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별성취도' 검색결과 총 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서초 고교 고1-1 교과 성취도
현재 고1 학생부터 적용되고 있는 2022 교육과정에 따라 2028학년도 대학입시부터 고교학점제가 적용돼 고교선택이 더욱 중요해졌다. 고교를 선택하는데는 학교의 교육과정, 진학지도 역량, 교육 환경과 인프라, 학생 수, 통학거리 등 고려해야할 요소가 다양하다. 그 중에에서도 교육과정이 중요한데 학교별로 교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학생들의 교과 성취도 분포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지원하는 학생의 학습 성향에 적합한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지난 9월말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2025학년도 고1 교과별 학업 성취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고교별로 차이를 보인다. 교과별 학업 성취 자료는 과목별 평균과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A~E 5단계로 나누어 비율로 보여준다. 현재 중3 학생들이 진학해야할 고교를 선택해야하는 시점에서 서초 지역 6개 고교의 2025학년도 고1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을 비교해봤다.참고자료: 2025학년도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학교알리미) 서초 6개 고교2025학년도 고1 주요 교과편성과 단위 수2025학년도 고1 교과별 학업성취도를 비교 분석한 서초지역 고교는 남학교는 상문고, 서울고, 세화고 등 3개 학교를 선정했고, 여학교는 동덕여고, 서문여고, 세화여고 등 3개 학교를 선정했다.상문고, 서울고, 세화고 등 3개 서초 남고의 2025학년도 고1 주요 교과편성과 단위수를 살펴보면, 공통국어, 공통수학, 공통영어 등 주요 3개 과목의 단위 편성이 달랐다. 국어, 수학, 영어 순서대로 상문고는 4, 4, 3단위로, 서울고는 3, 4, 3단위로, 세화고는 4, 4, 4단위로 편성했다.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은 각각 3, 4, 4, 1단위로 4개 학교가 동일하다. 그외 과목들은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상문고는 체육 2, 음악 3, 미술 2단위로 편성했고, 서울고는 체육 2, 음악 2, 미술 2, 정보 3단위로 편성했다. 세화고는 체육, 음악, 미술을 동일하게 각 2단위로 편성했다.동덕여고, 서문여고, 세화여고 등 3개 서초 여고의 2025학년도 고1 주요 교과편성과 단위수를 살펴보면, 공통국어, 공통수학, 공통영어 등 주요 3개 과목의 단위 편성이 달랐다. 동덕여고는 4, 4, 4단위로 편성했고, 서문여고는 3, 4, 3단위로 편성했다. 세화여고는 국어와 영어는 각각 3, 4단위로 수학은 공통수학1 3단위와 공통수학2 3단위로 편성됐다.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은 각각 3, 4, 4, 1단위로 4개 학교가 동일하다. 그외 과목들의 단위 편성은 동덕여고와 세화여고는 체육, 음악, 미술이 각각 2단위였고, 서문여고는 체육, 미술, 기술·가정이 각각 2, 2, 3단위로 편성됐다.고1 공통국어남고: 세화고 평균 높고, 상문고 평균 낮은 편여고: 세화여고 평균 높고, 동덕여고 평균 낮은 편서초 남고 3개 학교의 공통국어 과목 평균과 성취도별 분포를 비교해보면 세화고의 평균이 80.5점으로 가장 높고, 상문고의 평균이 73.3점으로 낮다. A~E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보면, 세 학교 모두 A와 B 구간의 비율이 높고 D와 E 구간의 비율은 미미했다.서초 여고 3개 학교의 공통국어 과목 평균과 성취도별 분포를 비교해보면 세화여고의 평균이 86.7점으로 상당히 높았고, 동덕여고의 평균이 77.5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A~E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보면, 세화여고의 A 비율은 93%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C~E 구간의 비율은 극히 낮았다. 서문여고는 A의 비율이 69.3%로 상당히 높았고, 동덕여고의 경우 B와 C 구간의 비율이 높았다. <2025학년도 서초 3개 남고 고1 1학기 공통국어 성취도 비교>(단위: 점수, %)<2025학년도 서초 3개 여고 고1 1학기 공통국어 성취도 비교>(단위: 점수, %)고1 공통수학남고: 세화고 평균 높고, 성취도 A의 비율이 90% 이상여고: 세화여고 평균 높고, 동덕여고 평균 낮은 편서초 남고 3개 학교의 공통수학 과목 평균과 성취도별 분포를 비교해보면 세화고의 평균이 80.5점으로 가장 높고, 서울고의 평균이 69.7점으로 가장 낮아 두 학교의 평균 차이는 10점 이상 났다. A~E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보면, 세화고의 A 비율이 90.01%로 상당히 높았으며 C~E 구간의 비율은 극히 미미했다. 상문고도 A의 비율이 59.2%로 높은 편이며, 서울고는 B의 비율이 36.8%로 A의 비율보다 높았다.서초 여고 3개 학교의 공통수학 과목 평균과 성취도별 분포를 비교해보면 세화여고의 평균이 공통수학1은 76.1 공통수학2는 79.1로 높았으며, 동덕여고의 평균은 67.3으로 낮은 현이었다. A~E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보면, 세화여고는 A와 B의 비율이 높았으며, 동덕여고와 서문여고는 A보다 B의 비율이 가장 높고 C의 비율도 높은 편이다. <2025학년도 서초 3개 남고 고1 1학기 공통수학 성취도 비교> (단위: 점수, %)<2025학년도 서초 3개 여고 고1 1학기 공통수학 성취도 비교> (단위: 점수, %)고1 공통영어남고: 세화고 평균 높고, 서울고는 성취도 A의 비율이 90.7%여고: 세화여고의 평균 높고, 성취도 A의 비율이 62.1%서초 남고 3개 학교의 공통영어 과목 평균과 성취도별 분포를 비교해보면 세화고의 평균이 78.1점으로 가장 높고, 상문고의 평균이 70.6점으로 가장 낮았는데, 세 학교 모두 평균 차이는 크지 않았다. A~E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보면, 서울고의 A 비율이 90.7%로 상당히 높았으며 C~E 구간의 비율은 극히 미미했다. 상문고와 세화고는 비슷한 분포를 보였는데, A+B의 비율이 높았다.서초 여고 3개 학교의 공통영어 과목 평균과 성취도별 분포를 비교해보면 세화여고의 평균이 82.9점으로 상당히 높았으며, 동덕여고의 평균은 65.2점으로 낮았다. 두 학교의 평균 차이는 17.7점이나 되었다. A~E 성취도별 분포 비율을 보면, 세화여고는 A의 비율이 62.1%로 높았으며, 서문여고는 A+B의 비율이 높고, 동덕여고는 D와 E의 비율이 높았다.<2025학년도 서초 3개 남고 고1 1학기 공통영어 성취도 비교> (단위: 점수, %)<2025학년도 서초 3개 여고 고1 1학기 공통영어 성취도 비교> (단위: 점수,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한국사 과목은 남고는 상문고, 서울고, 세화고 세 학교의 평균이 모두 70점대 초반으로 비슷했다. 여고는 세화여고의 평균이 83.1점으로 가장 높고, 동덕여고는 76.2점, 서문여고는 73.3점으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성취도 A~E 등급별 비율은 남고와 여고 모두 대체로 A~C 구간에 고르게 분포됐다.통합사회 과목은 남고는 서울고의 평균이 78점으로 가장 높고, 상문고 76.5점, 세화고 75.6점으로 세 학교가 비슷했다. A~E 등급별 비율은 세학교 모두 A+B의 비율이 70% 이상이었다. 여고는 동덕여고의 평균이 84.3점으로 가장 높고, 세화여고 81.8점, 서문여고 76.2점으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A~E 등급별 비율은 동덕여고와 세화여고는 A와 B의 비율이 높았고, 서문여고는 B와 C의 비율이 높았다.통함과학 과목은 남고는 서울고의 평균이 78.7점으로 가장 높고, 세화고 75.2점, 상문고 71.4점으로 세 학교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E 등급별 비율은 상문고는 A의 비율이 67.1%로 상당히 높았고, 서울고와 세화고는 A와 B의 비율이 높았다. 여고는 세화고의 평균이 83.2점으로 가장 높았고, 동덕여고 73.8점, 서문여고 69.8점으로 남고에 비해 학굑별 평균 차이가 컸다. A~E 등급별 비율은 세화여고의
2025-10-22
-
강남 여고 2018 교과 성취도 비교
2018학년도 고교별 학업 성취도 자료를 학교별로 살펴보면 학년별, 교과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교과별 성취도 자료는 교과 평가의 과목별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학생들의 성취도 비율을 A~E로 나누어 보여준다. 강남 중학교 학부모들의 관심이 높은 두 여학교 숙명여고와 진선여고의 학년별 교과별 학업성취도를 비교해봤다.참고자료 2018학년도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학교알리미)-숙명여고/진선여고※ 주요 교과(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 교과별 성취도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했지만 다소 주관적인 견해도 포함됨1학년국어 숙명여고, 영어 진선여고 어렵게 평가주요 과목 중 두 학교의 과목별 평균 차이가 두드러진 과목은 영어,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등으로 숙명여고가 진선여고에 비해 모두 평균이 높은 편이다.특히 영어 평균의 경우 진선여고가 1학기에 11.2점, 2학기에 9.6점 낮았다. 통합사회는 1학기에 진선여고가 12.1점이나 낮았고, 통합과학도 1학기에 진선여고가 15.6점이나 낮았다. 2학기에는 다소 차이가 줄었지만 여전히 진선여고가 5점 이상 낮았다. 과학탐구실험은 5~7점의 차이로 진선여고 가 낮았다. 이 과목들의 표준편차를 살펴보면 진선여고가 대부분 크게 나타나 숙명여고보다 어려운 난이도로 변별력을 확보한 평가를 실시했다고 볼 수 있다. 성취도 비율에서도 보다 쉽게 출제된 숙명여고의 A~B 비율이 진선여고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다.반면에 국어 평균은 진선여고에 비해 숙명여고가 1학기에 5.1점, 2학기에 4.2점 낮았다. 큰 차이는 아니지만 숙명여고 국어 평가는 표준편차를 고려하더라도 진선여고에 비해 어려운 평가로 보인다. 성취도 비율에서도 진선여고보다 A의 비율이 낮고 E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수학의 경우는 1학기에는 숙명여고의 평균이 높고 2학기에는 진선여고의 평균이 높았다. 평균이 비슷한데 비해 표준편차는 숙명여고가 더 크게 나타났고 성취도 E의 비율도 숙명여고가 더 높았다.▒ 숙명여고 1학년 교과별 성취도▒ 진선여고 1학년 교과별 성취도2학년수학·영어 교과 진선여고가 숙명여고보다 어렵게 평가2018학년도 2학년은 2015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된 학년은 아니지만 학생의 계열(인문/자연)에 따라 이수 교과목이 달라지고 같은 과목이라 하더라도 계열에 따라 단위 수를 다르게 편성할 수 있다.숙명여고는 문학, 독서와 문법 등의 과목에서도 계열별로 나누어 교과목을 편성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진선여고는 국어 교과에서 계열에 따른 단위 수 구분을 두지 않고 통합 수강토록 했음을 엿볼 수 있다. 영어 과목의 단위 수가 숙명여고에 비해 진선여고가 영어Ⅱ, 심화영어독해Ⅰ 두 과목 모두 1단위씩 많으며, 사회과 과학 교과의 과목 편성은 숙명여고가 진선여고에 비해 다양했다. 2학년 주요 과목 중 두 학교의 과목별 평균 차이가 두드러진 과목은 확률과통계(자연계열), 미적분Ⅰ, 미적분Ⅱ, 영어Ⅱ, 심화영어독해Ⅰ 등 주로 수학과 영어 교과였다. 특히 수학 교과에서 자연계열 학생들이 이수한 미적분Ⅰ, 미적분Ⅱ 과목의 경우 숙명여고는 1, 2학기 모두 평균이 70점대였지만 진선여고는 1, 2학기 모두 평균이 50점대로 상당히 낮아 수학 교과를 상당히 어렵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취도별 분포비율에서도 진선여고는 E의 비율이 상당히 높아 그 구분점수를 상당히 낮게 산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영어Ⅱ는 숙명여고의 평균이 71.6점인 반면 진선여고는 65점으로 6점 이상 낮았으며, 심화영어독해Ⅰ도 숙명여고는 69.6점인 반면 진선여고는 59.7점으로 약 10점의 차이를 보였다. 두 학교 모두 영어 교과의 표준편차는 높은 편으로 변별력을 확보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영어 교과의 성취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A의 비율도 높은 편이지만 두 학교 모두 E의 비율도 상당히 높아 실력이 양극화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숙명여고 2학년 교과별 성취도▒ 진선여고 2학년 교과별 성취도3학년국, 수, 영, 사회, 과학 등 전체적으로 진선여고 평가 수준 높아3학년 국어 교과는 숙명여고는 화법과작문 1과목이 진선여고는 고전과 화법과작문 2과목이 편성됐다. 진선여고는 1~2학년에 비해 3학년에서 국어 교과의 평균이 현저히 낮아 평가가 어려웠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수년 간 수능 국어가 비교적 어렵게 출제된 것에 대비하기 위해 교과 평가에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수학 교과는 숙명여고의 평가 난이도가 대체로 무난했던 것(60점대 후반~80점대 평균)에 비해 진명여고는 50점대 평균을 보이는 과목들도 눈에 띈다.영어 교과는 두 학교 모두 심화 과목으로 편성됐으며, 변별력 있는 평가 난이도를 보였다. 숙명여고는 1, 2학기 모두 60점대의 평균을 보였고, 성취도 E의 비율도 1, 2학기 각각 37%, 43.6%에 달해 쉽지 않은 평가였다. 진선여고는 이보다 더 어려워 1, 2학기 모두 45점대의 평균이었고, 성취도 E의 비율도 1, 2학기 모두 무려 70%를 넘었다. 수능 영어는 절대평가를 실시하지만, 특히 진선여고의 경우 영어 교과의 평가는 1~3학년 모두 상당히 어렵게 평가했다고 할 수 있다.사회와 과학 교과의 경우 숙명여고가 진선여고에 비해 다수의 과목을 편성했으며, 과목별 평균과 성취도 분포 비율 등을 볼 때 평가의 난이도는 진선여고가 숙명여고에 비해 다소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고 3학년 교과별 성취도▒ 진선여고 3학년 교과별 성취도교과 과목별성취도 A~E 등급 분할 기준고등학교의 학교생활기록부 교과학습발달상황에서 교과 성적이 기재되는 부분에는 학교에서 시행한 평가에 따라 교과, 과목, 단위 수,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성취도(수강자 수), 석차등급 등이 기록된다. 이때 교과 과목별 성취도는 학생들의 교과 성취율에 따라 A, B, C, D, E로 기록되며 바로 옆의 괄호 안에 그 과목의 수강자 수가 기록된다.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영역별 기재요령’에 따르면 고1 공통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 등 보통교과 일반과목과 심화과목의 성취도는 성취율에 따라 A~E로 구분하며, 그 산정 기준은 A(성취율 90% 이상), B(80% 이상~90% 미만), C(70% 이상~80% 미만), D(60% 이상~70% 미만), E(60% 미만)로 평정하되, 기준 성취율에 따른 분할점수를 과목별로 학교가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학교별로 A부터 E까지 분할점수가 다를 수 있다. 실제로 평균이 극히 낮음에도 성취도A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학교들이 있는데, 이는 성취도A를 가르는 점수를 상당히 낮게 산정했음을 시사한다.
2019-07-18



50대
이상
40대
30대
20대
이하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