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미' 검색결과 총 827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학생 수 많은 안양 초·중·고교는 어디? 지난 8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3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 학생수는 578만3612명으로 전년(587만9768명) 대비 9만6156명(1.6%↓) 감소했다.그렇다면 우리 안양지역 초·중·고 학생 수는 몇 명이며, 지역 내에서의 편차는 어느 정도일까?안양지역 내 학생 수 현황을 지난 5월 공개된 학교알리미 자료를 활용해 알아봤다. 고등학교는 일반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제외했다.참고자료 2023년 교육기본통계(교육부), 학교알리미안양시 학생 수 가장 많은 초등학교는 귀인초,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달안초안양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총 41개교로 모두 공립이다. 41개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귀인초로 학생 수는 1569명이다. 다음으로는 평촌초 1165명, 호원초 1156명, 호성초 1082명 순이다. 반대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달안초이며 전교생이 128명이다. 비산초(187명), 나눔초(228명), 희성초(232명), 안양호암초(257명), 안양관악초(263명) 등도 학생 수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학교알리미 자료 결과 2023년 5월 기준 안양 전체 초등학생 수는 2만5882명이며, 수업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9.7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도 19명, 전국 17명보다 높은 수치이다.안양시 조사 대상 중학교는 총 24개교이다. 그중 사립은 근명중, 성문중, 신성중, 안양여자중 등 4개 중학교이다. 24개 중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평촌중으로 학생 수는 1271명으로 지난해 1254명보다 17명이 증가했다. 다음으로는 귀인중 1167명, 안양부흥중 1113명, 범계중 806명, 연현중 715명, 신성중 690명, 부림중 719명 순이다. 반면 안양시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안양서중으로 200명이다.안양시 전체 중학생 수는 1만4052명이며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5.2명으로 전국 13.4명보다 많고, 경기도 15.3명보다 적은 수로 조사됐다. 평촌중 1271명, 평촌고 1072명, 지난해보다 학생 수 증가안양지역 조사 대상 고등학교는 일반고 총 13개교이다. 그중 백영고, 성문고, 신성고, 안양여고, 양명고, 양명여고 등 사립이 6개 학교이고, 공립이 7개 학교이다.13개 학교 가운데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일반고는 평촌고로 1072명이다. 지난해 1061명보다 11명 증가했다. 다음으로는 동안고 1019명, 부흥고 1014명, 양명고 946명, 관양고 933명, 백영고 932명 순이다. 안양시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일반고는 안양여고로 전교생이 569명, 지난해 574명보다 5명 감소했다.안양시 일반고 학생 수는 총 1만1374명으로 지난해 1만1301명보다 73명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전국 유·초·중 학생 수 감소, 고등학교 학생 수 증가 한편, 지난 8월 말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전국 유·초·중등 및 고등교육기관 등의 기본사항을 조사한 ‘2023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유·초·중등학교 수는 2만605개교로 전년 대비 91개교 감소하였으며, 유치원은 감소했으나 초·중·고·기타학교는 모두 증가했다.전체 유·초·중등 학생 수는 578만3612명으로 전년(587만9768명) 대비 9만6156명(1.6%↓) 감소했다.유치원은 52만1794명으로 3만1018명(5.6%↓) 감소했고, 초등학교는 260만3929명으로 6만349명(2.3%↓) 감소했으며, 중학교는 132만6831명으로 2만1597명(1.6%↓) 감소했으나, 고등학교는 127만8269명으로 1만5921명(1.3%↑) 증가했고, 기타학교 역시 5만2789명으로 887명(1.7%↑) 증가했다.전체 유·초·중등 교원 수는 50만8850명으로 전년(50만7793명) 대비 1057명(0.2%↑) 증가했다. 이는 유치원 교원 수 증가(5만5637명, 전년 대비 1941명↑)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초·중·고교 교원 수는 44만497명으로 오히려 전년(44만1796명) 대비 1299명(0.3%↓) 감소했다.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유치원 9.4명, 초등학교 13.3명, 중학교 11.6명, 고등학교 9.8명으로 전년 대비 유치원 0.9명 감소, 초등학교 0.4명 감소, 중학교 0.1명 감소, 고등학교 0.2명 증가했다.초·중등(각종학교 포함) 다문화 학생 수는 2023년 18만1178명으로 전년 대비 1만2533명(7.4%↑) 증가하여, 2012년 조사 시행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다문화 학생 수 비율 역시 3.5%로 전년(3.2%) 대비 0.3%p 상승했다.2022학년도 초·중·고교 학생의 학업 중단율은 1.0%(52,981명)로 지난 학년도(0.8%, 42,755명) 대비 0.2%p(10,226명↑) 상승했다.초등학생은 0.7%, 중학생은 0.7%, 고등학생은 1.9%로 지난 학년도 대비 각각 0.1%p, 0.2%p, 0.4%p 상승했다.전국 고등교육기관 수는 424개교로 전년 대비 2개교 감소했으며, 유형별로는 일반대학 190개교, 교육대학 10개교, 전문대학 133개교, 기타 47개교, 대학원대학 44개교이다.전체 재적학생 수(재학생 + 휴학생 + 학사학위취득유예생)는 304만2848명으로 전년(311만7540명) 대비 7만4692명(2.4%↓) 감소했다.일반대학은 185만5374명으로 3만3325명(1.8%↓), 교육대학은 1만4857명으로 234명(1.6%↓), 전문대학은 50만9169명으로 3만137명(5.6%↓), 기타는 32만6852명으로 1만3685명(4.0%↓) 감소했고, 대학원(대학원대학 및 부설대학원 포함)은 33만6596명으로 2689명(0.8%↑) 증가했다.전체 고등교육기관의 신입생 충원율은 85.3%로 전년(84.8%) 대비 0.5%p 상승했으며, 일반대학은 97.3%, 전문대학은 89.0%로 전년 대비 각각 1.0%p, 2.0%p 상승했다.전체 교원 수는 23만2475명으로 전년 대비 804명(0.3%↑) 증가하였으며, 그중 전임교원은 8만8165명으로 1092명(1.2%↓) 감소한 반면, 비전임교원은 14만4310명으로 1896명(1.3%↑) 증가했다.전임교원 확보율(편제정원 기준)을 살펴보면 일반대학 90.6%, 교육대학 68.8%, 전문대학 64.1%로 전년 대비 각각 0.5%p, 2.7%p, 0.4%p 감소했고, 대학원대학은 247.6%로 전년 대비 17.7%p 상승했다.전체 외국 학생 수(재적학생 기준)는 18만1842명으로 전년 대비 1만4950명(9.0%↑) 증가했으며, 국가별로는 중국 37.4%(6만8065명), 베트남 23.8%(4만3361명), 우즈베키스탄 5.7%(1만0409명), 몽골 5.7%(1만375명), 일본 3.2%(5850명) 순으로 아시아 국가의 비율이 높았다.더 자세한 2023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는 교육통계서비스 누리집(https://kess.kedi.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표1_2023 안양시 초등학교 학생 수 현황 (단위: 개, 명)학교명1학년2학년3학년4학년5학년6학년특수학급 학생수순회학급 학생수합계수업교원수수업교원 1인당 학생수1관양초998486921139890581(9)3218.22귀인초177218269243311351001,569(0)6623.83나눔초30392343484500228(0)1416.34달안초17172616262330128(3)1012.85덕천초15619216815512713560939(6)4222.46동안초627672798911500493(0)2420.57만안초736579688395125480(17)2717.88명학초55606652574520337(2)1818.79민백초75958810912415060647(6)3319.610박달초14416014013816 2023-09-06
-
최근 6년간 ‘주요 대학 검정고시 합격생 추이’와 최근 3년간 ‘전국 일반고 학업중단 현황’ 분석 해마다 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어느 정도 될까? 종로학원이 학교알리미와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를 토대로 최근 3년간 전국 일반고 학업중단 현황(전국 17개 시·도, 서울 25개구)과 최근 6년간 서연고 등 주요대 검정고시 합격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검정고시 합격생은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였다. 전국 17개 시도 기준 일반고 1학년을 다니다가 학업을 중단한 학생도 2021학년도와 비교해 2023학년도에 크게 늘었다. 특히 2023학년도 일반고 1학년을 기준으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강남구가 163명(4.13%)으로 가장 많았고, 송파구가 143명(3.70%)으로 그 뒤를 이었다. 최근 6년간 ‘주요대 검정고시 합격생 추이’와 최근 3년간 ‘전국 일반고 학업중단 현황’을 살펴봤다.자료제공 종로학원 참고자료 학교알리미, 대학알리미전국 일반고 학업중단자 수 증가 추세전국 17개 시·도 일반고 학업중단자 수는 2021년 공시 기준 9,504명, 2022년 공시 기준 12,798명, 2023년 공시 기준 15,520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이에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2021년 학교알리미 공시는 코로나19 상황이었던 2020년 중단자 수로 코로나19 기간 동안 중단자 수가 일시적으로 줄었다. 코로나19 이전인 2020년 공시기준은 14,732명으로 2023년 공시기준상 코로나19 이전보다 더 큰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특히 일반고 1학년 학업중단자 수 전국 17개 시도에서 2021년 공시기준 5,015명, 2022년 공시 6,330명, 2023년 공시 8,050명으로 최근 3년 사이 3,035명으로 60.5%가 증가했다”고 성명했다. (표1 참조)표1. 최근 3년간 전국 일반고 학업중단 현황① 1학년 기준② 1~3학년 전체 기준이러한 결과에 대해 임 대표는 “고교 1학년 때 학교 내신 관리가 잘되지 않은 학생 중 본인의 목표 대학을 진학하기 위해 수능을 통한 정시로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이 최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사실상 학교에서 내신 관리가 잘 되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수능 준비 특별 프로그램 등이 원활하게 운영되지 않다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자기소개서 등 비교과 영역이 대폭 축소된 상황에서 1학년 때 학교내신 관리가 목표 대학에서 벗어날 경우 앞으로 이런 검정고시 등을 통한 대학 진학 루트를 생각하는 학생들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강남구, 고1 학업중단 학생 가장 많아이러한 추세는 서울 25개구 일반고 학업중단자 수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강남구와 송파구 일반고 1학년 기준 학업중단자 수가 25개구 중 가장 많아 눈길을 끈다.최근 3년간 서울 25개구 일반고 학업중단 현황 중 1학년 기준으로 살펴보면 강남구는 2021학년도 95명(2.29%), 2022학년도 144명(3.83%), 163명(4.13%)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였고, 2023학년도 기준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그 뒤를 이어 송파구의 일반고 1학년 학업중단자 수가 높아 2023학년도 기준 143명(3.70%)이었고, 서초구는 72명(2.94%)이었다. (표2 참조)표2. 최근 3년간 서울 25개구 일반고 학업중단 현황① 1학년 기준② 1~3학년 전체 기준1~3학년 전체 기준으로 일반고 학업중단자 수는 강남구의 경우 2021학년도 172명(1.43%), 2022학년도 225명(1.89%), 2023학년도 260명(2.23%)이었다. 2023학년도 기준으로 강남구가 가장 높았고, 송파구는 238명(2.10%)로 그 뒤를 이었으며, 서초구는 130명(1.83%)였다. 최근 3년간 ‘전국 일반고 학업중단 현황’에 대해 임 대표는 “고교 1학년 때 학교내신 관리가 잘되지 않은 학생 중 본인의 목표 대학을 진학하기 위해 수능을 통한 정시로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이 최근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사실상 학교에서 내신 관리가 잘 되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수능 준비 특별 프로그램 등이 원활하게 운영되지 않다고도 할 수 있다. 특히 자기소개서 등 비교과 영역이 대폭 축소된 상황에서 1학년 때 학교내신 관리를 목표 대학에서 벗어날 경우 앞으로 이런 검정고시 등을 통한 대학 진학 루트를 생각하는 학생들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물론 학업중단 사유가 대입과 연관된 것만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 토대로 종로학원이 분석한 주요 대학 검정고시 합격생 증가 추세 역시 이를 뒷받침 한다.서연고 검정고시 합격생 해마다 증가 추세종로학원이 최근 6년간 ‘주요대 검정고시 합격생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전국 4년제 대학 신입생 중 검정고시생 5년 전 2018학년도 4,533명에서 2023학년도 7,690명이었다. 이는 2018학년도 대비 6년 사이 3,137명(68.9%)이 증가한 수치이다. (표3 참조)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검정고시 합격생은 2018학년도 80명에서 2019학년도 82명, 2020학년도 108명, 2021학년도 138명, 2022학년도 142명, 2023학년도 155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고려대는 2018학년도 14명에서 2023학년도 61명으로 4.4배나 증가했다.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포함 주요 10개 대학 검정고시 합격생 수도 2023학년도 524명으로 6년 연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18학년도 276명, 2019학년도 290명, 2020학년도 399명, 2021학년도 478명, 2022학년도 494명, 2023학년도 524명으로, 이는 2018학년도 276명 대비 248명(89.9%)이 증가한 수치이다.서강대는 2018학년도 5명에서 2023학년도 28명으로 23명(460.0%)으로 증가했고, 한양대는 2018학년도 22명에서 2023학년도 54명으로 32명(145.5%)이 증가했다. (표4 참조)임 대표는 “서울대는 2018학년도 13명에서 2023학년도 28명으로 2022학년도 40명 대비 감소했다. 이는 2023학년도부터 정시에서 내신 반영이 직접적 원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표3. 전국 4년제 검정고시 출신 입학자*대학알리미 공시 기준*대학교, 산업대, 교육대 기준/경희대, 한국외대 캠퍼스 포함표4. 주요 10개 대학 검정고시 출신 입학자*대학알리미 공시 기준 ※표3, 표4 : 종로학원 2023-08-24
- 학교알리미 살펴보기 - 2023학년도 양천구 지역 초·중·고 학생 수 현황 지난 5월 발표된 학교알리미 내용 중 양천구 지역 초, 중, 고등학교 학생 수 현황을 정리했다. 양천구 학생 수는 부분적으로 차이점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를 유지했다. 양천구 지역에서는 학생 인구가 어느 정도이며, 지역 내에서 학교 간 편차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2023년 5월에 공시한 학교 알리미 사이트 공개용 데이터 ‘학교 현황’에서 자료를 참고했다.박선 리포터(ninano33.naver.com)학생 수 가장 많은 초등학교 목운초(1,596명) 가장 적은 초등학교 양원초(238명)학교 알리미 사이트에 공개된 학교 현황 자료를 참고로 해 양천구 지역 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생 수를 조사했다. 양천구 지역 초·중·고 학생 수 현황 집계 시 특수학급은 제외했다. 고등학교도 일반고와 자율고만 그 대상으로 했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제외했다. 양천구 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30개 학교이고 모두 공립 초등학교다. 30개의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목운초로 학생 수 1,596명이었다. 다음으로는 목동초(1,343명), 영도초(1,117명) 순이었다. 반대로 양천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양원초로 238명의 학생 수를 보였다. 목운초의 경우 21년에는 1,691명, 지난해 1,648명으로 1위를 한 데 이어 올해는 조금 줄었지만 1,596명으로 계속 가장 많은 학생 수를 나타냈다. 양원초도 지난해 243명으로 가장 적은 학생 수를 나타낸 바 있다. 양천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목운초는 학생 수 1,596명에 51학급이었고 학급당 학생 수는 31.3명을 나타냈다. 다음으로는 경인초(28.8명), 갈산초(26.3명) 순이었다. 반대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양원초로 15.9명으로 지난해 15.2명에 이어 계속 가장 적은 수를 보였다. 서울시의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 평균은 17.1명이고 전국 평균은 17명을 기록했다. 양천구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 평균은 18명이다. 양천구는 지난해 초등학생의 수보다 1,100여 명 정도가 감소했지만 올해도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가 서울시나 전국 평균보다 높아 교육 특구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양천구 초등학교 학생 수 현황>학교명1학년2학년3학년4학년5학년6학년학생수합학급수학급당학생수1갈산초13615214916618623310224025.52강서초1341171791501771749484819.83강신초991171161231251587423521.24강월초60618980105784792916.55경인초14017214819222421910953828.86계남초841211111141511307173421.17남명초911049174100795492621.18목동초15120020923027326813435126.39목운초22823924327231029615965131.310목원초56575292811214592220.911서정초1061221251301551638073523.112신강초4759745761954002218.213신기초5671696075724082020.414신남초1901921501441411339604024.015신목초1041241341701932179574023.916신서초14014220122218919510894424.817신원초7349746769714152318.018신은초607783921191265623416.519양강초8284838586805082520.320양동초5053475456713392017.021양명초758792102141855882721.822양목초781011001041121136163517.623양원초3740363831512381515.924양화초99113103104991006263120.225영도초13215717520624420311174624.326월촌초11914116017621620110134323.627은정초4051525255493091916.328장수초4140536370763431720.229정목초1091251291511851888934320.830지향초111101105971301126633121.4학생 수 가장 많은 중학교 월촌중(1,417명) 가장 적은 중학교 신원중(233명)양천구 지역 조사 대상 중학교는 모두 19개 학교이고, 사립 중학교는 3개 중학교(봉영여중, 양정중, 영도중)이다. 19개 중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월촌중으로 학생 수 1,417명을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목운중(1,384명), 목동중(1,355명)이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양천구에서 가장 학생 수가 적은 중학교는 신원중으로 233명이었다. 양천구에서 목운중이 전체 1,384명의 학생 수에 46개 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0.1명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양정중(29.7명), 월촌중(29.5명)이 뒤를 이었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신원중으로 16.6명이다. 양천구의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4명이고 서울시는 12.7명, 전국은 13.4명으로 양천구가 높은 인원 수를 보였다. 신화중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그린 스마트 미래 학교 사업 추진에 따라 신입생이 배정되지 않았다. <양천구 중학교 학생 수 현황>학교명1학년2학년3학년학생수합학급수학급당학생수1강신중2922583328893525.42금옥중2662392697803323.63목동중45542746513554728.84목운중47144745913844630.15목일중40837942312104328.16봉영여중1881411604892024.57신남중2191962496702724.88신목중43444047613504828.19신서중39434542311764526.110신원중7577742331416.611신월중2402702157393223.112신화중002272281022.813양강중2772162887943522.714양동중1922022356322921.815양서중1211231333771722.216양정중1741721885341829.717양천중2021802085902523.618영도중92971002891224.119월촌중46546348914174829.5학생 수 가장 많은 고등학교 진명여고(1,258명) 가장 적은 고등학교 한가람고(540명)양천구 지역 조사 대상 고등학교는 모두 12개 학교이고, 공립 고등학교는 3개 학교(금옥여고, 신목고, 신서고)다. 12개 고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1,258명의 진명여고로 지난해에 이어 1위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신목고(1,114명), 목동고(1,096명)가 뒤를 이었다. 반대로 양천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한가람고로 540명이었다. 지난해에는 550명의 신서고의 학생 수가 가장 적었다. 양천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고등학교는 양정고로 30.9명이었다. 다음으로 한가람고(30명), 강서고(29명)가 그 뒤를 이었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고등학교는 광영고로 23.3명이었다.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양정고가 15명으로 가장 높았다. 강서고는 14.9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양천구 수업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2.6명이었고 서울시 평균은 11.2명, 전국 평균은 11.1명을 나타냈다. <양천구 고등학교 학생 수 현황>학교명1학년2학년3학년학생수합학급수학급당학생수1강서고35332933210143529.02광영고3122882398393623.33광영여고3242792458483623.64금옥여고2632372227363024.55목동고40735333610964226.16백암고36632232110093628.07신목고39 2023-07-21
-
송파·강동 고교 정보 제대로 알기 ‘학교알리미’ 우리 아이가 다니는 학교 혹은 우리 아이가 진학하길 희망하는 학교 정보는 어디에서 알아볼 수 있을까? 가장 객관적인 정보를 구할 수 있는 곳이 바로 ‘학교알리미’이다. 학교알리미는 초등 및 중·고등학교 정보 공시제를 기반으로 매년 1회 이상(4월·5월·9월 업데이트) 학교 정보를 공시하도록 한 사이트로, 각 학교 별로 이미 2013년 정보가 올라와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학교알리미에서 어떤 정보를 알 수 있고, 또 그 정보는 어떤 부분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걸까? 공시 정보에는 교육활동, 교육여건, 학생현황, 교원현황, 예결산현황, 학업성취사항이 포함되는데 항목별 주요 내용을 살펴봤다.교육활동, 교육과정 편성 눈여겨봐야 교육 활동 항목에서 꼭 살펴봐야할 부분은 학교의 전반적인 교육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 편성, 교육운영 특색사업계획, 동아리활동 현황,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등이다.이중 교육과정편정은 각 학교의 학년별 교육과정이 어떻게 설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으로 다양한 과목이 어떻게 개설되어 있고 또 몇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연간학사일정도 큰 틀에서 계획을 세우는 데에 도움이 된다. 더불어 전체 이수 단위 및 전문 교과 교육과정 편제 여부 등도 살펴봐야 하는데, 특히 주의해서 봐야 할 부분은 탐구과목의 개설 현황으로 이과로의 진학을 희망한다면 과학 선택 이수 단위(과학 4과목 수강 가능)도 확인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아무래도 이수단위가 높은 것이 학생들에게 좋다. 교육운영 특색사업도 살펴봐야 한다. 각 학교 특색사업에는 경험의 다양성 및 자기주도적 역량 등 각 학교에서 강조하는 역점 부분이 많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재학생이라면 특색사업을 파악하고 활용하는 것이 적극적인 학교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더불어 학종을 대비하는 학생이라면 차별화된 특색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해 내실 있는 생기부 관리는 물론 개인 역량 성장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주요정책사업 지정·운영 현황, 주요정책사업, 기타 교육운영 특색사업 내용을 전체적으로 확인하면 된다. 또한, 학생들이 가장 관심 많은 동아리 활동 현황과 학부모님이 관심을 갖는 방과후학교 운영도 확인할 수 있다.교육여건 & 학생현황 & 교원현황 학교의 교육환경과 학교 현황(학급수·학생수·학급당 학생수·특수학급·수업교원1인당 학생수 등)을 볼 수 있고, 전·출입 학생수와 장학금 수혜 현황도 올라와 있다. 또 교원 현황에는 각 학교 교원 현황이 상세히 기재되어 있는데, 과목별 교원 현황까지 확인 가능하다. 이 부분에서 살펴보면 좋을 항목은 고교학점제를 잘 이행할 수 있는 일정 수준의 학생 수 및 교사 수가 확보되어 있는가이다. 때문에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과 함께 학생 수, 표시 과목별 교원현황 등을 살펴보면 좋다. 더불어 학생 수는 내신 성적 등급 산출, 탐구 과목 개설 등과도 연관이 크기 때문에 중학생들이라면 자신이 희망하는 고등학교 학생 수를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 9등급제로 나뉘는 내신 등급에서 각 등급의 인원이 어느 정도 되는지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학교분위기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및 심의결과를 참고가 도움이 될 것이다.학업성취사항, 평가에 대한 궁금증 해소교과별 평가가 어떻게 진행되고 지필·수행평가 비율 및 평가내용도 학교알리미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학업성취사항을 통해서다. ‘교과별(학년별) 평가계획에 관한 사항’을 보면 각 과목별 수업방향에서부터 수업세부계획까지를 확인할 수 있고, 과목별 수행평가와 지필평가의 비율 그리고 서술형·논술형과 선택형의 비중까지 명시되어 있다. 또, 학교별로 세부평가를 위한 평가요소 및 평가방법, 채점기준까지 제시하고 있으며, 수행평가의 구체적인 수행과제도 예시와 함께 게재해 학생들의 평가대비를 돕고 있다. 이 항목을 통해 학생들은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더불어 교과별 학업성취사항에서는 과목별로 성취도별 분포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표준편차가 10 이하인 경우 편차가 작고, 20 이하면 편차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편차가 작다는 것은 평균 주위에 성적이 몰려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어 성적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최)상위권이라면 고교 선택 시 관심 가져야 할 부분이다. 또한, A성취도 비율과 F성취도 비율을 통해서 시험난이도 및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 학습 분위기를 부분적으로나마 가늠할 수 있다. 2023-07-14
- 2023학년도 강서 양천 영등포 지역 고교 1학년 1학기 교과별 평가 기준 코로나로 인해 학사 일정이 다른 때와 같이 운영되지 못하면서 수행평가의 비율이나 방식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 상황에서 완전히 벗어나 지필 평가와 수행평가 비율과 방식이 코로나 이전의 모습으로 완전히 회복했다.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시 항목을 통해 2023학년도 우리 지역 고교 1학년 1학기 교과별 평가 기준을 정리해 보았다. 수행 평가 반영 비율은 학교와 과목별로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50%까지 상승했다. 과목별로도 독후감이나 신문 만들기, 타이포그래피, 카드뉴스 제작, 심화 실험 등 다양한 형태의 평가 방식을 보였다. 동시에 수업 시간 참여 태도나 활동지 정리 등의 기본적인 사항들은 수시로 교사가 평가하고 있으니, 학생의 성실한 수업 태도가 가장 중요한 사항이 될 것이다.*참고-학교 알리미 사이트 공시항목 ‘교과별(학년별) 평가 계획에 관한 사항’ (2023년 4월 공시 기준/양천, 강서, 영등포 지역 일반고와 자사고를 기준으로 하며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포함하지 않았다) 박선 리포터 ninano33@naver.com50%까지 회복한 수행 평가 반영 비율2023학년도 우리 지역 고교 수행 평가 반영 비율은 대부분 학교에서 거의 모든 과목이 상승했다. 적게는 5%에서 많게는 50%까지 코로나 이전의 상황보다 오히려 더 상승한 모양새다. 강서고의 경우 지난해 수행평가를 하지 않았던 국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의 수행평가를 30~40%로 실시한다. 대일고도 지난해 주요 과목 수행평가가 전혀 없었지만, 올해는 40%의 높은 수행평가 비율을 보인다. 영일고도 지난해 국어, 수학, 한국사, 통합사회의 경우 수행평가가 없었지만, 올해는 국어와 영어의 경우는 50%, 나머지 과목은 40%의 높은 비율을 보인다. 목동고도 전체적으로 10~20%가 상승했고 진명여고도 수학과 한국사가 20%, 영어가 30%의 상승했다. 관악고 마포고 양천고 영일고 진명여고 등 수행 평가 50% 반영학교별, 과목별로 수행평가 비율이 많은 차이를 보인다. 관악고는 수학과 한국사가 50%, 마포고는 국어, 영어, 수학이 50%, 양천고는 국어, 영어가 50%, 영일고는 국어, 영어, 통합과학이 50%, 진명여고는 통합사회가 50%의 높은 수행평가 비율을 보이니 신경 써서 준비해야 한다. 신서고의 통합과학은 45%의 비율을 보이고 나머지 학교는 과목마다 30~40%의 비율로 정해졌다. 카드 뉴스나 타이포그래피… 수행 평가 특별해각 과목 수행평가의 비율도 중요하지만, 평가 방법도 눈여겨봐야 한다. 수업 시간 교사의 설명에 집중해서 잘 듣고 있는지를 보는 수업 태도와 참여도, 수업 시간에 나누어준 유인물을 잘 챙기는지, 활동지를 잘 작성하는지에 대한 평가는 기본이다. 학교별 수행평가 방법을 살펴보니 예전과 달리 눈에 띄는 부분이 있었다. 금옥여고의 통합사회과목에서 지역 문제를 카드 뉴스로 제작해 보는 수행, 경복여고의 수학 과목에서 수학 기사 카드 뉴스 만들기, 한국사 과목의 선거 정책 카드 뉴스 제작이 있었다. 양천고의 통합사회과목에서 행복 타이포그래피 제작도 있었다. 카드 뉴스나 타이포그래피에 익숙한 세대이므로 직접 제작하는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부분이 특별해 보였다. 평소 이런 내용을 잘 살피고 익숙하게 만들어 두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포고의 과학 탐구실험과목에서 나만의 첨단 과학신문 제작하기, 백암고의 통합사회과목에서는 국내외적 인권 신문 만들기가 있었다. 독후감 신문 제작 글쓰기 수행 평가 많아 독서하고 독후감을 제출하는 수행평가도 많은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관악고, 금옥여고, 신목고, 양정고, 한가람고에서는 수학 과목에서 수학 도서를 읽고 감상문을 쓰는 수행평가를 했다. 백암고는 한국사 과목에서 역사 도서를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는 평가를 했다. 양정고는 수학 과목에서 ‘수를 품은 시’를 작성해 보는 평가가 있었고 국어 과목에서도 사진을 활용한 시 창작, 바람직한 언어문화 뉴스 만들기, 공익광고 만들기 등의 평가가 있었다. 선거 활동 책자 제작, 토론, 팝송 감상 등도 수행 평가로 주목할 만한 수행평가를 진행하는 학교도 있었다. 경복여고는 한국사 과목에서 후삼국시대의 왕건, 궁예, 견훤이 왕 선거에 출마했다고 가정하고 선거 포스터 만들기, 후보송 만들기, 후보자 찬조 연설문 만들기 등의 활동을 하고 병자호란을 조선, 명, 청의 입장에서 카드 뉴스로 제작해 보기를 진행했다. 통합사회과목에서는 자신이 행복을 느끼는 순간과 이유를 사진을 제출하면서 스토리텔링을 해보는 수행도 있었다. 한가람고는 한국사 과목에서 고대사 중에서 한 시대를 선정해 자신이 당시 살았다고 가정해 가상 일기를 작성해 보거나 고려와 조선 시대 중 특정 사건이나 시대를 선택해 신문 기사 작성을 해보았다. 통합사회과목에서는 CEDA토론을 동해 주제를 조별로 토론하는 시간도 가졌다. 양정고는 통합사회과목에서 오픈북 테스트가 있었다. 학습 이슈에 대해 정리 노트와 교과서 참고해 의견을 서술하는 방식이다. 진명여고는 한국사 과목에서 박물관 초대장 만들기, 영어 과목에서 팝송을 감상한 후 완성해서 말하기 평가가 40%로 비율로 이루어진다.강서고과목평가 비율지필고사수행평가1차2차국어35%35%30%수학35%35%30% 다항식의 사칙연산,이차함수 그래프 이해영어35%35%30% 말하기 듣기평가한국사30%30%40% 모둠활동 논술활동통합사회30%30%40% 주제탐구활동 자료조사발표통합과학30%30%40% 화학결합 형성과 물질 이해과학탐구실험40%60% 가상우주기지 건설 협력 프로젝트 수행하기경복여고과목평가 비율지필고사수행평가1차2차국어30%30%40% 감상적 읽기 토론 논증수학30%30%40% 수학기사 카드뉴스만들기 마인드맵영어30%30%40% 친숙한 일반적인 주제로 말하기 듣기 쓰기한국사30%30%40% 선거활동책자제작 카드뉴스제작통합사회30%30%40% 행복스토리텔링 우리나라 및 세계 위치찾기통합과학30%30%40% 물질의규칙성결합 논술 실험과학탐구실험100% 연역적탐구실험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발표관악고과목평가 비율지필고사수행평가1차2차국어30%30%40%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차이 한국문학사흐름수학25%25%50% 수학독서 수업활동지영어30%30%40% 일상생활 주제로 의견쓰고 말하기한국사25%25%50% 발표 토의 정리등을 포함한 포트폴리오통합사회30%30%40% 시사탐구 활동보고서와 학습지통합과학30%30%40% 자유낙하실험, 보고서과학탐구실험100% 실험보고서금옥여고과목평가 비율지필고사수행평가1차2차국어30%30%40% 활동참여 포트폴리오,,수업태도수학35%35%30% 학습지 포트폴리오 독서 프로젝트영어30%30%40% 어휘평가 영어로 말하기 듣기 쓰기한국사30%30%40% 역사글쓰기 읽힘책 및 수업태도통합사회30%30%40% 자기주장글쓰기 지역문제 카드뉴스 활동지통합과학29%29%42% 실험 및 탐구보고서 평가과학탐구실험30%70% 실험주제에 적합한 활동, 보고서대일고과목평가 비율지필고사수행평가1차2차국어30%30%40% 문학의 구성요소활용 시창작 음운변동 노래수학30%30%40% 학습내용정리 보고서작성 관찰형평가영어30%30%40% 주변대상이나 상황묘사 글을 영어로 작성한국사30%30%40% 역사 포트폴리오 작성 수업참여도통합사회30%30%40% 보고서 작성 수업참여도 발표통합과학30%30%40% 역학적 시스템 자연의 구성물질 활동지과학탐구실험100% 실험 보고서 및 자료 조사 평가마포고과목평가 비율지필고사수행평가1차2차국어25%25%50% 자기소개서 작성 소설 감상문 작성수학25%25%50% 다항식과방정문제해결 일지쓰기,형성평가영어25 2023-07-14
-
2023년 강남서초 학교 탐방 - 은광여자고등학교 강남구 도곡동 은광여자고등학교(교장 홍진희, 교감 사공숙)는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를 꿈꾸는 교사’와 ‘배우기를 힘쓰는 학생들’이 함께 시너지를 만들어 가는 학교이다. 2023년에도 ‘은광다운 교육’으로 학생들을 성장,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은광여고를 찾아가 봤다.도움말 은광여자고등학교 홍진희 교장 & 사공숙 교감, 정지형 교사(교무부장), 이동훈 교사(학술연구부장)정경화 교사(과학정보부장), 남효승 교사(1학년부장), 전보경 교사(2학년부장), 이동균 교사(진학부장)2023학년도 재학생 대학 진학률 51.9%은광여고는 2019년 5월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시 기준 ‘2019년 2월 고교별 졸업생 진로 현황(강남서초내일신문 896호)’을 보면 은광여고는 강남지역 고교 중 전체 진학률 1위(57.9%)로 학생 수 대비 최고의 진학 성과를 보였다. 그렇다면 2023학년도 입시 결과는 어땠을까? 3학년 전체 학생(254명) 중에 51.9%가 대학에 진학했다.이동균 교사(진학부장)는 “4년제 대학에 111명, 전문대에 21명 합격했다. 합격 건 중 서울대 15건(재학생, 졸업생 포함), 의치한약수 16건(의대 11건, 치대 1건, 한의대 1건, 약대 3건)으로 최상위권 대학에 많이 합격했고, 연세대 18건, 고려대 22건으로 재학생들의 입시 결과가 우수하다. 올해 대입에서는 지난해 우수한 입시결과 사례 중심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수시 면접 전형에 대비해 단계별 면접 연습을 준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은광여고는 수시와 정시를 아우르는 투트랙 진로·진학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이 교사는 “수시에 대비하기 위해 학생의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수업 계획 단계와 평가 단계의 내실화, 다양하고 전문적인 진학정보를 제공한다. 정시 대비를 위해서는 수능 시험 출제 유형에 따른 여러 문제에 대비하고, 자율학습실 1인 지정석을 배정해 지도사 선생님의 관리 아래 학생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학생 개인의 특성을 발휘하는 은광의 수업우수한 진학 성과는 ‘수업’의 힘에서 나온다. 사공숙 교감은 “은광여고는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를 꿈꾸는 교사’와 ‘배우기를 힘쓰는 학생들’이 함께 시너지를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은광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이 발휘되도록 수업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을 잘 관찰해 세심하게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하신다. 또한, 열린 태도를 지향하고 열정적으로 교육활동에 임하신다. 사랑받는 것을 아는 학생들이 느끼는 행복과 학교에 대한 애정이 교사들의 열정과 합을 이뤄 은광을 ‘큰 학교’로 만들어가고 있다”며 특별한 학교 분위기를 전했다. 학업역량을 키우는 은광여고의 수업은 더욱 주목할 만하다.이동훈 교사(학술연구부장)는 “은광여고는 독서기반 수업의 활성화와 앱 활용 등으로 학생 참여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전교사가 교과협의회 및 6개의 교원학습공동체를 중심으로 각 과목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수업 방법을 공동으로 연구해 실제 교실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 또한, 진로 탐색을 위한 과제 수행 등 학생들의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정경화 교사(과학정보부장)는 “수업 시간에는 각 과목에 맞는 독후활동, 실험·탐구 활동, 심화 주제 발표 등 다양한 수업 방식을 연구·적용하고, 과정평가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역량이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잘 반영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한, 과학 캠프 등 다양한 심화 탐구 활동을 할 수 있는 교내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있다. 특색 프로그램인 창의 과학 캠프(의생명 분야, 공학분야)는 2일 동안 각 분야 전문가를 초빙해 실험 실습 위주의 심화 탐구 활동을 진행하고 토의·토론이 이루어진다. 이 외에도 ‘나도 빅데이터 전문가’, ‘눈으로 이해하는 인공신경망과 미분적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딥러닝과 빅데이터 학습 후 직접 적용해 보는 진로 탐색 기회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은광여고 수업 특징>※독서 기반 수업의 활성화① 독서기반 수업 : 영어(영어원서 읽기를 통한 협력적 독서활동), 고전읽기(<호밀밭의 파수꾼>, <앵무새 죽이기>, <모모> 등 고전을 통한 사고력 확장), 심화국어(<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등 비판적 책 읽기), 선생님과 함께하는 진로독서 클래스, 인문고전 아카데미(지역 도서관 연계 인문학특강), 독서 활동 장려 프로그램(틈새 독서 마라톤 3Km, 독서 캠프, 도서 나눔 장터)② 글쓰기 활동, 토론 수업 : 경제(독서 심화 토론), 실용경제(경제·금융 정책 토론), 국제 정치(사례 분석으로 국제 분쟁의 이해) 수업에서 관련 책을 읽고 이슈 분석·조사·발표하는 수업, 정치와 법(모의재판 실시) 수업을 통해 갈등 조정 능력 함양.③ 통계 기반 수업 : 수학 과제 탐구(두 변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추세선 만들기), 경제수학(갭마인더를 활용해 변수 사이의 관계 분석) 수업으로 매체 활용 능력과 지식정보 처리 역량을 함양.※진로 탐색을 위한 과제를 수행① 팀 프로젝트 : 1, 2학년을 대상으로 4~5명 팀을 구성해 주제 선정, 자료 조사, 보고서 작성, 발표회 수행. 3학년은 온라인 명사 특강으로 다양한 진로 탐색 기회② 자율수업 시간 : 1학년 진로진학집중학기(교육과정과 과목 선택의 이해), 2학년 즐거운 상상 프로젝트-강연하는 나, 활동하는 너(자율 주제 선택, 강연, 강연 페스티발), 3학년 주간 신문을 활용한 NIE 학습<은광여고 특색 프로그램>은광미래인재 리더십과정(인문사회 글로벌, 경영경제, 의생명, 자연과학, IT공학, 예체능의 6가지 과정), 진로 탐색 심화 활동인 경제캠프(국제경제 및 국제통상), 글로벌리더 영어캠프(원어민강사와 영어토론 및 프레젠테이션 연습), 청소년을 위한 심리학 교실(다양한 심리 결과를 접하고 해석하는 경험), 썰전! 지구화 시대의 한국 정치(정치외교의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이론과 실제를 탐구),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현대 미술의 이해(예술과 기술, 역사의 융합을 통한 미디어 아트의 이해), 청소년을 위한 영화 속 법 이야기(영화 캐릭터를 통해 법률의 주요 이슈 탐구), 모의 투자와 함께하는 금융 첫걸음(금융시장에 대한 기초적 이해와 관심 증대),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그래밍 실습), 눈으로 이해하는 인공신경망과 미분적분(수학적 개념을 활용한 인공지능 학습), 의·생명 캠프(의·약학 분야 실험), 공학캠프(로봇제어, 드론 실습 등) 등교과 간 융합수업 개설, 교육과정 주목은광여고는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로서 2015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을 살린 학생 과목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하는 ‘개방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정지형 교사(교무부장)는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과목을 학기제로 운영하고 있다. 다수의 전문교과Ⅰ 과목을 개설해 심화 학습 기회를 부여하고, 교사들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활동 중심 수업 운영과 다양한 수업 방법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1학년 1학기를 ‘진로지도 집중학기’로 정하고 교육과정 및 과목 선택에 대한 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2022학년도에는 자율적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전환기 2023-06-01
-
현 중2의 ‘자유학년제’와 첫 번째 내신 시험의 중요성 중1 학생들은 올해부터는 ‘자유학년제’가 아닌 ‘자유학기제’가 적용이 된다고 하니 내년에 되면 시험이 생경하지는 않을 것 같다. 반면 지금 중2 학생들은 자유학년제가 적용되어 1학년 때는 아예 시험을 경험해본 적이 없고 처음으로 지필고사를 통해 본인의 실력을 평가받게 된다. 필자의 칼럼에서 강조해 온점은 내신의 절대평가가 도입되면서 해를 반복할수록 내신의 평균적 난이도와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당장 ‘학교 알리미’라는 사이트에서 학교별 학업 성취도를 클릭해 보면 각 학교의 평균적 난이도와 변별력은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시험제도의 취지는 본인 실력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고 본인이 부족한 부분이 어디인가를 찾아낸다고 할 것인데 지금의 교육과정 전체가 ‘결과 중심의 평가’가 아닌 ‘과정 중심의 평가’를 중시하여 ‘진로 연계 교육’에 무게의 중심을 가져가다 보니 시험제도 본래의 취지와는 동떨어져서 운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시험 점수가 나오면 그에 대한 기준과 의미 부여는 각각 다르겠지만 ‘시험제도’의 본래 취지와 동떨어져 ‘시험’이 운영되고 있다 보니 학생들 스스로가 그 취지를 찾거나 혹은 또 다른 목표를 설정하여 접근해야 함이 지금의 현실인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 현행 내신의 평균 점수나 ‘A 등급’으로 본인 스스로 ‘시험제도’의 취지를 찾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 힘들다고 본다. 그렇다면 또 다른 목표 설정이 필요할 터인데 그 목표를 세우기 위해서는 현재 상황을 정확히 꿰뚫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앞서 잠깐 언급했듯이 ‘학교 알리미’라는 사이트를 방문해 보면 각 최근 3년간의 A등급에서 D등급까지의 분포 비율을 보면 어느 학교나 A등급과 B등급 비율(80점 이상)이 합치면 60%를 넘거나 육박한다는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본인의 상대적 위치 파악이 힘들다면 자기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실천해야 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한다. 어떤 목표를 수립해야 할까? 내신의 중요성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 분석해 보면 각각의 자기 목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중2 내신은 전체 입시의 흐름에서 어떤 의미가 있고 중요성이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첫째, 평소 공부와 담쌓고 지낸다는 소위, 이제 공부를 시작하려는 아이들을 생각해 보자. 이런 유형의 아이들에게 내신은 아주 잘 적절하게 활용될 필요가 있다. 내신 기간에 본문 암기와 스크립트 암기에만 충실해도 평균적으로 7~80점대 이상은 획득할 수 있고 노력 여하에 따라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동기부여의 계기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적극 활용해야 한다. ‘하면 된다’가 점수로 보이는 것 이상으로 더 좋은 동기부여는 없으므로 결과 자체는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하려는 아이들에게는 엄청난 동기부여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물론 아이들의 노력을 전제한다.둘째, 평소에 영어 공부를 꾸준히 하고 인증시험이나 학원 등에서 레벨이 중급이상인 아이들에게 내신은 점수 그 이상의 것의 중요성을 부여해야 한다. 방향성을 어떻게 잡고 공부하느냐가 중요한데, 범위를 뛰어넘어 입시라는 전체의 큰 틀에서 볼 때 영어의 내공을 살찌우는 범위까지 확장해서 공부하는 습관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는 모든 시험 범위를 평소에 공부하는 부분과 연관 지어 빈틈없이 소화하는 노력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 점수 자체가 아닌 ‘더 큰 입시에의 포부’를 위해서이다. 1년 전체를 통틀어 내신 대비기간 4달만큼 아이의 집중력이 강하고 의지가 충만한 시기가 없기 때문이다. 이 기간을 적극 활용하여 영어의 평균적인 실력을 업그레이드 하도록 해야 한다. 물론 이는 혼자의 힘만으로는 어렵고 주변의 도움이나 다니고 있는 학원의 시스템에 의존해야 한다. 필자가 운영하고 있는 학원은 이런 시스템을 충분히 구축하고 있다고 자부한다.어차피 학원에 등원하는 날은 숙제할 시간 포함하여 영어에 투자하는 날이라고 생각해 보면 내신기간의 장점은 아이들이 내신에 대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그나마 긴장하고 공부하는 기간이다. 소위 시간 투자 대비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는 황금기이다. 그것도 1년에 2~4번 밖에 오지 않는 시기이며 필자의 역할은 한가지로 집약된다. 아이들이 학원에 머무는 시간 동안 입시의 최대 관문인 고1~3을 위해 최고의 생산성을 발휘하도록 초석을 닦게 하는 것과 아직 준비되지 않은 학생들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목동 더불어숲영어학원 고영홍 원장문의 02-2646-8202 2023-03-24
- 알아두면 유용한 입시정보 사이트 & 입시 커뮤니티 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대학입시 레이스가 본격화된다. 변화하는 입시 흐름과 대학별, 모집단위별로 다른 입학전형 변화, 진로·진학에 필요한 정보들은 고교 3년 내내 놓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각각의 정보를 개인이 일일이 찾아서 활용하기란 쉽지 않다. 입시정보 사이트와 입시 커뮤니티들을 잘 활용하면 ‘나에게 도움이 되는 대입 정보’를 얻을 수 있다.알아두면 유용한 입시정보 사이트와 입시 커뮤니티를 모아봤다.<입시정보 & 커뮤니티>▸강남에서 대학가기강남에서 대학가기(https://cafe.naver.com/ykintelligentschool)는 오직 강남서초지역에 특화된 교육 카페(강남서초내일신문 공식 카페)이다. 매년 세화고, 세화여고, 휘문고 등 강남서초지역 자사고와 단대부고, 상문고, 숙명여고, 은광여고, 중산고, 진선여고 등 강남서초지역 일반고의 입시결과 및 진학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강남서초 학생들의 수시 합격 사례(서울대, 의대 합격 사례 등)와 강남에 특화된 입시·진학 정보가 가득하다. 강남서초지역 공교육 교사의 상담방, 강남서초 학원 정보, 대입/고입 정보 등 강남지역에 특화된 입시정보가 총망라되어 있다.▸대학백과대학백과(www.univ100.kr)는 에브리타임 앱과 연동되어 대학과 학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입시정보 공유 서비스이자 입시 커뮤니티이다. 수험생과 대학생의 멘토링을 기반으로 하며 학교명 학과명을 검색하거나 특정 전공과 관련한 질문하기를 통해 각 대학 재학생에게 답변받을 수 있다. 이 외에도 대학 후기, 학과 후기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다.▸메이저맵데이터 기반(AI 기반) 입시 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이저맵(www.majormap.net)은 학과, 학교, 직업을 쉽고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관심 있는 대학과 학과를 검색하면 빅데이터 키워드가 제시되며 각 대학 학과의 교육과정을 분석해 연관성이 있는 학과 정보도 볼 수 있다. 또, 전공과 관련한 진로 추천 도서 정보를 제공하며 모의고사 성적을 입력하면 지원할 수 있는 대학도 제시한다. ▸수만휘수만휘 : 수능 날 만점 시험지를 휘날리자(http://cafe.naver.com/suhui)는 3백 만이 넘는 회원 수를 보유한 입시 전문 대표 카페이다. 이주의 인기 글, 학습칼럼=자료, 입시자료 등을 볼 수 있으며 학습+입시정보 공유에서는 칼럼, 수기, 자료 기고와 정시/수시 결과 기록 및 수기, 면접·논술 후기 등을 볼 수 있다.▸이공계의 별이공계의 별(http://cafe.naver.com/kongdae)은 이공계 중점학교 입시정보 교류 커뮤니티이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공대, 카이스트(KAIST, 한국과학기술원), 유니스트(UNIST, 울산과학기술원), 지스트(GIST, 광주과학기술원), 디지스트(D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와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POSTECH),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 KENTECH) 등 이공계 중점 대학교 입시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진로 메타버스 섬 : 오늘도진로 메타버스섬 오늘도(www.onldo.kr)는 계열별 학과,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직업과 학과별 추천 도서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사이트이다. 학과 안내소에는 고교학점제 바이블(계열별 학과 선택-학과 소개-개설 대학-관련 학과-선택 과목-진출 직업)을 제공한다. 진로 전망대는 직업과 학과 정보, 멘토 이야기를, 내일책방에는 직업/학과 추천 도서 등을 볼 수 있다.▸파파안달부루스파파안달부루스(http://cafe.daum.net/papa.com)는 상위권 학생들과 학부모 중심의 입시 커뮤니티이다. 주요 대학 입시 관련 다양한 사례와 후기를 접할 수 있다. 입시종합정보실(파파칼럼, 입시정보, 수능모의, 지원배치, 의학 계열, 논술면접, 고속성장분석기)과 주요대 입시방(서연고, 의과대학, 약학대학, 학부모/수험생 후기), 학습자료(국수영탐) 등을 볼 수 있다.▸포만한 수학 연구소포만한 수학 연구소(cafe.naver.com›pnmath)는 수능, 내신, 수학 최상위권 커뮤니티와 입시정보를 제공하며 수학/과학 연구 및 교재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이과에 특화된 카페로 난이도가 높은 수학 문제와 관련한 정보들을 볼 수 있다.<공교육 입시정보 사이트>▸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2019년 구축한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http://ncic.re.kr)에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평가기준 관련 자료, 새롭게 도입될 2022 개정 교육과정 등에 대한 자료가 탑재되어 있다.▸대입정보포털 어디가대입정보포털 어디가(http://adiga.kr)는 진로정보, 대학/학과/전형, 성적분석, 대입상담 대입정보센터로 나뉘어 다양한 입시·진로 정보를 제공한다. 또, ‘대학어디가TV’에서는 어디가 활용법, 대학/학과/전형 활용법, 2024학년도 대입전형의 특징, 2024학년도 수능 대비 시기별 학습 및 대입준비 전략(1학기) 등 알찬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www.jinhak.or.kr)는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교육 입시 전문 교사들과 교육청 소속 연구원들이 분석한 다양하고 정확한 대입 정보를 제공한다. 진로 정보(직업정보, 관련 동영상, 추천 사이트)와 진로검사, 대학진학정보 등 진로와 진학에 관한 유용한 정보들이 공개되어 있다. 수시 및 정시 지원을 앞두고 사전 예약하면 1:1 진학상담도 받을 수 있다.▸대학알리미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는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운영하는 대학 주요 정보 제공 사이트이다. 대학들의 주요 정보를 공시하고 있다. 대학별 검색, 주요 지표 검색, 학과 정보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대학별 주요 공시 내용을 살펴볼 수 있고 대학 정보와 학과 정보를 상세히 알 수 있어 대학 탐색 시 유용하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대학수학능력시험한국교육과정평가원 사이트(www.kice.re.kr)와 연동된 대학수학능력시험 홈페이지(www.suneung.re.kr)에는 수능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다. 매년 3월 말 그해 치러지는 수능 시행기본계획을 발표하고, 7월 초쯤 수능 시행세부계획을 공고한다. 또, 평가원의 6월, 9월 수능 모의평가도 시행 계획이나 수능 응시원서접수 안내와 접수 결과, 수험생 유의사항 등도 공지한다.▸EBSiEBSi(www.ebsi.co.kr)는 인터넷 강의뿐 다양한 입시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고3·N수 메뉴에 들어가면 입시정보 안에 입시 설명회, 뉴스/공식 발표자료, 입시 매거진, 대입 상담실, 1:1 논술첨삭, 대학별 입시정보, 학습유형검사, 진로탐색 검사 등의 알찬 메뉴가 있다. 또,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모의평가, 전국연합학력평가 기출 문제 등을 볼 수 있다.▸워크넷워크넷(www.work.go.kr)은 고용노동부 고용정보 시스템이지만, 워크넷 내 메뉴 중 ‘직업·진로’는 청소년들의 진로 탐색에 매우 유용하다. 직업심리검사 중 ‘청소년 대상 심리검사’ 메뉴를 활용하면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된다. 또, 학과정보에서는 계열별(인문 계열, 사회 계열, 교육 계열, 자연 계열, 공학 계열, 의약 계열, 예체능 계열) 학과정보와 이색학과 정보도 살펴볼 수 있다. 2023-03-23
- [학교기획] 보인고 신입생 적응교육 프로그램 고교 생활을 막 시작한 1학년 신입생. 입학 전 겨울 방학을 이용해 고교 생활에 대해 미리 접할 기회가 있었다면 학교 적응에 도움이 더 되었을 것이다. 보인고에서 지난 1월과 2월에 실시한 2023학년도 신입생을 위한 학교 적응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다. 학교 이해와 생활 규정을 익히는 시간 입학 이후 고교 조기 적응을 위해 학교생활에 대한 안내와 학급 편성에 따라 담임과 급우를 먼저 만나는 시간은 신입생들에게 동기부여를 주는 시간이다. 보인고에서는 지난 2월 중순에 담임과의 만남을 통해 1년간 학급 운영에 대한 안내와 학급 동료들과 인사, 본인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보인고 서정민 교사는 “입학 전 학생들이 학교 연혁 및 학교 관련 정보를 익히고 학교 시설 및 생활 규정을 아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학교에서 배부한 스터디플래너 작성법을 배우고 자기주도학습교육을 받는 과정 역시 고교 생활의 가장 밑거름이 됩니다”라고 설명했다. 보인고에서는 스터디플래너 작성 방법 기초 교육과 더불어 우수 사례 소개 및 작성법 연습을 교육하여 학생들 스스로 공부의 방향을 잡도록 했다, 이 과정은 고교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학교생활기록부를 성실하게 채워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지도하는 시간이었다. 학생들에게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을 알리고 선배들의 우수 사례를 안내하는 과정, 자기주도학습을 활용하여 대입 준비를 이어가는 과정에 대한 교육 역시 알찬 프로그램이었다.학습 과정 진단을 위해 학습 전략 검사 실시 보인고에서는 신입생들에게 MLST-Ⅱ 학습 전략 검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MLST-Ⅱ 학습 전략 검사는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습관적, 행동적, 전략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이는 학생의 공부 방법이 효율적인지 객관적으로 점검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학습 문제의 정확한 진단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쓰인다. “학생의 학습 전략을 점검하고 앞으로 이어질 대학입시 준비를 위한 기초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물론 보인고 선배들의 대입 실적도 알려주며 학생들이 입시에 대해 현실적인 눈을 갖고 노력을 기울이도록 지도했습니다”라고 서정민 교사가 덧붙였다. 중등 과정과는 확연하게 다른 학습 커리큘럼,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과목 선택의 중요성, 자신의 성향과 적성에 맞게 공부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된 시간이었다. 이런 과정을 쌓아가며 알찬 고교 생활을 이어가는 방법, 성공하는 입시로 가는 지름길을 찾는 방법을 함께 나누었다. 또, 보인고의 인트라넷 사이트로 수업 과제 확인이나 제출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보인아이에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가입하도록 지도했다. 학부모들이 꼭 알아야 하고, 고교 생활의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학부모 알리미(리로스쿨) 가입 역시 학부모 대상 공지사항으로 전달되었다.입학 전 과제 부여, 고교 생활 집중도 높여 입학 전 과제도 학생들에게 주어졌다. 우선 학생들이 스터디플래너를 매일 작성하도록 하고 계획에 따라 실천한 후 하루, 한주, 한달 기준으로 수립한 계획의 실천 여부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는 시간을 갖도록 했다. 학부모(가족)이나 조언자의 주말 확인도 필수로 넣었다. 또, 추천도서 목록 중에서 1월과 2월 각 두 권씩, 총 네 권을 선정하여 읽은 후에 기한 내에 독서감상문을 보인아이에 입력하도록 했다. 학생이 입력한 도서는 입학 후에 담임교사가 학교생활기록부 독서 기록에 반영했다. 서정민 교사는 “학생들이 방학 기간에 자기주도적으로 진로 탐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3차에 걸친 진로 탐색 수행 과제도 준비했습니다. 학교에서 제시한 활동을 수행한 후에 보인아이에 후기를 작성하도록 지도가 이어졌습니다”라고 말했다. 보인고 입학생들을 위한 진로 탐색 과정에는 ‘서울대 아로리 사이트에서 전공 및 진로 탐색’과 ‘서울대 유튜브 채널 ’사로잡다‘에서 전공 탐구’에 대해 학습하고 스스로 계획을 수립하여 체험활동을 진행하도록 했다. 또, 장학생 선발고사를 대비하여 3차에 걸쳐 국어, 영어, 수학 학력평가 풀이 과제를 준비하는 프로그램도 있었다.기숙사와 통학버스 운영도 안정적으로 진행 보인고는 기숙사(인성관)를 운영하고 있다. 기숙사의 수용 정원은 최대 32명으로 4인 1실이다. 학년별 지원자 수에 따라 모집 인원의 변경이 있으며, 공부하는 기숙사, 바른 생활 습관 형성과 인성을 함양하는 기숙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담 사감 교사가 상주하여 학생들의 기상과 취침, 학습 및 생활 관리를 하고 있으며 전용 학습공간도 제공하고 있다. 기숙사는 희망자 중에서 원거리 통학자를 우선으로 배정했다. 통학버스 운행 역시 약 20개 노선이 다양하게 운영 중이며 신입생 수요 조사에 발맞춰 변동의 여지를 두며 운행하고 있다. 서정민 교사는 “지난 1월과 2월, 두 달간 보인고 신입생 적응교육 프로그램에 잘 따라온 학생들은 이미 고교 생활에 잘 안착이 되었습니다. 학교 인트라넷 사이트인 보인아이를 잘 활용할 줄 알고, 자신의 적성과 공부 성향에 맞춰 자기주도학습의 습관을 제대로 익히려고 노력 중입니다”라며 “고교에서 제대로 공부할 줄 아는 힘을 기르고, 함께 어울리는 공동체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는 좀 더 체계적이고 꼼꼼하게 신입생 적응 교육을 해야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2023-03-09
-
2023 고등학교 배정이 된 고1 학생들이 챙겨야 할 것들 1. 학교가 배정이 되면, 그 학교 알리미 사이트 들어가서 체크해야 할 4가지- 연간 일정 및 학교 특색 프로그램 : 학교 특색 사업 및 중간 기말 고사 일정, 교내 행사를 미리 파악을 해 본다.- 교육과정 : 고1 1학기 교육과정을 살펴봐야 한다. 고1은 대부분 공통과목이라서 선택과목에 대한 특이사항이 많은 것은 아니나 강서고와 영일고는 1학년 때 공통과목외에 물리와 화학 1을 진행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거기에 대한 학습 대비를 미리 해둘 필요가 있다.- 동아리 : 생기부 관리의 시작은 자신의 진로에 맞는 동아리 선정부터 이다. 적어도 3개정도의 동아리 리스트를 뽑아서 대비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내신 산출 방식 : 수행평가와 지필 평가 비중과 단답식과 논서술형 비중등을 살펴서 1학기 학습 전략을 짜보는 것이 필요 하다. 2. 중등영어와 고등 영어 내신 대비 전략의 차이점* 꼼꼼해지자. 고등 내신 영어 대비는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학종은 내신이 매우 중요하며, 단위 수 높은 영어 내신은 말할 것도 없이 중요하다. 또한 매 학기 영어 내신 준비를 꼼꼼하게 하다보면, 그 지식이 어디 가는 게 아니라 결국 자신의 전반적인 영어실력으로 연결되므로 수능 대비도 함께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중학교 때처럼 금방 잊어도 시험만 잘 보는 식의 단발성 준비보다는 시간적 여유를 두고 수능 공부하듯이 차분히, 꼼꼼히 공부하는 것이 더 좋다.* 중고등 시험범위의 차이1) 중등영어내신 :범위 - 교과서 위주 출제 / 일부 학교에서 외부지문을 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교과서 위주로 출제2) 고등영어내신 :범위 - 교과서 + 보충교재 + 전국모의고사 + 외부지문다양한 지문을 활용하여 수능유형으로 변형 출제, 어법문제와 어휘문제, 외부지문으로 변별력을 높임* 높아진 고등 영어 내신 난이도학습 습관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거나 학습법을 잘 모르는 학생들, 그리고 중학교 때에 기본기를 제대로 다지지 못한 학생들은 난이도가 향상된 고등영어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중학교 때 포괄적인 공부를 하지 못하고 내신공부에만 신경을 쓴 학생들은 어휘력이 부족하고 문법 지식과 문제 적응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독해 문제를 풀 때 구문파악능력이 빈약하여 단어만 열거하며 글의 내용을 상상하기도 한다. 어법성 판단 문제의 경우, 일부분의 어법만 출제되는 것이 아니라, 어법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변형문제가 나오므로, 단순 암기식의 공부를 계속하게 되면,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부양이 많아져 포기하게 되는 것이 고등영어이다.3. 배정된 학교의 영어 내신 출제 경향 파악해야우선 수업에 충실해야 한다. 학교와 선생님에 따라서 수업시간에 강조하는 사항을 변형 출제 시 반영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교과서, 보충교재, 모의고사 해설수업 등이 진행되므로 수업시간에 최선을 다해 경청하면서 중요사항을 필기하고 당일에 복습을 통해 정리를 해야 한다. 수업시간에 다루지 않는 범위의 자료는 (예; 모의고사 범위 등) 미리미리 어휘를 찾아놓거나 해석을 해놓고 암기나 변형은 시험 준비 기간에 완성 할 수 있도록 한다. 시험범위가 무엇인지를 미리 파악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예: 학교별 프린트물, 단어장, 듣기부교재 등)양천고&진명여고 내신의 특징은 어법+수능모의고사 변형은 기본으로 나오면서도 어려운 듣기 문제와 CNN식 영어 뉴스 문제가 출제 되기도 한다. 이 학교 배정 학생들은 지금부터 여기에 대한 별도 대비가 필요하다. 신목고는 어법 변형 문제와 어휘 문제가 다수 출제가 되며, 목동고는 수능형 모의고사 변형 문제와 서술형 영작 문제를 다수 출제한다. 이렇듯 학교마다 영어 내신 출제 경향을 살펴서 미리 대비해 놓는 것이 중요하다. 4. 고1 중간고사라는 첫 단추부터 확실히 잘 꿰매자 !고등 영어에서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다른 과목보다 다소 일찍 학교 시험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중학교 때에 2~3주 전부터 시험준비를 했다면, 고등학교때는 적어도 4주 전부터는 전 과목 준비 계획을 짜고 영어에 할당된 시간에는 집중력을 발휘해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한다. ‘수업-당일복습-시험공부-영어시험전날 최종 정리학습’ 이런 식으로 단계별 계획을 짜고 실천해야 한다. 학교별 문제유형을 미리 아는 것이 중요하며, 똑같은 시험범위라도 어떤 학교는 교과서를 50% 가량 내는 학교가 있고, 어떤 학교는 선생님이 주시는 프린트물이 70% 가량을 차지하는 학교도 있다. 학교별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반드시 기출문제를 한 번씩 보고, 공부계획을 세울 때, 어느 부분에 가장 비중을 두어야 하는지의 전략을 세워야 한다. 영어공부에만, 시간투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실패없는 내신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략을 만들어 실천하라. 마지막으로, 고등영어는 100점이 불가능할 수 있다. 90점 이상도 힘든 학교가 허다하다. 목동 영어의 자존심YNS 열정과신념영어학원 V12 고등학원제니퍼 원장본원 02-2646-7905센텀관 02-6958-5950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