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야흐로 이제는 소셜 네트워크의 시대
누구에게나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계정 하나쯤은 기본이 됐다. 나처럼 소셜 네트워크가 없는 이들은 ‘혹시나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 취급을 받지 않을까’ 속으로 노심초사하는 시대이자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정보를 팔로어들과 아낌없이 나누는 인터넷 마당발은 더욱 각광받는 시대이기도 하다. 하지만 모든 것에는 빛과 그림자가 함께 있듯이 소셜 네트워크 역시, 수많은 장점만큼이나 문제점과 부작용들이 뒤따르고 있어 사생활 정보 누출로 인한 각종 소송과 현실세계에서의 어려움이 불거지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소셜 네트워크는 우리 인류사에 있어서 혁명이라고 불릴 만큼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누가 왜, 어떻게 이런 혁명을 일으켰을까?
영

세계를 바꾸는 혁명의 시작이 된 관계
실제 페이스북 창업자의 모습인지는 모르겠지만 영화 속 마크는 세계 최연소 갑부로 등극하며 컴퓨터 천재라는 수식어가 당연할 정도로 스마트하다. 그렇지만 누군가로부터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마음은 여느 대학생이나 다름없는, 심지어 자신의 존재가 왕따임을 인정하는 열등감까지 갖고 있는 여린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뭔가 세계를 바꾸는 위대한 힘은 전 세계를 향한 깊은 인류애와 위대한 정신, 티끌만큼의 부족함도 없는 완벽함에서 시작되었으리라는 우리들의 믿음에 이 영화는 진실은 다를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현재 가입자 수만 약 5억 명인 세계적인 기업, 페이스북의 시작도 실은 비밀 엘리트클럽에 대한 열등감과 질투, 여자 친구에 대한 그리움과 외로움에서 시작되었다는 사실에 나를 포함한 관객들이 살짝 안도하지 않았을까? 후반부로 접어들면서 영화는 5억 명의 친구가 생겼지만 진짜 친구는 적이 되어 소송을 벌여야만 하는 마크의 외로움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그러나 작가 아론 소킨의 치밀한 각본과 데이비드 핀처 감독의 뛰어난 연출이 하모니를 이루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며 전 세계 관객들의 기대에 부흥하는 완성도 있는 영화가 되었다.
박수진리포터 icoco19@paran.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