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교실
이근정 지사장
041-558-5585
수학 공부를 하다 보면 눈으로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어서 답답함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이 수학 공부를 할 때마다 새로운 추상적 개념에 접하기 때문입니다.
무슨 말이지 모르겠고 뜬 구름 잡는 것 같기도 하고 그 개념을 만지거나 형상화시키지도 못 합니다. 바로 이러한 추상적인 개념들이 학생들에게 수학을 어렵게 느껴지게 하는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하면 이러한 추상적인 수학 개념들을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을까요?
숫자 뇌와 이미지 뇌
사람의 뇌는 숫자와 논리의 세계를 담당하는 숫자와 논리 뇌(좌뇌)와 상상과 이미지의 세계를 담당하는 이미지 뇌(우뇌)가 있습니다. 숫자 뇌(좌뇌)와 이미지 뇌(우뇌)를 잘 활용하면 효과적인 수학 공부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산을 공부할 때 10진수의 계열성과 수의 짜임새부터 모으기와 가르기를 바탕으로 낱개와 묶음에 대한 양감을 키우면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의 원리를 쉽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매일 꾸준히 자기 스스로 문제를 풀면서 공부를 하면 연산의 계통성이 파악되어 자연수의 사칙연산에서 분수와 소수의 사칙연산까지 확장함으로써 숫자와 논리 뇌를 자극하고 계발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미지 뇌(우뇌)를 자극하는 방법은 시각화하는 것입니다. 즉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는 것’입니다. 문제를 읽고 수 막대 또는 수직선을 이용하거나 문제에 맞는 그림과 도형을 그려 시각화함으로써 이미지 뇌를 쉽게 자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이 반복되는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기억단위의 양이 증가하여 자연스럽게 지능이 개발되어 문제해결의 실력이 향상됩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