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서초' 검색결과 총 93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③중산고등학교 진로진학부 서울중산고등학교(교장 김광문, 이하 중산고)는 94년 개교 이래 연구교사제 운영으로 창의교수법을 적용해 융합형 통합교육과 맞춤형 교육과정으로 해마다 우수한 진학 성과를 끌어내왔다. 중산고 진로진학부 장길재 교사(진로진학부장)과 장인수 교사(3학년 부장)를 만나 2017학년도 입시 성과와 중산고의 진학 강점에 대해 들어봤다.서울대 최종 합격자 17명 중 15명이 재학생재학생 강세 두드러진 입시 성과 주목 중산고는 서울대에 17명이 합격한데 이어, 연세대 35명, 고려대 32명이 합격해 서·연·고만 84명이 합격했고, 서강대 18명, 성균관대 27명, 한양대 22명이 합격해 서연고서성한 6개 대학에서만 151명의 합격자를 배출했으며 의대 합격생도 27명이나 된다.인 서울 대학 합격 인원은 225명이며 수도권 대학은 230명이 합격했다. 지방 대학까지 포함하면 2017학년도 입시에서 총 555명(수시·정시 및 중복 합격, 재수생 포함)이 대학에 합격하며 우수한 진학 성과를 냈다.장길재 교사(진로진학부장)는 “서울대 합격생 17명 중 15명이 재학생이다. 그만큼 중산고는 재학생 강세가 두드러지며 강남지역 학교 중에서 재수 비율이 낮은 학교이기도 하다. 학생에게 맞는 진로진학지도를 하는 것이 중산고의 진학 강점”이라고 밝혔다.특히 2017학년도 서울대 수시 1단계 합격자 수가 17명으로 강남서초지역 고교 중 가장 많았던 중산고는, 100% 서류전형으로 선발되는 1단계 합격자 수의 의미 속에서 학교의 잠재적 수시 경쟁력을 엿볼 수 있었다. 입시 실적에서 상위권 대학의 수시, 정시 비율을 보면 서울대와 연세대는 정시 합격자 수가 조금 더 많았지만 고려대의 경우 14:18, 서강대 9:9, 성균관대 14:13로 수시와 정시 비율이 비교적 고른 편이었다. 수시 전형별 합격률을 보면 학생부종합전형이 44%로 가장 많았고, 논술전형이 31%를 차지해 학종과 논술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영재학교 이수 학생, 입시 실적 두드러져상위권뿐 아니라 중하위권 성과도 우수해중산고의 진학 강점 프로그램 중 하나는 ‘영재학급 프로그램’을 꼽을 수 있다. 해마다 입시에서 좋은 성과를 보인 학생 중에 상당수가 영재학급 이수자라는 점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서·연·고 및 의대 상위권 대학 합격자 중 50여 명이 영재학급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이다.영재학급 프로그램은 영재 창의력 산출물, 발표·모둠·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며, 리더십 훈련과 영재 캠프, 창의인성 교육, 명사 초청, 실험실습 등 차별화된 심화 수업으로 다방면에 걸쳐 학생 심화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특히 중산고는 상위권뿐 아니라 중·하위권 학생까지 진학 성과가 눈에 띈다. 장인수 교사(3학년 부장)는 “일반고의 경우, 중위권과 하위권 학생도 다수 분포되어 있어 수도권 및 지방권 대학, 전문대학에도 학생들을 잘 진학시키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다. 중산고는 수도권 대학에 70여 명, 지방 대학에 30여 명이 합격하는 등 중하위권 학생들의 진학 성과도 우수하다”며 학생 수준에 맞는 맞춤 진학지도 강점에 대해 설명했다.다양한 교내 대회와 독서, 팀 연구 등창의·인성·교과·학술탐구 등 열린 기회 제공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내 대회와 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중산고의 진학 강점 중 하나다. 창의·봉사·인성·교과·학술탐구·문·예·체 전 분야에 걸쳐 학생들에게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교내 과학탐구대회 수상자는 매년 서울시와 전국대회에 진출해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듬BooK담BooK’은 중산고만의 특화된 독서 프로그램이다. 도서관 활용 수업부터 매년 2회 저자와의 만남, 교원학습공동체와 함께 하는 독서토론 캠프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교생이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을 적극 활용해 체계적으로 독서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창의적 체험활동 1단위를 정규수업 시간에 편성해 1학년 예술소양·NIE 교육, 2학년 팀 과제연구(TRP)·소크라테스 토론, 3학년 진로 교육을 진행해 학년별, 학기별로 학생 개개인의 창의적 역량을 키워주고 있다.이 외에도 인문사회영재학급과 연합한 ‘중산모의UN’을 열어, 각 나라의 대사 50여 명과 집행부, 의장단 60여 명이 참가해 국제적 이슈 안건을 상정, 토론 및 회의 등을 진행해 글로벌 경쟁력을 쌓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 연간 쉬지 않는 수준별 특성화 방과후 학교를 운영해 연간 총 400여 강좌가 개설되어 있으며, 수능 성적 향상을 위한 강좌 및 학종 대비 전공적합 활동 강좌를 일정 비율로 섞어 학생 개개인의 입시 경쟁력을 쌓아나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MINI INTERVIEW중산고 장길재 교사 (진로진학부장)“중산고는 모든 교사가 진학 전문가로서 활동하는 ‘1교사 1대학 진학진로 상담전문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학생이 진학상담을 요청하면 담당교사가 상담에 응하며, 70여 개의 학과 탐색 및 30여 개 대학 탐방 활동을 하고 있다. 매년 200여 명이 참가하는 ‘재학생 재능기부 멘토-멘티’는 50여 팀이 학과공부, 학술연구, 소질과 특기, 예체능으로 팀을 나눠 학기당 8회(640분) 진행한다. 이런 활동이 중산고 학생들의 입시 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생각한다.”중산고 장인수 교사 (3학년 부장)“학생부종합전형은 ‘교과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교과 관련 독서와 질문, 발표, 토론, 탐구, 실험, 모둠, 수행평가와 교과 관련한 교내 경시대회, 전공적합성 동아리 활동 등이 모두 포함된다. 다만 학생과 학부모에게 조언을 덧붙이자면, 입시에서 가장 많이 실패하는 경우는 눈높이가 맞지 않기 때문이므로 기대치를 조금 낮췄으면 한다. 그러면 더 다양한 세상이 보이고, 행복에 대한 가치관이 달라지며 입시에서 더 좋은 성과를 거두는 사례를 많이 볼 수 있었다.” 2017-03-24
- 2018학년도 사관학교 1차 시험일 7월 29일 확정 강남지역 고교 중에서도 해마다 학교별로 2~5명씩 경찰대와 사관학교에 합격생을 배출하는 등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는 곳이 적지 않다. 2017학년도 경찰대 및 사관학교 입시 분석과 최근 2018학년도 1차 시험일을 발표한 육군·해군·공군사관학교 입학전형 주요 사항을 살펴봤다.도움말 김명찬 평가연구소장(종로학원하늘교육)자료제공 종로학원하늘교육 / 자료참조 각 사관학교 2018학년도 신입생 모집요강강남지역 고교에서도 꾸준히 합격생 배출최근 3년간 경쟁률 추이도 연속 상승세2017학년도에는 강남지역 고교 중 단대부고, 상문고, 중산고, 중앙사대부고, 서울고 등에서 경찰대와 사관학교 합격생을 배출했다. 서문여고에서도 경찰대와 사관학교에 합격한 여학생이 있어 눈길을 끈다. 이처럼 강남서초 고교에서도 해마다 적게는 1~2명에서 많게는 4~5명이 경찰대와 사관학교에 합격하는 등 강남 학생들의 관심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경찰대와 사관학교 최근 3개년도(2015~2017학년도)의 경쟁률 추이에서도 엿볼 수 있다.경찰대는 2015학년도에 66.6의 경쟁률이었지만 2016학년도에는 97.0로 전년도 대비 30.4 증가했고, 2017학년도에도 16.6이 증가해 연속해서 경쟁률이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육군사관학교는 2015학년도 경쟁률 18.6에서 2016학년도에 22.1로 전년도 대비 3.4로 증가했고, 2017학년도에는 전년도 대비 9.2로 크게 늘어났다.해군사관학교는 2015학년도 23.1에서 2016학년도에는 25.1의 경쟁률을 보였고, 2017학년도에는 29.4로 늘어나 전년도 대비 4.3이 증가했다. 공군사관학교는 2015학년도 25.6의 경쟁률에서 2016학년도에 33.9로 전년도 대비 8.3의 높은 증가 추세를 보였고, 2017학년도에는 경쟁률 39.0으로 전년도 대비 5.1이나 증가했다. 국군간호사관학교는 2015학년도에 36.4의 경쟁률에서 2016학년도에 35.6으로 하락했지만 2017학년도에는 51.7의 경쟁률을 보이며 대폭 늘어나 전년도 대비 16.1이나 증가했다.2017학년도 출제 경향 분석경찰대·사관학교 수학 난이도 높아지난해 입시는 경찰대와 사관학교 시험 모두 수학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로학원하늘교육 김명찬 평가연구소장은 2017학년도 출제 경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경찰대 <수학Ⅰ>에서 심화 문제 출제국어, 수학, 영어 중 수학이 가장 어렵게 출제됐다. 특히, 수학의 경우 난이도 상에 해당하는 어려운 문제가 전년에 비해 다수 늘어나 시간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컸고, 수능 출제범위가 아닌 고1 <수학Ⅰ> 과정에서 심화 문제가 다수 출제됐다. 반면, 국어와 영어는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출제됐다.사관학교 국어 대기오염 및 사회복지 관련 지문 등장1차 시험은 전반적으로 전년 대비 어렵게 출제되었고, 특히 수학과 영어가 어렵게 출제됐다. 수학은 인문계, 자연계 모두 어려웠으며 상대적으로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단원(인문계열 <확률과 통계>, 자연계열 <기하와 벡터>)의 문제 수가 전년도 대비 증가해 수험생들의 체감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영어는 문장구조가 복잡한 지문이 다수 출제되었고, 생소한 유형이 출제되어 수학처럼 수험생들의 체감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어는 매년 군과 관련된 지문들이 출제되는데 2017년도에도 군복, 민간업체의 군 관련 업무 참여 증가 등과 같은 군과 관련된 지문이 출제됐다.국어는 수도권 대기오염과 관련된 문제, 사회복지와 관련된 지문 등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사회문제를 다루는 내용도 등장했다.2018학년도 사관학교 1차 7월 29일경찰대 미발표, 3월 말경 발표 예정2018학년도 사관학교 1차 시험일이 7월 29일로 확정 발표(<표2>, <표3> 참조) 됐다. 경찰대학교는 학사운영계에 확인한 결과, 3월 중순에서 말경 2018학년도 모집전형을 발표할 예정이다. 경찰대를 제외하고 현재 발표된 2018학년도 사관학교 모집전형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공군사관학교는 모집정원의 100%를 수능을 반영하지 않고 수시로 선발하지만 육군사관학교는 50%, 해군사관학교는 30%를 정시에서 수능 성적을 반영해 선발한다. 김 소장은 “이 경우 수능 성적이 당락을 좌우한다. 따라서 수능 성적에 자신이 있는 학생은 육군사관학교 지원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그 다음으로 해군사관학교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육군사관학교의 경우 수시 고교학교장추천전형(20%)과 군적성우수전형(10%)에서 올해부터 내신을 반영하므로 고교추천전형(20%), 군적성우수전형(10%)으로 육군사관학교에 지원하려는 학생들은 내신 성적에도 신경써야한다.해군사관학교의 경우 수시에서 1차 시험에 반영하는 비중을 상향 조정했다. 특별전형(20%에서 30%로 10% 상향), 일반전형(28.6%에서 54.5%로 26% 상향) 1차 시험이 당락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 해군사관학교 지원자의 경우 1차 학과시험에 대한 대비에 집중해야 한다. 올해는 전년도에 비해 사관학교 입시에서 면접의 비중이 일부 줄어들었다. 육군사관학교 고교학교장추천전형, 군적성우수전형이 각각 16%씩 감소했지만 여전히 면접은 당락의 변수가 될 수 있으므로 1차 시험이 끝난 이후에는 면접 대비에도 최선을 다해야 된다. 김 소장은 “사관학교 면접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가관, 가치관과 관련해 자신의 입장이 분명해야 되고, 면접과정에서 자신감 있고 흔들림 없이 자신의 입장을 잘 피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Tip 입시설명회 일정■해군사관학교서울 입시설명회는 3월 25일(토) 오후 2시손기정기념관 2층 강당에서 열린다.■육군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 을지강당에서 1차 4월 29(토),2차 5월 20일(토), 3차 6월 24일(토) 오전 10시부터 등록을시작해 11시부터 학교 소개 및 입시 설명회가 열린다.■공군사관학교공군사관학교는 현재 미발표▒ <표1> 최근 3개년도 경찰대 및 사관학교 경쟁률구분2015학년도2016학년도 2017학년도모집인원경쟁률모집인원경쟁률전년 대비 증감모집인원경쟁률전년 대비 증감경찰대학교100 66.6 100 97.0 30.4↑100 113.6 16.6↑육군사관학교310 18.6 310 22.0 3.4↑310 31.2 9.2↑해군사관학교170 23.1 170 25.1 2.0↑170 29.4 4.3↑공군사관학교175 25.6 185 33.9 8.3↑205 39.0 5.1↑국군간호사관학교85 36.4 85 35.6 0.8↓85 51.7 16.1↑합계*840 28.5 850 35.4 870 44.2 *합계에서 나오는 전체 경쟁률은 모집인원과 경쟁률을 통한 추정인원을 통해 나온 경쟁률임※ 사관학교 지원인원 비공개 (경찰대의 경우 2015학년도 6,660명, 2016학년도 9,696명, 2017학년도 11,364명) ▒ <표2> 2018학년도 육군·해군·공군사관학교 전형일정구분원서접수 일정1차 시험1차 합격자 발표2차 시험최종 합격자 발표육군사관학교6.23 2017-03-09
- 강남서초 초·중학교 학생 수 현황 강남지역은 교육열이 높은 학군으로 다른 지역보다 학교당 학생 수가 많은 편이다. 하지만 강남구, 서초구 내에서도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형성되어 있거나 진학 성과가 우수한 학교들이 위치한 학군을 중심으로 학생 수가 유독 더 많이 몰려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재개발로 인해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든 학교도 있고, 교통편이나 주택 밀집도 등에 따른 학생 수 변화도 고려해야 한다. 학교알리미(2016년 4월 공시 기준)에 공시된 강남구, 서초구 내 주요 초·중학교 학생 수와 고입 진학 성과의 상관관계를 수치로 살펴봤다. 자료제공 종로학원하늘교육 / 자료참조 학교알리미 사이트강남 안에서 학생 수 대비 교원 수 차이 커적게는 1.9배에서 많게는 5배 이상 차이강남구 초등학교(32개교 중) 학생 수 현황(표1 참조)을 보면 언북초 1831명, 도성초 1571명으로 두 학교 학생 수가 가장 많았고, 뒤이어 언주초, 대치초, 대곡초, 대모초, 세명초, 압구정초 순으로 나타났다. 강남구 중학교(25개교 중) 학생 수 현황(표3 참조)을 보면 역삼중 1218명, 대청중 1022명으로 두 학교가 가장 많은 학생 수를 보였다. 뒤이어 진선여중, 언주중, 대왕중, 숙명여중, 세곡중, 휘문중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학교가 위치한 곳은 대부분 아파트 대단지가 형성되어 있거나 대치동 학원가와 인접해있는 학교들이 많았다.서초구 초등학교(24개교 중) 학생 수 현황(표2 참조)을 보면 잠원초 1818명, 반원초 1502명으로 두 학교 학생 수가 가장 많았고, 뒤이어 신동초, 원명초, 서래초, 원촌초, 서이초, 우면초, 서원초 순으로 나타났다. 서초구 중학교(15개교 중) 학생 수 현황(표4 참조)을 보면 경원중 1020명으로 학생 수가 가장 많았고, 원촌중 1009명, 서일중 1003명으로 두 학교가 비슷했으며, 서운중, 세화여중, 반포중 순으로 나타났다.교원 1인당 학생 수가 많은 곳은 강남구 도성초로 24.6명이었으며 가장 적은 학교인 개포초 5.1명과 5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휘문중 18.8명과 개포중 3.6명을 비교하면 5배가 넘는다. 서초구는 원촌초 21.6명과 방현초 8.1명으로 약 2.6배 정도 차이가 났으며, 세화여중 16.9명과 언남중 9.1명으로 약 1.9배 정도 차이를 보였다.학생 수 많은 강남서초 중학교특목고 등 고입 진학 성과도 눈에 띄어학생 수가 많은 강남서초지역 중학교들 중에 특목고 등 고입 진학 성과가 두드러진 학교들이 많았다. ‘최근 3개년도 강남·서초 중학교 과고, 외고·국제고 합격자 현황’을 보면 학생 수가 많은 중학교들이 눈에 띈다. 학생 수도 많지만 졸업자 대비 합격 비율도 높은 편이다. 강남구 중학교(25개교 중)에서 학생 수 많은 상위 9개교 중 최근 3개년도 과고·외고·국제고 합격자 ‘합격생 배출 상위 학교 현황(표5, 표6 참조)’을 살펴보면 합격생 배출 상위 학교에 역삼중, 대청중, 대명중, 도곡중, 숙명여중, 압구정중, 대왕중 등 7개교가 포함되어 있다. 2016학년도 기준 상위 2개교인 역삼중, 대청중은 학생 수가 가장 많은 두 학교이기도 하다.졸업생 대비 합격률도 역삼중 5.9%, 대청중 5.5%로, 강남구에서 가장 적은 수의 합격생을 배출한 중학교의 합격률 0.7%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서초구 중학교(15개교 중)에서는 학생 수 많은 상위 6개교 중 경원중, 원촌중, 서일중, 서운중 4개교가 포함되어 있다. 2016학년도에 서초구에서 가장 적은 수의 합격생을 배출한 중학교의 졸업생 대비 합격률은 0.4%였고, 반대로 총 15명을 배출한 서일중은 3.9%의 합격률을 보였다. 2015학년도에 서일중은 총 30명이 합격해 졸업생 대비 8.5%의 높은 합격률을 보였고, 그해 가장 적은 수의 합격생을 배출한 중학교의 1.0% 합격률과 비교해 큰 차이가 났다. 학생 수가 많은 중학교 중 고입 진학 성과가 우수한 학교들을 보면 졸업생 대비 합격자 비율도 3~5% 대로 높은 편이다. 학생 수가 적은 학교도 졸업생 대비 합격자 비율이 1% 전후로 그리 높지 않아, 강남지역 안에서도 교육환경과 선호도에 따라 고입 진학률에서 차이가 있고 그에 따른 유입 인구의 쏠림 현상으로 전세가 역시 큰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1. 강남구 초등학교(32개교 중) 학생 수 현황<학생 수 많은 상위 8개교>학교 명총 학생 수총 교원 수교원 1인당 학생 수 총 인원남여총 인원남여언북초1,831명985명846명86명10명76명21.3명 도성초1,571명771명800명68명5명63명24.6명언주초1,297명641명656명71명3명68명19.7명대치초1,265명692명573명71명3명68명17.8명대곡초1,082명601명481명67명8명59명16.1명대모초1,044명569명475명54명4명50명19.3명세명초988명494명494명60명7명53명16.5명압구정초953명472명481명54명5명49명17.6명 <학생 수 적은 하위 4개교>학교 명총 학생 수총 교원 수교원 1인당 학생 수 총 인원남여총 인원남여개포초118명65명53명23명4명19명5.1명대청초205명99명106명23명2명21명8.9명개원초251명119명132명31명2명29명8.1명수서초257명124명133명29명5명24명8.9명표2. 서초구 초등학교(24개교 중) 학생 수 현황<학생 수 많은 상위 9개교>학교 명총 학생 수총 교원 수교원 1인당 학생 수 총 인원남여총 인원남여잠원초1,818명933명885명86명3명83명21.1명반원초1,502명753명749명85명6명79명17.7명신동초1,470명769명701명71명7명64명20.7명원명초1,397명724명673명65명6명59명21.5명서래초1,327명664명663명75명5명70명17.7명원촌초1,277명685명592명59명4명55명21.6명서이초1,168명612명556명71명3명68명16.5명우면초1,137명568명569명62명5명57명18.3명서원초1,020명526명 494명60명6명54명17명 <학생 수 적은 하위 4개교>학교 명총 학생 수총 교원 수교원 1인당 학생 수 총 인원남여총 인원남여우암초305명149명156명33명3명30명9.2명방현초332명151명181명28명3명25명8.1명양재초543명292명251명41명4명37명13.2명서일초545명289명256명39명3명36명14.0명표3. 강남구 중학교(25개교 중) 학생 수 현황(국악중 제외)<학생 수 많은 상위 9개교>학교 명총 학생 수총 교원 수교원 1인당 학생 수 총 인원남여총 인원남여역삼중1,218명777명441명74146016.5명대청중1,022명535명487명70106014.6명진선여중938명0명938명55243117.1명언주중937명530명407명64105414.7명대왕중914명446명468명54114316.9명대명중884명465명419명63125114.0명숙명여중884명0명884명61184314.5명세곡중808명373명435명68125611.9명휘문중808명808명0명4334918.8명 <학생 수 적은 하위 4개교>학교 명총 학생 수총 교원 수교원 1인당 학생 수 총 인원남여총 인원남여개포중111명61명50명31명6명25명3.6명신구중378명195명183명48명9명39명7.9명언북중383명211명172명41명8명33명9.3명봉은중419명256명163명53명12명41명 2017-03-09
- 강남서초 진학 교사가 말하는 ‘강남에서 대학가기’ ‘2017 강남서초 내일신문 학부모 교육 강좌’ 그 첫 번째 강좌인 ‘강남에서 대학가기’ 강좌가 오는 3월 28일부터 4월 6일까지 2주에 걸쳐 열립니다. 올해로 8년째를 맞이하는 강남서초 내일신문 학부모 교육 강좌는 강남학교군(강남서초) 고교의 진학담당 교사들이 강남이라는 지역 특색에 맞는 입시 분석과 전략을 중심으로 강남 학부모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만한 알찬 입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교육에서 진행하는 입시설명회와는 차별화된 강좌로 매년 참석했던 학부모들의 큰 호응과 관심을 얻어 명실 공히 강남의 대표 교육 강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이번 ‘강남에서 대학가기’ 강좌는 그동안 참석했던 학부모들의 의견을 반영해 ‘강남 남고 강좌’, ‘강남 여고 강좌’, ‘서초 강좌’ 등 세 개의 강좌로 세분화 했습니다. 대학입시가 변화해도 꾸준히 좋은 입시 성적을 올리고 있는 강남서초 고교들의 2017학년도 입시 결과 분석은 물론 각 고교별 진학담당 교사들이 합격·불합격 사례를 생생하게 전할 예정입니다.강남 고교들의 경쟁력, 2017학년도 강남학교군 대학입시 분석2017학년도 대학입시에서 강남학교군의 고교들은 서울대를 비롯한 명문대 입시 및 의대 입시에서 지난 2016학년도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2017학년도 입시는 수시 학생부전형이 확대되었고 수능도 예전보다 어려웠습니다.내신등급 확보가 타 지역에 비해 힘겨운 강남 학교들은 내신 경쟁에서는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지만 강남 고교들은 학교별로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차별화된 입시전략을 세워 학생들을 개인 특성에 맞춰 지도함으로써 그 불리함을 상쇄시키고 있으며 그 결과가 입시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또한 수능에서 강세를 보이는 강남 학생들의 특성상 난이도가 다소 높았던 2017학년도 수능은 정시에서도 좋은 입시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강좌에서 휘문고 심재준 교사는 강남 고교들이 2017학년도 입시에서 어떤 차별화된 전략으로 얼마만큼 성과를 거두었는지 입시 결과 분석을 통해 상세히 보여줄 것입니다.학생별 입시 강점 고려한 입시 전략 및 합격·불합격 사례 공개학생부종합전형의 확대로 강남의 고교들은 학생별로 입시 강점을 잘 어필할 수 있는 교과 편성과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학업 수월성과 충실성을 보여주는 학업역량, 전공적합성과 활동 다양성을 보여주는 개인역량, 자기주도성과 발전가능성을 보여주는 잠재역량 등을 평가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역량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학교생활기록부입니다. 강남 고교들은 학생들이 이러한 역량을 학생부를 통해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또한 강남 학교들 대부분은 진학지도에서도 학교별로 수시 및 정시 합격·불합격 사례 분석은 물론 학교 특성에 따른 전문적이면서도 차별화된 진학시스템을 구축해 학생 개개인이 보다 나은 입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진학지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이번 강좌에서 강남 7개교, 서초 4개교의 진학 담당 교사들은 각 학교별로 학생들이 입시를 위해 어떤 목표로 어떤 준비를 하고 어떻게 지원전략을 세워 합격에 이르게 되었는지 낱낱이 밝혀줄 것입니다. 수시 학생부전형은 물론, 논술전형, 특기자전형, 정시까지 전형별로 다양한 합격·불합격 사례를 접함으로써 내 아이에 맞는 입시 방향을 설계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아울러 오랫동안 고3 담임을 맡아왔던 중동고 안광복 교사가 강남에서 입시 성공은 어떤 의미인지, 수험생과 학부모가 입시에 임하면서 가져야할 자세와 마음가짐 등에 대해 조언할 예정입니다.<강의 일정 & 장소>* 날짜: 강남 남고 강좌 3월 28일(화), 4월 4일(화) 강남 여고 강좌 3월 31일(금) 서초 강좌 3월 30일(목), 4월 6일(목)* 강의 시간 : 오전 9시 30분~오후 1시* 장소: 강남 강좌-중동고 강당(3호선 대청역) 서초 강좌-흰물결아트센터 화이트홀(2호선 서초역)* 대상: 고등학교 1~3학년 학부모<강좌별 강사진 소개># 강남 남고 강좌 : 1일차 3월 28일 1~3강, 2일차 4월 4일 4~6강 1강 ‘2017학년도 강남고교 입시결과 분석’, 휘문고 심재준 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2강 ‘단대부고 합격·불합격 사례’, 단대부고 오장원 교사 (진로진학상담부장) 3강 ‘중산고 합격·불합격 사례’, 중산고 장인수 교사 (3학년부장) 4강 ‘휘문고 합격·불합격 사례’, 휘문고 우창영 교사 (진학지도부장) 5강 ‘중대부고 합격·불합격 사례’, 중앙사대부고 김상철 교사 (진학부) 6강 ‘강남입시 성공전략’, 중동고 안광복 교사 (입학홍보부장)# 강남 여고 강좌 : 3월 31일 1~4강 1강 ‘2017학년도 강남고교 입시결과 분석’, 휘문고 심재준 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2강 ‘숙명여고 합격·불합격 사례’, 숙명여고 김정훈 교사 (3학년담임) 3강 ‘진선여고 합격·불합격 사례’, 진선여고 김태용 교사 (진학부장) 4강 ‘중대부고 합격·불합격 사례’, 중앙사대부고 김상철 교사 (진학부)# 서초 강좌 : 1일차 3월 30일 1~3강, 2일차 4월 6일 4~6강 1강 ‘2017학년도 강남고교 입시결과 분석’, 휘문고 심재준 교사 (진로진학상담교사) 2강 ‘반포고 합격·불합격 사례’, 반포고 박지현 교사 (3학년부장) 3강 ‘상문고 합격·불합격 사례’, 상문고 박병준 교사 (진로진학상담부장) 4강 ‘세화여고 합격·불합격 사례’, 세화여고 유병모 교사 (진로지도부장) 5강 ‘현대고 합격·불합격 사례’, 현대고 전병희 교사 (진학홍보부장) 6강 ‘강남입시 성공전략’, 중동고 안광복 교사 (입학홍보부장)<수강신청 방법>※ ‘2017 강남에서 대학가기’ 강좌는 ‘강남 남고 편’, ‘강남 여고 편’, ‘서초 편’의 세 강좌로 나누어 진행되므로 강의 일정, 강사진, 대상학교 등을 확인한 후 원하는 강좌를 선택해 수강신청하면 됩니다.수강신청은 지역내일 홈페이지 학부모교육강좌 카테고리 (https://goo.gl/fshZve) 에서 인터넷으로 접수합니다.-문의: 02-2287-2300 2017-03-09
- 성장과 회복의 과정인 상담, 사람의 마음을 짓다 서울교대 앞에 위치한 ‘마음지음 상담센터’는 내담자의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과 회복을 통해 스스로 행복한 삶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돕는 치유의 공간이다. 본 센터는 상담 쪽으로 특화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부설로 본교의 교수진들과 전문 상담사들 10여명이 항상 상주하고 있어 내담자의 심리적 고통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 아동부터 청소년, 성인, 노년 상담에서 부부, 자녀와의 관계, 가족 상담은 물론 집단 상담, 기업체와 학교, 기관과 연계한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할 수 있는 종합심리상담센터로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영역에 특화된 상담을 받을 수 있다.대학교부설, 전문 상담가 상주‘마음지음 상담센터’는 2010년 개교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의 부설기관으로 2012년부터 상담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상담으로 특화된 석ㆍ박사과정의 대학교인 만큼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보다 전문화된 상담사들이 상주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담 임상 사례가 많기 때문에 보다 전문화된 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주영아 센터장은 “상담은 자신 내면의 귀한 본성을 찾아내서 스스로 성장과 회복의 길로 들어설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과정입니다. 그만큼 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상담자의 역량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센터에서는 교수진과 전문 상담사의 협업을 통해 내담자의 고민과 갈등을 다각도에서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또 센터가 위치한 곳은 조용한 주택가로, 센터를 방문한 내담자의 사생활 보호뿐만 아니라 편안한 마음과 심리적 안정감이 유지될 수 있도록 내부 인테리어에도 주의를 기울였다.인간에 대한 이해가 먼저, 인문상담상담 몇 번으로 문제가 곧바로 해결되거나 관계가 개선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많은 경우 상담 몇 번 받으면 바로 문제가 해결될 것처럼 생각하는 내담자나 혹은 빠른 치유를 보장한다는 사설 센터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주영아 센터장은 인문학에 바탕을 둔 인문 상담, 즉 인간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는 상담은 오히려 관계를 악화시키거나 갈등을 키울 수 있다고 말한다. 단순하게 내담자의 말을 들어주고 조언해주는 것이 아니라 해결과 변화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도록 안내 하는 것이 인문 상담의 특징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교육열이 높은 지역에 위치한 특성상 자녀와의 갈등으로 센터를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님들은 아이가 공부를 잘하면 다른 것도 다 잘할 것이라고 착각하고, 아이 역시 학업 성적이 곧 자기 자신이라고 생각하기 쉽죠. 자녀와의 관계에서 아이가 힘들다고 어떤 신호를 보내고 있지는 않는지, 아이와 대화는 얼마나 자주 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그리고 부모님들은 상담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부모 스스로를 돌아보고, 또 아이가 변화할 수 있도록 기다려줘야 합니다”라고 말했다.지역 내 공공기관, 학교와 연계된 상담기관마음지음 상담센터는 개인 상담뿐만 아니라 전국의 초ㆍ중ㆍ고등학교와 지역 내 공공기관과 연계된 집단 상담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서초중앙 노인복지관, 양재노인 복지관, 군부대 집단 상담 등 공공기관에서 인증한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또 강남과 서초지역뿐만 아니라 지방의 학교와 상담과 진로집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멀리서 일부러 찾아오는 경우도 많다. 주영아 센터장은 “상담은 성장과 회복을 위한 안내자와 같습니다. 학교에서 가르치거나 훈련하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불행하다고 느끼는 문제에서 회복하고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신을 먼저 돌아보고 깨닫는 과정입니다. 저희 센터는 지역 내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고 또 상담센터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문턱을 낮춰 처음 1회 상담은 무료로 진행합니다. 뿐만 아니라 전문 상담사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야간에도 상주해 있고 비밀이 보장되는 안전한 프로그램입니다”라고 덧붙였다.주영아 상담센터장2015.12~현재 한국집단상담학회부회장2013.02~현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교수2009.03~2013.02 이화여대 학생상담센터 상담교수 역임2002.09~2009.02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역임2005.12~현재 한국상담심리학회 이사2005.03~현재 청소년상담사 국가자격증 문제출제위원 및 면접위원 2017-03-09
- 3년간 송파강동 고교 서울대 합격자 현황 매년 입시가 끝나고 나면 ‘어떤 학교가 서울대에 몇 몇이나 보냈냐’에 관심이 모아진다. 서울대 합격자 수만으로 각 학교의 진학 성과를 논할 수는 없다. 하지만 현 입시제도에서 서울대 합격자수가 학교의 진학 성과를 바라보는 가장 상징적인 지표 중 하나일 수밖에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서울대 합격자 수는 지역별, 학교별 입시 성과 및 전략을 가늠하는 하나의 큰 잣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송파 강동 지역의 최근 3년 서울대 합격수를 알아본 것 역시 이런 이유에서다.2017학년도 가장 많은 합격생 배출, 배재고2017학년 서울대 입시에서 송파강동 고교의 합격자 수는 수시가 65명(65.7%), 정시 34명(34.3%)으로 총 99명이었다. 수시합격자가 정시합격자보다 많은 수로 수시합격자수는 정시합격자수의 약 2배에 달했다. 수시(46.7%), 정시(53/3%) 비율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는 강남서초 지역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송파강동구 소재 고교의 수는 자사고 2곳 포함 모두 27개(송파구 16개, 강동구 11개)다. 우리지역에서 가장 많은 합격자수를 배출한 학교는 배재고(자사고)로 13명이 합격했다. 다음으로 한영고(일반고)와 보인고(자사고) 각각 12명과 8명을 배출했다. 다음이 보성고와 잠신고, 영동일고, 창덕여고, 동북고, 상일여고 순이었다. 수시합격생을 가장 많은 배출한 학교는 한영고(9명)이며, 다음으로 배재고(6명)와 보인고/정신여고(각 5명)다. 정시합격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학교는 배재고였다. 자사고를 제외한 일반고 중 가장 많은 합격생을 배출한 학교는 한영고다. 상위 일반고 10개 학교 중 남녀공학은 4개 학교며 남고는 2개, 여고가 4개 학교다. 27개 학교 중 올해 서울대 합격생을 한명도 배출하지 않은 학교도 3곳이 있다.단, 학교별 정원수가 달라 합격자수와 합격률이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졸업생들의 합격도 포함되어 있는 수치다. 한영고, 3년 동안 서울대 가장 많이 입학한편, 2015년부터 2017년 3년 동안의 서울대 합격자는 290명이다. 2015년 101명이었던 합격자수가 2016년 90명으로 조금 줄었다 올해는 다시 99명이 됐다. 3년 동안 가장 많은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한 학교는 한영고로 모두 29명의 학생이 합격했다. 다음으로 보인고와 보성고, 배재고로 각각 28명, 25명, 24명이다.3년간의 수치에서도 수시 합격생이 단연 많다. 수시 합격생이 200명, 정시 합격생은 90명으로 2배를 훌쩍 넘어선다. 3년 동안 수시 합격생을 가장 많은 배출한 학교는 한영고이며, 정시합격생을 가장 많은 배출한 학교는 배재고, 보인고/보성고로 모두 남학교다. 고교 입시는 서울대 합격자 수 외에 의·치대와 이공계열 주요 대학, 그리고 상위권 대학의 진학 성과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이렇듯 서울대 합격자 수는 송파강동 고교들의 입시 경쟁력을 엿볼 수 있는 단편적인 성과일 뿐 절대적 기준이 아니기에 입시 성과를 가늠하는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기 바란다. 2017~15 서울대 3년간 송파구 강동구 소재 고교 합격자 수 2017학년도2016 학년도2015학년도15~17 학교수시정시합수시정시합수시정시합3년합배재고671322434724한영고931271881929보인고538459741128보성고33664 1045925잠신고24611231412영동일고32570730315정신여고50532543717창덕여고23544842619 동북고22431432513상일여고3142 132029오금고40450530312명일여고3030002136배명고30330341511잠실여고3030114159가락고1121233038강일고1120000002둔촌고2020001124문정고2020114047방산고1120002024영파여고2025052029잠실고11231441511잠일고0220 110114강동고1011010113광문고1013031015문현고0002021013선사고0001010001성덕고00000 0졸업생없음0합6534996327907229101290자료제공 국회 염동열 의원실 / 종로학원하늘교육 / 국회 윤재옥 의원실(추가합격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음) 2017-03-09
- 2017학년도 강남서초 고교 서울대 합격자 현황 강남 26개 고교 총 338명(총 합격자 기준) 서울대 합격학교당 적게는 1~5명, 많게는 31~37명 배출서울대 최종 등록이 완료되면서 수시·정시 합격자수 집계가 마무리됐다. 서울대 합격자 수는 각 지역별, 학교별 입시 성과 및 전략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는 등 현 입시제도에서 가장 상징적인 지표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강남 입시, 서울대 수치 그 이상의 경쟁력을 볼 것(강남서초 내일신문 783호 34면)’기사에서 밝혔듯, 서울대 합격자 수만으로 강남지역 고교들의 진학 성과를 엿보기엔 반쪽자리 거울일 수밖에 없다. 이과 최상위권은 의대 선호도가 높고, 서울대를 비롯해 연·고대, 서·성·한 등 상위권 대학의 입시 성과 전반을 들여다봐야하므로 서울대 합격자 수가 강남 학교들의 서열화나 그 학교의 진학 성과를 대변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다만, 강남서초 고교 중 한 학교당 적게는 1~5명부터 많게는 31~37명까지 서울대 합격자를 배출한다는 점은 강남 고교들의 입시 경쟁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자료제공 종로학원하늘교육(서울대 최종 등록자 현황) / 자료확인(최종 합격자 학교별 확인)강남서초 고교 서울대 합격자 수 현황을 살펴보기에 앞서, 미확인된 학교 외에 최종적으로 추가 합격(이하 추합) 수를 확인한 고교들의 경우 최종 추합까지 포함한 합격자 수임을 밝힌다.서울대 최종 등록자는 서울대에 합격한 학생 중 신입생으로 최종 등록한 학생 수를 말하며, 강남 고교별 최종 추합을 포함한 서울대 합격자 중 등록을 포기한 학생이 있어 최종 합격자 수와 등록자 수에 차이가 나는 학교들이 있다.서울대에 최종 합격이 되어도 의대에 진학하기 위해 등록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고, 학과 경쟁력이 더 우수한 다른 상위권 대학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어, 서울대 합격자 수 현황은 단순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기 바란다. 최종 등록자 기준 수시 150명, 정시 171명서울대 최종 합격자 기준 총 338명강남서초 고교 서울대 최종 등록자는 수시 150명(46.7%), 정시 171명(53.3%)으로 총 321명이었다. 수시, 정시 비율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학교별로 확인된 최종 합격자(추가 합격 포함) 수를 포함하면 총 338명으로, 미확인된 학교의 최종 합격자 수를 감안한다면 이보다 더 많은 강남지역 학생이 서울대에 합격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강남구 16개교에서 최종 등록자 기준으로 208명을 배출했고, 최종 합격자 기준으로 220명을 배출했다. 지역 자사고인 휘문고는 37명, 일반고인 단대부고가 31명으로 가장 많은 수의 학생이 서울대에 합격했고, 현대고 19명, 숙명여고와 중산고가 각 17명이었다.서초구 10개교에서 최종 등록자 기준으로 113명을 배출했고, 최종 합격자 기준으로 118명을 배출했다. 지역 자사고인 세화고는 28명, 일반고인 서울고가 23명으로 가장 많은 수의 학생이 서울대에 합격했고, 뒤이어 반포고 15명, 세화여고 14명이었다.재학생 수 대비 서울대 합격률휘문고 8.60%, 세화고 7.82%, 단대부고 5.53% 순서울대 합격자 수는 학교마다 2017학년도 수시, 정시 전형에 응시한 3학년 재학생과 졸업생 수를 포함한 집계이다.표 <2017 강남서초 26개 고교(국악고 제외) 서울대 합격자 수(학교 가나다순)>에서 밝힌 학교별 3학년 학생 수(2017년 2월 졸업생)는 학교알리미에 공시(2016년 4월 기준)된 수를 기준으로 삼았다.또, 학생 수 대비 서울대 합격률은 2017학년도 대학입시에 응시한 졸업생 수가 제외돼 정확한 수치가 아니며, 재학생 수를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을 밝힌다.이를 참고해 재학생 수 대비 서울대 합격률을 보면 지역 자사고는 휘문고 8.60%, 세화고 7.82%, 현대고 4.81%였으며, 일반고는 단대부고 5.53%, 서울고 3.94%, 반포고 3.87%, 중산고 3.49%였다. 강남 일반고 중 과학중점 학급을 운영하는 서울고, 반포고와 영재학급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중산고의 진학 성과가 눈에 띈다.강남지역 26개교 고교(국악고 제외) 모두 적게는 1~5명에서 많게는 37명까지 서울대 합격자를 배출한 것을 볼 수 있다. 강남 입시는 서울대 합격자 수 외에 의·치대와 이공계열 주요 대학과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상위권 대학의 진학 성과를 함께 고려해야 하며, 여고는 이화여대 선호도가 높아 서문여고의 경우 2017학년도 이화여대 합격자가 50명이나 된다.이렇듯 서울대 합격자 수는 강남 고교들의 입시 경쟁력을 엿볼 수 있는 단편적인 성과일 뿐이므로 입시 성과를 가늠하는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기 바란다.2017 강남서초 26개 고교(국악고 제외) 서울대 합격자 수(학교 가나다순) 구학교 명수시정시최종 등록자최종 합격자총 합격자3학년학생 수합격률1강남구개포고437미확인74131.69%2강남구경기고 6713미확인135912.1%3강남구경기여고 8210미확인10534 1.87%4강남구단대부고817253131560 5.53%5서초구동덕여고314미확인4485 0.82%6서초구반포고 951415153873.87%7서초구상문고 101111111521 2.11%8서초구서문여고32555544 0.91%9서초구서울고 147212323583 3.94%10강남구서울세종고 123미확인3343 0.87%11서초구서초고 628미확인8369 2.16%12서초구세화고 621272828358 7.82%13서초구세화여고59141414358 3.91%14강남구숙명여고611171717574 2.96%15강남구압구정고 426미확인6334 1.79%16서초구양재고 62899377 2.38%17서초구언남고 011미확인1276 0.36%18강남구영동고 369미확인9539 1.66%19강남구은광여고7310미확인10436 2.29%20강남구중동고 5914미확인14373 3.75%21강남구중산고 610161717487 3.49%22강남구중앙사대부고61777496 1.41%23강남구진선여고65111313490 2.65%24강남구청담고 437미확인7318 2.20%25강남구현대고 71219미확인19395 4.81%26강남구휘문고 727343737430 8.60%합계150171321 338 ※ 학교별 3학년 학생 수(2017년 2월 졸업생)는 학교알리미 공시(2016년 4월 기준)된 수임. 아울러 학생 수 대비 서울대 합격률은 2017학년도 대학입시에 응시한 졸업생 수가 제외된 것이므로 정확한 수치가 아니며, 재학생 수를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 *자료제공 종로학원하늘교육(서울대 최종 등록자 집계) / 자료 확인(서울대 최종 합격자 학교별 확인) 2017-03-03
-
금연아파트, 이렇게 신청하세요 요즘 아파트 생활에서 가장 큰 갈등의 하나는 흡연이다. 아파트마다 계단, 베란다, 화장실에서담배 냄새가 올라온다는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따라서 ‘금연아파트’로 지정받으려는 아파트들이 최근 크게 늘고 있다. 그렇다면 금연아파트로 지정만 되면 흡연 갈등이 말끔히 해결될 수 있을까? 금연아파트에 대한 제반사항들을 알아봤다.아파트 세대주의 과반수 동의 필요2006년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금연아파트 사업을 시작했다. 아파트 단지 내 금연구역을 지정하고 흡연구역을 따로 운영한 아파트에 대해 시 차원에서 금연아파트 인증을 해주었다. 그런데 금연에 강제성이 없어 담배를 피우는 주민에게 과태료를 물리지는 못했다. 때문에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결국 서울시 금연아파트는 2013년 이후 사라졌다.그런데 이번엔 정부가 금연아파트를 다시 들고 나왔다. 2016년 9월 3일 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이 바로 그것이다. 이 법에 따르면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세대주 50% 이상의 동의 서명을 받아 관할보건소에 신청하면 금연아파트로 지정된다. 이전의 서울시 금연아파트와 다른 점은 금연아파트로 지정되면 위반자에게 과태료 처분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연아파트의 관리사무소는 게시판, 알림판, 방송 등을 통해 주민에게 ‘단지 내 흡연이 금지됐다’는 내용을 알려야 한다.또 금연구역 표지판을 설치하고 관리도 해야 한다.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지하주차장, 어린이놀이터 등 아파트 공용장소에서의 흡연을 단속하고 위반자에게 과태료(10만원)를 물리는 일은 구청이 담당한다.우리나라보다 더 적극적인 미국의 금연정책그렇다면 선진국들은 아파트 금연에 대해 어떤 정책을 갖고 있을까?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더욱 적극적인 금연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7년부터 연방법으로 모든 공공주택단지(민영주택 및 아파트 제외)의 아파트 거실, 침실, 실내 공용장소 등과 아파트 및 관리실로부터 25피트(7.62m) 이내 지역에서의 흡연을 금지했다. 일부 흡연자들은 내 방에서 피우는 담배까지도 규제하는 것은 과도한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를 내기도 했지만 금연에 따른 공공 건강증진의 혜택이 더욱 크다는 명분에 밀렸다.문제는 연방정부가 금연 홍보, 주민계도 및 단속 등 금연법 집행에 드는 비용을 지원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공공주택 관리회사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흡연으로 인한 화재, 담배꽁초 치우는 비용, 흡연으로 인해 더러워진 벽 등을 닦아 내고 새로 페인트칠을 하는 비용 등을 감안하면 중장기적으로 관리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이다.금연아파트는 계속 늘어날 전망강남서초 지역의 금연아파트는 어디일까? 강남구에서는 2016년 10월 25일 개포1차 현대아파트가 최초로 금연아파트로 지정되었고, GS개포자이아파트, 삼성동 한솔아파트, 대원칸타빌 아파트 등이 속속 합류했다. 서초구에서는 2016년 11월 16일 서초1동의 서초자이아파트가 1호로 지정을 받았다. 현재 신청절차를 밟고 있는 아파트들과 관심을 보이고 있는 아파트들이 여러 곳 있기 때문에 향후 금연아파트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하지만 금연아파트로 지정된 아파트 주민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한결 좋아졌다는 반응과 함께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는 반응도 있다. 이는 금연아파트가 지닌 한계성 때문이다. 금연아파트의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과연 금연아파트라고 이름을 붙여도 되는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 공용시설이지만 야외 벤치나 지상주차장 등은 금연 지정장소에서 제외돼 흡연단속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민 간 가장 흡연 갈등이 많이 발생하는 아파트 베란다나 화장실 등 사적인 공간에서의 흡연에 대해서도 단속할 수 없다. 즉, 반쪽짜리 금연아파트인 셈이다.흡연자의 자제력과 배려 우선돼야게다가 구청의 단속인력이 태부족이기 때문에 아파트 금연구역 내에서 흡연을 단속, 관리하는 일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제3자가 흡연자를 적발하여도 흡연 현장사진을 찍고 신원을 파악하는 일 또한 만만치 않다. 자칫 주민들 간 갈등과 싸움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내 집에서 내 맘대로 흡연도 못하나?’라는 이기주의적인 흡연자가 존재하는 한 금연아파트가 되어도 담배 연기와 냄새의 공포에서 완전히 벗어나긴 힘들다.흡연자의 자제력과 남을 배려하는 행동 없이는 금연아파트 정책은 또 다시 유명무실해질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과태료 등 처벌 강화와 더불어 동기부여를 위한 인센티브가 있어야 할 것이다. 만약 금연아파트와 집값 간의 상관관계가 발생한다면 자발적 금연과 금연아파트가 더욱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서초구 금연아파트 신청방법○신청기간 : 매년 1월~3월○신청조건 : ①공동주택 세대주 과반수이상의 찬성(서류 또는 온라인 투표 증빙자료 필요) ②금연아파트 자율 운영단 설치(2~3명의 자율 운영단 조직 필수)○추진절차 : ①신청접수(매년 3월말까지) ②사업설명회 실시(4월) ③금연아파트계획 및 자율 운영단 구성(5월) ④금연아파트 운영 중간평가 모니터링(6월~9월) ⑤활동보고서 제출(10월) ⑥현장점검(10월) ⑦인증평가(11월) ⑧금연아파트 인증식(12월)○지원내용 : - 금연아파트 금연표지판 등 홍보물 지원(필요사항 수요 조사 후 지원) - 주민 금연교육 및 이동 금연클리닉 지원(희망 아파트에 한함) - 금연아파트 운영을 위한 자문 및 기술지원○문의처 : 서초구청 건강정책과 금연관리팀강남구 금연아파트 신청방법○문의처 : 강남보건소 보건행정과 건강도시팀○신청방법은 서초구청과 동일 2017-03-03
-
강남서초 플라워카페 꽃과 식물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정원에서 커피 한잔? 상상만 해도 가슴이 설렌다. 하지만 이제는 도심 곳곳에서 이 같은 호사를 누릴 수 있다. 언제부턴가 꽃과 카페가 만난 플라워카페가 속속 등장했기 때문이다. 테이블 위 생화를 바라보며 사랑하는 사람과의 커피 한잔은 무한한 행복감을 안겨줄 것이다.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강남서초 플라워카페를 찾아봤다.압구정로데오 ‘뿌리’블랙 컬러로 시크한 느낌 강조해압구정로데오역 3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 플라워카페 ‘뿌리’는 다른 업체와는 차별화된 색다른 분위기를 선사한다. 보통 ‘플라워카페’라고 하면 연상되는 러블리한 이미지와는 달리, 매장 전체를 블랙으로 매치해 시크한 느낌을 강조했다. 이곳의 정은지 대표는 “지난해 3월 오픈해 이제 1주년을 맞았다”며 “오히려 블랙이 꽃과 식물을 돋보이게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천정에 걸려 있는 길게 늘어뜨린 조명이 눈길을 끈다. 이 조명은 선인장을 모티브로 제작했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은은한 꽃향기를 맡으며 유레카(유자+레몬+카모마일), 과일주스, 각종 티(tea), 그리고 고품격 커피를 합리적인 가격에 즐길 수 있다. 아울러 취미반, 전문가반, 창업컨설팅반 등 플라워 클래스도 인기리에 진행 중이다.●위치: 강남구 도산대로55길 52(청담동 83) 1층●영업시간: 평일 오전 8시~오후 8시/ 주말 오전 10시~오후 7시/ 공휴일과 명절 당일은 휴무●주차 대리주차 가능한티역 플라워카페 ‘메리제인’ 대치점커피와 꽃이 어우러진 힐링 공간한티역 롯데백화점 뒤편 도곡체육문화센터 앞에 위치한 ‘메리제인’ 대치점은 10년 간 웨딩 & 파티 스타일링을 전문으로 해온 유선영 플로리스트가 직접 운영하는 플라워카페다. 커피와 꽃이 있는 힐링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는 이곳은 고품질 아라비카 원두를 블렌딩한 깊고 풍부한 커피 맛이 일품이다. 특히 식용 꽃잎이 토핑된 플리뢰 라떼와 풍부한 거품이 솜사탕을 연상케 하는 블루밍 라떼는 ‘메리제인’만의 특화된 메뉴다. 커피 외에도 각종 허브티와 요거트 스무디, 청포도와 자몽 등 주스까지 음료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카페에서 다양한 프리저브드 플라워도 구입할 수 있으며 ‘메리제인 플라워 스쿨’도 열린다. 플라워클래스를 경험해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원데이로도 수강할 수 있다.●위치: 강남구 대치동 935-4번지 1층(도곡체육문화센터 앞)●영업시간: 오전 9시 ~ 오후 10시 코엑스몰 ‘엘가(ELGA) 플라워 갤러리’형형색색 꽃 속에 파묻히다삼성동 코엑스 몰 시리즈 코너(series corner)에 자리한 ‘엘가’는 가운데 카운터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다양한 화분과 소품들이, 오른쪽에는 꽃들과 테이블이 배치돼 있다. 전체적으로는 화이트 계열의 밝은 느낌이지만 중간 중간 놓여있는 녹색 화분이 화이트와 어울려 상큼함을 더해준다. 또한 매장 전체가 통유리로 돼있어 창가에 앉아 지나가는 행인들도 구경하고 매장 안 형형색색의 꽃들도 감상할 수 있으니 더욱 매력적이다. 이곳 직원들은 모두 플로리스트 자격증을 소유한 전문가들이다. 따라서 콘셉트에 맞는 꽃다발이나 꽃바구니, 부케 등의 제작이 언제든지 가능하다. 또 커피(4,200~5,100원)와 함께 용과오렌지주스, 그린망고피치 티(tea) 등 다양한 음료를 즐길 수 있다.●위치: 강남구 영동대로 511(코엑스 몰) 지하 1층 C112호●영업시간: 오전 10시 30분~오후 10시(연중무휴)●주차: 코엑스 주차장강남 ‘아그레아블(Agreable)’꽃과 차의 향기에 아름다운 조명까지강남역 4번 출구 우성아파트 사거리 인근에 있는 플라워카페 ‘아그레아블(Agreable)’은 꽃과 차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 카페이다. 저녁 무렵에는 높은 천정의 아름다운 조명이 유리창을 통해 훤히 보여 행인들의 시선까지 사로잡는다. 복층 구조인 카페의 1층은 카운터를 둘러싸고 꽃들로 가득하다. 2층으로 올라가면 앤티크 풍의 가구들이 편안한 분위기를 더해준다. 꽃과 화분은 구매할 수 있다. 카페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차는 국화, 재스민 등의 플라워 티. 투명한 유리 티 포트 안에 꽃 모양이 그대로 살아있는 플라워 티는 오감을 자극한다. 차와 함께 서빙해주는 생화 한 송이는 테이블의 품격을 높여준다. 커피 및 음료 가격은 4,000원~8,000원.●위치: 강남구 역삼로 110(역삼동) 1층, 우성아파트 사거리 인근●영업시간: 평일 오전 11시~오후 11시, 주말/공휴일 오후 12시 30분~오후 10시 30분방배동 ‘오페라 빈 로스터스’화사한 꽃과 구수한 커피 향이 조화로운 곳방배역 2번 출구에서 방배동 성당 쪽으로 오르막길을 가다보면 검은색 톤의 외관이 클래식하면서도 살짝 묵직해 보이는 ‘오페라 빈 로스터스’ 카페가 있다. 안으로 들어서면 왼편에 카페 안의 플라워 숍이 화사하게 손님을 맞아 준다. 실내는 넓은 홀이 시원하게 펼쳐지고 가운데 카운터를 기준으로 왼편은 여러 명이 함께 왔을 때, 오른편은 1~2명이 왔을 때 어울리는 공간으로 구성돼 있다. 카운터 옆에는 10여명이 둘러앉을 수 있는 커다란 사각 테이블이 놓여 있고 그 위에는 다양한 잡지들이 놓여 있다. 화사한 꽃들을 맘껏 바라보며 봄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는 자리이다. ‘오페라의 유령’에 나오는 주인공 이름을 따서 다크 로스팅 커피는 ‘팬텀’, 마일드 로스팅 커피는 ‘크리스틴’이라고 이름 지은 것도 흥미롭다. 커피 및 음료 가격은 4,000원~5,500원.●위치: 서초구 방배로 35(방배동) 1층, 방배역 2번 출구 인근●영업시간: 평일 오전 8시~오후 11시, 주말/공휴일 오전 9시~오후 10시(토요일은 11시)●주차: 평일 저녁과 주말/공휴일은 가능 2017-03-03
-
자유학기제와 맞물린 중등 진로 탐색 진로 설정 최적기인 자유학기제와 맞물려 중학생들은 다양한 진로 탐색을 통해 자신의 꿈을 차곡차곡 채워나가야 한다. 학기 중 보다는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는 방학기간에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진로 프로그램을 찾아보는 것도 좋다. 중학생 시기 올바른 진로 탐색 과정에 대한 강남 중등 교사의 조언과 강남서초 진로 체험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도움말 대명중학교 최이권 교사(진로진학상담부장, 서울 중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협의회 회장) 참고자료 강남서초교육지원청 <강남서초 마을 속 배움터> / 이미지 출처 각 홈페이지 올드스토리뮤지엄 _ 화석·광물이 총망라된 자연과학의 매력 속으로올드스토리뮤지엄은 화석·광물 전문 박물관이다. 2층과 4층으로 구성돼 국내에서 접하기 어려웠던 우수한 화석과 광물 총 400여 점을 관람할 수 있다. 판피어류 갑주어, 동갈치, 크리노이드, 실러캔스, 동굴사자 골격, 그린리버 악어, 히파크로사우르스 골격, 거북화석 등의 화석과 대형 스테고돈 두개골, 호박, 운석, 털코뿔소 골격, 삼엽층, 아게이트 및 행운석 등 호박·운석을 만날 수 있다. 방문 전 전화 예약자에 한해 전시 해설(오후 2시)이 진행된다. 자연과학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이라면 도움이 될 것이다.-시간 : 10:00~18:00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추석 당일 휴관)-관람료 : 초·중·고 3,000원, 성인 5,000원-위치 : 강남구 도산대로 202 강남을지병원 2층 (압구정역 3번, 학동역 8번 인근) -문의 : 02-3438-1322 http://oldstory-gangnam.eulji.or.kr 시몬느 핸드백 박물관 _ 핸드백의 역사부터 DIY까지 2012년 런던에 기반을 둔 전시 디자이너 주디스 클락에 의해 개관. 16~21세기 핸드백 300여 점이 전시되어 핸드백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지하에 가죽소재 시장과 DIY 클래스가 운영되고 있어 패션 관련 직업이나 핸드백 디자이너를 꿈꾸는 학생에게는 진로 탐색의 값진 경험이 될 것이다.-시간 : 화~토 10:00 ~ 19:00, 일 11:00부터(매주 월요일 휴관)-관람료 : 5,000원-위치 : 강남구 신사동 536-17 (신사역 8번 출구 800m)-문의 : 02-3444-0912 www.simonehandbagmuseum.co.kr 헬릭스 동물 메디컬센터 _ 미래의 수의사를 꿈꾸는 메디컬센터 투어헬릭스 동물 메디컬센터는 전문 의료진이 상주해 있으며, 의료장비와 최신 진료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동물병원이다. 1,487㎡(450평)의 병원 공간 내에 1.5T MRI와 16채널 MD-CT를 포함한 최고 사양의 호흡 마취 시스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 암 치료 및 진단에 적합한 최신 장비가 구축돼 있다.메디컬센터 투어 및 원장과의 인터뷰 등 진로체험을 할 수 있으며, 담당자(김성호 원장)에게 전화로 신청하면 된다.-시간 : 월~금 10:00 ~ 11:00 (진로체험 시간 1시간 30분)-위치 : 서초구 신반포로 162 르본시티 2층 (고속터미널역 8번 출구 인근)-관람료 : 진로체험 무료-문의 : http://helix-amc.com The Green _ 에너지 절감 및 신재생 에너지 기술 한 눈에The Green은 공공주택 에너지 절감 성능 검증, 신재생 에너지 등 생활 속 녹색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관이다. ‘지진 제어기술 체험관’에서 가상 지진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으며 건물 옥상에는 ‘에너지와 환경의 조화’와 ‘동식물이 공생하는 작은 우주’라는 주제로 만들어진 공간에서 생태공원 체험학습 프로그램 등을 체험할 수 있다.홈페이지에서 날짜별 관람희망 2일 전 예약하면 되며, 현재 3월 18일까지 그린관 리모델링 공사로 3월 20일부터 예약 가능하다. ‘행복드림관(2층)’만 관람할 수 있고 사전예약 없이 관람할 수 있다.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꼭 한 번 들러보자.-시간 : 월~금 9:30 ~ 17:30, 토 ~16:00까지 (일·공휴일, 설·추석 연휴 휴관)-위치 : 강남구 밤고개로 206 (수서역 6번 출구 자곡사거리 인근)-관람료 : 무료-문의 : 02-459-1971, http://thegreen.lh.or.kr 서울서예박물관 _ 서예 작품부터 다양한 이벤트 전시까지1988년 생긴 서예전용 전시장으로 예술의 전당 국립국악원, 야외 놀이마당, 한국정원 등과 어우러져 2개 층 10개 전시실과 복도 갤러리 전시실에서 옛 서예 작품 전시회가 항상 열린다. 상시 전시 외에도 이벤트성 전시(입장료 있음)가 전시되며, 전시 관람 최소 3일 전 전화상담 및 예약을 하면 도슨트 프로그램(사전 전화 협의)이 제공된다.현재 열리고 있는 ‘위대한 낙서 전(The Great Graffiti)’은 길거리 낙서에서 예술로 인정받은 그라피티의 다양한 모습을 만나볼 수 있는 전시(입장료 성인 10,000원, 어린이 및 초중고생 5,000원)이다. 라틀라스, 제우스, 크래쉬, 존원, 닉 워커 등 7인의 작가가 참여했으며, 3월 12일까지 연장 전시된다.-시간 : 평일 11:00 ~ 19:00 (1월 1일, 설날, 추석 당일 휴관)-위치 : 강남구 선릉로 158길 3 (압구정로데오역 4번 출구 100m)-관람료 : 어린이 12,000원, 청소년 13,500원, 성인 15,000원(온라인 구매 10% 할인)-문의 : 02-512-8865 www.figuremuseumw.co.kr 피규어뮤지엄 _ 만화 캐릭터와 스토리 작가를 꿈꾼다면!피규어 및 토이를 테마로 테마파크 기능을 접목시켜 진귀한 피규어를 만나고 감상하고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복합 콘텐츠 문화공간이다.1층은 다양한 기획전 및 행사 등을 통해 피규어를 전시하는 기획전시실이 마련되어 있고, 이 외 층별로 테마가 나눠져 블록놀이, 인터랙티브 미디어 체험, 추억의 오락게임, 관련 서적 및 코믹 북 독서 코너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 피규어 숍에서는 피규어 전문가 및 비기너 등을 위한 전문 피규어를 판매한다. 만화 캐릭터와 만화 스토리에 관심 있는 학생에겐 안성맞춤이다.-시간 : 평일 11:00 ~ 19:00 (1월 1일, 설날, 추석 당일 휴관)-위치 : 강남구 선릉로 158길 3 (압구정로데오역 4번 출구 100m)-관람료 : 어린이 12,000원, 청소년 13,500원, 성인 15,000원(온라인 구매 10% 할인)-문의 : 02-512-8865 www.figuremuseumw.co.kr 이앤티 진로직업체험센터 _ 예술, 방송, 뷰티, 패션 등 직업탐색‘이앤티 진로직업체험센터’는 청소년수련활동인증위원회 인증 프로그램 운영기간, 서울시 교육청 지정 서울 학생 배움터 인증기관이다. 방송 및 뷰티, 법률 등 여러 가지 직업군에 대해 체험이 가능한 직업 전문 체험센터로서 예술, 방송, 뷰티, 패션, 법률 분야에 관한 진로 직업체험을 할 수 있다.방학 중에는 1인 개인 체험신청이 가능하며 오는 2월 28일까지 아나운서&스포츠캐스터, 개그맨, 가수&보컬 트레이닝, 가수&댄스 트레이닝, 탤런트&영화 체험을 할 수 있다.-시간 : 10:00 ~ 13:00, 14:00 ~ 17:00 (3시간씩 진로 체험)-위치 : 강남구 논현동 112-21 로엠 2빌딩 4층 (강남구청역 3번 출구 인근)-관람료 : 유료(프로그램별 상이)-문의 : 02-786-7302, www.entjob.co.kr 한생연 실험누리과학관 _ 생 2017-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