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검색결과 총 8,686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기획- 굳건한 신화, 행자부 통제를 풀어라 평촌에 있는 안양시립도서관에는 사서가 4명이다. 건물면적1096평, 장서수 15만5906권. 독서진흥법 규정대로 300㎡당 1명, 장서수 6000권당 1명을 합산해 결정한다면 사서는 이보다 훨씬 많아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오히려 5명이나 되는 청경보다도 1명이 적은 숫자다. 이에비하면 과천 도립도서관은 형편이 훨씬 낫다. 사서 17명, 장서수 22만6580권, 면적은 1232평이다. 물론 이곳도 사서가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지만 단지 도립이라는 이유 때문에 시립보다는 훨씬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경기도 안산시는 현재 19만세대에 인구 58만이고 고잔신도시 입주가 완료되는 올 연말이면 70만에 이르지만 전국 50만 이상 도시 중 유일하게 구청이 없다. 재정규모와 인구수가 비슷한 경기 안양, 충북 충주, 전북 전주시와 오히려 인구가 적은 경남 마산과 경북 포항시도 2개의 구청이 있다. 공무원수도 안산이 1263명인데 비해 안양 1542명, 청주 1565명, 전주 1805명이며, 인구가 적은 포항 1888명, 마산시도 1653명으로 안산보다 많다. 공무원 1인당 주민수는 452명으로 전국평균 261명, 경기도 평균 371명을 훨씬 초과하고 있다. 신규행정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최소 2개의 구청과 공무원 증원이 절실한 안산시는 현재 행자부에 승인을 요청한 상태. 시장은 물론 경기도지사도 공무원1명을 늘리거나 줄일 권한이 없다. 더구나 시장군수는 인사에 관한 한 사실상 아무런 권한이 없다. 몇 번이고 반복되는 조직개편도 도지사의 승인이 있어야 가능하다. 공무원 정원조정은 행자부가 가진 권한이기 때문이다. 행자부의 권한집중과 천편일률적 규제가 오늘 우리 지방자치의 척박한 현실을 대변한다. 권위주의 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방을 통제하고 간섭했던 행자부의 역할은 지방자치를 실현하고 있는 현재도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다만 지자체가 기대를 거는 것은 현재 진행중인 지방자치법 개정작업 및 지방이양추진위원회의 활동. 개정될 지방자치법이 실체를 드러내면 현재보다는 많은 권한이 지방에 위임될 것으로 보인다. 행자부 관계자에 따르면 인사에 관한 권한을 지방에 대폭 위임하고 대신 예산을 갖고 적절히 대응하는 경제통제방식을 연구중이다. 공무원 1인을 줄이면서 연 4000만원의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이 적극 고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방안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일단 고육지책이라는 것. 단적으로 공무원 봉급도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단체가 전국적으로 70∼80%에 육박하는 현실에서 권한만 넘겨주기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견해에 반대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세목을 조정해 지방의 재정자립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세의 비율을 낮추는 대신 지방세율을 높이고 그래도 문제가 되는 자치단체는 별도의 방식으로 관리해야 마땅하다는 것. 결국 행자부의 권한집중문제는 단지 인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재정, 행정단계 축소 등 여러문제를 복합적으로 검토할 문제이다. 그러나 행자부의 역할과 기능을 최소화하는 것이 시대의 흐름에 맞다는 주장은 대체로 합의되는 대목이다. 아주대학교 김준한 교수(행정학)는 “지방자치를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행자부의 간섭을 줄이고 기능을 축소하는 것이 마땅하다”면서 “중앙인사위원회가 만들어진 만큼 중앙 인사는 인사위원회에, 예산은 기획예산처로 분산하고 지방인사는 지방에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량권이 없는 지방에서 정실인사에 대한 논란은 종식되기 어렵다는 주장도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 수원 정흥모·곽태영 기자 hmchung@naeil.com 2002-01-28
- 2)굳건한 신화 - 행자부 통제를 풀어라 평촌에 있는 안양시립도서관에는 사서가 4명이다. 건물면적1096평 , 장서수15만5906권. 독서진흥법 규정대로 300㎡당 1명, 장서수 6000권당 1명을 합산해 결정한다면 사서는 이보다 훨씬 많아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오히려 5명이나 되는 청경보다도 1명이 적은 숫자다. 이에비하면 과천 도립도서관은 형편이 훨씬 낫다. 사서17명, 장서수 22만6580권, 면적은 1232평이다. 물론 이곳도 사서가 부족하기는 마찬가지지만 단지 도립이라는 이유 때문에 시립보다는 훨씬 여유를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경기도 안산시는 현재 19만세대에 인구 58만이고 고잔신도시 입주가 완료되는 올 연말이면 70만에 이르지만 전국 50만 이상 도시 중 유일하게 구청이 없다. 재정규모와 인구수가 비슷한 경기 안양, 충북 충주, 전북 전주시와 오히려 인구가 적은 경남 마산과 경북 포항시도 2개의 구청이 있다. 공무원수도 안산이 1263명인데 비해 안양 1542명, 청주 1565명, 전주 1805명이며, 인구가 적은 포항 1888명, 마산시도 1653명으로 안산보다 많다. 공무원 1인당 주민수는 452명으로 전국평균 261명, 경기도 평균 371명을 훨씬 초과하고 있다. 신규행정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최소 2개의 구청과 공무원 증원이 절실한 안산시는 현재 행자부에 승인을 요청한 상태. 시장은 물론 경기도지사도 공무원1명을 늘리거나 줄일 권한이 없다. 더구나 시장군수는 인사에 관한 한 아무런 권한이 없다. 몇 번이고 반복되는 조직개편도 도지사의 승인이 있어야 가능하다. 공무원 정원조정은 행자부가 가진 권한이기 때문이다. 행자부의 권한집중과 천편일률적 규제가 오늘 우리 지방자치의 척박한 현실을 대변한다. 권위주의 통치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방을 통제하고 간섭했던 행자부의 역할은 지방자치를 실현하고 있는 현재도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다만 지자체가 기대를 거는 것은 현재 진행중인 지방자치법 개정작업 및 지방이양추진위원회의 활동. 개정될 지방자치법이 실체를 드러내면 현재보다는 많은 권한이 지방에 위임될 것으로 보인다. 행자부 관계자에 따르면 인사에 관한 권한을 지방에 대폭 위임하고 대신 예산을 갖고 적절히 대응하는 경제통제방식을 연구중이다. 공무원 1인을 줄이면 년 4000만원의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이 적극 고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방안에 대한 학계의 반응은 은 일단 고육지책이라는 것. 단적으로 공무원 봉급도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단체가 전국적으로 70~80%에 육박하는 현실에서 권한만 넘겨주기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견해에 반대하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세목을 조정해 지방의 재정자립도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세의 비율을 낮추는 대신 지방세율을 높이고 그래도 문제가 되는 자치단체는 별도의 방식으로 관리해야 마땅하다는 것. 결국 행자부의 권한집중문제는 단지 인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재정, 행정단계 축소 등 여러문제를 복합적으로 검토할 문제이다. 그러나 행자부의 역할과 기능을 최소화하는 것이 시대의 흐름에 맞다는 주장은 대체로 합의되는 대목이다. 아주대학교 김준한 교수(행정학)는“지방자치를 제대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행자부의 간섭을 줄이고 기능을 축소하는 것이 마땅하다”면서“중앙인사위원회가 만들어진 만큼 중앙 인사는 인사위원회에, 예산은 기획예산처로 분산하고 지방인사는 지방에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량권이 없는 지방에서 정실인사에 대한 논란은 종식되기 어렵다는 주장도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곽태영 기자 2002-01-28
- 국립과학관 이전 결정 후유증 우려 수도권 14개 자치단체가 유치 경합을 벌여온 국립과학관 이전 대상지가 경기도 과천시로 최종 결정됐다. 이에 과천시는 거리에 현수막을 내걸고 과천 이전결정을 환영한 반면, 의왕시와 군포시, 안산시 등 과학관 유치경쟁에 뛰어들었던 인근 자치단체들은 “과기부가 과천시를 이전대상 지로 내정해 놓고 들러리만 세운 꼴”이라며 강한 불만을 표시, 후유증이 우려된다. 과학기술부는 지난 26일 국립 서울과학관 이전부지로 과천시 과천동 191번지 일대 10만평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과기부는 “지난해 11월 수도권 14개 지방자치단체로부터 후보지 15곳에 대한 유치 신 청을 접수받아 서면평가, 현지실사 등을 통해 심사한 결과, 과천 후보지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국립과학관 이전 대상지가 발표되자 과천시는 거리에 현수막을 내걸고 이를 환영했다. 과천시 한 관계자는 “국립과학관이 건립되면 과천의 도시이미지 제고와 지역경제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면, 의왕과 군포, 안산시 등 과학관 유치경쟁에 참여했던 인근 자치단체 관계자들은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의왕시 한 관계자는 “과학관 유치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 적극적인 유치활동을 벌였는데 아쉽다”고 말했다. 군포시 관계자는 “유치경쟁이 시작되기 전부터 과천이 유력지로 내정 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는데 결국 사실로 드러난 것 아니냐”며 “유치경쟁을 통해 지자체는 행정력과 예산만 낭비했고 정부는 부지매입비를 아끼는 결과를 낳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군포시는 2000만원 가량의 용역비를 지출해 유치희망서를 작성했고 안산시는 유치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행정력을 집중했다. 대부분 희망지역은 10만평의 대상부지를 무 상제공하겠다고 제안했고, 일부지역은 시민단체가 성명을 발표하고, 서명운동까지 전개하는 등 과열경쟁이 우려되기도 했다. 해당 자치단체 관계자들은 “결국 당초 과기부가 이전 적정지로 분석했던 과천시로 낙점, 나머지 시는 들러리를 선 것 밖에 안됐다”며 “그냥 건립했으며 국가가 부담해야할 건립비 용을 광역과 기초단체에 떠넘기고 이득을 얻어간 꼴”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이들은 경기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김영환 전 과기부장관에게 이번 국립과학관 결정과정이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해 정치적 파장도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과기부측은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부지선정평가위원회가 서류검토를 통해 5개 후보지를 선정, 현지실사 및 종합평가를 실시하는 등 최대한 공정성을 기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에 선정된 부지는 과천경마공원과 서울대공원, 국도 47호선 사이 10만평이며 과학관 건물과 전시공간이 각각 1만5000평, 9000평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신축 과학관은 총 1855억원을 들여 과학과 자연, 환경이 어우러진 과학문화 테마파크로 조성될 계획이며 오는 2003년 착공해 2006년 완공할 예정이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2002-03-02
- 제2의 새만금·시화호 논란 재연하는 마무리 단계에 이르고 있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화옹호의 막바지 물막이 공사를 앞두고 새만금호와 시화호에서 벌어졌던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논란은 쌀 증산에 따른 무용론 등 본질적인 공방에서부터 수질오염대책으로 이어지면서 시행자인 농업기반공사와 경기도의 심각한 갈등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경기도 화성시 남양면∼장안면 앞바다를 잇는 화옹지구 간척개발사업은 총 7600억원의 농지관리기금을 들여 9.8㎞의 방조제로 바다를 막아 6482㏊의 간척지와 1730㏊의 담수호를 조성하는 사업. 지난 91년 공사를 시작해 오는 2012년 완공할 예정이며 3200억원이 투입되는 방조제 공사는 현재 총 길이 9.8㎞중 8.8㎞ 구간공사를 마치고 나머지 1㎞를 남겨놓고 있다. 막바지 공사를 앞두고 경기도는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선 환경기초시설 설치’를 주장하는 반면 농업기반공사는 막대한 예산 낭비를 막기 위해‘선 공사 후 마무리’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남은 1㎞구간은 해수간만의 차가 적은 3월을 놓치면 공사가 어렵고, 공기가 늦어지면 엄청난 추가예산이 투입돼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3월 안에 공사를 강행하려는 농업기반공사와 이를 저지하려는 경기도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 경기도 입장= 경기도의 주장은 다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는 화홍호 간척사업의 목적이 쌀 증산에 있고, 현재 쌀 증산의 필요성이 상실됐으므로 간척사업의 본질적인 목적과 의미는 이미 상실됐다는 것. 여기에다 환경기초시설 부재에 따른 수질오염으로 제2의 시화호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화옹호는 화성시 서신면과 장안, 남양, 마도, 서신 등 5개 동·면에 걸쳐 있고 8개 동·면의 각종 생활하수와 축산폐수 등이 남양천과 어은천, 자안천을 통해 호수로 유입된다. 호수 유역에는 3만3000여명의 주민과 하루 평균 2192t의 산업폐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생활폐수를 합칠 경우 하루 1만3893t의 폐수가 화옹호로 유입되고 있다. 산업폐수의 경우 2012년 1일 배출량이 5317t까지 늘어날 것으로 도는 추산하고 있다. 하수종말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이 전무한 상태에서 농업기반공사와 도는 2000년 10월 모두 1380억원을 투입, 1일 3만1000t 규모의 하수처리장 2곳과 축산폐수 자원화시설, 인공습지와 침강지 등을 조성하는 내용의‘화옹호 수질개선대책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시설공사는 화성시가 부담금 197억원을 마련하지 못해 착공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따라 도는‘물막이 공사를 먼저 마무리할 경우 수질오염은 불가피하다’며 환경기초시설을 먼저 설치하자는 입장이다. 이와관련 경기개발연구원은 26일 발표한‘화옹호 수질개선대책’용역보고회를 통해 지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생화학적산소요구량(COD) 농도가 계절별로 0.6∼3.6ppm으로, 해역수질기준 1∼3등급 사이를 유지해온 화옹호 수질이 방조제를 막을 경우 해수를 유통시킨다 하더라도 2.33∼9.30ppm으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도는 지난 21일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농업기반공사의 화옹호 물막이 공사 강행을 막기 위한 조정을 신청했으며, 24일에도 환경부에 공사중지명령을 내려달라고 공식 요청했다. 환경단체들도 수질오염을 우려, 공사 강행을 반대하는 도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농업기반공사 입장 농업기반공사는 우선 공사를 강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화홍호를 막는 것은 그야말로 난공사로 해수간만의 차가 가장 적은 3월을 놓치면 더 이상 공사를 진행하기 어렵다는 것. 갑자기 강력한 반대로 돌아선 경기도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있다가 마무리단계에 와서 갑자기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배경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쌀에 대한 문제제기에 대해서도‘쌀 재고가 매년 증가한다고 볼 수 없으며 자연재해 등에 대비, 우수한 농지를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사업은 계속돼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농업기반공사는 또 환경기초시설에 대해‘지금 물막이 공사를 해도 환경기초시설이 설치되는 오는 2008년까지 배수갑문을 통해 해수를 유통시킬 계획’이며 따라서‘시화호와 같은 수질오염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농업기반공사측은 배수갑문을 이용해 전체 호소수량의 58%에 해당하는 1일 최고 3100만t의 해수를 유입시킬 경우 호소수질은 해역수질기준 3등급을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루 전체 호소수량의 5∼10%를 교체하는 시화호와 달리 화옹호가 제2의 시화호로 전락할 가능성은 없다는 주장이다. 농업기반공사는 그러나 물막이 공사를 중단할 경우 기존 방조제 등이 유실돼 연간 207억원 가량의 예산이 낭비되며, 어민들의 어업활동도 지연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농업기반공사는 화성시의 부담에 대해서도‘간접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 마련하겠다’며‘화옹지구 사업이 완료되면 이 지역 농어민들이 실질적 수혜자가 된다’고 밝히고 있다. 이 지역 농어민들은 대체로 농업기반공사의 입장에 동조하고 있다. /안산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2002-02-27
- 에너지절약추진시책 종합평가오산시1위 경기도가 도정역점시책 중 에너지절약시책부문에 대한 시・군 추진실적 종합 평가 결과 오산시가 1위를, 2위는 고양시, 3위는 하남시가 차지했다. 24일 도에 따르면 1위를 차지한 오산시는‘고효율에너지기기 상설전시대 설치, 공공건물고효율기기교체실적, ESCO추진실적, 교육 홍보 강화’등 각 부문에서 최고 점수를 받아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 오산시는 2002년도 에너지절약시설 설치를 위한 국・도비를 최우선 배정 받게 된다. 부문별 평가항목 결과 에너지절약추진위원회 구성・운영, 에너지절약담당부서 지정・운영 등을 평가한 공통부문에서 1위는 고양・군포, 과천시 2위는 광명, 오산시 3위는 안양・포천・양주군으로 평가됐다. 공공청사 고효율에너지교체실적, 민간분야 고효율기기 교체실적, ESCO추진실적, 건축조례 이행실태 등을 평가한 건물부문에서는 1위 오산, 2위 고양시, 3위 파주시로 평가됐다. 공공청사의 ESCO 추진은 정부방침 연면적 1만㎡보다 확대된 읍・면・동・사업소 등 564개 모든 청사를 대상으로 추진했으며 이 결과 71%인 400개소가 ESCO진단을 완료했으며 성남시 등 16개시・군은 100%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용차부제운영, 경자보급우대정책추진, 자건거 타기 활성화 등을 펴가한 수송부문에서는 1위 오산시, 2위 시흥・남양주시, 3위 고양・의정부・의왕시로 평가됐다. 평가결과 경차에 대한 주차료 감면, 전용주차장 확보 등의 우대정책은 정부차원에서 강력히 추진해 이행이 잘되고 있으나 일부 시・군에서는 아직 경차에 대한 부제 면제 이행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및 홍보부문에서는 1위 오산・고양・동두천시, 2위 과천시 3위 파주로 평가됐으며 기관장 및 관계공무원의 추진의지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원 안산 화성 용인 등 10개시・군은 반상회보조차 배포하지 않는 등 홍보에 대한 열의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평가됐다. 도는 지난해 공동주택 신축시 반드시 고효율에너지기기를 의무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경기도건축 조례를 개정・시행한 결과 총 103건중 55건정도가 에너지절약추진계획을 이행한 것으로 나타나 업계 및 공무원들의 관련 규정 숙지 미흡과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전국 최초로 고효율기기보급확산을 위한 민간보조사업을 평가한 바 재정 자립도가 낮은 시・군일수록 기관장 및 담당공무원들이 많은 관심을 갖고 추진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오산 하남 양주 고양 양평 안성시의 경우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 1억원이상의 민간보조금을 확보, 주민들로부터 호응을 받은 것으로 평가됐다. 도 관계자는“평가결과 고효율기기 보급 확산을 위한 민간보조사업, 공동주택의 고효율기기 사용의무화, 공공청사 ESCO 추진, 경차우대를 위한 시책 추진 등은 잘 이행되고 있었다”며“그러나 관계공무원의 규정 숙지미흡, 홍보활동 부족과 기관장의 관심부족이 문제로 지적됐다”고 말했다.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2002-01-24
- 소설 모방 ‘엽기적’ 살인 서울중부경찰서는 25일 영국소설 ‘콜렉터’를 모방, 20대 여성에게 마취제를 먹여 성추행한 후 숨지게 한 혐의(살인)로 양 모(29)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양씨는 24일 오전 10시쯤 안산행 지하철 4호선 열차 안에서 술취해 자고 있던 용 모씨(23)씨를 명동역에서 내리게 한 뒤 음료수병에 든 마취약 200㎖를 강제로 먹여 숨지게 했다. 양씨는 역구내 벤치에서 용씨를 자신의 무릎 위에 앉히고 1시간 여 동안 성추행한 혐의도 받고 있다. 양씨는 곤충채집가인 주인공이 짝사랑하는 여성을 마취제를 이용해 강제로 납치한 뒤 성폭행 하고 잔혹하게 살해하는 내용의 소설을 읽고 이같은 범행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양씨는 용씨를 성추행 하는 모습을 수상히 여긴 공익 근무요원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의 추궁 끝에 범행일체를 자백했다. 경찰은 양씨의 집에서 밑줄을 쳐가며 읽은 소설 ‘콜렉터’와 여자친구를 사귀지 못해 비관하는 내용이 담긴 일기장 등을 압수했다. 2002-02-26
- 공무원 선호도 높아지나 경기도가 지난달 4일부터 7일까지 2002년도 9급 공개경쟁임용시험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모두 700명 모집에 1만2016명이 지원, 평균 17.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시·군별로는 수원시 세무직은 1명 선발에 126명(126.0대1)이 응시했으며, 수원시 행정직은 46명 선발에 1065명(23.1대1), 수원 보건직 2명 선발에 205명(102.5대1), 안산 행정직 90명 선발에 2234명(24.8대1)이 지원하는 등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직렬별로는 442명을 선발하는 행정직 일반에 8655명(경쟁률 19.5대1)이 지원했고, 행정직 장애인 5명 선발에 78명, 사회복지 32명 선발에 418명, 세무직 11명 선발에 384명, 전산직 13명 선발에 248명, 사서직 19명 선발에 132명이 지원했다. 또 농업직은 18명 선발에 167명, 임업직 19명 선발에 179명, 보건직 15명 선발에 624명, 토목직 78명 선발에 787명, 건축직 37명 선발에 282명, 지적직 11명 선발에 63명이 지원했다. 행정직 일반지원자 8655명중 남녀비율은 남성 3275명, 여성이 5379명이 지원하여 상대적으로 여성지원자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24세이하 3428명, 25세이상 5226명, 30세이상은 979명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은 고졸이 1124명, 전문대졸 2047명, 대졸이상 5480명으로 군제대 및 졸업 후 공무원채용시험에 지원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공채시험일인 오는 3월 10일 응시생의 편의를 위해 수원 성남 부천 안양 안산 의정부권역 등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할 계획이다.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2002-02-25
- 정부, 철도파업 관련 비상수송대책 돌입 정부는 25일 철도노조의 파업돌입과 관련, 항공기,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등 동원 가능한 교통수단을 최대한 확보하고 비상 수송대책에 들어갔다. 건교부는 “중장거리 열차 승객은 항공, 고속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으로 해결될 수 있으나 수도권 전철의 경우 혼잡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수도권 전철의 파업노선 구간은 △경수선(서울∼수원) △경인선(구로∼인천) △경원선(용산∼의정부) △안산선(금정∼오이도) △과천선(금정∼남태령) △분당선(수서∼오리) △일산선(지축∼대회) 등이다. 서울에서 수원방면의 배차시간은 러시아워 기준 6분에서 12.6분으로, 용산∼청량리 국철은 12분에서 19분으로, 수서∼오리는 4분에서 15분으로 각각 늘어난다. 정부는 이들 구간에 시내버스 30개노선 986대를 투입하고 청량리∼구로에는 출,퇴근시간에 무료 셔틀버스를 5∼6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인천의 제물포역 등 7개 주요역과 온수역까지는 오전 6시부터 8시30분까지 임시노선버스 6개사 47대를 투입했으며 경기도는 11개 도시별로 시내버스 166대와 셔틀버스 245대를 증차 운행중이다. 건교부는 이번 파업으로 316회 운행하던 경부선 열차가 142회로 44.9%, 경인선이 630회에서 211회(34.1%), 경원선이 157회에서 108회(68.9%), 안산·과천선이 312회에서 252회(80.8%), 일산선이 274회에서 254회(92.7%), 분당선이 356회에서 148회(41.6%)로 각각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새마을호 열차는 운행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화물열차는 434회 운행에서 20회로 줄어들어 서울∼지방도시간 화물수송에 비상이 걸렸다. 2002-02-25
- 지자체 외국투자 4억3천만달러 유치 지방자치단체의 공유지 매각 또는 임대가 외국인투자를 이끌어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행정자치부는 “지자체가 외국인에게 공유지를 매각 또는 임대할 수 있도록 지방재정법시행령이 개정(1999년 4월)된 이후 2년7개월 동안 11건에 4억3000만달러(5590억원)의 외국인 투자가 유치됐다”고 밝혔다. 행자부에 따르면 부산시 등 7개 자치단체의 투자유치 결과 1일 7378명의 고용증대와 연간 6950억원의 지역경제 유발효과를 보았다. 자치단체별로는 사천시 2억5765만달러, 경기도 7500만달러, 양산시 4600만달러, 서귀포시3700만달러, 안산시 1500만달러, 부산시 232만4000달러, 광주시 12만6000달러 등이다. 투자 유형별로는 제조업이 3억67만6000달러, 학교 232만4000달러, 실버타운 7500만달러, 대형할인매점 1500만달러, 관광놀이시설 3700만달러 등이다. 나라별로는 미국과 일본이 4곳, 영국, 독일, 노르웨이 각 1곳 등이다. 2002-02-24
- 공무원 선호도 높아지나 경기도가 지난달 4일부터 7일까지 2002년도 9급 공개경쟁임용시험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모두 700명 모집에 1만2016명이 지원, 평균 17.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시·군별로는 수원시 세무직은 1명 선발에 126명(126.0대1)이 응시했으며, 수원시 행정직은 46명 선발에 1065명(23.1대1), 수원 보건직 2명 선발에 205명(102.5대1), 안산 행정직 90명 선발에 2234명(24.8대1)이 지원하는 등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직렬별로는 442명을 선발하는 행정직 일반에 8655명(경쟁률 19.5대1)이 지원했고, 행정직 장애인 5명 선발에 78명, 사회복지 32명 선발에 418명, 세무직 11명 선발에 384명, 전산직 13명 선발에 248명, 사서직 19명 선발에 132명이 지원했다. 또 농업직은 18명 선발에 167명, 임업직 19명 선발에 179명, 보건직 15명 선발에 624명, 토목직 78명 선발에 787명, 건축직 37명 선발에 282명, 지적직 11명 선발에 63명이 지원했다. 행정직 일반지원자 8655명중 남녀비율은 남성 3275명, 여성이 5379명이 지원하여 상대적으로 여성지원자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24세이하 3428명, 25세이상 5226명, 30세이상은 979명으로 나타났으며, 학력별은 고졸이 1124명, 전문대졸 2047명, 대졸이상 5480명으로 군제대 및 졸업 후 공무원채용시험에 지원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공채시험일인 오는 3월 10일 응시생의 편의를 위해 수원 성남 부천 안양 안산 의정부권역 등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실시할 계획이다. /수원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2002-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