동탄 시범단지 ‘봐주기’ 의혹 = 하지만 건교부는 2월 중 공개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3월17일 ‘늦어도 3월말까지 공개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한 대상지 선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때 공개대상 지구로는 5월 분양을 앞두고 있었던 화성동탄 시범단지를 비롯해 용인동백, 파주교하, 고양풍동, 인천 논현지구 등이 거론됐다. 하지만 건교부는 3월말까지 공개하겠다는 약속을 또 지키지 않았다. 이에 경실련은 4월19일 성명을 내고 “건교부는 조속히 택지공급가격을 공개해 화성동탄, 고양풍동 지구 등의 아파트 분양가가 적정하게 책정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건설교통부는 4월26일 열린우리당과 당정협의에서 주공아파트 건축비 공개 유보와 함께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를 7월로 미룬다고 밝혔다. 당시 열린우리당 정세균 정책위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당에서는 원가를 공개하자는 입장이었지만, 건교부에서 원가공개가 민간부문의 주택공급 위축을 가져온다며 반대의견을 내놨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5월 분양예정인 화성동탄 시범단지를 봐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원가연동제 핑계로 백지화시켜 = 화성동탄 시범단지는 설계공모의 상으로 건설업체에 택지를 공급해 물의를 빚은 지역이고, 이곳의 택지를 수의계약으로 공급받은 건설회사들이 가만히 앉아 800억원의 차액을 남긴 채 모 대형건설회사에 택지를 넘기는 계약을 체결했다 물의를 빚기도 했다. 더욱이 화성동탄 시범단지는 주변시세보다 높은 평당 720만원에 아파트를 분양해 경실련의 분석에 따르면 건설업체들이 6000억원의 이익을 챙긴 것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화성동탄 시범단지 분양이 지난 후인 7월15일 건교부는 또다시 “다음 주쯤 택지가격을 공개할 방침”이라며 “이미 분양이 끝난 곳은 제외한다”고 밝혔다. 화성동탄 1차지구, 경남 양산 물금, 인천 논현지구 등이 대상지로 거론됐다. 그러나 7월말이 되도록 공공택지 공급가격은 공개되지 않았고, 8월10일 건교부 관계자는 모 언론을 통해 “공공택지지구 내의 중소형 주택에 대한 분양가 원가연동제가 내년 초에 도입되는 이상, 택지공급가격 공개에 대한 실익이 없어 택지공급가격 공개방침을 최근 백지화했다”고 밝혔다. ◆택지 공급가격 숨기는 분양가상한제 = 뿐만 아니라 분양원가 공개요구를 수용해 2005년 도입된 분양가상한제와 택지채권입찰제에도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는 빠져있다. 3월9일부터 시행되는 분양가상한제를 살펴보면 택지비·공사비 등 분양원가의 주요항목을 공개하도록 하고 있으나, 택지비의 경우 공급가격+이자+공과금과 수수료+지반공사비+추가비용+기타비용 등을 모두 합한 금액을 공개토록하고 규정하고 있어(주택공급규칙 별표3) 소비자들이 택지 공급가격을 알 수 없도록 만들어 놨다. 또 채권입찰제가 적용되는 25.7평 이상 공공택지는 아무런 규정이 없어 과거와 같이 총공급가격만 공개될 뿐 평당 택지 공급가격, 세대당 택지비 등은 알 수 없다. 결국 분양가상한제(원가연동제)는 분양가 상한선을 정했으니 자세한 내역은 ‘알 필요없다’는 식인 셈이다. 애초 건교부가 약속했던 평당 택지가격을 일반 소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은 분양가상한제와 택지채권입찰제 도입에서도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그에 따라 2005년 여름 또다시 분양원가 공개 요구가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장병호 기자 bhjang@naeil.com 2005-07-20
- 분양원가, ‘공공 공개·민간 자율’ 원칙 지켜야 최근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논란이 다시 벌어지고 있는 것은 ‘공공 공개·민간 자율’이란 원칙을 정부가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는 2004년 2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공공택지 공급시 택지가격 총액과 함께 평당가격을 함께 공고해 아파트를 분양받고자 하는 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를 지키지 않았다.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를 수차례 미루다가 흐지부지 시킨 것이다. 택지 공급가격이 드러나면 건축비는 평당 250만원 안팎으로 비슷하기 때문에 사실상 분양원가가 공개되는 효과가 있어, 주택건설업체가 높은 분양가로 폭리를 취하는 것에 제동을 걸 수 있을 것을 기대됐다. 하지만 택지 공급가격 공개가 이뤄지지 않음으로써 지난해 분양된 화성 동탄, 용인 동백 등에서 주택건설업체가 폭리를 취하는 것을 사실상 방치하는 결과를 낳았고, 올해 또다시 분양원가 공개 요구가 터져 나오는 배경이 된 것이다. ◆택지공급가격 공개의 의미 = 2003년부터 제기된 분양원가 공개 요구에 대해 건설교통부는 2004년 2월12 대통령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분양원가 전면공개는 수용하지 않되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를 의무화하고 △주공 아파트 건축비 공개 등을 약속했다. 공공택지 공급시 총액만을 공고하던 방식에서 총액과 함께 평당가격을 공고해 일반인들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설업체명과 공급가격·평당가격 등 공공택지 공급정보를 연간 1회 신문에 공고하고 토지공사와 주택공사 홈페이지에도 게시토록 한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주택용지의 절반 이상이 공공택지에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택시장에 큰 파장이 예상됐다. 택지비와 건축비로 구성된 분양원가 중 택지비가 공개되게 되면, 원가공개 요구는 건축비 검증작업으로 바뀌게 되고, 공사 도급계약서와 자재비 등 건축비에 대한 검증 작업이 벌어지게 된다. 결국 이같은 과정에서 주택건설업체가 분양가를 투입원가가 아닌 시세에 따라 임의대로 책정해온 관행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기대된 것이다. 이에 대해 건교부는 2004년 2월 중 토지공사와 주택공사의 업무처리 지침을 개정해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 의무화 제도를 즉시 시행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화성동탄 시범단지 ‘봐주기’ 의혹 = 하지만 건교부는 2월 중 공개 약속을 지키지 않았고, 3월17일 ‘늦어도 3월말까지 공개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한 대상지 선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때 공개대상 지구로는 5월 분양을 앞두고 있었던 화성동탄 시범단지를 비롯해 용인동백, 파주교하, 고양풍동, 인천 논현지구 등이 거론됐다. 하지만 건교부는 3월말까지 공개하겠다는 약속을 또 지키지 않았다. 이에 경실련은 4월19일 성명을 내고 “건교부는 조속히 택지공급가격을 공개해 화성동탄, 고양풍동 지구 등의 아파트 분양가가 적정하게 책정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건설교통부는 4월26일 열린우리당과 당정협의에서 주공아파트 건축비 공개 유보와 함께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를 7월로 미룬다고 밝혔다. 당시 열린우리당 정세균 정책위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당에서는 원가를 공개하자는 입장이었지만, 건교부에서 원가공개가 민간부문의 주택공급 위축을 가져온다며 반대의견을 내놨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5월 분양예정인 화성동탄 시범단지를 봐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원가연동제 핑계로 백지화시켜 = 화성동탄 시범단지는 설계공모의 상으로 건설업체에 택지를 공급해 물의를 빚은 지역이고, 이곳의 택지를 수의계약으로 공급받은 건설회사들이 가만히 앉아 800억원의 차액을 남긴 채 모 대형건설회사에 택지를 넘기는 계약을 체결했다 물의를 빚기도 했다. 더욱이 화성동탄 시범단지는 주변시세보다 높은 평당 720만원에 아파트를 분양해 경실련의 분석에 따르면 건설업체들이 6000억원의 이익을 챙긴 것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화성동탄 시범단지 분양이 지난 후인 7월15일 건교부는 또다시 “다음 주쯤 택지가격을 공개할 방침”이라며 “이미 분양이 끝난 곳은 제외한다”고 밝혔다. 화성동탄 1차지구, 경남 양산 물금, 인천 논현지구 등이 대상지로 거론됐다. 그러나 7월말이 되도록 공공택지 공급가격은 공개되지 않았고, 8월10일 건교부 관계자는 모 언론을 통해 “공공택지지구 내의 중소형 주택에 대한 분양가 원가연동제가 내년 초에 도입되는 이상, 택지공급가격 공개에 대한 실익이 없어 택지공급가격 공개방침을 최근 백지화했다”고 밝혔다. ◆택지 공급가격 숨기는 분양가상한제 = 뿐만 아니라 분양원가 공개요구를 수용해 2005년 도입된 분양가상한제와 택지채권입찰제에도 공공택지 공급가격 공개는 빠져있다. 3월9일부터 시행되는 분양가상한제를 살펴보면 택지비·공사비 등 분양원가의 주요항목을 공개하도록 하고 있으나, 택지비의 경우 공급가격+이자+공과금과 수수료+지반공사비+추가비용+기타비용 등을 모두 합한 금액을 공개토록하고 규정하고 있어(주택공급규칙 별표3) 소비자들이 택지 공급가격을 알 수 없도록 만들어 놨다. 또 채권입찰제가 적용되는 25.7평 이상 공공택지는 아무런 규정이 없어 과거와 같이 총공급가격만 공개될 뿐 평당 택지 공급가격, 세대당 택지비 등은 알 수 없다. 결국 분양가상한제(원가연동제)는 분양가 상한선을 정했으니 자세한 내역은 ‘알 필요없다’는 식인 셈이다. 애초 건교부가 약속했던 평당 택지가격을 일반 소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약속은 분양가상한제와 택지채권입찰제 도입에서도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그에 따라 2005년 여름 또다시 분양원가 공개 요구가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2005-07-20
- 6월 정보통신산업 경기 소폭 개선 지난 6월 국내 IT(정보통신)산업 경기가 전달에 비해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KAIT)가 최근 정보통신서비스·정보통신기기제조, 소프트웨어(SW) 부문 1312개 업체(중소업체 109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IT부문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87로 전달의 84보다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 3월 96을 정점으로 4, 5월 각각 89, 84로 하향곡선을 그은 지 3개월만이다. BSI는 기업이 느끼는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지수로, 일반적으로 기준치인 100 미만은 악화, 100을 초과하면 호전을 나타낸다. 부문별로는 △정보통신서비스 94 △정보통신기기 80 △SW 및 컴퓨터 관련 서비스 86으로 각각 조사됐다. 이 기간동안 IT산업부문 제품재고와 생산설비는 과잉상태였고, 고용수준은 부족했다. 또 자금사정도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설비투자는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경영 측면에서는 생산증가율과 내수판매, 수출, 가동률, 채산성 등 모든 지수가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7, 8월에 대한 전망치도 각각 90, 94에 불과해 약간 개선되겠지만 상황이 크게 좋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2005-07-20
- 미래에셋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인디펜던스펀드가 세계적권위의 펀드평가사인 리퍼사로 부터 최상위 펀드로 평가되었습니다. 이와 관련된 보도자료를 송부하오니,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별첨으로는 인디펜던스 펀드 판매 사진을 첨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미래에셋 인디펜던스펀드, 국내 최초로 리퍼사로부터 최상급 펀드 평가 받아 ■ 인디펜던스펀드, 국내 최초로 美 리퍼사로부터 최상 등급 펀드로 평가 ■ 비교대상 460여개의 펀드 중 최상등급, 한국투자 해외펀드와 비교해도 3년 누적 수익률 1위 ■ 인디펜던스펀드, 2005년 7월 18일 현재, 누적수익률 268.8%,운용규모 5,474억원 (펀드 설정일 : 2001.2.14, 만 4년 5개월 운용, 연평균 50%이상 수익률 달성) 투자전문그룹 미래에셋의 대표 주식형 펀드인 인디펜던스펀드가 국내 최초로 세계적 권위의 펀드평가사인 미국의 리퍼(Lipper)사(社)로부터 최상 등급의 펀드로 평가되었다. 인디펜던스펀드는 해외에서 대한민국에 투자하는 펀드(Offshore Fund)와 국내 펀드를 포함한 460여 개의 펀드 중 3년 연속 ‘총수익률(Total Return)’부문과 ‘일관성 (Consistency)’부문에서 평가 등급 중 최상 등급인 리퍼 리더스(Lipper Leaders)평가를 받았다. 금번 평가에서 인디펜던스펀드가 최상위 등급을 받은 ‘총수익률’부문과 ‘일관성’부문은 각각 동일유형의 펀드 중에서 평가대상기간동안 누적수익률의 우수성과 기간별 수익률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으로써, 인디펜던스펀드는 두 부문 모두에서 최상위 등급을 받음으로써, 수익성과 안정성을 모두 갖춘 펀드로 평가된 것이다. 또한, 리퍼사의 평가 리포트에 따르면 인디펜던스펀드는 꾸준한 운용성과로 펀드의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였고, 리퍼사의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된 한국펀드 중 운용규모 상위 10위안에 미래에셋의 펀드 5개가 포함되어 있는바, 이는 그동안 미래에셋이 꾸준히 추구해 온 장기 대형펀드 육성의 노력이 맺은 결실이다. 특히, 인디펜던스펀드는 3년 누적 수익률에서 미화 천만 달러 이상의 한국투자 해외 펀드와의 비교에서는, 17개 펀드 중에서 1위로 평가되었다. 이는 인디펜던스펀드가 한국시장에 투자하는 해외펀드들과의 비교에서도 뛰어난 운용성과를 시현하여왔음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이러한 인디펜던스펀드에 대한 리퍼 리포트는 미래에셋의 뛰어난 운용성과를 해외 투자가들에게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이며, 미래에셋 펀드의 해외 마케팅 시, 공신력있는 객관적 기준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금번 리퍼사의 평가는 2005년 3월 31일 기준으로, 과거 3년간을 평가대상기간으로 하였으며, 인디펜던스펀드는 2001년 2월 14일에 설정되어, 2005년 7월 18일 현재, 지난 4년 5개월 동안 268%의 누적수익률을 기록하여 연평균 50%가 넘는 꾸준한 수익률을 시현하였으며, 펀드규모는 5,474억원이다. 참고로 2005년 3월 31일 기준으로, 지난 3년간 인디펜던스펀드, KOSPI, MSCI Korea (Morgan Stanley Capital Investment Korea)의 수익률은 각각 109.97%, 40.90%, 46.01%로, 동 펀드는 KOSPI 대비, 69.07% pt. 상회, MSCI Korea 대비 63.96% pt. 상회 하였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리퍼사(社)와 2005년 3월 31일부터 인디펜던스펀드에 대한 분기별 펀드평가리포트 작성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동 펀드평가리포트는 미래에셋증권 전국지점과 미래에셋 펀드 판매사에서 볼 수 있다. [참조 : 리퍼(Lipper)社 소개] 1973년에 설립한 리퍼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금융정보와 뉴스 제공 업체인 로이터(Reuter)의 자회사이며, 세계적으로는 총 125,000개의 펀드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세계적 권위의 펀드 평가사로서, 리퍼 펀드정보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투자자들의 투자 판단 및 매니저의 성과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펀드의 벤치 마크 설정에도 활용되고 있음. 또한, 리퍼는 국내 펀드 평가회사인 제로인과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고 있음. 2005-07-19
- 신용불량자대책 ‘약효 다했나’ 3·23 신용회복 대책을 내놓은 이후 20~30대 청년신용불량자를 중심으로 신용회복 의지가 크게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용불량자’라는 용어가 사라지고 기업에서도 공채접수자에 대해 임의로 신용조회를 할 수 없어 신용불량에 따른 불이익이 없어졌다는 오해가 확산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경기침체로 신용회복이 쉽지 않고 정부의 추가대책 기대심리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5일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최근들어 신용회복신청건수가 크게 감소했으며 특히 20~30대의 감소폭이 매우 컸다. 신용불량자 용어가 없어지고 정부의 3·23 대책 발표이후 4월 신용회복 지원자가 2만3253명으로 3월의 1만9241명보다 20.9% 증가했으나 5월에 16.7% 줄어들었으며 6월에도 12.8%가 추가로 감소했다. 6월 신용회복 신청수는 1만7176명이었다. 20대와 30대 신용불량자의 신용회복신청건수가 크게 줄었다. 5~6월까지 20대 신용회복신청자는 모두 4659명에 그쳤다. 두 달만에 2404명(57.8%) 감소한 것이다. 30대 역시 6월에 5907명의 신용불량자가 신용회복을 신청해 지난 5월에 이어 두달 연속 줄었으며 4월에 비해서는 26.7% 감소했다. 40대는 4월에는 7298명이 신용회복을 신청했고 5월에는 6213명, 6월엔 5868명에 그쳤다. 반면 50대와 60대 이상 신용불량자들은 꾸준히 신용회복위원회 문을 두드리고 있다. 50대는 5월에 전달에 비해 400여명 신용회복 신청자가 줄었으나 6월엔 다시 200명가량 늘었고 60대이상 신용불량자의 신청건수도 5월에 감소했다가 지난달에는 회복 분위기다. 신용회복위원회 김승덕 실장은 “신용불량자들이 4월부터 신용불량자라는 용어가 사라져 금융제약이나 특히 취업에 불이익이 없을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신용회복 의지가 청년층을 중심으로 크게 꺾였다”면서 “게다가 정부의 잇단 신용회복 대책으로 앞으로 추가 대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는 심리도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실장은 이어 “신용회복위원회에서는 군장병 뿐만 아니라 전경,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신용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홍보활동을 대대적으로 펼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신용회복신청자 중 2000만원미만의 부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전체의 50%를 넘어섰다. 6월중 채무조정완료자는 1만9920명으로 5월에 비해 1356명 늘었으며 지금까지 신용회복위원회를 통해 신용불량에서 벗어난 사람은 42만3977명으로 증가했다.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200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