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상륙작전으로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했지만 우린 고향을 잃어버렸습니다.”
1950년 9월 15일. 월미도에 살고 있던 원주민들은 인천상륙작전으로 고향을 떠나야했다. 그 이후 월미도 원주민들도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실향민이 되고 말았다.
이들은 전쟁 이후 귀향대책위원회(위원장 김철현·대책위)를 구성해 그동안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노력했지만 군대가 주둔했던 고향 땅이 최근 인천시에 의해 공원으로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원주민들은 지금의 인천시 중구 북성동 1가 월미산 인근지역에서 1843년 이전부터 살아왔다. 김철현(72) 위원장은 “월미도는 일제시대에도 경인지역의 대표적 관광지로 더 없이 살기 좋은 곳이었다. 춘화원, 월미조탕, 용궁각 등 요리집과 호텔, 수영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았고, 주민들은 뻘에서 조개를 잡아 호텔에 납품하거나 기념품을 판매하며 살았다”고 옛 기억을 떠올렸다.
그러나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월미산은 쑥대밭으로 변했다. 전재산은 물론, 부모나 형제들의 목숨도 빼앗겨야 했다.
더욱이 이들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미군과 우리 해군에게 수십년간 고향땅을 내주고 월미도 주위를 떠돌며 실향민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김 위원장은 “정말 생각하고 싶지 않다. 돌아오리라 믿고 불바다를 헤쳐 가며 피난길에 나섰는데 눈앞에 고향을 두고도 돌아갈 수 없는 심정을 누가 알겠느냐”고 한탄했다.
전쟁이 끝난 뒤 주민들은 월미도 입구부터 인근 대한제분공장 앞까지 판자촌을 이루고 살았다.
이후 미군이 철수하고 해군 제2함대 사령부가 들어설 때, 제2함대가 평택으로 철수한다는 소식을 접할 때마다 이들은 귀향을 꿈꾸며 인천시와 국방부, 청와대에도 민원을 냈지만 현행법상 소유권을 주장할 근거는 아무것도 없었다.
해군본부에 따르면 월미도는 1971년 11월 미군이 떠나고 해군 ‘인천경비부’가 월미도로 이전해왔으며 1973년 무주부동산 16만3000평과 사유지 9000평을 국유재산관리청 지정에 의해 국방부가 관리해왔다.
이들은 조상대대로 살았음을 증명하는 재적등본, 학적부, 건물매매계약서 등의 근거를 제시했지만 ‘월미도에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조차 인천시와 해군은 쉽게 믿지 않았다.
그러던 중 지난 2001년 8월30일 이 땅을 인천시가 매입해 시민공원으로 조성한다는 소식과 함께 이들이 50년 동안 지녀온 귀향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뒤늦게 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인천시와 해군은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보상할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피해보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한인덕 대책위 총무는 “이조시대 때부터 살다가 전쟁 통에 알몸으로 피난 갔던 과거사를 현재의 실정법으로 따진다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항변했다. 김 위원장도 “수차례 민원을 낼 때마다 군대가 철수하면 들어가 살면 되지 않느냐고 달래 놓고 이제 와서는 시도 나 몰라라하고 있다”며 분노했다.
다행히 최근 과거사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정치권도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최근 한나라당 이윤성(인천 남동갑) 의원은 “과거사 바로세우기 등을 통해 잘못된 부분에 대해 상응한 보상을 하고 있는 국가적 추세에 맞춰 반세기를 염원해 온 월미산 주민들의 민원도 반드시 정부차원에서 진상조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소성호 중.동지부 사무국장은 “인천시가 나서서 군, 중앙정부와 협의를 통해 해결방안을 적극 검토해야한다”며 “그래서 비록 고향으로 돌아갈 수는 없게 됐지만 54년 묵은 이들의 한이라도 달래줘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1950년 9월 15일. 월미도에 살고 있던 원주민들은 인천상륙작전으로 고향을 떠나야했다. 그 이후 월미도 원주민들도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는 실향민이 되고 말았다.
이들은 전쟁 이후 귀향대책위원회(위원장 김철현·대책위)를 구성해 그동안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노력했지만 군대가 주둔했던 고향 땅이 최근 인천시에 의해 공원으로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원주민들은 지금의 인천시 중구 북성동 1가 월미산 인근지역에서 1843년 이전부터 살아왔다. 김철현(72) 위원장은 “월미도는 일제시대에도 경인지역의 대표적 관광지로 더 없이 살기 좋은 곳이었다. 춘화원, 월미조탕, 용궁각 등 요리집과 호텔, 수영장을 찾는 사람들이 많았고, 주민들은 뻘에서 조개를 잡아 호텔에 납품하거나 기념품을 판매하며 살았다”고 옛 기억을 떠올렸다.
그러나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월미산은 쑥대밭으로 변했다. 전재산은 물론, 부모나 형제들의 목숨도 빼앗겨야 했다.
더욱이 이들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미군과 우리 해군에게 수십년간 고향땅을 내주고 월미도 주위를 떠돌며 실향민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김 위원장은 “정말 생각하고 싶지 않다. 돌아오리라 믿고 불바다를 헤쳐 가며 피난길에 나섰는데 눈앞에 고향을 두고도 돌아갈 수 없는 심정을 누가 알겠느냐”고 한탄했다.
전쟁이 끝난 뒤 주민들은 월미도 입구부터 인근 대한제분공장 앞까지 판자촌을 이루고 살았다.
이후 미군이 철수하고 해군 제2함대 사령부가 들어설 때, 제2함대가 평택으로 철수한다는 소식을 접할 때마다 이들은 귀향을 꿈꾸며 인천시와 국방부, 청와대에도 민원을 냈지만 현행법상 소유권을 주장할 근거는 아무것도 없었다.
해군본부에 따르면 월미도는 1971년 11월 미군이 떠나고 해군 ‘인천경비부’가 월미도로 이전해왔으며 1973년 무주부동산 16만3000평과 사유지 9000평을 국유재산관리청 지정에 의해 국방부가 관리해왔다.
이들은 조상대대로 살았음을 증명하는 재적등본, 학적부, 건물매매계약서 등의 근거를 제시했지만 ‘월미도에 사람이 살았다’는 사실조차 인천시와 해군은 쉽게 믿지 않았다.
그러던 중 지난 2001년 8월30일 이 땅을 인천시가 매입해 시민공원으로 조성한다는 소식과 함께 이들이 50년 동안 지녀온 귀향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뒤늦게 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인천시와 해군은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보상할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피해보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한인덕 대책위 총무는 “이조시대 때부터 살다가 전쟁 통에 알몸으로 피난 갔던 과거사를 현재의 실정법으로 따진다는 게 말이나 되느냐”고 항변했다. 김 위원장도 “수차례 민원을 낼 때마다 군대가 철수하면 들어가 살면 되지 않느냐고 달래 놓고 이제 와서는 시도 나 몰라라하고 있다”며 분노했다.
다행히 최근 과거사 문제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정치권도 이들에게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최근 한나라당 이윤성(인천 남동갑) 의원은 “과거사 바로세우기 등을 통해 잘못된 부분에 대해 상응한 보상을 하고 있는 국가적 추세에 맞춰 반세기를 염원해 온 월미산 주민들의 민원도 반드시 정부차원에서 진상조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소성호 중.동지부 사무국장은 “인천시가 나서서 군, 중앙정부와 협의를 통해 해결방안을 적극 검토해야한다”며 “그래서 비록 고향으로 돌아갈 수는 없게 됐지만 54년 묵은 이들의 한이라도 달래줘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