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검색결과 총 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21년 기축년을 시작하는 건강 결심 2021년 신축년(辛丑年) 소띠해가 밝았다. 새해에는 저마다 건강과 관련해 결심하게 마련이다. 금연 결심도 그중 하나이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국가금연지원센터 금연두드림 홈페이지에 공개된 2021년 금연 도전자는 17만 4281명, 금연 성공자 70만 343명(2020년 12월 29일 통계 기준)이다. 금연 클리닉부터 찾아가는 금연 서비스, 금연 캠프, 온라인 금연 서비스 등 새해 금연 지원 서비스를 살펴봤다. 자료참조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국가금연지원센터, 강남구&서초구 보건소, 국민건강보험 각 홈페이지# 금연 클리닉전국 257개 보건소에서는 금연 클리닉을 운영한다. 지역사회 흡연자는 누구나(청소년 포함) 무료로 신청할 수 있으며, 6개월간 금연상담 서비스, CO(일산화탄소) 또는 코티닌 측정, 금연 보조제, 행동 요법, 금연치료 서비스 등이 이루어진다.금연 클리닉 과정은 금연 준비 단계, 금연 실천 단계(2~6주), 금연 유지 단계(6개월 관리)로 나눠서 진행되며 초기 1차 상담 시 금연 클리닉에 등록되며 생활습관, 니코틴 의존도, CO 측정 등 흡연력 평가, 금연 의지 확인 및 금연 방법 등을 결정한다. 그 다음 금연 시작일부터 6개월 관 총 9차 상담을 기준으로 전화/방문 상담, 금연 보조제(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캔디 등)와 금연 행동 물품(지압기, 수첩 등) 제공, 흡연 욕구와 금단 증상 관리 등이 이루어진다. 금연 시작 6개월부터 12개월까지는 추후 관리가 이루어지며 이 기간 동안 전화, 문자,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한다. <강남구보건소>- 주소 : 강남구 선릉로 668(삼성동, 강남구립국제교육원)- 문의 : 02-3423-7236~8<서초구보건소>- 주소 : 서초구 남부순환로 2584(서초동)- 문의 : 02-2155-8078# 금연 상담 전화금연 상담 전화는 금연을 원하는 사람이 성공적으로 금연할 수 있도록 30일 동안 정해진 순서에 따라 상담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상담 전날 금연 준비하기, 상담 1일차 흡연 욕구 조절하기, 3일차차 금단 증상 이겨내기, 7일차 스트레스 관리하기, 14일차 금연 이유 재확인 하기, 21일 차 금연의 장점 파악하기 등이 이루어진다.금연 상담 전화는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상담 외에 금연 지침서와 SMS 문자 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연 상담 전화 : 1544-9030(제공 기관: 국립암센터)- 이용 기간 : 월~금 오전 9시~후 10시, 주말/공휴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서비스 내용 : 금연 상담 전화로 30일간 전문적인 금연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단기 금연 캠프단기 금연 캠프는 금연 의지가 있으나 혼자서 금연하기 힘든 흡연자에게 전문적인 금연프로그램을 제공한다.금연 캠프는 전문 치료형과 입원형(입원 환자 대상 금연 지원 서비스)으로 나뉜다. 전문 치료형 캠프는 개인(장기, 고도 흡연자)을 대상으로 4박 5일간 지역 금연지원센터 병원 등에서 의료인이 제공하는 전문 금연 프로그램(참가비는 10만 원, 수료 후 인센티브 제공)이다. 캠프 1일차에는 센터 입소 후 프로그램 및 이용 안내, 건강상태 평가, 자기소개와 토론, 금연 목표 설정한다. 2~4일차에는 금연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5일차에는 금연 상태 평가, 금연 유지 계획 설정, 퇴소(수료) 후 추후 관리가 이루어진다. 전국 17개 지역금연지원센터의 일정에 따라 전문 치료형 캠프가 운영되며, 서울금연지원센터(서초동)에서는 2020년에 연 12회(매월) 운영되었다.입원형 캠프는 개인(금연 필요자, 만성질환자)을 대상으로 지역 금연지원센터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건강 상태에 따른 금연 동기 강화,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 등이 이루어지며, 참가비는 무료이다.<금연 캠프 신청 방법>- 신청 방법 : 금연두드림 홈페이지 회원가입 - 금연 지원 서비스 - 금연 캠프 신청 메뉴- 신청 절차 : 1) 치료형 : 방문, 전화 접수. 온라인 접수 후 3일 이내에 상담사가 전화 회신 2) 입원형 : 방문, 전화 접수. 신청 시 해당 전국 17개 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만 가능<서울금연지원센터>- 주소 : 서초구 반도대로 222 가톨릭대학교 의생명산업연구원 2001호(2층)- 문의 : 02-592-9030# 병의원 금연치료(1년에 3회)금연치료를 희망하는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1년에 3회 병의원 금연 치료가 이루어진다. 병의원(협력우수기관) 금연치료 프로그램은 금연 진료와 상담(본인 부담)이 이루어지며, 3회 방문부터 본인 부담금이 면제되고 최종 치료 완료 시 전액 환불된다. 단, 병의원 사정에 따라 금연치료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으므로 방문 전에 전화로 치료 여부를 문의해야 한다. 참고로 협력우수기관은 금연 참여자 인원수와 이수율에 따라 선정되며 3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의료기관 찾기>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www.nhis.or.kr) → 건강 iN → 병(의)원정보 → 금연치료 의료기관 찾기’에서 검색. 강남구 134곳, 서초구 95곳(2020년 12월 31일 기준) 2021-01-07
- 강남구·서초구 금연클리닉 프로그램 흡연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금연을 결심해봤을 것이다. 수없이 도전해도 좀처럼 끊기 어려운 담배의 유혹을 강남구·서초구 보건소 금연클리닉과 함께 시작해보는 것은 어떨까?2020년 새해를 맞아 보건소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을 소개한다.자료참조 강남구 보건소 & 서초구 보건소, 건강검진기관포털, 국가암정보센터, 보건복지부 각 홈페이지강남구 보건소 금연클리닉강남구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는 금연 희망자(강남구민, 청소년, 강남구내 직장인 등)에 한해 연중 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토요일은 매월 둘째, 넷째 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금연클리닉을 진행한다. 단, 토요일 금연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청소년은 반드시 예약(토요 금연 치료약 처방 불가) 해야 하며, 방문하거나 전화 예약(최초 방문은 사전예약 필수)으로 신청할 수 있다.금연클리닉 대상자 등록 후 6개월간 서비스를 제공하며 총 3단계로 운영된다. 1단계는 금연 준비 단계(최초 방문)로 등록부터 금연 준비 상담, 기초설문조사, 일산화탄소, 니코틴 의존도 평가, 금연 보조제 지급(니코틴 패치, 껌, 캔디 등), 녹색장터 금연 한방 침 등이 지원된다.2단계는 금연 실천 단계(2~6주)로 3~4회 방문 상담, 금연 실천 교육과 상담, 일산화탄소 측정, 니코틴 보조제와 금연 행동요법제를 지원하며 녹색장터 금연 한방 침을 안내한다.3단계는 금연 유지 단계(6개월 관리)로 월 1회 방문(선택 사항), 전화와 금연 격려 문자 발송, 이외에 6개월간 금연에 성공하면 성공 기념품을 제공한다.참고로 강남구보건소 금연클리닉은 ‘수서보건분소 금연클리닉’도 운영한다. 수서보건분소 1층에서 매월 첫째, 셋째 주 목요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근거리 거주 지역주민 등을 대상으로 금연클리닉 등록 관리, 녹색장터 니코틴보조제 및 금연 행동요법제 제공, 금연클리닉 등록 후 결심일로부터 6개월 간 금연 상담 및 격려 문자 발송 서비스를 진행한다.●문의 : 02-3423-7236~8 강남구보건소 금연클리닉서초구 보건소 금연클리닉서초구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성인과 청소년 흡연자(서초구민 또는 서초구 관내 직장인)를 대상으로 연중 금연클리닉을 운영한다. 연중 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토요일은 1~4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서초구금연지원센터를 운영하며 1, 3주 토요일은 여성 금연클리닉(여성 전담 금연 상담사 배치), 2, 4주 토요일은 서초구 관내 흡연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님과 함께하는 청소년 금연교실을 운영(사전 예약 필수) 한다.청소년 금연교실은 1인 3회 상담(3회, 4주간)이 이루어지며 1회 차는 사전 설문조사, 1:1 개별 상담, 흡연 관련 검사(일산화탄소 측정), 금단 증상 대처 방법 안내, 흡연 욕구에 따른 행동요법 안내 등이 이루어진다.2회 차는 금연 실천 확인과 흡연 관련 검사(일산화탄소 측정)에 이어, 흡연 유혹을 거절하는 방법, 흡연과 경제문제 ‘청년 브랜든 이야기’ 동영상 시청 후 소감을 듣게 된다. 3회 차는 흡연을 이겨낸 나만의 방법은?, ‘담배 실험’ 동영상 시청 소감과 금연각서 등이 진행되며, 소변검사 실시(니코틴 검사로 금연 성공 여부 확인), 금연교육 수료증 발급 등으로 이루어진다.금연클리닉 장소는 서초구금연지원센터와 방배보건지소 방배열린문화센터 2층에서 진행된다.●문의 : 02-2155-8078, 8079(서초구금연지원센터), 02-2155-8579, 8580(방배보건지소)전문 치료형 서초 금연 캠프(4박 5일)’서초구 건강관리과에서는 20년 이상 흡연경력 또는 흡연 관련 질병 치료 경험이 있는 흡연자를 대상으로 ‘2020년 금연 도전! 서초 금연 캠프’를 개최한다.서울성모병원 별관 10층(전문 치료형 금연캠프장)에서 오는 2월 2~6일, 9~13일, 15~19일 4박 5일간 전문치료형 금연 캠프를 연다. 참가자에게 서울성모병원 건강검진 패키지(60만원 상당)를 제공하고 금연 진료, 전문 심리치료, 맞춤형 운동프로그램, 영양상담 등으로 진행된다. 참가비는 10만 원이지만 캠프 수료 시 전액 환급된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로 문의(02-2155-8078, 8088, 8174) 하면 된다.알아두면 좋은 정보2019년 8월부터 국가암검진 5종(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에 폐암이 추가돼 총 6종 암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국가암 검진 중 폐암은 만 54세 이상 만 74세 이하의 남여 중에 폐암 발생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며, 2년에 한 번씩 저선량흉부 CT 검사(저선량 흉부 CT는 일반 CT보다 방사선량을 10분의 1 정도로 줄인 검사)를 받을 수 있다. 2020년은 짝수년 출생자가 대상이다. 자세한 사항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로 문의하면 된다.※ 참고로 2019년 폐암 검진 대상자(1,113명)는 폐암 고위험군으로 흡연력은 수검 년도 직전 2개년도 국가 건강검진 시 문진 이력이 있거나 금연 치료 지원 사업 문진표로 확인하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대상자를 추려 개별 통보했다. 2020-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