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가 토종 미꾸라지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모기 퇴치에 나섰다.
시는 하천과 늪지에 모기유충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천적 어류인 미꾸라지를 이용해 해충구제에 나선 것. 고양시덕양구보건소는 생태환경조사와 모기유충조사를 거쳐 13일 유충구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밝혀진 미꾸라지 5만여 마리(300kg)를 각 하천에 방류했다.
일반적으로 미꾸라지 한 마리는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을 하루에 600 마리 이상,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1100 마리까지 잡아먹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토종 미꾸라지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갬부지아(모기고기)보다 3배나 많은 모기 유충을 잡아먹는다. 또 하천 바닥을 파고 들어가는 습성이 있어 산소가 부족하기 쉬운 하천에 산소를 공급, 하천 수질정화 기능까지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양시 관계자는 “토양미생물 ‘박토섹’과 ‘미꾸라지’를 같이 사용하면 살충제를 사용하는 성충구제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더러 환경오염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시는 하천과 늪지에 모기유충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천적 어류인 미꾸라지를 이용해 해충구제에 나선 것. 고양시덕양구보건소는 생태환경조사와 모기유충조사를 거쳐 13일 유충구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밝혀진 미꾸라지 5만여 마리(300kg)를 각 하천에 방류했다.
일반적으로 미꾸라지 한 마리는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을 하루에 600 마리 이상,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1100 마리까지 잡아먹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토종 미꾸라지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갬부지아(모기고기)보다 3배나 많은 모기 유충을 잡아먹는다. 또 하천 바닥을 파고 들어가는 습성이 있어 산소가 부족하기 쉬운 하천에 산소를 공급, 하천 수질정화 기능까지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양시 관계자는 “토양미생물 ‘박토섹’과 ‘미꾸라지’를 같이 사용하면 살충제를 사용하는 성충구제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더러 환경오염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