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요 역세권에 장기전세주택(시프트) 공급 물량을 대폭 늘어난다.
서울시는 도심 지역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하고, 역세권의 용적률을 500%까지 높이는 대신 장기전세주택 공급 물량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15일 밝혔다.
김효수 주택국장은 “서울은 택지 자원이 부족한 상태로 주택을 신규 공급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은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하는 것 밖에 없다”며 “서울시내 주요 역세권에 주택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서민을 위한 장기전세주택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기반시설이 양호한 역세권에 들어서는 아파트의 용적률을 500%까지 높이는 인센티브제를 시행해 역세권에 장기전세주택을 확보할 계획이다.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은 서울시가 민간사업자에게 용적률을 현행 250%에서 최고 500%까지 올려준 뒤 상향조정된 용적률에 따라 지어지는 주택의 50∼60%를 표준건축비에 근거한 가격으로 매입해 시민들에게 공급한다. 용적률이 500%로 높아지면 20층 이상의 아파트 건립이 가능해진다.
또 서울시는 2012년까지 10만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2015년까지 임대주택 비율을 서울시 전체 주택의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2012년까지 4만호의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주력 주택 정책인 뉴타운 사업과 관련, 지금까지 지정된 35개 지역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현재 서울시는 뉴타운 사업 진행률이 최고 31%에 불과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지역의 원주민 재정착률 문제 해결이 최대 쟁점이라고 보고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는 도심 지역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하고, 역세권의 용적률을 500%까지 높이는 대신 장기전세주택 공급 물량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15일 밝혔다.
김효수 주택국장은 “서울은 택지 자원이 부족한 상태로 주택을 신규 공급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은 재개발·재건축을 활성화하는 것 밖에 없다”며 “서울시내 주요 역세권에 주택을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서민을 위한 장기전세주택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기반시설이 양호한 역세권에 들어서는 아파트의 용적률을 500%까지 높이는 인센티브제를 시행해 역세권에 장기전세주택을 확보할 계획이다.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은 서울시가 민간사업자에게 용적률을 현행 250%에서 최고 500%까지 올려준 뒤 상향조정된 용적률에 따라 지어지는 주택의 50∼60%를 표준건축비에 근거한 가격으로 매입해 시민들에게 공급한다. 용적률이 500%로 높아지면 20층 이상의 아파트 건립이 가능해진다.
또 서울시는 2012년까지 10만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2015년까지 임대주택 비율을 서울시 전체 주택의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2012년까지 4만호의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 주력 주택 정책인 뉴타운 사업과 관련, 지금까지 지정된 35개 지역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현재 서울시는 뉴타운 사업 진행률이 최고 31%에 불과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지역의 원주민 재정착률 문제 해결이 최대 쟁점이라고 보고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