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부천시가 일방적으로 부지를 선정,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는 ‘추모의 집’ 건립계획이 10.26 재선거로 인해 난관에 부딪혔다. 재선거에 출마할 여야 후보들 모두 부지선정 절차와 적정성 등에 문제가 있다며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천 원미갑 재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부천시의 ‘추모의 집’ 건립계획이 지역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추모의 집’이 들어설 예정인 춘의동과 인근지역인 역곡1, 2동은 원미갑 선거구 유권자(13만여명)의 3분의 1이 넘는 4만8000여명이 살고 있다.
이에 따라 후보들은 이 지역 민심이 이번 선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부천시 화장장 정책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며 민심잡기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홍건표 부천시장과 같은 한나라당 소속으로 최근 후보공천이 확정된 임해규 예비후보측은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임 후보는 “부지선정 절차가 민주적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적지인가를 놓고 봐도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또 “화장장은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도 차원에서 적정지역을 찾아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천도 230만명의 인구에 화장장이 1개인 점을 고려하면 경기서부지역인 김포, 시흥, 안산, 부천, 광명 등을 대상으로 놓고 광역차원에서 적지를 물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 후보는 “부천은 인근 도시와 비교해 인구밀도는 가장 높고 녹지비율은 최저수준”이라며 “광역차원에서 풀어가도록 같은 당인 시장과 도지사를 설득하겠다”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 예비후보들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이상수 예비후보는 “해당지역은 부천의 허파 같은 역할을 하는 곳으로 절대 훼손해선 안되는 지역이다”며 “화장장은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부천시의 부지선정 절차와 적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측은 “‘1지자체 1화장장’ 논리는 잘못된 것이며 시민단체 등이 주장하는 대로 광역화하는 방법이 더 합리적인데 왜 외면하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같은당 김명원 예비후보도 “부천은 녹지율이 18%에 불과하고 예정부지는 녹지축의 중심인 지역이다”며 “무조건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측은 “환경운동가로서 시흥 등 인근지역 환경단체 대표와 사전 협의를 통해 경기서부지역 광역화장장 건립을 제안하겠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안동선 예비후보도 “인근지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어 해당부지는 앞으로 주거지역으로 둘러싸이게 된다”며 “동네 한가운데 화장터가 있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재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들이 부천시의 화장장 건립 백지화를 주민들에게 약속하고 있어 향후 부천시 ‘추모의 집’ 건립계획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부천시는 올해 2월 원미구 춘의동 462 일대 개발제한구역에 화장로 6기와 납골 3만기를 갖춘 생태공원 형태의 추모공원 조성계획을 발표했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이 14차례나 반대집회를 여는 등 강한 반발에 부딪혀왔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부천 원미갑 재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부천시의 ‘추모의 집’ 건립계획이 지역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추모의 집’이 들어설 예정인 춘의동과 인근지역인 역곡1, 2동은 원미갑 선거구 유권자(13만여명)의 3분의 1이 넘는 4만8000여명이 살고 있다.
이에 따라 후보들은 이 지역 민심이 이번 선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부천시 화장장 정책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며 민심잡기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홍건표 부천시장과 같은 한나라당 소속으로 최근 후보공천이 확정된 임해규 예비후보측은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임 후보는 “부지선정 절차가 민주적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적지인가를 놓고 봐도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또 “화장장은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도 차원에서 적정지역을 찾아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천도 230만명의 인구에 화장장이 1개인 점을 고려하면 경기서부지역인 김포, 시흥, 안산, 부천, 광명 등을 대상으로 놓고 광역차원에서 적지를 물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 후보는 “부천은 인근 도시와 비교해 인구밀도는 가장 높고 녹지비율은 최저수준”이라며 “광역차원에서 풀어가도록 같은 당인 시장과 도지사를 설득하겠다”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 예비후보들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이상수 예비후보는 “해당지역은 부천의 허파 같은 역할을 하는 곳으로 절대 훼손해선 안되는 지역이다”며 “화장장은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부천시의 부지선정 절차와 적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측은 “‘1지자체 1화장장’ 논리는 잘못된 것이며 시민단체 등이 주장하는 대로 광역화하는 방법이 더 합리적인데 왜 외면하는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같은당 김명원 예비후보도 “부천은 녹지율이 18%에 불과하고 예정부지는 녹지축의 중심인 지역이다”며 “무조건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측은 “환경운동가로서 시흥 등 인근지역 환경단체 대표와 사전 협의를 통해 경기서부지역 광역화장장 건립을 제안하겠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안동선 예비후보도 “인근지역에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어 해당부지는 앞으로 주거지역으로 둘러싸이게 된다”며 “동네 한가운데 화장터가 있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재선거에 출마할 예비후보들이 부천시의 화장장 건립 백지화를 주민들에게 약속하고 있어 향후 부천시 ‘추모의 집’ 건립계획이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부천시는 올해 2월 원미구 춘의동 462 일대 개발제한구역에 화장로 6기와 납골 3만기를 갖춘 생태공원 형태의 추모공원 조성계획을 발표했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이 14차례나 반대집회를 여는 등 강한 반발에 부딪혀왔다.
부천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