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검색결과 총 103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17년 정유년을 여는 공연과 전시 2017년 1월은 거장들의 전시가 먼저 찾아왔다. 갤러리 아라리오 천안은 노부코 와타나베의 설치작품을, 당림미술관은 故당림 이종무 화백의 인물화를 선보인다.당림 이종무 화백은 충남 아산 출신으로 국내 서양화 본류에서 존경받는 작가이며 노부코 와타나베는 한국미술의 단색화를 떠올리게 할 만큼 색감이 인상적인 작가다.미술품을 사진으로만 감상하게 되면 작품은 단순함과 평면 그 이상을 넘어설 수 없다. 실제 작품의 크기와 질감을 접하고 빛을 받은 입체적 색감을 눈으로 확인하는 작품 감상은 우리가 바라는 예술적 심미안을 더욱 키워준다.겨울방학인 1월, 자녀들과 함께 수준 높은 미술작품을 함께 감상하는 경험을 해보자. 교육 그 이상의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온 가족이, 공연 수준 대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만끽할 수 있는 행복콘서트도 기다리고 있다. (좌)노부코 와타나베 Nobuko WATANABE, 나무 프레임 위에 천 fabric on wooden frame, 40x40x5.5(d)cm, 사진제공 갤러리 아라리오 (중)노부코 와타나베 Nobuko WATANABE, green and blue and blue, 2007, 나무 프레임 위에 천 fabric on wooden frame, 189x277x16(d)cm, 사진제공 갤러리 아라리오 (우)노부코 와타나베 Nobuko WATANABE, wine red and red/ wine red and yellow/ orange and yellow, 2016, 나무 프레임 위에 천 fabric on wooden frame, 40x40x5.5(d)cm, 사진제공 갤러리 아라리오 ◆ 노부코 와타나베 개인전 <색과 공간 너머의 이면>갤러리 아라리오 천안이 선택한 2017년 첫 전시는 ‘노부코 와타나베’의 ‘색과 공간 너머의 이면’이다.와타나베는 색색의 천을 나무 프레임 위에 펴놓고 잡아당겨 그 장력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곡선 형상이 도드라지게 만들어내는 작가다. 단순한 이미지 형상이 완만한 곡선과 굴곡이 이루어내는 경계의 심화감을 통해 색의 정교한 조화로 완성되는 작품들이다.와타나베는 작가노트에서 “이번 전시는 펼쳐진 천 위에 존재하는 긴장감과 부드러운 곡선, 리듬과 조화, 인간과 물질, 관계와 무관계,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 시간과 공간, 색과 형태, 물리학과 형이상학 등 서로 다른 요소 간 관계적 사유를 색과 공간 너머의 이면을 주제로 시각적으로 드러낸다”고 밝혔다.피아노를 전공한 노부코 와타나베는 1975년 독일로 이주하며 미술 활동을 시작했다. 1994년 아시야 시립 미술관 전시를 통해 이름을 알리며 1997년 ‘요시하라 지로’ 최고상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은 일본 오사카 현대미술관, 아오모리 현대미술관, 키타큐수현 국립미술관, 오타니 미술관 등 세계 주요 국공립 미술관에 소장돼 있다.아라리오 천안에서는 1990년대 천 작품에서부터 최근 스테인리스 작품까지 와타나베의 조각 및 설치 작품 50여점을 만나볼 수 있다.청소년 20인 이상 단체 관람 시 무료입장이 가능하며 토·일 오후 2시와 4시에 사전 예약하면 도슨트를 무료 제공한다. 전시기간 : 1월 17일(화)~5월 7일(일)관람시간 : 오전 11시~오후 7시(신세계백화점 휴무일 휴관)관람요금 : 성인 3000원 학생 2000원, 미취학 어린이 무료관람문의 : 041-551-5100◆ 故당림 이종무 화백 인물화 展 <그려진 시간, 남겨진 모습>충남 1호 미술관 당림미술관이 2017년 정유년 첫 번째 전시로 故당림 이종무 화백의 인물화를 모아 전시한다. 이번에 만날 작품은 당림 화백의 가족, 지인을 그린 인물화에서부터 전문 모델을 그린 누드화와 그의 시기별 자화상들이다.당림의 인물화는 인물에만 집중하지 않고 인물이 머문 공간의 배경도 같은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 여느 인물화와 다른 독특한 구도와 기법으로 주목받아왔다. 시선에 머문 대상의 한 장면 전체를 화폭에 담음으로써 그 순간과 공간을 이미지로 기록하고자 했던 당림의 시도들을 엿볼 수 있다. 아울러 당림의 화풍이 주는 따뜻하고 고풍스런 색감의 유화들을 통해 그 시대 유화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전시기간 : 1월 3일(화)~4월 11일(화)관람시간 : 화~금 오전 10시~오후 6시(평일) / 오후 5시(주말·공휴일)관람요금 : 성인 4000원 청소년·어린이 2000원관람문의 : 041-543-6969◆ 새해 첫 행복 콘서트, 101번째 <뮤직 큐레이터 박은영의 영화를 듣다> 천안시가 시민들을 위해 마련하는 행복 콘서트가 101번째를 맞이했다. 2017년 새해 처음 열리는 이번 행복콘서트는 뮤직 큐레이터 박은영이 영화와 음악을 더 잘 이해하게끔 곡의 성격과 맞는 시각적인 장치나 설치미술작품을 활용해 느낌을 전달해주는 특별한 공연이다.특정계절의 영화에 스페셜 무대를 꾸며 계절별로 나뉜 영화들의 명장면과 함께 테마별 영화음악을 성악팀과 악기팀으로 나누어 연주한다. 남자보컬 4명, 여성보컬 1명,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등 보컬과 연주가들이 다양한 곡들을 선보인다.우리에게 익숙하면서도 아름다운 곡들을 다채로운 방식으로 감미롭게 감상할 수 있다.예매수수료 포함 2000원.일시 : 1월 20일(금) 7시 30분장소 : 천안시청 봉서홀문의 : 1644-9289 2017-01-08
- <FORNASETTI 포르나세티 특별전> DDP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는 피에로 포르나세티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아들 바르나바 포르나세티가 기획한 <FORNASETTI 포르나세티 특별전>이 열린다. 이 전시는 밀라노, 파리를 거쳐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전시이며 밀라노의 포르나세티 아카이브에서 선정한 1,300여점의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화가, 조각가, 판화가, 디자이너, 수집가, 스타일리스트, 숙련된 장인, 갤러리스트, 전시 홍보 담당자 등 포르나세티를 수식한 단어들은 매우 다양하다.총 14개 섹션으로 구성된 이번 전시는 화가로서 포르나세티의 시작부터 그의 아티스트 북을 생산하던 인쇄소, 1940년대, 1950년대, 그리고 1960년대에 있었던 지오 폰티와 긴밀했던 콜라보레이션, 또 1970년대부터 피에로가 사망했던 1980년대까지의 힘들었던 시간들부터 바르나바가 창조하는 현대적인 최근 작업까지도 아우르고 있으며 각 섹션마다 그의 장식에 대한 열정과 애정 그리고 끊임없는 예술적인 시도들을 만나 볼 수 있다.자료제공 (주)아트몬 From the “Autoritratti” (selfportraits) series, 1941 1954. India ink on paper. Armchair “Entomologia” (entomology) from “Baciamano” collection designed by Nigel Coates and Barnaba Fornasetti , 2014. Fornasetti umbrella stand tromp l’oeil “Afghano”. Metal. Printed, lacquered and painted by hand. 1950s. 2016-12-24
-
방학 동안 볼 만한 전시 방학이 다가오면 꼭 챙겨둬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아이들과 함께 가볼만 한 전시 정보.쳇바퀴 같은 일상에서 벗어나 도심 속에서 휴식을 즐길 수 있는 문화 나들이는 방학이면 빼놓을 수 없는 시간이다.추운 겨울 아이와 함께 잠깐이나마 몸과 마음을 녹일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할 전시 프로그램을 소개해 본다.자료 각 기획사 홍보팀 및 홈페이지<알폰스 무하, 모던 그래픽 디자인의 선구자 展>무하는 프랑스 여배우 사라 베르나르(Sarah Bernhardt)의 포스터와 품위 있는 여성과 꽃들을 소재로 한 장식 패널, 네슬레와 모에 샹동 등의 브랜드를 홍보하는 포스터 작가로 유명세를 떨치며 새로운 예술 포스터의 시대를 예고했다. 당시 아르누보의 정수로 알려진 무하의 장식화들은 특별하게 여겨졌으며 19세기 미국과 유럽에 퍼지며 대표적인 아르누보 스타일로 자리 잡았다.이번 전시는 모던 그래픽 디자인의 선구자로서 알폰스 무하가 성취한 업적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알폰스 무하 재단 컬렉션에서 엄선된 300여 점의 유화, 판화, 사진, 디자인 상품, 장식품, 드로잉 등을 포함하는 이번 전시는 아르누보의 꽃이라 불리는 무하의 생애 전반에 걸친 예술세계와 그가 오늘날 현대예술과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 미친 영향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시가 될 것이다.●전시기간 ~ 2017년 3월 5일(일)까지(12/26, 2/27 휴관 / 설 연휴 정상운영)●전시장소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2층●관람시간 오전 11시 ~ 오후 7시 (3월은 오후 8시까지, 입장은 전시 종료 1시간 전 마감)●관람요금 성인 15,000원 / 청소년 10,000원어린이 8,000원 / 유아 5,000원<간송과 백남준의 만남: 문화로 세상을 바꾸다>간송미술문화재단의 작품들과 백남준의 작품들에서 연관성을 찾고 작품 간에 연결을 시도한 전시이다. 예를 들어 장승업의 <오동폐월>과 백남준의 <달에 사는 토끼>가 함께 전시된다. 장승업의 작품에는 오동나무 밑에서 노란 국화가 피며 개는 달을 향해 짖는다. 백남준의 나무로 조각한 토끼는 TV 화면 속의 달을 응시한다. 달과 동물이라는 아주 흔하지만 특별한 소재가 함께 만난 것이 재미있고 우리들의 상상 속에 존재하는 봉황과 달에 사는 토끼를 통해 달이라는 소재가 주는 상상력의 자극을 함께 생각하게 한다.간송미술문화재단에서는 조선 중기 화단의 대가 연담 김명국과 조선 남종화의 대가 현재 심사정의 대표작들과 함께 조선 후기의 호생관 최북의 산수화 및 인물화, 그리고 조선말의 대표적 화원 화가 오원 장승업의 작품들을 출품한다. 백남준아트센터에서도 28점의 작품이 출품된다.●전시기간 ~2017년 2월 5일(일)까지(월요일 휴관)●전시장소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배움터 2층 디자인박물관●관람시간 오전 10시 ~ 오후 7시●관람요금 성인 8,000원 / 학생 6,000원<유영국, 절대와 자유>전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는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한국의 근대미술 거장 시리즈(변월룡, 이중섭, 유영국)의 마지막 전시로 <유영국, 절대와 자유>전이 열린다. 유영국은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한국의 자연을 아름다운 색채와 대담한 형태로 빚어낸 최고의 조형감각을 지닌 화가이다. 유영국의 작품에서는 점, 선, 면, 형, 색 등 기본적인 조형요소가 주인이 되어 등장한다. 이들은 서로 긴장하며 대결하기도 하고, 모종의 균형감각을 유지하기도 함으로써, 그 자체로 강렬한 에너지를 발산한다. 이번 전시에는 1937년 유학시기부터 1999년 절필작에 이르기까지 유영국의 전 생애 작품 100여점과 자료 50여점이 만날 수 있다.●전시기간 ~2017년 3월 1일(수)까지(매주 월요일과 1월 1일 휴관)●전시장소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관람시간 화목금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 수토 오전 10시 ~ 오후 9시 (관람종료 1시간 전까지 입장 가능)●관람요금 성인 3,000원(덕수궁관 입장료 포함)<클림트 인사이드>아시아 최초 미디어 아트로 탄생된 클림트 명화전이 열린다. 성수 S-FACTORY에서 선보이는 <클림트 인사이드>는 빈 분리파 결성부터 황금시대 개척까지의 클림트 일대와 그의 작품을 일렉트로닉 음악이 결합한 웅장하고 환상적인 공간에서 만나볼 수 있는 자리이다.이번 전시는 풍부한 황금빛으로 관능과 극상의 아름다움을 추구했던 클림트의 작품세계를 미디어 프로젝션의 빛과 일렉트로닉 앰비언트 장르로 유명한 포틀래치(Potlatch) 음악감독이 프로듀싱한 덥스텝을 기반으로 구성된 일렉트로닉 음악의 감각적 사운드를 통해 클림트의 작품에 담긴 관능적이면서도 섬세한 감동을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공장을 리뉴얼해 문화복합공간으로 재탄생한 S-FACTORY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클림트 특유의 황금빛이 S-FACTORY의 인더스트리얼적인 공간 속에서 극대화 되어 그가 추구했던 영원성을 구현했다.●전시기간 ~2017년 3월 3일(금)까지(전시 기간 내 무휴)●전시장소 성수 S-FACTORY●관람시간 오전 11시 ~ 오후 8시 (오후 7시 입장 마감)●관람요금 성인 12,000원 / 학생 10,000원 / 유아 8,000원<르누아르의 여인>展서울시립미술관에서는 인상주의 회화를 빛낸 대표 화가 르누아르의 작품을 선보이는 전시 <르누아르의 여인>전이 열린다. 19세기 후반 미술사의 격변기를 살았던 대가들 가운데 ‘비극적 주제를 그리지 않은 유일한 화가’ 르누아르는 ‘그림은 즐겁고 유쾌하고 아름다운 것이어야 한다’는 예술철학으로 화려한 빛과 색채의 조합을 통해 5,000여 점에 달하는 주옥같은 작품을 남겼다.이번 전시는 르누아르의 작품 세계를 ‘여인’이라는 단일 주제에 초점을 두고 구성했으며, 르누아르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기법적 특징과 표현력뿐만 아니라 그의 예술철학과 재능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전시기간 ~2017년 3월 26일(일)까지(매주 월요일 휴관, 1월 1일 휴관)●전시장소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관람시간 화~금 오전 10시 ~ 오후 8시토·일·공휴일 오전 10시 ~ 오후 6시뮤지엄나이트(매월 둘째, 마지막 주 수요일) 오전 10시 ~ 오후 10시●관람요금 일반 13,000원 / 청소년 10,000원 / 어린이 8,000원 <꼬마 눈사람의 겨울이야기>조명박물관에서는 크리스마스 특별전 ‘2016 꼬마 눈사람의 겨울이야기’전이 열린다. 올해 11회를 맞는 이번 전시는 인기 캐릭터 ‘빼꼼의 크리스마스 대소동’ 공연도 함께 펼쳐진다. 꽁꽁꽁 퀴즈 전시와 관련된 퀴즈를 풀고 선물 받기, 산타 선물 잔치 등 다양한 행사가 준비돼 있다. 공연은 어린이 가족극 전문 극단 ‘예가 컴퍼니’가 어린이 가족 뮤지컬 ‘빼꼼의 크리스마스 대소동’을 선보일 예정이다. 입장료에는 소인의 경우 특별 전시, 전시 연계 키트 1, 2, 3, 눈사람 스노우볼 조명 만들기 체험이 포함된 금액이다. 대인은 특별 전시, 눈사람 사탕, 크리스마스카드를 제공한다.●전시기간 ~2017년 1월 31일(화)까지●전시장소 조명박물관(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 235-48)●관람시간 월~일 오전 10시 ~ 오후 5시까지(4시까지 입장)●관람요금 대인 8,000원 / 소인 12, 2016-12-15
-
<율동하는 공간 김윤희 개인전>전 갤러리토스트는 12월 18일(일)까지 <율동하는 공간-김윤희 개인전>이 열린다.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자연의 풍경을 통해 이성적 대상을 상상의 세계로 바꾸는 작업을 보여준다. 풍경을 통해 공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새로운 시선을 통해 변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이번 전시 이미지의 모습이다.작가가 주목하는 자연의 움직임은 바라보는 인간의 입장이 아닌 움직임을 하고 있는 자연 스스로에 대한 관찰에서 시작된다. 정제된 풍경 안에서 움직임을 통한 이미지와 자연의 볼륨을 느낄 수 있다면 작가가 보여주고자 하는 유쾌한 반전, 율동하는 공간, 지형적 공명과 더불어 개인의 감성까지 끌어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자료제공 갤러리토스트 2016-12-10
-
<Flowing Woods>전 갤러리 이마주에서는 오는 12월 14일까지 구나영 작가의 개인전 <Flowing Woods>이 열린다. 구나영 작가는 한지 위에 먹과 아크릴을 사용해 섬세한 붓질로 마음을 다독이고 어루만지듯 그려내어 ‘감정의 스펙트럼’을 담아낸다. 구나영의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상상의 숲 ‘팀북투 (Timbuktu)’는 익숙한 풍경처럼 보이지만 사실 존재하지 않는 낯선 풍경이다.마음 안에 있기에 가장 가깝지만, 동시에 갈 수 없는 가장 머나먼 곳이기도 하다. 팀북투 숲을 통해 현실을 담아내기도 하고 도피하고 싶은 이상형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삶 속 희로애락과 일상의 영감들을 나무와 숲에 빗대어 표현한 다양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자료제공 갤러리 이마주 2016-12-01
-
<연과 연 사이>전 용산구 유엔빌리지길에 위치한 필 갤러리에서는 첫 개관 전시로 18명의 중견 작가들과 함께 ‘일상에서의 성찰’이라는 메시지를 담은 <연과 연 사이>전이 열린다. 작가들은 서양화, 한국화 등 자신만의 매체를 사용해 자신의 경험을 고유한 방식으로 전시 공간에 감각적으로 녹여냈다. ‘마음을 흔드는 시 한 줄’은 우리에게 조용히 다가와 진한 감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그림도 마찬가지다. 장황하고 세세한 설명보다는 짧지만 함축적으로 표현한 시(詩) 문장의 행(行)과 연(聯)에서 ‘연과 연 사이’에 존재하는 무형의 간격처럼, 감각에 의하여 떠올려진 현상이 마음속에서 되살아난 작업들로 전시를 기획했다. 12월 21일(수)까지 열리는 2부 한국화 전시에는 김선두, 문봉선, 신하순, 유근택, 이인, 이종목, 이주원, 정종미, 조환 등 9인의 작가가 참여한다.자료제공 필 갤러리문봉선 | 소나무 2016-1 | 70×138cm | 지본수묵 | 2016 2016-11-26
-
천 명 시민이 함께 꾸민 ‘시화호천마리생물전’ 지난 18일부터 3일간 안산문화예술의 전당에서는 시민들의 솜씨가 담긴 특별한 전시회가 열렸다. 작가는 약 1000여명의 시민들, 각자 의도한 작품의 세계를 알 수 없지만 공통점은 ‘시화호에 살아있는 생물’을 주제로 했다는 것이다.세 살짜리 꼬맹이가 그린 노랑부리 백로, 주부들이 모여 한 땀 한 땀 정성들여 수 놓은 검은머리물떼새, 종이로 만들어 놓은 쇠제비 갈매기 모자 등 작품마다 재미가 담겨있었다.어린 자녀를 동반한 한 관람객은 “가족들이 함께 새 모자를 쓰고 사진을 찍기도 하고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니 매우 새롭고 즐겁다”며 “낙서처럼 그린 어린이들의 작품은 묘한 작품성이 느껴져 또 다른 감동을 주기도 한다”고 말했다.이번 전시회는 시화호에 사는 여러 생명들을 찾아다니고 기록해온 시화호생명지킴이에서 주관했다. 지난 4월부터 재활용장터에서 시화호생명지킴이 부스를 찾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시화호의 생명을 알리며, 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시화호청소년습지학교를 운영하며 얻어진 작품들도 함께 모아진 것이다. 물론 시화호생명지킴이들의 7년간의 모니터링기록도 함께 전시되었다.특히 시화 방조제가 막아지며 생긴 여의도 19배가 되는 땅이 개발되는 과정을 그린 동화 ‘누구땅’이라는 작품은 시민들과 함께 읽으며 공감을 얻었고 또 만들기 소재가 되었다. 이 동화의 주인공인 검은머리물떼새는 밝은 주홍빛 부리와 눈은 검은 몸과 대비되어 많은 작품의 주인공이 되기에 충분했다.1987년 바다를 막는 공사가 시작되고 ‘죽음의 호수’에서 다시 생명이 꿈틀대기까지, 시화호와 주변 갯벌은 지난 30여 년간 드라마 같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제 시화호와 주변 갯벌은 큰고니, 칠게, 가재붙이, 흰발농개, 칠면초 등 다양한 동식물이 살아가는 공간이 되었다.다양한 시화호의 생명들을 직접 만나면 어떤 느낌일까? 시화호생명지킴이 한미영 교육팀장은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개발지역 사이사이에 살아있는 생물들을 보면 아슬아슬할 때가 많다. 선감마을 수로에 군락을 이루고 있는 ‘개정향풒’의 경우, 경기도보호종이므로 꼭 보호하고 싶었는데 다행히 도로 확장 공사를 막아 보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16-11-24
-
이정형 개인전 : 오늘의 현장 송은 아트큐브에서는 2016-2017 전시지원 프로그램 선정 작가 이정형의 개인전 <오늘의 현장(The Site before Your Eyes)>이 열린다. 이정형은 예술가로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간 설계 및 디자인을 해왔으며 각박한 공사 현장에서 뜻밖에 발견한 예술적 요소들에 관심을 갖고 이를 작업으로 선보여 왔다.모든 작품이미지의 저작권은 (재)송은문화재단과 작가에게 있습니다.ⓒ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All rights reserved.첫 개인전 <Fine Works>(2015)에서는 순수예술인 ‘Fine Art’와 노동을 의미하는 ‘Work’를 결합해 생업인 공간 조성공사를 진행하며 목재를 자르고 남은 잔해나 페인트 통, 사다리 등 현장에서 찾은 다양한 오브제를 예술 작품으로 보여주었다.모든 작품이미지의 저작권은 (재)송은문화재단과 작가에게 있습니다.ⓒSongEun Art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Artist.All rights reserved.이번 전시는 작가로서 삶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한다. 작가는 미술관, 갤러리 등의 의뢰를 받아 전시 공간을 조성하면서 자신의 전시를 위한 것은 아니지만 이 또한 예술 활동의 일환이자 현장 설계를 위한 노동이라고 생각했다. 동시에 하나의 작품을 완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인식했다. 이번 전시는 노동과 예술의 경계에서 둘의 겹쳐지는 지점에 대해 탐구하는 자리이다.자료제공 (재)송은문화재단 2016-11-18
-
제8회 投影(투영) <유연한 장소>전 (재)한원미술관에서는 제8회 投影(투영) <유연한 장소>전이 오는 12월 28일까지 열린다. 投影(투영)전은 현대사회의 주요 화두를 작가의 창의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작품에 투영하여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창안된 연례기획전이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이번 전시는 인공지능 시대에 획일화되어 가는 인간의 사고와 감각을 깨우고자 하는 일종의 실험이자 시도로써 마련되었다. 전시에 참여하는 3명의 작가 박윤경, 송진, 최성임은 관객들이 전시장에서 작품을 마주하는 ‘경험’을 통해 물리적 감각들 안에서의 변화를 경험하고 새로운 감정이나 가치를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 단순히 시각적인 차원을 넘어 잃어버렸던 감각을 발견하게 하고 풍요로운 삶을 지속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작용함을 일깨워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자료제공 (재)한원미술관문의 02-588-5642 2016-11-12
-
프랑스 국립 오르세미술관전-이삭줍기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는 <프랑스 국립 오르세미술관전이삭줍기(밀레의 꿈, 고흐의 열정)>전이 내년 3월 5일까지 열린다. 오르세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명작 중에서도 장 프랑수아 밀레의 ‘이삭줍기’와 빈센트 반 고흐의 ‘정오의 휴식’ 등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는 주요 걸작들을 엄선하여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서양 미술계에서 특히 풍요로웠던 19세기를 중심으로 함께 공존하며 한데 뒤섞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던 주요 예술 사조들을 크게 5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소개한다. 또한 19세기를 빛낸 걸작 회화와 함께 독자적인 역사를 구축하고 있는 걸작 데생들도 선보인다. 특히 장 프랑수아 밀레가 남긴 19세기 최고의 걸작 ‘이삭줍기’가 탄생하게 되는 과정이 담긴 진귀한 데생 작품들도 만나 볼 수 있다.자료제공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문의 02-580-1300 2016-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