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중앙대 교수협의회와 학부ㆍ대학원 총학생회, 교직원노조는 3일 대학이 최근 발표한 구조조정안과 관련해 "학내 구성원의 의사가 철저하게 배제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대학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구조조정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교수와 학생, 직원이고 이들 3대 구성원은 학문과 교육, 행정의 실질적 주체로서 현재 추진 중인 학문단위 및 운영체계 구조조정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학문단위 재조정을 위한 본부위원회''가 계열위원회와 약속을 어기고 작년 말 일방적으로 학문단위 재조정안을 발표했다"며 "구성원들이 평가지표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학과 평가에 적용된 분석 자료 공개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않았다"고 주장했다.
구조조정의 내용에 대해서도 "대학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비학문적, 몰가치적, 시대착오적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며 "`취업전문학교''나 `사내대학''으로 바꾸려는것에 가까울뿐 명문대학의 기본 조건인 `연구중심대학''과는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재단과 학교 본부가 의사 결정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명목으로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고 있다"며 "계속해서 부당한 권한을 행사한다면 직접 행동으로 저지하겠다"고 경고했다.
중앙대 본부는 작년 말 유사 학과를 광역화 또는 통폐합해 77개 학과를 40개 학과ㆍ학부로 줄이고 5개 계열별 책임부총장을 두는 구조조정 초안을 발표했으나 단과대 교수 대표로 구성된 계열위원회가 독자적인 구조조정안을 내놓는 등 학내 구성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tel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이들은 이날 오후 대학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구조조정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은 교수와 학생, 직원이고 이들 3대 구성원은 학문과 교육, 행정의 실질적 주체로서 현재 추진 중인 학문단위 및 운영체계 구조조정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학문단위 재조정을 위한 본부위원회''가 계열위원회와 약속을 어기고 작년 말 일방적으로 학문단위 재조정안을 발표했다"며 "구성원들이 평가지표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학과 평가에 적용된 분석 자료 공개를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않았다"고 주장했다.
구조조정의 내용에 대해서도 "대학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비학문적, 몰가치적, 시대착오적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며 "`취업전문학교''나 `사내대학''으로 바꾸려는것에 가까울뿐 명문대학의 기본 조건인 `연구중심대학''과는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재단과 학교 본부가 의사 결정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명목으로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고 있다"며 "계속해서 부당한 권한을 행사한다면 직접 행동으로 저지하겠다"고 경고했다.
중앙대 본부는 작년 말 유사 학과를 광역화 또는 통폐합해 77개 학과를 40개 학과ㆍ학부로 줄이고 5개 계열별 책임부총장을 두는 구조조정 초안을 발표했으나 단과대 교수 대표로 구성된 계열위원회가 독자적인 구조조정안을 내놓는 등 학내 구성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tele@yna.co.kr(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