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재승적성대표강사
분당 solution 수학학원
문의 031-717-7706
전공적성검사는 일반적으로 논술이나 심층면접 등에 비해 문제가 어렵지 않다. 하지만 쉬운 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적성검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한정돼 있어 한 학생의 복수지원도 많은 편이다.
구체적으로 전공적성검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첫째, 인터넷 강의를 활용해 대학별 평가 요소와 출제 유형을 파악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강의의 맛보기 강좌 및 오리엔테이션 강좌는 대학별 출제 경향과 모집인원, 학생부와 전공적성검사 반영 비율, 수시전형 정보 등을 무료로 알려준다. 적극 활용하면 좋다.
둘째, 전공적성검사의 문제풀이 방식을 익히는 것은 필수다. 전공적성검사 문제를 푸는 방식은 수능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수능 언어영역에서 시 문제가 나오면 시의 전체적인 의미와 배경 등을 파악해 풀어야 한다. 하지만 전공적성검사 언어능력에서는 주어진 시를 읽고 핵심 단어 한두 개를 찾아 답을 유추하는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 인터넷 강의 등을 활용해 충분히 연습하고 분석해 문제풀이 능력을 길러야 한다.
셋째, 답을 추론하는 방식을 익히고 시간 안배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동안 전공적성검사를 봤던 수험생의 실패 원인을 잠시 살펴보자. 대부분 무작정 문제만 풀었지, 답을 어떻게 추론하는지 제대로 익히지 못했고 또 시간 안배에 실패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핵심을 한 번에 추론하고 파악해 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넷째,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는 과감히 뛰어 넘어야 한다. 전공적성검사는 문제풀이 시간이 매우 짧은 편이다. 따라서 잘 모르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는 미련 없이 지나가야 한다. 다음 문제라도 풀어야 더 나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문제를 선별하는 능력도 꾸준한 연습을 통해 기를 수 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