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양 가축위생시험소 부지 공원화 사업 주체를 놓고 경기도와 안양시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가운데 지역 시민단체가 가세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도심공원 조성을 위한 범시민기구’는 안양시의 무계획적 행정를 지적하면서도 경기도에 지난 2001년 11월 당시 임창열 도지사가 약속한 공원조성을 그대로 이행해줄 것을 요구했다.
범시민기구 관계자는 “경기도가 가축위생시험소 부지의 공원화 사업에 대해 입장을 바꾼 것은 시민과의 약속을 파기하는 행위”라며 “이번 사태에 대해 도심공원 조성 약속을 믿고 기다려온 시민들과 함께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3400여평에 달하는 도유지의 무상사용을 허용할 수 없고 안양시가 매입해 공원조성을 해야 한다는 당초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임 전 지사도 공원조성 약속을 한 것이 아니라 검토를 해보겠다는 정도의 언급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손 지사도 무상 사용은 타 시·군와의 형평성 문제가 있어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시민단체는 안양시의 무계획적 행정으로 공원화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6월 건물 철거 승인을 받고도 일부 전문가들의 건물 활용 주장에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기회를 놓친 안양시의 무계획과 해당 부지에 벤처센터와 공원개장이 이루어지도록 촉구했지만 시가 귀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지난 2000년 안양시는 우선 1500여평을 매입해 공원조성을 하겠다는 요청을 해 도의회가 승인을 했지만 정작 안양시의회가 반대해 매각이 성사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안양시는 경기도에 책임을 넘겼다.
/안양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도심공원 조성을 위한 범시민기구’는 안양시의 무계획적 행정를 지적하면서도 경기도에 지난 2001년 11월 당시 임창열 도지사가 약속한 공원조성을 그대로 이행해줄 것을 요구했다.
범시민기구 관계자는 “경기도가 가축위생시험소 부지의 공원화 사업에 대해 입장을 바꾼 것은 시민과의 약속을 파기하는 행위”라며 “이번 사태에 대해 도심공원 조성 약속을 믿고 기다려온 시민들과 함께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3400여평에 달하는 도유지의 무상사용을 허용할 수 없고 안양시가 매입해 공원조성을 해야 한다는 당초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임 전 지사도 공원조성 약속을 한 것이 아니라 검토를 해보겠다는 정도의 언급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손 지사도 무상 사용은 타 시·군와의 형평성 문제가 있어 이를 수용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시민단체는 안양시의 무계획적 행정으로 공원화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 6월 건물 철거 승인을 받고도 일부 전문가들의 건물 활용 주장에 방향을 정하지 못하고 기회를 놓친 안양시의 무계획과 해당 부지에 벤처센터와 공원개장이 이루어지도록 촉구했지만 시가 귀 기울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지난 2000년 안양시는 우선 1500여평을 매입해 공원조성을 하겠다는 요청을 해 도의회가 승인을 했지만 정작 안양시의회가 반대해 매각이 성사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안양시는 경기도에 책임을 넘겼다.
/안양 선상원 기자 won@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