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모' 검색결과 총 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은 지난 9월 30일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이하 9모) 채점 결과를 발표하고 수험생들에게 성적표를 배부했다. 9모 채점 결과 국어는 어려웠고 수학은 다소 쉬었다. 영어는 그야말로 널뛰기로 1등급 비율이 4.5%로 6월 모의고사 19.5%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과학 탐구 두 과목을 선택한 응시자가 9만1,609명(22.4%)으로 작년 14만9,299명(38.6%)의 절반정도 수준에 그쳤다. 반면 사회탐구 두 과목 응시자는 23만8,563명으로 58.3%에 달했다. 특히 사회문화 응시자가 20만3,787명으로 50.6% 비율을 보였다. 사탐런의 많은 응시자가 사회문화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국어 만점 표준점수는 143점, 수학 140점이었다. 특히 미적분 컷이 입시업체들 예상보다 높아서 다소 쉬웠다는 평가다. 영어는 1등급 비율이 4.5%로 영어를 포함해 수능 최저를 맞추려는 응시자들에게 빨간 불이 켜졌다. 총 응시자는 재학생 2만4,000명 증가했고, N수생(졸업생, 검정고시)은 1,500명이 감소했다. 의대 정원복귀와 관련해 N수생 응시자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참고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 등급 구분 표준점수, 표준점수 분포>윤도영의 고3 9월 모의수능 채점결과분석, 강남하이퍼 9월 모평 결과분석화법과 작문 66.2%, 확률과 통계 55.1% 응시평가원이 발표한 ‘2026학년 9월모평 채점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응시자는 40만9,171명으로 재학생 31만9,073명, N수생(졸업생 검정고시포함) 9만,98명이었다. 국어는 화법과 작문이 66.2%, 언어와 매체 33.2%이었고, 수학은 확률과 통계 55.1%, 미적분 40.7%, 기하 2.7%였다. 확률과 통계의 응시 비율이 확실히 높아졌다. 사탐런에 이어 확통런과 화작런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탐구과목에서는 그 변화가 더 확실하게 나타났다. 사탐만 응시한 비율은 57.9%로 작년 48.1%보다 월등히 높았다. 사탐+과탐 조합은 작년 11.1%에서 18.0%로 상승했다. 반면 과탐 2개를 응시한 비율은 22.7%로 6월 모의고사 24.6%보다 더 줄어들었다. 사탐런의 집결지는 사회문화로 모아졌다. 9월모평 기준 사탐에서는 사회문화(이후 사문)응시 인원 증가가 가장 두드러졌다. 사문이 20만3,787명으로 가장 많았고 생윤이 16만1,959명으로 뒤를 따랐다. 작년과 비교해 봐도 사문은 6만4,663명, 생윤은 3만992명이 증가했다. 반면 과탐의 경우 응시자가 가장 많다고 하는 지구과학Ⅰ도 지난 해 보다 3만855명(25.6% 감소), 생명Ⅰ은 2만3,216명(20.8% 감소)이 감소했다. 특히 화학Ⅰ은 1만7,892명 감소해, 2만명도 되지 않은 1만9,140명에 그쳤다(48.3%감소). 자연계 수험생들은 수능최저 충족뿐만 아니라 과탐 점수 예측 자체가 불확실해진 상황이라 수능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재학생&졸업생 응시인원의 변화▒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영역별 응시인원 현황표준점수 국어 143점, 윤리와 사상 75점, 지Ⅱ 74점원점수 최고점 표준 점수가 140점 이상이면 대체로 변별력을 갖췄다고 하고 이하면 쉬웠다고 평가하는데, 국어영역 최고 표준점수는 143점, 수학영역 140점을 보였다. 탐구과목에서 최고 표준점수는 윤리와 사상 75점, 지구과학Ⅰ 74점, 사회문화, 물리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모두 73점으로 높게 나났다. 반면 동아시아사 65점, 세계사와 화학Ⅱ 67점, 세계지리, 물리학Ⅰ6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탐런으로 과학탐구 응시자가 줄었지만 표준점수에서는 사탐보다 과탐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난 특징이 있다. 1등급 구분 점수는 국어 130점, 수학 131점, 2등급은 125점으로 같다. 국어는 같은 1등급이라도 표준점수는 143점과 130점으로 13점 이상 큰 점수 차이가 났고 수학은 9점의 차이가 났다. 사탐의 경우 표준 점수는 윤리와 사상 75점, 사회문화 73점, 생활과 윤리 71점, 경제 70점 순으로 낮아졌다. 이어 세계지리 69점, 정치와법 68점, 동아시아사 65점 순이었다. 과탐은 지구과학Ⅰ74점, 물리학Ⅱ,생명Ⅱ, 지구과학Ⅱ 모두 73점, 화학Ⅰ71점, 생명과학Ⅰ70점, 물리학Ⅰ69점, 화학 Ⅱ67점 순이다. ▒ 국어&수학 9월 모평 표준점수와 도수분포▒ 사회탐구 등급별 구분점수와 인원▒ 과학탐구 등급별 구분점수와 인원수능까지, 한 문제 더 맞출 수 있게 준비해야9월 모평 가채점을 바탕으로 수시지원 원서를 구성했지만, 실채점 결과를 받고, 수능 최저 충족과 정시 경쟁력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기 쉽다. 무엇보다 국어가 상당히 어려웠고, 수학은 잘하는 인원이 예상외로 많다는 것. 거기다 영어 1등급 비율도 4.5%에 그치고 사탐런의 증가로 과탐 선택자의 불안감을 더욱 더 커졌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9모는 수능이 아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수능시험이기 때문에 수능 때까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이 시점에 새로운 교재나 문제집을 풀기보다는 시험 연계율이 높은 수능 특강, 수능 완성을 보다 꼼꼼하게 반복 학습하는 것이 좋다. 또 9모는 어려웠기 때문에 수능에서는 평가원이 난이도 조절을 해서 조금 쉬워질 것이라는 수능 난이도를 예측하는 것도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시험이 쉬운 대로, 어려운대로 나에게만 어렵거나 쉬운 것이 아니라 전체 수험생 모두에게 동일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9모 채점 결과도 단순히 등급 컷만 볼 것이 아니라 각 등급별 누적인원과 백분위를 보고, 자신의 위치가 어느 정도 되는지, 지금 상태에서 최저 충족이나 원하는 대학 정시 지원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한 문제라도 더 맞출 수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
                    2025-10-22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은 지난 9월 30일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이하 9모) 채점 결과를 발표하고 수험생들에게 성적표를 배부했다. 9모 채점 결과 국어는 어려웠고 수학은 다소 쉬었다. 영어는 그야말로 널뛰기로 1등급 비율이 4.5%로 6월 모의고사 19.5%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과학 탐구 두 과목을 선택한 응시자가 9만1,609명(22.4%)으로 작년 14만9,299명(38.6%)의 절반정도 수준에 그쳤다. 반면 사회탐구 두 과목 응시자는 23만8,563명으로 58.3%에 달했다. 특히 사회문화 응시자가 20만3,787명으로 50.6% 비율을 보였다. 사탐런의 많은 응시자가 사회문화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국어 만점 표준점수는 143점, 수학 140점이었다. 특히 미적분 컷이 입시업체들 예상보다 높아서 다소 쉬웠다는 평가다. 영어는 1등급 비율이 4.5%로 영어를 포함해 수능 최저를 맞추려는 응시자들에게 빨간 불이 켜졌다. 총 응시자는 재학생 2만4,000명 증가했고, N수생(졸업생, 검정고시)은 1,500명이 감소했다. 의대 정원복귀와 관련해 N수생 응시자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참고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 등급 구분 표준점수, 표준점수 분포>윤도영의 고3 9월 모의수능 채점결과분석, 강남하이퍼 9월 모평 결과분석화법과 작문 66.2%, 확률과 통계 55.1% 응시평가원이 발표한 ‘2026학년 9월모평 채점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응시자는 40만9,171명으로 재학생 31만9,073명, N수생(졸업생 검정고시포함) 9만,98명이었다. 국어는 화법과 작문이 66.2%, 언어와 매체 33.2%이었고, 수학은 확률과 통계 55.1%, 미적분 40.7%, 기하 2.7%였다. 확률과 통계의 응시 비율이 확실히 높아졌다. 사탐런에 이어 확통런과 화작런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탐구과목에서는 그 변화가 더 확실하게 나타났다. 사탐만 응시한 비율은 57.9%로 작년 48.1%보다 월등히 높았다. 사탐+과탐 조합은 작년 11.1%에서 18.0%로 상승했다. 반면 과탐 2개를 응시한 비율은 22.7%로 6월 모의고사 24.6%보다 더 줄어들었다. 사탐런의 집결지는 사회문화로 모아졌다. 9월모평 기준 사탐에서는 사회문화(이후 사문)응시 인원 증가가 가장 두드러졌다. 사문이 20만3,787명으로 가장 많았고 생윤이 16만1,959명으로 뒤를 따랐다. 작년과 비교해 봐도 사문은 6만4,663명, 생윤은 3만992명이 증가했다. 반면 과탐의 경우 응시자가 가장 많다고 하는 지구과학Ⅰ도 지난 해 보다 3만855명(25.6% 감소), 생명Ⅰ은 2만3,216명(20.8% 감소)이 감소했다. 특히 화학Ⅰ은 1만7,892명 감소해, 2만명도 되지 않은 1만9,140명에 그쳤다(48.3%감소). 자연계 수험생들은 수능최저 충족뿐만 아니라 과탐 점수 예측 자체가 불확실해진 상황이라 수능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재학생&졸업생 응시인원의 변화▒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영역별 응시인원 현황표준점수 국어 143점, 윤리와 사상 75점, 지Ⅱ 74점원점수 최고점 표준 점수가 140점 이상이면 대체로 변별력을 갖췄다고 하고 이하면 쉬웠다고 평가하는데, 국어영역 최고 표준점수는 143점, 수학영역 140점을 보였다. 탐구과목에서 최고 표준점수는 윤리와 사상 75점, 지구과학Ⅰ 74점, 사회문화, 물리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모두 73점으로 높게 나났다. 반면 동아시아사 65점, 세계사와 화학Ⅱ 67점, 세계지리, 물리학Ⅰ6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탐런으로 과학탐구 응시자가 줄었지만 표준점수에서는 사탐보다 과탐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난 특징이 있다. 1등급 구분 점수는 국어 130점, 수학 131점, 2등급은 125점으로 같다. 국어는 같은 1등급이라도 표준점수는 143점과 130점으로 13점 이상 큰 점수 차이가 났고 수학은 9점의 차이가 났다. 사탐의 경우 표준 점수는 윤리와 사상 75점, 사회문화 73점, 생활과 윤리 71점, 경제 70점 순으로 낮아졌다. 이어 세계지리 69점, 정치와법 68점, 동아시아사 65점 순이었다. 과탐은 지구과학Ⅰ74점, 물리학Ⅱ,생명Ⅱ, 지구과학Ⅱ 모두 73점, 화학Ⅰ71점, 생명과학Ⅰ70점, 물리학Ⅰ69점, 화학 Ⅱ67점 순이다. ▒ 국어&수학 9월 모평 표준점수와 도수분포▒ 사회탐구 등급별 구분점수와 인원▒ 과학탐구 등급별 구분점수와 인원수능까지, 한 문제 더 맞출 수 있게 준비해야9월 모평 가채점을 바탕으로 수시지원 원서를 구성했지만, 실채점 결과를 받고, 수능 최저 충족과 정시 경쟁력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기 쉽다. 무엇보다 국어가 상당히 어려웠고, 수학은 잘하는 인원이 예상외로 많다는 것. 거기다 영어 1등급 비율도 4.5%에 그치고 사탐런의 증가로 과탐 선택자의 불안감을 더욱 더 커졌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9모는 수능이 아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수능시험이기 때문에 수능 때까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이 시점에 새로운 교재나 문제집을 풀기보다는 시험 연계율이 높은 수능 특강, 수능 완성을 보다 꼼꼼하게 반복 학습하는 것이 좋다. 또 9모는 어려웠기 때문에 수능에서는 평가원이 난이도 조절을 해서 조금 쉬워질 것이라는 수능 난이도를 예측하는 것도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시험이 쉬운 대로, 어려운대로 나에게만 어렵거나 쉬운 것이 아니라 전체 수험생 모두에게 동일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9모 채점 결과도 단순히 등급 컷만 볼 것이 아니라 각 등급별 누적인원과 백분위를 보고, 자신의 위치가 어느 정도 되는지, 지금 상태에서 최저 충족이나 원하는 대학 정시 지원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한 문제라도 더 맞출 수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
                    2025-10-22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9월 4일(수) 실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수험생들이 마지막 수능 실전 연습을 할 수 있는 9월 모의평가가 9월 4일(수) 치러졌다. 9월 모의평가는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이 주관한 시험이고, 지난 6원 모의평가와 더불어 올해 수능의 출제 기조와 난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되는 만큼 수험생들에게는 더더욱 중요한 시험이기도 하다. 특히, 오는 9월 9일부터 13일까지 대학별로 2025학년도 수시모집이 시작되기에 수험생에 따라 9월 모의평가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며, 수시와 정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수험생들의 대입 전략 수립을 위한 9월 모의평가 활용 방법을 살펴봤다.  도움말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9월 모의평가가 중요한 세 가지 이유9월 모의평가는 시험 범위가 수능 전 범위에 걸쳐 있고, 무엇보다 재학생들은 졸업생(재수생, 반수생, N수생, 검정고시 포함)과 함께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수능과 가장 유사한 시험이자 전국에서 자신의 성적대를 가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험이다. 하나. 실제 수능과 가장 유사한 시험9월 모의평가는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 구성이 수능과 가장 유사하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교육청 주관의 전국연합학력평가는 고3 수험생들의 결과만을 확인할 수 있으나, 9월 모의평가는 수능에서 강세를 보이는 졸업생들이 함께 시험을 치르기에 실제 수능과 유사한 응시자 구성 속에서 자신의 성적 위치를 예상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6월 모의평가에도 졸업생이 응시했으나, 9월 모의평가에 더 많은 졸업생이 응시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설명했다.또, 우 소장은 특히, 올해는 의대 증원의 여파로 경쟁력이 우수한 졸업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9월 모평의 의미가 크다. 또한, 시험 출제 범위도 수능과 동일하다. 그 동안의 모의평가는 수학 선택과목 및 과학탐구Ⅱ 출제 범위가 전 범위가 아니었으므로, 일부 학생들은 성적이 다소 과대평가 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출제 범위, 응시자 구성, 출제 경향 등에서 수능과 가장 유사한 9월 모의평은 현 시점에서 자신의 위치를 가장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라 할 수 있다.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도 졸업생 증가 추세를 언급하며 “2025학년도 9월 모의평가 접수자 결과를 보면 올해 수능에서는 21년 만에 졸업생 수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2011학년도 평가원 6, 9월 모의고사 접수자 통계 발표 이후 사실상 최고치라고 할 수 있다. 2022학년도 수능이 최고치였으나 당시에 접수자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허수가 포함되어 있고, 2024학년도 수능은 177,942명으로 N수생 최고치였고 2025학년도 최고치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의대 모집정원 확대가 N수생 증가에 직접적인 요인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표1, 표2 참조)임 대표는 또, “2024학년도 대입에서는 재학생 수가  326,646명(64.7%), 졸업생 수가 177,942명(35.3%)로 총 504,588명이 응시했다. 올해 치러지러는 2025학년도 수능 응시 인원(추정)은 재학생 335,400명(65.3%~65.2%), 졸업생 177,849~178,632명(34.7%~34.8%)으로 총 513,249~514,032명이 응시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표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6월 모의평가 접수자’ 수표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9월 모의평가 접수자’ 수표1, 2 종로학원둘, 수시 지원 전략의 주요 기준9월 모의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수시 지원 전략의 주요 기준이 된다는 점이다.이에 우 소장은 “수시 원서 접수를 앞둔 지금, 많은 학생들이 수시에서 지원할 대학과 전형, 모집단위를 결정했을 것이다. 그러나 수험생들은 자신의 수능 성적에 따라 전략을 다르게 수립해야 하는 상황도 생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전형이라면 9월 모의평가 가채점 결과에 따라 합격 가능성은 물론 지원 전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9월 모의평가는 수시 지원의 최종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9월 모의평가 성적이 우수하다면 정시에서의 기대 수준이 높아지므로, 수시 지원 대학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반면, 9월 모의평가 성적이 기대에 못 미친다면, 수시에서 안정 지원 위주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임 대표는 “올해 수능은 의대 모집정원 확대 원인으로 상위권 N수생의 증가가 예상된다. 상위권 N수생 유입 정도에 따라 고3 학생은 수능에서 점수변화 상당히 클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시 원서접수를 앞두고 지원 대학을 최종 결정할 때 상위권 N수생 유입을 감안해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에 따른 과도한 합격 기대심리로 무리한 상향 지원은 위험할 수도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셋. 수능 대비 학습의 길잡이9월 모의평가가 중요한 세 번째 이유는 수능 대비 학습의 길잡이로 삼을 수 있다는 점이다. 우 소장은 “실제 수능 성적은 9월 모의평가 성적보다 하락하는 수험생도 많은 편이다. 실제 수능이 주는 긴장감은 평소 연습에서 느끼는 것과 차이가 커서 본인의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9월 모의평가 결과에 자만하거나 주눅들기 보다는 이후의 학습 계획(Tip 참조)을 수립하기 위한 길잡이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Tip  9월 모의평가 이후의 학습 전략
                    2024-09-05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9월 4일(수) 실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수험생들이 마지막 수능 실전 연습을 할 수 있는 9월 모의평가가 9월 4일(수) 치러졌다. 9월 모의평가는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이 주관한 시험이고, 지난 6원 모의평가와 더불어 올해 수능의 출제 기조와 난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되는 만큼 수험생들에게는 더더욱 중요한 시험이기도 하다. 특히, 오는 9월 9일부터 13일까지 대학별로 2025학년도 수시모집이 시작되기에 수험생에 따라 9월 모의평가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가늠하는 잣대가 되며, 수시와 정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수험생들의 대입 전략 수립을 위한 9월 모의평가 활용 방법을 살펴봤다.  도움말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9월 모의평가가 중요한 세 가지 이유9월 모의평가는 시험 범위가 수능 전 범위에 걸쳐 있고, 무엇보다 재학생들은 졸업생(재수생, 반수생, N수생, 검정고시 포함)과 함께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수능과 가장 유사한 시험이자 전국에서 자신의 성적대를 가늠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시험이다. 하나. 실제 수능과 가장 유사한 시험9월 모의평가는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자 구성이 수능과 가장 유사하다.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은 “교육청 주관의 전국연합학력평가는 고3 수험생들의 결과만을 확인할 수 있으나, 9월 모의평가는 수능에서 강세를 보이는 졸업생들이 함께 시험을 치르기에 실제 수능과 유사한 응시자 구성 속에서 자신의 성적 위치를 예상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6월 모의평가에도 졸업생이 응시했으나, 9월 모의평가에 더 많은 졸업생이 응시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설명했다.또, 우 소장은 특히, 올해는 의대 증원의 여파로 경쟁력이 우수한 졸업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9월 모평의 의미가 크다. 또한, 시험 출제 범위도 수능과 동일하다. 그 동안의 모의평가는 수학 선택과목 및 과학탐구Ⅱ 출제 범위가 전 범위가 아니었으므로, 일부 학생들은 성적이 다소 과대평가 되었을 수 있다. 따라서 출제 범위, 응시자 구성, 출제 경향 등에서 수능과 가장 유사한 9월 모의평은 현 시점에서 자신의 위치를 가장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라 할 수 있다.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도 졸업생 증가 추세를 언급하며 “2025학년도 9월 모의평가 접수자 결과를 보면 올해 수능에서는 21년 만에 졸업생 수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2011학년도 평가원 6, 9월 모의고사 접수자 통계 발표 이후 사실상 최고치라고 할 수 있다. 2022학년도 수능이 최고치였으나 당시에 접수자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허수가 포함되어 있고, 2024학년도 수능은 177,942명으로 N수생 최고치였고 2025학년도 최고치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올해 의대 모집정원 확대가 N수생 증가에 직접적인 요인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표1, 표2 참조)임 대표는 또, “2024학년도 대입에서는 재학생 수가  326,646명(64.7%), 졸업생 수가 177,942명(35.3%)로 총 504,588명이 응시했다. 올해 치러지러는 2025학년도 수능 응시 인원(추정)은 재학생 335,400명(65.3%~65.2%), 졸업생 177,849~178,632명(34.7%~34.8%)으로 총 513,249~514,032명이 응시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표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6월 모의평가 접수자’ 수표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9월 모의평가 접수자’ 수표1, 2 종로학원둘, 수시 지원 전략의 주요 기준9월 모의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수시 지원 전략의 주요 기준이 된다는 점이다.이에 우 소장은 “수시 원서 접수를 앞둔 지금, 많은 학생들이 수시에서 지원할 대학과 전형, 모집단위를 결정했을 것이다. 그러나 수험생들은 자신의 수능 성적에 따라 전략을 다르게 수립해야 하는 상황도 생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전형이라면 9월 모의평가 가채점 결과에 따라 합격 가능성은 물론 지원 전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9월 모의평가는 수시 지원의 최종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9월 모의평가 성적이 우수하다면 정시에서의 기대 수준이 높아지므로, 수시 지원 대학을 상향 조정할 수 있다. 반면, 9월 모의평가 성적이 기대에 못 미친다면, 수시에서 안정 지원 위주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임 대표는 “올해 수능은 의대 모집정원 확대 원인으로 상위권 N수생의 증가가 예상된다. 상위권 N수생 유입 정도에 따라 고3 학생은 수능에서 점수변화 상당히 클 수도 있다. 따라서 수시 원서접수를 앞두고 지원 대학을 최종 결정할 때 상위권 N수생 유입을 감안해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의대 모집 정원 확대에 따른 과도한 합격 기대심리로 무리한 상향 지원은 위험할 수도 있음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조언했다. 셋. 수능 대비 학습의 길잡이9월 모의평가가 중요한 세 번째 이유는 수능 대비 학습의 길잡이로 삼을 수 있다는 점이다. 우 소장은 “실제 수능 성적은 9월 모의평가 성적보다 하락하는 수험생도 많은 편이다. 실제 수능이 주는 긴장감은 평소 연습에서 느끼는 것과 차이가 커서 본인의 실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9월 모의평가 결과에 자만하거나 주눅들기 보다는 이후의 학습 계획(Tip 참조)을 수립하기 위한 길잡이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Tip  9월 모의평가 이후의 학습 전략
                    2024-09-05



 50대
                                이상
50대
                                이상
                 40대
40대
                 30대
30대
                 20대
                                이하
20대
                                이하
                
 보내기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