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검색결과 총 275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은 지난 9월 30일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이하 9모) 채점 결과를 발표하고 수험생들에게 성적표를 배부했다. 9모 채점 결과 국어는 어려웠고 수학은 다소 쉬었다. 영어는 그야말로 널뛰기로 1등급 비율이 4.5%로 6월 모의고사 19.5%와는 큰 차이를 보였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과학 탐구 두 과목을 선택한 응시자가 9만1,609명(22.4%)으로 작년 14만9,299명(38.6%)의 절반정도 수준에 그쳤다. 반면 사회탐구 두 과목 응시자는 23만8,563명으로 58.3%에 달했다. 특히 사회문화 응시자가 20만3,787명으로 50.6% 비율을 보였다. 사탐런의 많은 응시자가 사회문화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국어 만점 표준점수는 143점, 수학 140점이었다. 특히 미적분 컷이 입시업체들 예상보다 높아서 다소 쉬웠다는 평가다. 영어는 1등급 비율이 4.5%로 영어를 포함해 수능 최저를 맞추려는 응시자들에게 빨간 불이 켜졌다. 총 응시자는 재학생 2만4,000명 증가했고, N수생(졸업생, 검정고시)은 1,500명이 감소했다. 의대 정원복귀와 관련해 N수생 응시자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참고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 등급 구분 표준점수, 표준점수 분포>윤도영의 고3 9월 모의수능 채점결과분석, 강남하이퍼 9월 모평 결과분석화법과 작문 66.2%, 확률과 통계 55.1% 응시평가원이 발표한 ‘2026학년 9월모평 채점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응시자는 40만9,171명으로 재학생 31만9,073명, N수생(졸업생 검정고시포함) 9만,98명이었다. 국어는 화법과 작문이 66.2%, 언어와 매체 33.2%이었고, 수학은 확률과 통계 55.1%, 미적분 40.7%, 기하 2.7%였다. 확률과 통계의 응시 비율이 확실히 높아졌다. 사탐런에 이어 확통런과 화작런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탐구과목에서는 그 변화가 더 확실하게 나타났다. 사탐만 응시한 비율은 57.9%로 작년 48.1%보다 월등히 높았다. 사탐+과탐 조합은 작년 11.1%에서 18.0%로 상승했다. 반면 과탐 2개를 응시한 비율은 22.7%로 6월 모의고사 24.6%보다 더 줄어들었다. 사탐런의 집결지는 사회문화로 모아졌다. 9월모평 기준 사탐에서는 사회문화(이후 사문)응시 인원 증가가 가장 두드러졌다. 사문이 20만3,787명으로 가장 많았고 생윤이 16만1,959명으로 뒤를 따랐다. 작년과 비교해 봐도 사문은 6만4,663명, 생윤은 3만992명이 증가했다. 반면 과탐의 경우 응시자가 가장 많다고 하는 지구과학Ⅰ도 지난 해 보다 3만855명(25.6% 감소), 생명Ⅰ은 2만3,216명(20.8% 감소)이 감소했다. 특히 화학Ⅰ은 1만7,892명 감소해, 2만명도 되지 않은 1만9,140명에 그쳤다(48.3%감소). 자연계 수험생들은 수능최저 충족뿐만 아니라 과탐 점수 예측 자체가 불확실해진 상황이라 수능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재학생&졸업생 응시인원의 변화▒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영역별 응시인원 현황표준점수 국어 143점, 윤리와 사상 75점, 지Ⅱ 74점원점수 최고점 표준 점수가 140점 이상이면 대체로 변별력을 갖췄다고 하고 이하면 쉬웠다고 평가하는데, 국어영역 최고 표준점수는 143점, 수학영역 140점을 보였다. 탐구과목에서 최고 표준점수는 윤리와 사상 75점, 지구과학Ⅰ 74점, 사회문화, 물리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모두 73점으로 높게 나났다. 반면 동아시아사 65점, 세계사와 화학Ⅱ 67점, 세계지리, 물리학Ⅰ69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탐런으로 과학탐구 응시자가 줄었지만 표준점수에서는 사탐보다 과탐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난 특징이 있다. 1등급 구분 점수는 국어 130점, 수학 131점, 2등급은 125점으로 같다. 국어는 같은 1등급이라도 표준점수는 143점과 130점으로 13점 이상 큰 점수 차이가 났고 수학은 9점의 차이가 났다. 사탐의 경우 표준 점수는 윤리와 사상 75점, 사회문화 73점, 생활과 윤리 71점, 경제 70점 순으로 낮아졌다. 이어 세계지리 69점, 정치와법 68점, 동아시아사 65점 순이었다. 과탐은 지구과학Ⅰ74점, 물리학Ⅱ,생명Ⅱ, 지구과학Ⅱ 모두 73점, 화학Ⅰ71점, 생명과학Ⅰ70점, 물리학Ⅰ69점, 화학 Ⅱ67점 순이다. ▒ 국어&수학 9월 모평 표준점수와 도수분포▒ 사회탐구 등급별 구분점수와 인원▒ 과학탐구 등급별 구분점수와 인원수능까지, 한 문제 더 맞출 수 있게 준비해야9월 모평 가채점을 바탕으로 수시지원 원서를 구성했지만, 실채점 결과를 받고, 수능 최저 충족과 정시 경쟁력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기 쉽다. 무엇보다 국어가 상당히 어려웠고, 수학은 잘하는 인원이 예상외로 많다는 것. 거기다 영어 1등급 비율도 4.5%에 그치고 사탐런의 증가로 과탐 선택자의 불안감을 더욱 더 커졌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9모는 수능이 아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수능시험이기 때문에 수능 때까지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이 시점에 새로운 교재나 문제집을 풀기보다는 시험 연계율이 높은 수능 특강, 수능 완성을 보다 꼼꼼하게 반복 학습하는 것이 좋다. 또 9모는 어려웠기 때문에 수능에서는 평가원이 난이도 조절을 해서 조금 쉬워질 것이라는 수능 난이도를 예측하는 것도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시험이 쉬운 대로, 어려운대로 나에게만 어렵거나 쉬운 것이 아니라 전체 수험생 모두에게 동일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9모 채점 결과도 단순히 등급 컷만 볼 것이 아니라 각 등급별 누적인원과 백분위를 보고, 자신의 위치가 어느 정도 되는지, 지금 상태에서 최저 충족이나 원하는 대학 정시 지원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 한 문제라도 더 맞출 수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
2025-10-22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지난 9월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는 2025년 11월 13일(목)에 실시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응시원서 접수 마감 결과, 전년 대비 31,504명 증가한 554,174명이 지원했다. 재학생이 전년 대비 31,120명 증가한 371,897명(67.1%), 졸업생은 1,862명 감소한 159,922명(28.9%),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246명 증가한 22,355명(4.0%)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이 전년 대비 15,045명 증가한 283,744명(51.2%), 여학생은 16,459명 증가한 270,430명(48.8%)으로 나타났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살펴봤다.도움말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참고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보도자료자격별 접수 인원 변화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보면 재학생, 검정고시 등 인원 증가했으나, 졸업생 인원은 감소했다. 전체 접수 인원 역시 31,504명 증가했기 때문에 졸업생은 인원뿐 아니라 비율에 있어서도 감소했다. (표1 참조)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감소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흔히 졸업생은 감소했으나 검정고시생의 증가로 흔히 ‘졸업생 등’으로 표현되는 인원은 384명 소폭 증가했다.”라고 분석했다. 표1. 대학수학능력시험 자격별 접수 인원 변화국어・수학 선택 영역 현황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한 선택 영역・과목별 현황 중 국어, 수학 영역을 보면 다음과 같다.국어 영역 지원자 548,376명 중 화법과 작문 선택자는 375,359명(68.4%), 언어와 매체 선택자는 173,017명(31.6%)이다. 수학 영역 지원자 521,194명 중 확률과 통계 선택자는 297,726명(57.1%), 미적분 선택자는 207,791명(39.9%), 기하 선택자는 15,677명(3.0%)이다.탐구 영역 지원자 536,875명 중 사회·과학탐구 영역 선택자는 531,951명 (99.1%), 직업탐구 영역 선택자는 4,924명(0.9%)이다. 탐구 영역에서 선택 가능한 최대 과목수인 2과목을 선택한 지원자가 529,772명으로 탐구 영역 선택자(536,875명)의 98.7%를 차지했다.김 소장은 “국어 영역에서는 ‘화법과 작문’, 수학에서는 ‘확률과 통계’ 접수 인원이 증가했다. 표준점수의 유리함보다는 학습량과 함께 자신이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경향의 증가로 볼 수도 있지만, 어렵거나 학습량이 많다고 알려진 과목을 기피하는 경향의 증가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회·과학탐구 접수 인원 변화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발표에 따르면 사회·과학탐구 영역 지원자 중 사회탐구 영역만 선택한 지원자는 324,405명 (61.0%), 과학탐구 영역만 선택한 지원자는 120,692명(22.7%), 사회탐구 1개 과목과 과학탐구 1개 과목을 선택한 지원자는 86,854명(16.3%)이다.사회·과학탐구 영역 지원자 531,951명 중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263,047명 (49.4%)이 ‘사회・문화’를 선택했고,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115,435명(21.7%)이 ‘지구과학Ⅰ’을 선택했다. 직업탐구 영역 지원자 4,924명 중 4,749명(96.4%)이 전문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선택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 지원자 102,502명 중 34,048명(33.2%)이 ‘일본어Ⅰ’을 선택했다.탐구 영역 응시 접수 인원을 더 세밀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김병진 소장은 “2025학년도부터 심화된 ‘사탐런’ 현상에 따라 사회탐구 1과목과 과학탐구 1과목에 응시하는 혼합 응시 접수 인원이 86,854명으로 2025학년도 52,195명에 비해 34,659명 증가했다.”라고 말했다.이에 사회탐구, 과학탐구 응시 접수 인원 531,951명 대비 16.3%의 비율을 보여 2025학년도 10.3%보다 6%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사회탐구 2과목에 응시하는 접수 인원도 62,897명 증가한 반면, 과학탐구 2과목에 응시하는 접수 인원 70,342명 감소하여 22.7%로 나타났다. (표2 참조) 표2.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과학탐구 응시 접수 인원 변화사회·과학탐구 과목별 접수 인원 변화사회탐구·과학탐구 과목별 접수 인원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3 참조)증가 규모가 가증 큰 탐구 과목은 사회·문화로 2025학년도 대비 42.2%인 78,033명이 증가하여 263,047명이 접수했다. 다음으로는 생활과 윤리가 2025학년도 대비 22.4% 증가한 224,552명이 접수했다.김 소장은 “감소 규모가 가장 큰 과목은 지구과학Ⅰ으로 2025학년도 대비 25%가 줄어든 115,435명이 접수했다. 다음으로는 2025학년도 대비 20.5% 줄어든 생명과학Ⅰ으로 112,128명이 접수했다. 2025학년도 접수 인원이 큰 폭으로 줄었던 화학Ⅰ은 2026학년도에도 감소 추세가 이어져 2025학년도 대비 45.3% 감소한 26,683명이 접수했다.”라고 분석했다. 표3. 사회탐구·과학탐구 과목별 접수 인원 변화접수 인원에 따른 과목별 1~3등급 등급별 인원 변화대학수학능력시험 접수 인원에 따른 과목별 1~3등급 등급별 인원 변화도 눈여겨봐야 한다. (표4 참조) 이에 김 소장은 “응시 인원은 증감은 상대 평가로 치러지는 수능에서 등급별 인원 변화와 관련된다. 이는 결국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과도 긴밀한 관련을 갖기 때문에 유의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라며 “등급별 추정 인원의 증감이 곧 수험생 자신의 등급 획득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남은 기간의 학습에 집중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올해부터 전국에 도입된 수능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 입력 시스템을 이용한 수험생은 전체 접수인원 554,174명 중 501,234명(90.4%)이 이용했으며, 시스템 이용자 501,234명 중 재학생은 365,736명(98.3%)이, 졸업생 등은 135,498명(74.3%)이었다고 밝혔다. 표4. 사회·과학탐구 주요 과목 등급별 추정 누적 인원 비교(2025vs2026)
2025-09-11
-
수능 D-100일, 수험생을 위한 조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2025년 11월 13일(목)에 치러진다. 8월 5일은 수능까지 100일 남은 ‘수능 디데이 100일(수능 D-100)’로, 수험생들은 남은 기간 수능 공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2026학년도 수능 100일을 앞두고 수험생들이 향후 어떻게 학습 전략을 수립해야 할지, 입시 전문가의 조언을 들어봤다.도움말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김병진 소장,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 테마 ❶ 통합 수능 도입 이후 출제 기조 2026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2022학년도 통합 수능 도입 이후 지난해까지 수능 출제기조는 어땠을까? 국어·수학 표준점수 최고점과 영어 영역 1등급 비율은 다음과 같다.국어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2022학년도 149점, 2023학년도 134점, 2024학년도 150점, 2025학년도 139점이었다. 수학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은 2022학년도 147점, 2023학년도 145점, 2024학년도 148점, 2025학년도 140점이었다. 절대평가인 영어 영역의 1등급 비율 2022학년도 6.2%, 2023학년도 7.8%, 2024학년도 4.7%, 2025학년도 6.2%였다.국어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국어 영역 언어와 매체 표준점수 최고점이 화법과 작문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매년 앞서는 상황에 대해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화법과 작문을 선택하는 학생들은 공통과목 중 비문학 등의 심화 문제에 더 집중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6월 모의평가에서도 언어와 매체 표준점수 최고점 137점, 화법과 작문 132점으로 5점차가 발생했다.”라며 “수능에서 언어와 매체, 확법과 작문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2022학년도 2점, 2023학년도 4점, 2024학년도 4점, 2025학년도 3점으로 언어와 매체가 앞서는 상황”임을 강조했다. 수학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 수학 영역 표준점수 최점 격차와 관련해 임 대표는 “수학 영역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이 2022학년도 이후 미적분이 확률과 통계보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높게 형성되었다. 확률과 통계를 선택하는 학생들은 심화 수준의 문제에 더 집중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지난 6월 평가원 모의평가에서도 미적분은 143점, 확률과 통계는 136점으로 표준점수 최고점에서 7점 차이가 발생했다. 수능에서 미적분, 확률과 통계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2022학년도 3점, 2023학년도 3점, 2024학년도 11점, 2025학년도 5점 미적분이 앞서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표1~3 참조) 표1. 수능 국어·수학 영역 표준점수 최고점 표2 수능 영어 영역 1등급 비율 변화 표3. 수능 국어·수학 영역 선택과목간의 점수 차*표1~3 종로학원탐구 영역 ‘사탐런’ 기조 주목탐구 영역은 ‘사탐런’ 기조가 두드러진다. 사탐런이란 자연계열 학생들이 수능 탐구과목 선택 시 기존의 ‘과탐+과탐’ 응시 조합이 아닌, 전략적으로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로 전환해 입시를 준비하는 방식을 말한다. 임성호 대표는 “인문, 자연계열 모두 ‘사탐런’ 크게 발생하는 상황으로 점수 변동 가능성 높아지고 있어서, 탐구과목에 대한 집중적인 학습 매우 필요하다. 지난 6월 모의평가에서 사회탐구 9개 과목 2등급이내 인원이 전년도 6월 모의평가보다 14,777명으로 27.6% 증가했다. 반면, 과학탐구는 9,200명으로 21.2% 감소했다.”라고 설명했다.이어 임 대표는 “사탐 과목도 응시인원이 늘어나 상위권 등급 확보가 유리한 상황이지만, 상위권대학의 자연계, 의대 등에서도 사탐 과목을 인정하는 대학이 2026학년도에 늘어나 상위권 자연계 학생들도 사탐 과목 응시인원이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기존의 사탐 상위권 학생들도 2026학년도 수능에서는 이러한 학생들의 가세로 점수 변동성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2025학년도 대학별 정시 입시 결과로 볼 때 인문계열에서는 수학, 탐구 영역에서, 자연계열에서는 국어, 탐구 영역에서 합격점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돼, 상위권 주요 대학에서는 이들 과목이 핵심 변별력 과목임을 인식하고 남은 기간 학습에 집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테마 ❷ 수능 디데이 100일, 수능 학습 조언대학 입시는 매년 혼란스럽다. 각 대학의 선발 방법이 해마다 조금씩 다른 데다 지원자들이 여러 대학에 지원하기 때문에 한 대학의 변화가 다른 대학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그러나 이러한 외부 환경의 변화는 수험생이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수능을 100일 앞둔 시점의 수험생들은 바로 이점에 주목해야 한다. 선택 과목 인원의 변화(사탐런 현상), 의대 정원 회귀, 무전공 모집 확대 등의 여러 환경을 탓하며 불안해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수능 학습 집중력의 약화로 이어지고 원하지 않는 결과와 마주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내신 성적이나 학생부 기재 내용 등은 이미 대부분 결정되었기 때문에 수시 지원에서 이를 최대한 잘 활용하는 것만 남았다. 반면, 수능 경쟁력은 지금부터의 준비에 따라 많은 부분 달라지기 때문에 수능 학습의 집중력을 끌어 올리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라며 다음과 같이 네 가지를 강조했다. 첫째, 목표를 가지고 공부하라막연하게 이제부터는 수능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것만으로는 수능 학습 집중력을 끌어올리기 어렵다. 영역별로 현재의 성적에서 몇 문제를 더 맞힐 것인지를 목표로 정한 뒤, 더 맞히는 문제를 어떤 개념에서 더 맞힐지까지 정해서 그 부분에 대한 학습 계획을 세워 실천해야만 학습 집중력도 높아지고 결실도 볼 수 있을 것이다.또한 내가 자주 하는 실수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정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즉, 상대적으로 쉬운 난이도 문제 혹은 내가 잘 알고 있는 문제를 자주 틀려 감점이 된다면 이를 해결하여 고정 점수를 확보하는 것이다. 내가 시간 투자를 했을 때 점수로 연결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더 집중하는 것이다.둘째, 탐구 영역의 대안을 마련하라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에 있어 탐구 영역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이 많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특히 올해와 같이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심화한 상황에서 수능 성적을 결정하는 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치는 응시 인원 변동이 심한 경우 자신이 원하는 점수를 얻지 못하는 학생이 많이 나타날 수 있다. 응시 인원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과학탐구를 통해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려는 경우는 더 유의해야 한다. 응시 인원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사회탐구 역시 응시 인원 증가가 나의 성적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에 학습 집중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셋째, 문제 풀이와 개념 학습은 분리된 것이 아니다흔히 이제부터는 실전 연습이니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한다거나, 문제 풀이는 언제부터 해요?라는 질문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문제를 잘 풀지 못하거나 틀리는 경우는 문제 풀이 연습이 부족한 경우도 있지만 개념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문제 풀이 연습과 개념 학습을 분리하여 생각지 말고, 개념 학습의 성과를 문제 풀이를 통해 점검하고, 문제 풀이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개념 학습을 통해 보완하는 학습 방법을 실천해야 한다.넷째, 새로운 문제, 점수보다는 나의 적응력을 중심으로!실전 대응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낯선 문제, 새로운
2025-08-07
-
2025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결과
지난 6월 4일(수) 시행한 고등학교 1학년 대상 ‘2025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주관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채점결과가 발표됐다.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이하 학력평가)의 전체 응시 학교는 1,918개교이고 응시자는 348,829명이었으며 이중 서울은 252개교 52,866명이 응시했다. 영역별 응시자는 국어 347,943명, 수학 347,625명, 영어 346,28명, 한국사 345,623명, 탐구 344,113명이다. 2028학년도 대입 수능 개편 방식이 첫 적용된 시험으로 달라지는 대입 수능개편의 사전예상 참고 자료로서 유의미하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결과를 분석해봤다.도움말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참고자료 부산광역시교육청 <2025년 6월 고1,2 전국연합학력평가 통계자료, 성적분석 자료>표준점수에 의한 영역별 9개 등급 인원과 비율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결과, 표준점수에 의한 영역별 9개 등급의 인원과 비율은 다음과 같다. 국어 영역은 1등급이 14,188명(4.08%)으로 표준점수는 136점, 2등급은 25,805명(7.42%)으로 표준점수는 127점, 3등급 44,527명(12.80%)으로 표준점수는 116점이었다. 수학 영역 1등급은 14,264명(4.10%)으로 표준점수는 137점, 2등급은 25,660명(7.38%)으로 표준점수는 126점, 3등급은 40,586명(11.68%)으로 표준점수는 116점이었다. (표1 참조) 사회탐구 영역은 1등급이 16,173명(4.70%)으로 표준점수는 64점, 2등급은 23,580명(6.85%)으로 표준점수는 61점, 3등급은 48,911명(14.21%)으로 표준점수는 58점이었다. (표2 참조) 표1. 국어/수학 영역 등급 구분 점수, 인원 및 비율표2. 사회/과학탐구 영역 등급 구분 점수, 인원 및 비율영역별 채점 결과 이번 6월 학력평가는 2028학년도 수능 개편 방식이 첫 적용된 시험이다. 사회탐구, 과학탐구에서 문항수가 기존 20문항에서 25문항으로 확대되었고, 배점도 2점, 3점에서 1.5점, 2점, 2.5점으로 3원화로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평가 방식도 고1은 절대평가 방식에서 상대평가로 전환되었다. 채점 결과, 과탐 평균 점수는 50점 만점에 26.8점, 사탐은 31.8점으로 과탐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었다. (표3 참조)표준점수 최고점도 과탐은 69점, 사탐이 66점으로 과탐이 높게 형성됐다. 탐구 배점별 문항은 2028 대입개편에 따라 기존 2점 10문항, 3점 10문항에서 1.5점 8문항, 2점 9문항, 2.5점 8문항으로 출제됐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2.5점 배점 문항의 정답률이 평균적으로 가장 낮았고, 평균 정답률은 과탐 65.4%, 사탐 68.6%로 2.5점 배점 문항이 1.5점, 2점 문항보다 정답률이 낮게 형성됐다. EBS 채점서비스 정답률을 기준으로 과탐은 1.5점 81.5%, 2.0점 70.2%, 2.5점 65.4%의 평균정답률을, 사탐은 1.5점 89.4%, 2.0점 82.3%, 2.5점 68.6%의 평균정답률을 보였다.”라고 덧붙였다. 수학, 과학 학습 부담 커질 전망영역별 원점수 평균을 보면 수학 영역은 원점수 100점 기준으로 41.9점, 국어 영역은 48.7점으로 국어보다 수학이 낮게 형성되었다. 이에 임성호 대표는 “절대평가인 영어 과목의 전체 평균점수는 61.0점으로 국어, 수학, 영어 과목에서는 수학 과목에 대한 학습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2028학년도 대입 개편에서 현재 가장 부담스러운 과목은 과학과 수학으로 특정되는 상황”이라며 “대학 진학에서 문이과 계열 지원에 상관없이 사회탐구와 과학탐구는 모든 수험생이 응시해야 하므로 학습부담이 높은 과학 과목이 핵심 과목으로 부상할 수 있다. 수학 과목도 학습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은 과목으로 분류돼, 2028학년도 대입에서는 수학, 과탐 과목이 상당히 중요한 과목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전망했다.2028학년도 수능에서는 모든 수험생이 사탐, 과탐을 응시하지만 채점 결과는 사탐, 과탐 별도로 분리해서 결과가 나온다. 이에 임 대표는 “결과적으로 2028 대입개편에서 수학, 과학에서 상대적으로 학력수준이 높은 이과 성향의 학생들이 문이과 상위권 대학, 학과에 매우 유리한 구도가 형성되는 상황”이라며 “현 고1부터 적용되는 2028학년도 대입 개편에서는 수학, 과학 과목에 대한 현재 구도를 명확히 인식하고 대처하는 것이 수험생 입장에서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표3. 영역별 원점수 평균 및 표준편차*표1~3 부산광역시교육청 <2025년 6월 고1,2 전국연합학력평가 통계자료, 성적분석 자료>
2025-07-24
-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문항 분석
교육부는 지난 4월에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대입제도 개편에 따라 입시를 준비하게 될 학생에게 필요한 정보와 변경되는 사항을 모아서 안내했다. 그중 2028학년도 수능 예시문항 문제지 안내(국·수·사·과)도 포함돼 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번에 공개한 수능 예시문항과 관련해 ‘학생·교사들의 2028학년도 통합형 수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평이한 수준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수능 예시문항 중에 탐구 영역인 ‘통합사회·통합과학(과목당 25문항 40분/사회·과학탐구 응시자는 반드시 사회·과학에 모두 응시)’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도움말 이투스에듀&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 자료참조 교육부 <2028학년도 대입 이렇게 준비하세요> 보도자료 및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문항 안내>(2025.4.16.)통합사회 예시문항 분석예시문항 출제경향 및 주요 특징이투스에듀는 2028학년도 ‘통합사회’ 수능 예시문항의 과목별 출제 문항 수 변화를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예시문항을 다섯 가지 특징으로 분석했다. (표1 참조)첫째, 출제된 문항의 전공별 문항 비율을 보면 ‘지리’ 전공의 개념을 묻는 문제가 가장 많았고, ‘윤리’ 전공의 개념을 묻는 문제가 가장 적었다. 특히, ‘지리’와 ‘일반사회’ 전공의 개념을 묻는 문제가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둘째, 지금까지의 고1 통합사회 전국연합학력평가(이하 학평)에 비해, ‘일반사회’, ‘지리’, ‘윤리’ 전공의 개념이 통합돼 묻는 문제의 형태가 다소 많아졌다. 셋째, ‘일반사회’ 평이한 수준으로 출제됐음. 지금까지의 고1 통합사회 학평보다 단원과 단원이 섞인 다소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많았다. 넷째, ‘지리’ 자료가 다소 시간이 걸리고 복잡하게 제시됐다. 특히, 제시문의 자료를 보면 바로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는 형태가 아니라, 해당 자료를 분석해야 그 자료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게 출제됐다. ‘지리’와 관련된 문제(5번, 6번, 20번, 24번, 25번)에서 이러한 형태가 많이 보였으며, 자료 분석이 어렵다기보다는 문제풀이 시간을 더 쓰게 만드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윤리’는 지금까지의 고1 통합사회 학평과 비슷하거나 다소 난도가 높은 수준으로 출제됐으며, 2022 개정 교과서에서 등장하는 내용을 반영해 출제됐다(16번). 표1. ‘통합사회’ 과목별 출제 문항수의 변화*표1: 이투스에듀종로학원은 통합사회 수능 예시문항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먼저, 각 영역의 특성이 나타나는 문항이 다수 출제됐으며, 3번(지리+일반사회), 12번(일반사회+지리), 13번(일반사회+지리), 23번(지리+역사)의 4문항을 통해 각 영역의 유기적인 결합을 추구한 문항이 출제됐다. 또한, 현재 사회과와 도덕과를 구성하는 영역별로 유의미한 교육적 내용과 소재들이 주요한 주제로 출제됐다.이에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급격한 변화보다는 점진적 변화를 통해 평가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기본 개념을 확인하는 문항은 주로 1.5점을, 통합적 사고력과 2개 이상의 자료를 해석해야 하는 문항의 경우 2.5점을 배점해 변별도를 조정했다.”며 통합사회 예시문항을 분석했다. Tip 통합사회 예시문항 전문가 의견“전반적으로 통합사회 교과 내용들이 골고루 출제됐습니다. 선택 과목 체제에서 학습 부담이 커 선택자 수가 많지 않았던 경제, 세계지리 등 다양한 사회과 내용을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하므로 학습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한 문항 내에서 다양한 영역을 융합하려고 하지 않고 현재의 선택 과목 체제에서 출제됐던 방식으로 단일 영역에서 출제된 문항이 다수이며, 일부는 영역 간 융합형 문항으로 출제돼 학생들이 생소하게 느꼈을 수 있습니다. 선택 과목 체제에서 출제됐던 고도의 자료 분석을 요하거나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최고난도(킬러)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으나 문항의 길이가 길어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새로운 소재로 제시문과 도표, 지도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문항이 출제됐으며, 여기에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문항이 출제된다면 수능 변별력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_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향후 통합사회 학습 방향과 관련해 교과 고유의 성격을 반영한 문항 출제에 대비해 교육 과정 내 기본 개념 학습을 충실히 해야 합니다. 특히, 제시문과 자료를 활용한 2과목 이상이 융합된 문항이 출제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_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통합과학 예시문항 분석예시문항 출제경향 및 주요 특징이투스에듀는 2028학년도 ‘통합과학 수능 예시문항’의 과목별 출제 문항 수 변화를 언급하며, 다음과 같이 과목별 변화 이슈에 관해 분석했다. (표2 참조)첫째, 과목 간 통합형 문항은 출제되지 않았지만, 같은 과목 내에서 다른 단원 간의 통합형 문제가 4 문제(4번, 10번, 11번, 23번) 출제됐다. 둘째, 물리학은 계산하는 문항은 줄고, 자료 해석 문제와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항으로 대부분 출제됐다. 셋째, 화학은 계산이 필요한 문제가 많이 줄었고, 계산이 필요한 문제라고 하더라도 계산 과정이 단순한 형태로 출제됐다. 다만, 계산 과정 없이 개념에 대한 이해를 묻는 문항 위주로 출제됐던 2024년 9월 고1 통합과학 전국연합학력평가 대비 난도가 상승했다. 넷째, 생명과학은 자료 해석 문제보다 탐구 활동을 이용한 추론 문제가 다수 출제됐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없는 새로운 발문 자료가 많이 제시됐다. 다섯째, 지구과학은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가 대부분이며, 자료 해석 문제는 단순 해석 수준으로 출제됐다. 표2. ‘통합과학’ 과목별 출제 문항 수의 변화*표2: 이투스에듀종로학원은 통합과학 수능 예시문항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먼저, 통합과학 교과의 특성에 적합한 형태의 문제들로 구성됐으며, 지난해 발표된 교육청 예시 문항과 기조를 같이하며, 새로운 유형의 문항들이 눈에 띄었고, 각 영역의 개념 간의 관계를 명확히 알아야 풀이 가능한 융합형 문항이 다수 출제됐다. 이에 임성호 대표는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문제와 단순 공식 암기로 풀이하는 문항들이 사라졌고, 깊이 있는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분석 능력을 요하는 문항이 비중이 급격히 늘어났다. 하지만, 고난도 문항은 통합형이 아닌 각 영역별 단독 문항 위주로 출제됐으며 기존에는 잘 제시되지 않았던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자료 형태가 추가된 것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기존의 2점, 3점 배점이 1.5점, 2점, 2.5점으로 바뀌었으나, 고난도 문항의 난이도는 기존에 비해 많이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Tip 통합과학 예시문항 전문가 의견“먼저, 25문항을 40분에 맞춰서 풀 수 있도록 난이도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출제경향을 보면 단원 통합형 연계 문항보다는 물·화·생·지 파트별 문항이 출제됐고 통합형, 지구과학 단원에서 교과서에 없는 새로
2025-05-29
-
필수체크, 달라지는 2028 입시, 고1뿐 아니라 고2 & 고3도 영향권
2028 대입제도 개편이 공개 되었다. 각 대학별로 구체적인 사항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내신 5등급제, 공통과목으로 치르는 수능은 9등급제, 여기에 고교학점제와 맞물려 정시 선발 비율 축소까지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 고1부터 적용되기는 하지만 과연 고2나 고3들은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2028학년도부터 바뀌는 입시제도가 두부 자르듯 적용이 될까? 많은 입시전문가들은 그렇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이미 대학에서는 2025학년도 입시부터 정시에서 학생부 반영, 고교학점제와 맞물려 과목이수에 대한 평가 잣대를 들이대기 시작했고, 2026, 2027 역시 그 잣대가 더 강화되리라고 예측한다. 3, 4월에 입시 설명회를 치른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 여러 대학들의 설명회에서도 과목 이수여부에 대한 노력, 등급이 나오지 않는 진로과목에 대한 원점수 강조 등 이전과는 다른 평가 기준이 여러 번 언급되었다. 결국 대입제도는 개편되는 방향으로 이미 진행되었고, 고2와 고3 역시 그 영향권에 있다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참고자료 서울대 2028 대입 개편안, 대학별 2028 대입 공동연구(연세대, 경희대, 성균관대 중앙대/건국대, 고려대, 서강대, 시립대, 이화여대)서울대 개편안 핵심 키워드가장 먼저 대입 개편안과 2028 대입 전공별 핵심과목과 권장 과목을 발표한 서울대의 메시지는 분명하다. 수시나 정시 모두 교과역량 평가를 강화해서 반영하겠다는 것. 특히 수능의 영향력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수시전형 지역균형은 일반고만 지원할 수 있고, 학교별 추천인원도 2명에서 3명으로 확대된다.정시에서도 지역균형전형 역시 일반고로만 한정하고, 선발 인원도 확대할 방침이다. 수능 일반전형 역시 큰 변화를 예고했다. 현재도 단계별 전형으로 수능 표준 점수로 1단계 2배수 선발, 2단계에서 교과평가 20%를 선발한다. 단계별 전형은 변화가 없지만 1단계 수능 점수 합이 아닌 등급의 합산으로 3배수를 선발한 다음 2단계 교과 역량평가를 기존 20%에서 40%로 확대된다. 평가도 기존 3단계(A-B-C)에서 세분화해 7단계로 평가할 예정이다. 면접 역시 대폭 강화된다. 기존 제시문 면접에서 정해진 답을 하는 방식이 아닌 답이 정해지지 않는 열린 문항으로 학생의 창의력, 논리력을 평가할 까다로운 면접을 예고했다. 서류 면접도 학생부 기반 꼬리질문이 있는 심층 면접으로 역량평가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고교학점제와 맞물려 정시 40% 선발도 축소하자는 의견이 나눠지고 있다. 대학별 공동 연구 개편안 핵심 키워드서울대에 이어 주요 대학들이 공동으로 입시 개편안에 대한 연구안을 발표했다. 각 대학교 입학사정관과 고등학교 교사가 참여한 연구 논문 정도로 아직 확정된 안은 아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급격한 변화를 예고했던 서울대와 달리 현재 입시제도에서 내신 5등급제, 공통과목 수능으로 생길 수 있는 느슨해진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먼저 연세대, 경희대, 성균관대 중앙대가 함께 공동으로 연구한 개편안에 따르면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는 지금보다 수능최저가 강화되는 방안과 제시문 면접보다는 학생부 전체를 활용한 면접 방안, 개인별 선택과목이수 현황 평가, 교육과정운영 등에 대한 정성평가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정시 전형에서는 교과 성적 반영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 있었지만 학생부를 정량적으로 반영하기 보다는 3학년 2학기까지 성실한 교육과정 이수 등의 정성적 평가 반영의 의견을 담았다. 다음으로 건국대, 고려대, 서강대, 시립대, 이화여대 공동연구를 살펴보면 교과전형에서 정성평가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비율도 20~30%로 교과목 이수 현황, 세특 평가에 무게가 실리는 정성평가와 대학별 지원자 수준을 고려한 수능최저의 강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현재와 큰 변동이 없이 유지의견이 다수였다.서류 확인 면접이 가장 적절하지만 최상위권 대학 혹은 의학계열에서는 제시문 기반 면접의 강화와 수능최저와 함께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었다. 다른 학생부종합전형에 수능최저 적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이견도 함께 있었다.수능위주 전형에서는 수능 외에도 학생부 서류평가, 교과정량평가 등의 추가전형요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다만 적절한 과목을 수강했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가 주가 되어야 한다는 교사 입장과 정시전형 기간이 짧아 서류평가가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대학의 입장차도 확인할 수 있었다. 3학년까지 내신, 수능 챙겨야바뀌는 대입제도가 목전에 있는 고1뿐만 아니라 고2, 고3 모두 이제는 수시러, 정시러가 구분되지 않는다. 입시는 1점으로 당락이 바뀌고 학교가 바뀌기 때문에 어느 하나도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정시파라고 해도 학생부, 내신으로도 떨어지고 붙을 수 있고, 수시파라고 해도 수능 최저 때문에 당락이 바뀔 수도 있다. 가혹하지만 입시에 작용하는 모든 요소를 다 챙겨야만 한다. 특히 정시의 경우, 수능 성적표가 나오고, 수시 합격 발표가 다 끝나는 1월에 접수하기 때문에 3학년 2학기 성적과 학생부가 반영된다.대표적인 학교가 바로 고려대. 정시 지원시 3학년 2학기 성적과 학생부 반영이라고 요강에서도 명확하게 명시하고 있다.연세대도 내신 등급별로 최대 7점에서 0점까지 차등으로 점수를 반영한다. 이외에도 서울대, 성균관대, 한양대, 부산대 의대 등에서 정시에서도 학생부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반영한다.1학기 중간고사가 끝난 지금 시점에서 많은 학생들이 ‘정시파’를 외치면서 내신과 학생부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이제는 수시. 정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고교 생활이 끝나는 시점까지 내신과 학생부, 수능을 모두 챙겨야만 한다. 또, 단순히 내신 등급의 합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어떤 과목을 이수했는지, 이수한 과목 중 어떤 과목의 성적이 우수한 지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수시 전략을 짜야만 한다. 지금까지의 학생부와 내신으로 학종이나 교과전형에 도저히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되더라도 3학년 2학기까지 교과 성적과 또 수능 성적에 매진해야만 한다.
2025-04-25
-
2026학년도 수능 선택과목 선택 가이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은 2025년 11월 13일(목)에 치러진다. 겨울방학부터 본격적인 수험 생활에 돌입하는 예비 고3 학생들은 수능 준비에 앞서 ‘수능 선택 과목’ 결정을 앞두고 고민이 깊어진다. 특히, 2025학년도 수능에서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유불리가 이전 양상과 다르게 나타났기 때문에 자연계열 지원을 고려하는 학생들도 사회탐구로 탐구 선택과목을 변경해야 할지 망설여지기도 한다. 겨울방학과 봄방학 기간에는 고등학교 2학년 과정을 복습 및 예비 고3 과정을 모두 학습해야 하므로 수능 선택과목 결정은 하루빨리 하는 것이 유리하다. 수능 선택 과목 결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 지 짚어봤다.도움말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김병진 소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결과>, 각 대학 <2026학년도 신입학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2026학년도 수능 선택과목 응시자 현황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결과>중 ‘2026학년도 수능 선택과목 응시자 현황’을 보면 국어 영역 응시자 가운데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의 응시자 비율은 각각 63.0%, 37.0%이었고, 수학 영역 응시자 가운데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의 응시자 비율은 각각 45.6%, 51.3%, 3.1%이었다.(표1 참조)사회·과학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자 현황을 보면 사회·문화를 선택한 응시자가 많았으며, 지구과학Ⅱ를 선택한 응시자는 적었다. (표2 참조) 사회·과학탐구 영역에서 선택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을 보면 사회·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중 사회탐구, 과학탐구 각 영역 내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각각 99.1%, 99.7%, 1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각각 0.9%, 0.3%로, 응시자 대부분(99.5%)이 최대 선택과목 수인 2개 과목을 선택했다. (표3 참조)표1. 국어, 수학 영역 선택과목별 응시자 현황표2. 사회·과학탐구 영역 과목별 응시자 현황표3. 사회·과학탐구 영역별 선택과목 수에 따른 응시자 현황*표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결과>사회탐구·과학탐구 유불리는?2025학년도 수능은 국어와 수학 모두 표준점수 최고점이 비슷했다. 또한, 국어와 수학 모두 표준점수 최고점이 전년도와 비교하여 낮았고, 1등급 내 존재하는 표준점수 개수는 전년도 및 2023학년도 대비 적어서 이전과 비교해, 변별력이 다소 떨어졌다.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김병진 소장은 “반면, 많은 수험생이 선택하는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생명과학Ⅰ, 지구과학Ⅰ 등의 최고점은 이전 수능보다 높았기 때문에 탐구 영역 변별력은 이전 수능보다 높아진 것으로 해석되어 정시 전형에서 탐구 영역의 영향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생활과 윤리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77점으로, 탐구 영역 17개 과목 중 가장 높았으며, 화학Ⅱ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73점으로 전년도 최고점인 80점에서 7점 하락했다. 사회탐구 9개 과목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최저 66점~77점, 과학탐구 8개 과목의 표준점수 최고점은 65~73점으로 분포하며, 2025학년도 수능에서 사회탐구 응시자들이 같은 백분위에서 단순 표준점수 상으로 유리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김 소장은 단순히 표준점수의 유불리만으로 선택과목을 결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고 말한다. 특정 영역이 표준점수에 유리함이 있다고 하여, 그 과목을 선택해 더 많은 오답이 발생하는 것보다 내가 자신 있는 과목에서 정답을 많이 맞추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능 선택과목을 결정할 때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과목이 무엇인지, 그 과목의 학습 부담은 어느 정도인지를 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2026학년도 대입, 자연계열 모집단위 중 사탐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가능 대학은? 2026학년도 전형 유형별 모집 인원 및 비율을 살펴보면, 수시전형이 전체의 약 73%를 차지한다.(참고로 수시전형 모집 인원과 비율은 대학마다 다르므로 각 대학의 최종 수시 모집요강을 참고하기 바란다)김 소장은 “수시 모집의 핵심은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대학도 많지만,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논술 등 모든 전형에 골고루 지원하기 위해서는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을 위한 수능 대비가 필수”라고 강조했다.2025학년도 대입부터 많은 대학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의 수시 응시 지정 영역을 폐지하고 있으며, 사회탐구 응시자도 자연계열 모집 단위에 지원이 가능해졌다. 2026학년도 수도권 주요 대학 수시 수능 최저학력기준 응시 지원 현황은 다음과 같다.(표4 참조)표4. 2026학년도 수도권 주요대 수시 수능 최저학력기준 응시 지정 현황※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 수학, 탐구 지정 대학들의 경우 자연계열만 해당, 인문계열은 지정 없음※ 파란색 표기 대학은 2026학년도 대입부터 응시 지정 영역 폐지된 대학(변경사항) 2025학년도 수시 모집요강과 비교해 보면, 2026학년도 수시 모집부터 고려대(서울), 서울시립대, 인천대, 한양대(ERICA), 홍익대 5개 대학이 선택과목의 제한을 두지 않으며, 사회탐구 응시자의 지원 가능한 모집 단위 범위가 더욱 넓어졌다.김 소장은 “최상위권 대학인 고려대(서울)가 2026학년도 수시 모집부터 수능 응시 지정 영역을 폐지했을 뿐 아니라, 기존의 높았던 수능 최저학력기준까지 완화하였기 때문에 수험생들의 지원 경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2026학년도 대입 정시 지원 시 계열별 선택과목 가산점 영향력 고려해야2026학년도 대입전형 수시 모집에서는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을 위한 선택과목의 제한이 폐지되며, 자연계열 모집 단위에 지원하는 수험생들이 사회탐구를 응시하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대두되기도 했다.이에 김 소장은 “그러나 수도권 주요 대학을 기준으로, 정시 모집에서는 계열별 모집 단위에 따라 각 탐구 과목에 가산점을 적용하는 대학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시 지원을 고려하는 학생들은 기존처럼 인문계열 지원 시 사회탐구 2과목을, 자연계열 지원 시 과학탐구 2과목을 응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2026학년도 수도권 주요대 사회탐구/과학탐구 영역 가산점 부여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5 참조) 일반적으로 과목당 3~10%의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이 많으며, 자연계열 모집 단위에 대해 과학탐구 선택 시 고려대와 연세대는 3%, 성균관대는 5%, 이화여대는 과목당 6%, 서울시립대는 7%의 가산점을 부여한다.김 소장은 “당해 연도 수능에서 탐구의 변별력이 높아 정시 모집에서 탐구 영역의 영향력이 커질 경우, 가산점으로 인한 소수점 차이로 합불이 결정될 수 있다. 각 대학의 계열 및 모집 단위에 따른 가산점 여부를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표5. 2026학년도 수도권 주요대 사회탐구/과학탐구 영역 가산점 부여 현황※ 2026학년도 전형 계획안 기준, 추후 2026학년도 수시 모집요강과 상이할 수 있음 *한양대(서울) : 당해 연도 과목별 난이도를 고려해 가산점 부여표4, 표5 :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2025-01-30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 - 세화고등학교 신세영(3학년)
세화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신세영 학생은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에서 만점을 받았다. 꾸준히, 집중력 있게, 무엇보다 강력한 동기 부여로 고교 3년 동안 흔들림 없이 학업을 이어온 덕분이다. 2025학년도 수능 만점자가 들려주는 학습 방법과 학교생활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자. <수능 만점 소감>신세영 학생은 2025학년도에서 수능 만점을 받고 어떤 기분이 들었을까? 먼저 수능 만점자의 소감을 들어봤다.“평소에도 모의고사 시험을 보면 총 한두 문제를 틀리는 등 성적이 어느 정도 잘 나오는 편이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수능 시험 전 만점을 확신했던 건 아니지만 2025학년도 수능 시험을 치른 뒤 가채점하고 나서 만점임을 알았을 때, 조금 얼떨떨하면서도 수험생으로서 1년의 여정을 잘 끝냈다는 안도감을 느꼈습니다.”<학습 동기 부여>신세영 학생은 중학교 때 성적이 최상위권은 아니었다. 초등학교 때부터 수학 과목을 좋아하긴 했지만, 모든 과목에서 월등한 성적을 유지하진 않았으나, 고등학교에 진학 후 강력한 학습 동기 부여가 된 계기가 있었다고 말한다. Q 평소에도 모의고사 성적이 우수했는데, 중학교 때도 최상위권 성적을 유지했었나요?사실 제가 공부를 항상 잘하지는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공부를 꾸준히 했습니다. 중학교 때 성적도 최상위권은 아니었어요. 다만, 수학은 제가 제일 좋아하는 과목이라 초등학교 시절부터 열심히 파고들어 공부했기에 수학만큼은 자신이 있었어요. 저처럼 한 개의 과목이라도 어느 정도 학업역량이 완성이 되어있으면 고등학교 때 공부가 훨씬 편해진다고 생각합니다.Q 세화고 입학 후 강력한 동기 부여가 된 계기가 있었다고 들었어요.저는 세화고에 입학하기 전까지 중학교 때 성적이 좋지 않았습니다. 세화고에서 최상위권을 노리는 것은 하나의 꿈과 같았죠. 그런데 운이 좋게 입학시험에서 1등을 하게 되어, 그때부터 ‘나도 할 수 있다’라는 조그마한 희망을 품고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물론 처음부터 좋은 성적이 나오지는 않았지만 점차 제 자신이 발전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더 높은 성적을 받게 되었습니다. 제가 세화고를 선택했던 이유에는 좋은 공부 환경, 훌륭하신 선생님들, 다양한 학교 프로그램 때문이었습니다. 세화고에 다닌 덕분에 이렇게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동안 저를 가르쳐주신 모든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공부 습관과 학업역량>신세영 학생은 성실하고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학업뿐만 아니라 운동과 휴식을 병행하며 재충전의 시간을 가지는 것도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Q 꾸준하게 공부하며 자기주도학습을 완성했다고 들었는데, 공부 습관이 궁금합니다.저는 일주일마다 제가 했던 공부를 모두 다시 보면서 제 부족한 점과 발전한 점을 찾아내었고, 이를 바탕으로 제게 필요한 공부가 무엇인지 고민하고 계획을 세웠어요. 남이 시키는 대로 공부하는 게 아니라 주도적으로 자신에게 필요한 공부를 찾아 해나가야 효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공부할 때 항상 이 방법을 유지했죠, Q 세화고는 강남서초지역 자율형사립고(자사고)라서 학업역량이 우수한 학생이 모여 있는데요. 그만큼 학업에 대한 중압감도 컸을 텐데 어떠했나요?세화고는 정말 우수한 학생들이 많이 모여 있는 학교로, 때때로 친구들의 열정과 노력에 감탄하곤 했습니다. 저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 좋은 자극을 받게 되어 친구들을 따라 열심히 공부했고, 저보다 뛰어난 친구들을 볼 때면 그들을 따라잡기 위해 노력을 더 쏟았죠. 물론 모두가 웃을 수는 없지만, 세화고의 우수한 친구들과 함께 경쟁을 하는 동시에 서로를 고양해 주는 관계가 되었습니다. 저는 평소에 공부하는 중간중간 운동하거나 음악을 들으며 제 나름의 즐기는 시간을 가졌기에 학업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았어요. 학습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공부하기 싫을 때는 안 하느니만 못하다고 생각해, 그럴 때는 공부를 잠시 놓고 휴식하며 재충전의 시간을 가졌죠. Q 고3 학생에게는 학업만큼이나 ‘멘탈관리’도 중요한데, 신세영 학생은 어떠했나요?1년 동안 셀 수 없이 많은 문제를 풀고 시험을 보았는데, 저는 오답이나 낮은 점수에 일일이 타격받지 않았어요. 오히려 저의 부족한 점을 찾고 이를 메꾸는 데에 집중했습니다. 이에 필요한 공부를 찾아 열심히 해서 발전한 제 자신을 본 후에 느낀 뿌듯함이 공부를 계속하게 해준 원동력 중 하나였다고 생각합니다. <후배들을 위한 조언>대학입시가 수험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것은 사실이나 지나치게 학업 중압감에 얽매이기보다는 학창 시절에만 누릴 수 있는 즐거움과 추억을 많이 쌓길 바란다는 마음을 후배들에게 전했다. 특히, 수능 만점자에게 쏠린 세간이 이목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겠지만, 신세영 학생은 담담하게 받아들이며 흔들림 없이 자신의 가치관과 생활신조로 자신의 꿈을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다. 대학 진학 후 걸어갈 그의 꿈 행보가 더 기대되는 이유다. Q 올해 2월에 고등학교 졸업을 앞두고 있는데, 고교 3년을 돌아봤을 때 가장 중요한 시기가 언제라고 생각하나요?저는 가장 중요한 시기가 학생에 따라 제각각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입전형에 따라 수시를 목표로 하는 학생이라면 고1, 고2 때 계속해서 열심히 공부해야 하고 학교생활기록부도 신경 써야 하죠. 또, 정시로 대학을 가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고3 때 더더욱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다만 제가 모든 학생에게 하고 싶은 말은 ‘학생 때만 느낄 수 있는 즐거움과 행복이 있고, 학생 시절에만 쌓을 수 있는 추억들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공부에 밤낮 치이면서 지내기보다는 중간중간 휴식도 취하고, 자신이 하고 싶은 활동도 하는 등 학창 시절에 경험할 수 있는 학교생활을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Q 수능 만점자로서, 2026학년도 수능을 앞둔 수험생들에게 조언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수능 공부의 핵심은 꾸준함이라고 생각합니다. 1년의 시작부터 끝까지 공부해야 하므로, 페이스를 조절하면서 꾸준히 체계적으로 공부할 것을 추천합니다. 또한, 100점 혹은 1등급과 같은 객관적인 기준에 자신을 맞추면서 학업 스트레스를 받지 말고, 자기의 성장과 발전에 집중하면서 공부해 나가면 좋은 결과가 반드시 있을 것입니다. 수험생 여러분을 응원합니다Q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꿈, 진로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저는 어릴 때부터 남을 도와 행복하게 해주고 싶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의사를 포함한 여러 진로를 고민했어요. 이와 관련한 책과 미디어를 봤고, 세화고에 오셔서 강의를 해주신 여러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으며 의학 계열에 진학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의학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었는데 치매의 파괴력이 뇌리에 박혀 그때부터 신경학 분야에 관심이 커졌어요. 대학에 진학하면 이 분야를 더 깊이 있게 공부해 보고 싶습니다. Tip 수능 만점자의 공부법!신세영 학생이 밝힌 ‘나만의 학습법’국어_ 국어는 다양한 지문을 읽으면서 본인의 읽기 체계를 정립했고, 많은 상황을 접하면서 자신의 부족한 점을 찾고 이를 극복할 방법들을 찾아 하나하나 체계에 추가했습니다. 수학_ 수학은 문제를 풀면서 풀이 과정의 필연성을 찾아내려고 노력했습니다. 어느 정도 수학 실력을 올렸을 때 문제 푼 경험이 모두 쌓여 새로운 문제를 정확하고 빨리 푸는 데 도움이 되었죠. 
2025-01-09
-
2025학년도 수능 영역별 만점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지난 12월 5일에 발표한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도수분포>를 살펴보면 지난해보다 국어와 수학의 만점 표준점수는 낮아지고, 만점자 수는 크게 늘었다. 사회탐구의 경우 과목에 따라 만점 표준점수 차이가 크게 벌어졌고, 과학탐구의 경우 과학Ⅱ 과목들의 만점 표준점수가 과학Ⅰ 과목들의 만점 표준점수보다 높았다. 영어와 한국사 영역은 지난해와 비교해 1등급의 비율이 증가했다. 수능 영역별 만점자 표준점수와 만점자 수를 분석해봤다.참고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역·과목별 표준점수 도수분포’국어·수학 영역별 만점 표준점수 및 만점자 수2025학년도 수능 국어와 수학 영역의 만점 표준점수와 만점자 수를 살펴보면, 국어 영역은 만점 표준점수가 139점으로 지난해의 150점보다 11점 낮아졌고, 수학 영역은 140점으로 지난해의 148점보다 8점 낮아졌다. 두 영역 모두 만점 표준점수가 낮아져 지난해보다 국어와 수학 영역의 최상위권 변별력은 낮아졌다.만점자 수는 국어 영역이 1,055명으로 국어 응시자 461,252명의 0.229%에 해당한다. 지난해의 국어 만점자는 64명으로 0.014%에 불과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이 500명, 여학생이 555명으로 여학생 만점자가 남학생 만점자보다 55명 많았다.수학 영역 만점자는 1,522명으로 수학 응시자 443,233명의 0.343%에 해당한다. 지난해의 수학 만점자는 612명으로 0.14%에 불과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이 1,229명, 여학생이 293명으로 남학생 만점자가 월등히 많았다. <2024 & 2025학년도 국어/수학 영역별 만점 표준점수 및 만점자 수><2024 & 2025학년도 국어/수학 영역별 만점자 비율>사회탐구 영역 과목별 만점 표준점수 및 만점자 수사회탐구 영역에서는 ‘생활과 윤리’의 만점 표준점수가 77점으로 가장 높았고 지난해보다 12점이나 높아졌다. 다음으로 ‘윤리와 사상’도 73점으로 지난해보다 10점이나 높아져 두 과목 모두 지난해보다 상당히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지난해 어렵게 출제돼 만점 표준점수가 가장 높았던 ‘정치와 법’은 올해 66점으로 가장 낮아졌다. 과목별 만점 표준점수 차이는 11점이나 나서 최상위권의 선택과목 유불리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만점자 수는 가장 응시자가 많은 ‘사회문화’의 무난하게 출제돼 만점자가 1,033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의 665명보다 대폭 증가했다. 이에 비해 두 번째로 응시자가 많은 ‘생활과 윤리’는 만점자가 85명으로 지난해의 6,357명보다 현격하게 감소했다. 사회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인원을 감안해 만점자 비율을 살펴보면, ‘정치와 법’의 만점자 비율이 2.6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동아시아사’가 2.62%였다. 반면 ‘생활과 윤리’의 만점자 비율은 0.05%로 극히 낮았다. <2024 & 2025학년도 사회탐구 영역 과목별 만점 표준점수 및 만점자 수><2025학년도 사회탐구 영역 과목별 만점자 비율>과학탐구 영역 과목별 만점 표준점수 및 만점자 수과학탐구 영역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과학Ⅱ 과목들의 만점 표준점수가 과학Ⅰ 과목들의 만점 표준점수보다 높았다. 화학Ⅱ의 만점 표준점수가 73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지구과학Ⅰ,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의 세 과목이 72점으로 동일했다. 반면 화학Ⅰ의 만점 표준점수는 65점으로 화학Ⅱ보다 8점이나 낮았다. 지난해의 과목별 만점 표준점수 차이는 최대 12점이어서 과학탐구의 과목별 만점 표준점수 차이는 줄어들었다.만점자 수는 화학Ⅰ의 만점자가 2,599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난해의 952명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 물리학Ⅰ의 경우도 만점자가 1,701명으로 크게 늘었다. 만점자 수가 자장 적은 과목은 생명과학Ⅱ로 52명이었고, 지구과학Ⅱ의 경우 63명으로 지난해의 129명보다 대폭 줄었다. 과학탐구 영역의 과목별 응시인원을 감안해 만점자 비율을 살펴보면, 화학Ⅰ의 만점자 비율이 5.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물리학Ⅱ가 3.81%였다. 반면, 지구과학Ⅰ의 만점자 비율은 0.34%로 가장 낮았고,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도 만점자 비율이 각각 0.53%, 0.75%로 1% 미만이었다. <2024 & 2025학년도 과학탐구 영역 과목별 만점 표준점수 및 만점자 수><2025학년도 과학탐구 영역 과목별 만점자 비율>※탐구 영역은 과목별 출제 난이도에 따른 유·불리 현상을 보정하기 위해 상위권 주요 대학에서 주로 백분위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하므로 추후 대학별로 발표되는 변환표준점수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영어 & 한국사 영역 1등급 인원 지난해 대비 증가절대평가로 성적이 등급으로만 표기되는 영어와 한국사 영역은 2024학년도 수능에 비해 1등급의 인원과 비율이 증가했다. 영어 영역의 1등급(90점 이상) 인원은 28,587명으로 응시자의 6.22%에 해당된다. 지난해 2024학년도 수능에서 영어 영역의 1등급은 20,843명으로 응시자의 4.71%였다.한국사 영역의 1등급(40점 이상) 인원은 90,950명으로 응시자의 19.62%에 해당된다. 지난해 2024학년도 수능에서 한국사 영역의 1등급은 83,674명으로 응시자의 18.81%였다. <2024 & 2025학년도 영어 & 한국사 1등급 인원과 비율>
2024-12-19
-
2025학년도 정시, 서울 주요대 ‘영어·한국사 영역’ 반영방법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채점 결과, 영어 영역 1등급 비율은 6.22%로 지난해 4.71%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에 따라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한 인원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영어 영역뿐만 아니라 한국사 영역도 대부분의 주요 대학이 가산점 또는 감점방식으로 반영한다. 2025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영어·한국사 영역 반영방법’을 살펴봤다.피옥희 리포터 piokhee@naver.com 도움말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자료 참조 각 대학 2025학년도 정시 모집요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 영어 영역 대학마다 영어 반영비율 달라반영비율보다 중요한 건 등급 간 점수 차2025학년도 수능 영어 영역 1등급 비율은 6.22%((2024학년도 4.71%)였고, 2등급은 16.35%(2024학년도 18.17%), 3등급은 21.37%(2024학년도 23.96%)로 나타났다. (표1 참조) 2024학년도 수능 영어가 어렵게 출제되어 전년도에는 수시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와 정시에서 영어 영향력이 큰 편이었다. 그러나 올해 수능에서는 국어, 수학이 전년도보다 평이하게 출제되어 변별력이 약회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여전히 영어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5학년도 정시에서 영어 영역의 반영 방식은 대학별로 천차만별이다. 비율로 반영하는 대학이 대다수이고 반영비율도 10%에서 25%로 다양하다. 또한, 가산점을 부여하거나 감점을 적용하는 대학도 있다.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영어 영역의 경우 외형상 반영비율보다 중요한 것은 등급 간 점수 차이다. 상위권 대학에서는 1등급과 2등급의 점수 차가 중요하고, 중위권 대학에서는 2등급과 3등급의 점수 차가 중요하다. 상위권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는 서울권 주요 대학의 경우 1등급과 2등급 점수 차에 주목해야 한다. 더 정확히 말하면, 1등급과 2등급 사이의 전형 총점 대비 감점 비율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표1.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채점 결과>연세대, 이화여대 영어 감점 비율 높아고려대, 한양대 등 계열별 감점 비율 달라2025학년도 정시에서 주요 대학 중 1등급과 2등급 사이의 전형총점 대비 감점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연세대로 0.6~0.8% 수준이다. 감점 비율이 0.4%인 이화여대도 영어의 영향력이 큰 대학에 속한다. 한양대는 인문계열(0.4%)과 자연계열(0.2%)의 감점 비율이 다르다. 고려대(인문 0.3%, 자연 0.3~0.4%) 서울시립대(인문 0.2%~0.4%, 자연 0.2%), 한국외대(인문 0,2~0.3%, 자연 0.1%) 역시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감점 비율이 다르다.한국외대(인문 0,2%-03%, 자연 0.1%)는 인문계열과 자연계열의 감점 비율이 다르다. (표2, 표3 참조)임 대표는 “서울대와 서강대는 감점 비율이 0.1% 수준으로 영어의 영향력이 낮은 대학에 속한다. 성균관대의 경우 지난해와 같이 영어는 변환표준점수를 사용한다. 성균관대는 아직 변환표준점수를 발표하지 않았지만(2024.12.16 기준) 지난해 기준으로 1등급과 2등급에 동일하게 66점을 부여하면서 영어의 영향력이 가장 적은 대학으로 나타났었다”고 설명했다. 표2. 2025학년도 주요 대학 영어 영향력 높은 순(인문계열)※ 서울대, 고려대의 경우 일반전형 기준표3. 2025학년도 주요 대학 영어 영향력 높은 순(자연계열)※ 서울대, 고려대의 경우 일반전형 기준# 한국사 영역 영어처럼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도 대학마다 반영 방식이 조금씩 차이가 난다. 주요 대학들은 모두 한국사를 가산점 또는 감점의 방식으로 반영한다. 대다수 대학들이 4등급까지는 동일한 점수를 부여한다. 다만 일부 대학은 4등급부터 점수 차이를 부여한다. (표4, 표5 참조)임 대표는 “서울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한양대는 인문계열에서 4등급부터 점수 차이를 부여한다. 점수 차이는 서울대 0.4점, 이화여대와 한국외대는 0.2점, 한양대 0.1점 순으로 높다. 자연계열에서는 서울대만 0.4점 감점한다. 5등급 이하의 경우 주요대학들이 모두 점수 차이를 부여한다. 경희대가 5점 감점으로 감점 폭이 가장 크고, 서울시립대(2점), 건국대(1점), 성균관대(1점)도 감점 폭이 상대적으로 큰 대학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표4. 2025학년도 주요 대학 한국사 영향력 낮은 순(인문계열)※ 서울대, 고려대의 경우 일반전형 기준표5. 2025학년도 주요 대학 한국사 영향력 낮은 순(자연계열)※ 한국외대는 자연계열의 경우 한국사 필수 응시(성적에는 반영 안함)※ 표1~4 종로학원
2024-12-19




50대
이상
40대
30대
20대
이하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