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예중 및 예고의 입시 실기는 소묘와 수채화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아직 전공이 정해져 있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가장 기초가 돼야하는 것이 이 두 가지가 중요하다고 보는 것 같다. 그런데 이 두 가지 형식을 가지고도 각 학교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이러한 각 학교마다의 실기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준비해 나가는 것이 합격 할 수 있는 키워드라 할 수 있다.
예중 예고의 선발고사 방향은 대입 실기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지금 미대입시의 화두는 창의와 개성이라 요약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워서 그리는 형식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를 정확하게 관찰해서 자신의 색깔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체 예중 예고의 실기유형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서울대와 이대 등에서 실시하는 것과 비슷한 유형인 인체를 포함한 화면구성이다. 이 형식은 예원학교 서울예고 덕원예고 경기예고 인천예고 등의 학교에서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실시하고 있다. 사물을 한정적인 공간에서 표현하는 것이 정물실기라면, 이것은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하면서 화면의 배치(콤포지션)를 잘 만들어 가야하는 것이다. 여기에 그림의 전체 분위기를 연출할 이미지까지 더해서 출제하는 학교도 있다. 이것은 화면 구성능력과 분위기연출 또한 묘사력까지 같이 볼 수 있는 실기유형이다. 나머지 하나는 기존의 정물 실기이다. 정물 실기는 소묘나 수채화나 마찬가지겠지만 외워서 그린 관념적인 그림보다는 있는 그대로를 사실적으로 그려나가는 것이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예중 예고 입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두 가지 형식으로 치르는데, 거기에 학교마다의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것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연구해서 준비해 나가는 것이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내가 가르치는 학원에서도 이러한 입시의 실기유형을 분석하고 꾸준한 연구와 철저한 분석의 결과가 예고 100%합격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본다. 예중과 예고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자신이 지원하는 학교의 입시유형을 철저히 분석해서 준비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유동석 원장
백마 창조의 아침 미술학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