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추진됐던 경북대와 상주대간 통합 논의가 완전 무산됐다.
경북대는 지난 7개월 동안 이들 두 대학 간 통합논의가 상주대 김종호 총장의 통합계획서 날인거부로 1일 최종 무산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경북대와 상주대는 지난해 12월 16일부터 통합추진 공동연구단 구성으로 시작된 대학간 통합논의는 지역사회와 양 대학간, 그리고 대학 구성원간 갈등을 비롯한 풀어야할 과제만 남긴 채 끝내 무산됐다.
경북대학교와 상주대학교 교수협의회는 통합계획서 제출 1주일 전인 지난 6월 24일 상주대 김종호 총장의 일방적인 통합논의 중단선언이 있자, 양 대학 구성원과 지역민의 지지여론을 감안 해 6월 30일 통합계획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상주대 총장의 직인이 누락됐다며 한 달 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간을 줬다.
이후 경북대학교는 7월 들어 대학 통합과 관련한 상주시민들의 오해를 풀고 통합의 타당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상주대학교 김종호 총장의 통합찬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기도 했다.
그 결과 지난 7월 18일 온-조사 연구소에서 상주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81.5%의 찬성여론을 기록하는 등 상주지역의 여론은 급속히 통합찬성 쪽으로 기울었다.
뿐만 아니라 통합을 반대해 온 상주대 동창회, 기성회 등의 조직도 지난 7월 25일 대학통합문제를 상주대 학내의 합의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상주지역의 통합여론은 김종호 총장의 결단만 남겨 둔 상태였다.
그러나 상주대 김종호 총장은 지난 7월 28일 교육인적자원부에 ‘상주대-경북대’간 통합논의 재중단 보고를 올려, 통합반대 주체들의 의사에 변화가 없고, 교수들이 자신을 불신임하고 있기 때문에 양 대학의 통합과 관련한 논의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경북대는 1일 통합논의가 최종적으로 무산되자 ‘상주대와의 통합무산에 즈음하여’라는 성명서를 통해 “상주대학교 총장의 독선으로 대학발전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며 철저한 조사 및 책임추궁을 요구하고, 향후 자체구조개혁을 통해 POST-BK, 법학전문대학원, 연구중심대학 선정을 위해 전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북대는 “결과적으로 부산대-밀양대, 전남대-여수대의 통합성공과 달리 상주대학의 거부로 대구·경북지역 국립대학의 통합이 무산되어 해당 대학 및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한편 상주대 교수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통합추진비상대책위원회는 문서보완 시한인 1일 오후 6시를 앞두고 본관 애일당에서 비상총회를 열어 비대위를 해산하는 대신 비대위의 모든 권한을 평교수 등으로 구성된 교수협의회 평의회에 위임키로 했다.
특히 평의회는 비대위가 그 동안 추진해온 김종호 총장을 대상으로 한 직무정지가처분신청을 비롯, 총장 퇴진 운동을 계속할 것으로 알려져 심각한 내홍에 휘말릴 것으로 우려된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경북대는 지난 7개월 동안 이들 두 대학 간 통합논의가 상주대 김종호 총장의 통합계획서 날인거부로 1일 최종 무산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경북대와 상주대는 지난해 12월 16일부터 통합추진 공동연구단 구성으로 시작된 대학간 통합논의는 지역사회와 양 대학간, 그리고 대학 구성원간 갈등을 비롯한 풀어야할 과제만 남긴 채 끝내 무산됐다.
경북대학교와 상주대학교 교수협의회는 통합계획서 제출 1주일 전인 지난 6월 24일 상주대 김종호 총장의 일방적인 통합논의 중단선언이 있자, 양 대학 구성원과 지역민의 지지여론을 감안 해 6월 30일 통합계획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상주대 총장의 직인이 누락됐다며 한 달 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간을 줬다.
이후 경북대학교는 7월 들어 대학 통합과 관련한 상주시민들의 오해를 풀고 통합의 타당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상주대학교 김종호 총장의 통합찬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기도 했다.
그 결과 지난 7월 18일 온-조사 연구소에서 상주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에서 81.5%의 찬성여론을 기록하는 등 상주지역의 여론은 급속히 통합찬성 쪽으로 기울었다.
뿐만 아니라 통합을 반대해 온 상주대 동창회, 기성회 등의 조직도 지난 7월 25일 대학통합문제를 상주대 학내의 합의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상주지역의 통합여론은 김종호 총장의 결단만 남겨 둔 상태였다.
그러나 상주대 김종호 총장은 지난 7월 28일 교육인적자원부에 ‘상주대-경북대’간 통합논의 재중단 보고를 올려, 통합반대 주체들의 의사에 변화가 없고, 교수들이 자신을 불신임하고 있기 때문에 양 대학의 통합과 관련한 논의를 더 이상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경북대는 1일 통합논의가 최종적으로 무산되자 ‘상주대와의 통합무산에 즈음하여’라는 성명서를 통해 “상주대학교 총장의 독선으로 대학발전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며 철저한 조사 및 책임추궁을 요구하고, 향후 자체구조개혁을 통해 POST-BK, 법학전문대학원, 연구중심대학 선정을 위해 전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경북대는 “결과적으로 부산대-밀양대, 전남대-여수대의 통합성공과 달리 상주대학의 거부로 대구·경북지역 국립대학의 통합이 무산되어 해당 대학 및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한편 상주대 교수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통합추진비상대책위원회는 문서보완 시한인 1일 오후 6시를 앞두고 본관 애일당에서 비상총회를 열어 비대위를 해산하는 대신 비대위의 모든 권한을 평교수 등으로 구성된 교수협의회 평의회에 위임키로 했다.
특히 평의회는 비대위가 그 동안 추진해온 김종호 총장을 대상으로 한 직무정지가처분신청을 비롯, 총장 퇴진 운동을 계속할 것으로 알려져 심각한 내홍에 휘말릴 것으로 우려된다.
대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