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검색결과 총 19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추석 장보기? 우리 지역 전통시장으로 간다~ 다음 주부터 민족의 명절인 한가위 연휴가 시작된다. 올해 추석은 어느 해보다 연휴 기간이 길어 준비할 것도 많은 느낌이다.하지만, 부쩍 오른 물가는 추석 장보기에 나선 주부들의 마음을 무겁게 한다. 비싸다고 차례상에 올릴 음식과 가족이 먹을 명절 음식을 장만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럴 때는 좋은 물건을 좀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지역의 전통시장을 활용해 보자. 지역화폐나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고, 집이 가까워서 오고 가는 수고까지 덜어주는 우리 지역 전통시장을 소개한다.안양군포의왕과천 내일신문 편집팀한가위 추석장보기 안성맞춤 ‘중앙시장’안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중앙시장은 남부시장과 더불어 안양일번가와 함께 주요 상권을 이루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시장으로 평상시에도 사람들로 넘쳐나고 명절이 다가오면 발 디딜 틈 없이 북적인다. 포목, 의류, 신발, 채소, 식당 등 1150개 점포가 입점해 있어 전국 1600개의 전통시장 중에서도 규모와 매출에서 몇 손가락 안에 드는 대형 시장이다.추석을 불과 열흘 남짓 앞 둔 시장 안은 제수용품이나 명절 상차림을 준비하기 위해 시장을 찾은 주부들이 유난히 많았고, 과일과 야채가게, 생선, 정육점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수산물 가게 앞에서 만난 이미란(58 안양1동)주부는 “추석 명절이 며칠 남지 않아 장을 보기 위해 중앙시장을 찾았는데 지난해보다 물가가 많이 올라 부담이 된다”며 “경기도 어렵고 얇아진 주머니 탓에 조금이라도 저렴한 곳에서 장을 보기 위해 전통시장을 찾았다”면서 “생필품은 마트에서 구입하고 과일이나 채소, 정육, 수산물 등은 전통시장이 저렴하기 때문에 이곳에서 구입한다”고 말했다.명절이 코앞이라서 그런지 떡집 앞에는 추석 때 사용할 송편을 주문하는 사람들이 눈에 띄었고, 강정과 한과를 만드는 곳에서도 고소하고 달달한 조청 냄새가 풍겨나고, 김밥골목의 전집에는 동그랑땡과 알록달록한 오색꼬치, 동태전, 육전, 빈대떡 등을 굽는 고소한 냄새가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았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만두집에서도 한 쪽에서는 만두를 빚는 손길이 바쁘고 꽈배기와 도너츠를 튀기는 상인들의 말소리가 이어졌다. 갓 만든 두부에서는 모락모락 김이 피어나고 시장 한 가운데에는 떡볶이와 옥수수, 달인 어묵 가게가 사람들을 유혹한다. 중앙시장은 쇼핑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아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주차는 삼덕공원공영주차장과 중앙시장공영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물품 구매 시 최초 90분 주차할인권을 받을 수 있으며 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를 통해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위치 안양시 만안구 냉천로 196저렴한 채소·과일, 직접 만든 두부·식혜 등 인기 ‘관양시장’관양시장은 소박하고 정겨운 안양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곳으로 전통시장 중에서도 저렴하기로 소문난 곳이다. 2006년 3월,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인정시장으로 등록되었으며 약 150개의 점포가 농수산물, 공산품, 의류, 건어물, 음식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등산객이나 관광객의 경우 관악산 둘레길을 걷고 내려오는 길에 들러 부담 없는 가격에 식사하거나 장을 보기 좋은 곳으로 호응을 얻고 있다.엄마가 해 주신 반찬 못지않게 건강을 고려한 웰빙 반찬가게와 남는 것이 있을까 싶게 저렴한 과일 채소 가게, 생선가게와 정육점 등이 눈에 띈다.지난 17일 관양시장 승일두부 점포 앞에서 만난 이순임(48 비산동)씨는 "몇 년 전까지 관양동에 살았는데 비산동으로 이사한 후에도 이곳을 자주 찾는다"라며 "특히 차례 상차림에 꼭 필요한 두부는 물론 고명만 얹어 조리하면 바삭한 전이 되는 녹두 갈은 것, 식혜 등을 모두 직접 만들어 파는 가게가 있어 좋다"고 말했다. 이어 "명절 차례 음식을 만드는 날이면 정작 가족들 식사를 제대로 챙기기 어려운데 관양시장은 식사를 대신할 수 있는 음식을 포장 구매하기도 좋다"라며 "시장 초입 족발집은 막국수를 포함한 세트 메뉴를 저렴하게 판매하고, 반찬가게의 1팩 1000원 나물 몇 개면 비빔밥도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고 귀띔했다.17일 현재 관양시장에서는 사과(3~5개) 1만원, 배(3~4개) 1만원, 샤인머스켓(4송이 1박스) 1만5000원, 두부(국산 5000원, 수입 3000원), 식혜 6000원, 간 녹두(1.5kg) 9000원 등에 판매되고 있었다.위치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336번길 31오른 물가, 조금이라도 저렴하게 ‘호계시장’ 추석 장보기방앗간에서 나는 고소한 참기름 냄새가 진동하는 호계시장, 주변 주민들의 장바구니를 오랫동안 채워 온 안양시 전통시장 중 하나다. 주문하면 새벽에 배달해주는 온라인 마켓이 유행이고, 대형마트에는 물건이 넘쳐나지만 전통시장의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있다. 아무래도 조금이라 가격이 착하길 기대하며 가게 되는 전통시장. 추석 대목을 맞아 호계시장도 활기를 되찾고 있다. 코로나 이후 조금씩 시장을 찾는 사람이 늘어나긴 하지만 여전히 이전만 하지 못하다는 상인들. 추석을 맞아 오른 물가에 한숨만 나온다고. 추석 때는 뭐니 뭐니해도 떡집과 전집이 가장 붐빈다. 호계시장 맛고을 떡집 주인장은 “송편 1kg 가격이 14,000원으로 시장가격이 정해졌지만, 작년 가격인 13,000원만 받을 예정이다”며 “시장에 오시는 분들은 다른 곳보다 착한가격을 찾는 분들이 많아 힘들어도 작년 가격에서 올리지 않기도 했다”며 한숨지었다. 떡을 주문하려면 최소한 3일 전에는 주문해야 하고, 3kg 이상 주문이 가능하다. 호계시장 호랑이 골목 안쪽에 있는 ‘맛있는 전집’ 주인장은 “인건비와 재료비를 감당하기 힘들어 혼자 예약주문만 받을 예정이다”며 “일주일 전에는 주문을 해야 재료를 준비하기가 수월하다”고 말했다. 호계시장은 떡집이나 전집 이외에도, 청과물, 건어물, 수산물을 비롯해 축산물 도매센터 등이 밀집해 있어 추석장보기를 비롯해 평소 장보기에도 좋다. 호계시장 및 골목상권 이용활성화를 위해 체크카드(안양남부새마을금고 안양남부계좌) 3만원 이상 사용 시 정기적금 이율을 추가로 0.2%를 더해주고, 사은품도 지급하는 행사를 9월 11일부터 10월 10일까지 진행한다.위치. 안양 동안구 흥안대로 133안양과 가깝고 다양한 물건이 가득한, ‘산본전통시장’군포시 산본천로에 자리한 ‘산본전통시장’은 1985년에 개설된 상설 재래시장이다. 40년 가까이 상설시장으로 기능해 온 산본전통시장은 다양한 물품을 저렴하게 판매해 주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곳은 안양시와도 지리적으로 가까워 안양시민들도 즐겨 찾는다.산본전통시장 내부는 여러 개의 길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 길마다 특색있는 점포와 맛집들이 즐비해 장 보는 재미를 더한다. 추석을 앞둔 요즘에는 추석 물품과 선물 세트까지 구비해 놓아 추석 장보기에 나선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산본전통시장에는 떡집이 유독 많아 추석에 먹을 송편이나 여러 가지 떡을 장만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명절에 빼놓을 수 없는 전을 판매하는 전집들도 시장 중앙에 자리하고 있고, 해산물과 육류도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다. 아울러, 반찬 맛이 좋기로 입소문난 반찬가게와 싱싱한 과일 및 채소를 파는 가게들도 추석 장보기를 돕는다.산본전통시장 내부에 난 여러 개의 길을 따라 걷다 보면 추석에 필요한 물품을 대부분 구매할 수 있어 원스톱 쇼핑이 가능하며, 가격도 저렴한 편이라 부담이 적다.추석 장보기에 나선 시민들을 위해 9월 15일부터 2023-09-20
-
우리 안양지역 축제 가볼까? 축제의 계절이 돌아왔다. 무더웠던 여름이 지나고 선선한 바람이 부는 가을이 시작되면서 축제와 페스티벌이 사람들을 향해 손짓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그동안 열리지 못했던 행사여서 사람들의 마음도 기대로 넘쳐난다. 상황과 분위기를 고려해 주춤했던 지역축제가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준비해 사람들과 소통하는 장을 마련하는 만큼 행사의 종류도 다양하다. 우리 안양지역에서 준비 중인 축제를 소개한다.진로를 고민하는 여성들을 위한 ‘제28회 여성 진로페스티벌’여성들의 취업과 창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여성들이 선호하는 유망직종 소개 및 시연, 직종체험관도 운영하는 여성 진로페스티벌이 열린다. 롯데백화점 평촌점 미관광장에서 열리는 2023 제28회 여성 진로페스티벌은 9월 20일 오전11시30부터 진행된다. 콘텐츠크리에이터, 코딩교육전문가, 디지털미디어전문가 등 여성 유망 직종에 대한 정보와 기업체 현장 채용 면접, 취업 상담, 퍼스널 컬러 진단, 취업 성공 이미지 메이킹 상담과 컨설팅 등의 취업지원관도 운영한다. 참여대상은 안양지역 여성, 구직희망 경력단절 여성 및 청년 여성, 직종전문가, 구인업체 관계자, 직업 훈련 관계자 등이다.남성과 여성의 조화로운 발전 ‘2023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안양시는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양성평등 사회’를 주제로 2023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를 9월 20일 오후2시부터 안양시청 강당에서는 개최한다. 양성평등 주간 기념행사는 해마다 9월 첫째 주 양성평등주간에 개최되었으나 올해는 시 승격 50주년을 맞아 시민축제인 ‘안양춤축제’기간으로 옮겨져 축제를 즐기는 많은 시민들과 함께 할 예정이다. 안양시여성단체협의회와 안양여성연대가 주관하는 이날 행사는 시민 5명의 양성평등 사례발표와 판소리 및 살풀이 공연 등의 식전행사로 시작된다.1부 기념식에는 양성평등 유공자 시상과 격려사 및 축사, 2부 행사에는 시 승격 50주년을 기념해 여성행정, 양성평등 발전사 영상 상영, 마정윤 강사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여성/학 이야기’강연, 팝페라 남성 3인조 엘페라의 축하공연이 펼쳐진다. 또 시청 강당 앞에는 여성행정 발전 사진전과 양성평등 4행시 및 표어 작품전도 열린다.청년이 기획하고 참여하는 ‘안양청년축제’청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청년주도적인 축제를 통해 청년들의 활력을 증진시키고 청년의 문화 소통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2023 제4회 안양청년축제가 열린다. 안양시와 안양청년축제기획단이 주최하고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9월 23일 안양시청 앞마당 일대에서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체험행사와 공연이 진행되며 청년정책홍보 부스 및 5대의 푸드 트럭도 운영할 예정이다.헤나, 타로 체험을 비롯해 전문가들에게 배워보는 2023 트렌드 메이크업 수업과 누구나 무료로 촬영이 가능한 치즈박스 포토존, 적절한 홈트레이닝 방법을 배울 수 있는 헬스, 요가체험부스가 운영 된다. 달콤한 간식으로 나를 알아보는 시간 ‘자기발견부스’에서는 고민을 접수하고 달달한 간식을 처방받는 나를 위한 시간이 될 수 있고, 태블릿으로 제작 후 스마트폰으로 전송받는 나만의 캐리커쳐와 시청 로비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컨셉의 VR체험도 관심을 끈다. 6인승과 9인승 시뮬레이터는 독도체험, 세계관광지 체험을 공중 뷰로 체험하고 자이로드롭, 롤러코스터 등 놀이기구도 체험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메인무대에서는 버스킹 공연, 청년축제 기념식과 함께 턴 테이블, 유다빈밴드, 냄윤성, 무드등, 노래하는 감자 이신영, 김노피, 양서진 트리오, 이재영, 고양이 용사, 범진, 변민석, 라두, 아웃오브캠펏, 한살차이의 공연이 이어진다.여성의 인권을 영화로 감상하다 ‘제17회 안양여성인권영화제’여성 인권과 양성평등을 영화 매개로 생각해보는 안양시 양성평등기금지원사업 ‘제17회 안양여성인권영화제’가 개막한다. 안양여성의전화가 주관하는 이번 영화제는 22일부터 23일까지 이틀간 CGV평촌점에서 진행되며 개막작 ‘아이 엠 우먼’을 시작으로 ‘낳을 권리, 낳지 않을 권리’, ‘찌르개’ 등 장, 단편 총 11편이 상영된다. 또 감독과의 대화로 영화 ‘찌르개’의 임소라 감독이 관객들과 만날 예정이다. 영화 관람은 모두 무료로 진행된다.눈과 귀가 즐거운 ‘평생학습 한마당축제’9월 23일 동안평생학습센터 광장에서는 평생학습 한마당축제가 개최된다. 식전공연으로 청소년동아리, 성결대 응원단 페가수스, 문해백일장, 우수강사, 평생학습 활동가의 시상식이 이어지며 평생학습 프로그램 동아리 성과발표가 진행된다. 전시체험 부스에서는 평생학습 프로그램 작품전시 및 프로그램 체험이 진행되며 포토존, 스티커 사진, 레트로 게임도 선보인다. 축하공연으로는 가수 박남정, 한서경, 마로니에가 초대가수로 공연을 펼친다. 2023-09-20
-
새로 단장한 생태이야기관, 전시 및 체험 공간 풍성! 안양시 석수동에 자리한 ‘안양천생태이야기관’은 복원된 안양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안양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설립된 공간이다. 지난 2012년 10월 개관한 이래 많은 시민이 방문하며 안양시의 대표적인 전시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이런 안양천생태이야기관이 개관 10년이 되던 지난해, 리모델링 공사를 마치고 새로운 모습으로 재탄생했다. 기존 전시 공간을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디자인하고, 다양한 체험시설을 구축해 관람객이 좀 더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도록 탈바꿈한 것.리모델링 후 재개관하자 많은 시민이 이곳을 찾아 새로운 전시 공간과 체험시설을 누리고 있다. 새로 단장한 안양천생태이야기관은 어떤 모습인지, 달라진 공간 구석구석을 둘러보았다.흥미를 유발하는 디지털 방식의 전시실로 변신안양천생태이야기관은 1층과 2층 전시실, 그리고 3층의 옥상 및 야외 체험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모델링을 통해 1층과 2층 전시실은 디지털 방식의 전시실로 새롭게 탈바꿈했다.우선, 1층에 자리한 제1전시관에는 물총새의 하루와 안양천의 사계, 물이야기, 안양천 둘러보기 등의 생태 전시물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전시관 중앙에는 미니도서관을 두어 누구나 편하게 앉아 책을 읽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미니도서관 옆에는 터치패널에 색을 칠하며 물고기를 그릴 수 있는 ‘잠수함 스케치북’이 조성돼 어린이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아울러, 교육 프로그램이나 그림그리기 및 만들기를 할 수 있는 공간도 새롭게 조성했다.하지만, 제1전시관에서 가장 많은 인기를 누리는 것은 다름 아닌 ‘야호! 보트탐험’ 시설. ‘야호! 보트탐험’은 4D 장비를 갖추고 보트에 타면 VR 영상을 통해 안양천을 탐험해 볼 수 있는 체험시설을 말한다. 보트가 살짝 흔들리기 때문에 실제 보트를 타고 안양천을 탐험하는 기분이 들어 어린이들이 무척 좋아한다. 하루 6회, 한 시간 간격으로 운영하며, 줄을 서서 선착순으로 탑승하게 된다.관람객 김유미(안양시 호계동)씨는 “리모델링 후 체험시설이 많이 늘어나 특히 더 좋다”며 “전시물도 보고, VR 보트 타고 안양천도 탐험하고, 책 읽기나 만들기도 할 수 있어 여름방학에는 아이와 함께 더 자주 방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2층에 자리한 제2전시관에서는 좀 더 다양한 전시물을 만날 수 있다. 우선, 안양천의 역사와 안양천이 복원되기까지의 과정이 전시물과 디지털 화면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그 주변으로는 안양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이 전시돼 있는데, 안양천 서식 생물은 식물과 곤충, 양서 파충류, 조류, 어류 등으로 나눠 전시 공간이 마련됐다. 특히, 안양천에 사는 물고기를 보여주기 위해 수족관을 조성, 눈으로 직접 서식 물고기를 관찰해 볼 수 있도록 배려했다.제2전시관 체험시설로는 ‘3D 영화 상영관’과 안양천 안에 들어가 있는 듯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는 ‘와우! 실감놀이터’가 구축돼 있다.꼭대기인 3층은 야외시설로, 옥상전망대와 잔디마당, 조류관찰대가 마련돼 있다. 이중 옥상전망대에는 안양천을 볼 수 있는 망원경이 설치돼 있어 이를 통해 안양천에 서식하는 철새 등을 관찰해 볼 수 있다.다양한 생태교육 프로그램도 풍성안양천생태이야기관은 전시 및 체험 외에 다양한 생태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우리가족생태교실’이 월 2회 토요일마다 운영되고 있으며, 6·7세 유아 및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꼬마파브르교실’도 월 2회 일요일에 진행된다.여름방학을 맞아, 초등 2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한 ‘여름방학 안양천탐사’ 프로그램이 7월~8월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계획돼 있다.이뿐만 아니다. 월 2회 토요일에는 유아 및 초등생을 대상으로 한 창작교실이 열리며, 주말과 휴일, 국경일 등에는 어린이 대상의 만들기 교실도 수시로 진행된다. 이들 교육 프로그램은 안양천생태이야기관 홈페이지에서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 2023-07-19
-
2022년 제8회 안양시 사회조사결과 2021년 안양시의 총인구는 55만3249명으로 내국인은 54만7178명, 외국인은 6071명으로 나타났다. 총인구는 2020년 대비 0.6% 감소했다. 사교육을 받은 경험은 93.4%로 나타났으며, 가구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00.7만원, 학생 1인당 68.1만 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시는 지난해 말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2년 제8회 안양시 사회조사결과>를 발표했다.2022년 제8회 안양시 사회조사결과의 주요 내용을 살펴봤다.*참고 자료 2022년 제8회 안양시 사회조사결과☞ 제8회 안양시 사회조사의 조사 기간은 9월 14일부터 9월 28일까지 15일간이다. 조사대상은 관내 표본 1200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으로 시 특성항목, 가족, 가구, 환경, 보건·의료 등 6개 분야 57개 항목을 조사했다. 각 통계표에서 지표의 성격에 따라 조사대상, 연령, 조사대상 기간(시점)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연령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경우 만 15세 이상이 대상이다. 내용 중 <지난 1년>은 2021년 9월 14일부터 2022년 9월 13일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2021년 안양시 연령별 인구 50대 가장 많아2021년 안양시의 총인구는 55만3249명으로 내국인은 54만7178명, 외국인은 6071명으로 나타났다. 총인구는 20년 대비 0.6% 감소했다. 세대수는 전년 대비 4068세대 증가해 22만4620세대로 나타났다. 총인구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며 외국인은 2021년 기준 총인구의 1.1%의 비율을 차지했다.2021년 안양시의 행정구역별 인구(외국인 제외)는 관양1동(3만5843명)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석수2동(3만1304명), 부림동(2만6575명) 순으로 나타났다.2017년 대비 인구가 가장 많이 증가한 행정구역은 호계1동(202.2%), 가장 많이 감소한 행정구역은 비산3동(-50.5%)이다.2021년 안양시 연령별 인구는 50대가 9만6054명(17.6%)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40대 8만5661명(15.7%), 30대 7만7334명(14.1%) 순이다. 15세 미만 인구는 2017년 12.8%에서 2020년 11.5%로 1.3%p 감소했다.1인 가구 30대 가장 많고 60대, 50대 순2021년 안양시 1인 가구는 5만3240가구로 2019년 대비 6,162가구(13.1%) 증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2만6330가구, 여자 2만6910가구로 여자 1인 가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연령대별로 보면 30대 가구가 19.3%로 가장 많고, 60대(17.9%), 50대(16.0%) 순이다.2021년 기준 안양시 한해 혼인은 2229건, 이혼은 889건이다. 외국인과의 혼인은 111건으로 전체 혼인의 5.0%를 차지했다. 2021년 안양시 전입자는 8만7149명, 전출자는 8만9564명으로 2415명 순유출됐다. 전입과 전출 모두 남자와 여자가 비슷하게 나타났고,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순유출되는 경향을 보였다. 2021년 안양시 전체 사업체 수 2017년 대비 41.6% 증가2021년 안양시 전체 사업체 수는 6만3452개로 2017년 대비 1만8638개(41.6%)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이 안양시 전체 산업의 28.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11.7%), 운수 및 창고업(9.8%) 순이다.산업대분류별 종사자 수는 2021년 안양시 전체 27만2065명이며, 2017년 대비 2만1014명(8.4%)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의 종사자 수가 안양시 전체 산업의 16.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제조업(13.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1.0%) 순이다.2017년 대비 종사자 수가 가장 감소한 산업은 광업(-18.2%)이고, 가장 증가한 산업은 농업, 임업 및 어업(500.0%)으로 나타났다.가장 비중 높은 주택형태 '아파트'(64.8%), 점유형태 '자기 집'(65.7%)가구주를 대상으로 주택형태와 점유형태를 확인한 결과, 주택형태는 '아파트'가 64.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연립·다세대주택' 25.1%, '단독주택' 7.7% 순이다.점유형태는 '자기 집'이 65.7%로 높고, ‘전세' 19.4%, '보증금 있는 월세' 12.1% 순으로 나타났다.주택형태 세부 분석결과 '아파트'는 동안구(79.1%), 남자(68.1%), 40~49세(78.2%), 5인가구이상(82.0%)에서 높고, 점유형태 세부 분석결과 '자기 집'은 동안구(66.9%), 남자(68.9%), 60세이상(72.0%), 5인가구이상(82.6%)에서 높게 나타났다.결혼은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39.4%), '하는 것이 좋다'(37.8%) 순결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가 39.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하는 것이 좋다’ 37.8%, '반드시 하는 것이 좋다' 16.4% 순으로 나타났다. 결혼 견해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만안구(40.9%), 여자(42.5%), 15~19세 (54.6%), 대학교졸업(44.5%)에서 높고, '하는 것이 좋다'는 만안구(39.3%), 남자(39.2%), 60세 이상(46.5%), 초졸 이하(44.8%)에서 높게 나타났다.부부의 경제활동은 '남편과 부인 모두 직장 있다'(43.7%), '남편만 직장 있다'(36.0%) 순부부의 경제활동 상태를 살펴보면, '남편과 부인 모두 직장 있다'가 43.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남편만 직장 있다' 36.0%, '남편과 부인 모두 직장 없다' 14.7% 순으로 나타났다. 부부 경제활동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 '남편과 부인 모두 직장 있다'는 동안구(43.8%), 여자(65.0%), 40~49세 (56.5%), 대학원졸업(50.9%)에서 높고, '남편만 직장 있다'는 동안구(36.6%), 남자(37.9%), 20~29세(75.9%), 대학교졸업(40.3%)에서 높게 나타났다. 부부의 가사 분담 상태를 확인한 결과 '부인이 주로 하고 남편도 분담한다'가 52.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부인이 전적으로 책임진다' 31.1%, '공평하게 분담한다' 12.1% 순으로 나타났다.가사분담에 대한 세부 분석결과 '부인이 주로 하고 남편도 분담한다'는 만안구(56.2%), 남자(53.2%), 20~29세 (63.6%), 대학원졸업(60.8%)에서 높고, '부인이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동안구(33.6%), 여자(39.7%), 60세 이상(38.2%), 초졸 이하(56.4%)에서 높게 나타났다.가장 큰 저출산 원인은 '자녀양육의부담(교육비포함)'(32.9%)과 '일가족 양립 여건과 환경 미흡'(21.6%)저출산의 원인에 대해 질문한 결과, '자녀 양육의 부담(교육비 포함)'이 32.9%로 가장 높고,다음으로 '일 가족 양립 여건과 환경 미흡' 21.6%, '주거비 부담(비싼 주택가격 등)' 18.4% 순으 2023-06-07
-
2023년 안양시 출산 지원정책 엿보기!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안양시는 다양한 출산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런 노력 덕분인지, 지난해 안양시의 출생아 수가 전년 대비 5.06%(166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안양시의 3월 보도자료에 따르면, 안양시의 출생아 수는 2018년 4066명, 2019년 3830명, 2020년 3276명으로 계속 줄다가, 2021년 3277명, 2022년에는 전년보다 166명 늘어난 3443명을 기록했다고 한다. 이는 통계청 합계출산율(잠정) 0.9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8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고무적인 결과에, 안양시는 출산 지원책을 더욱 강화하고 나서며, 올해 5월 출생아부터는 출산지원금을 2배로 인상한다는 내용도 발표했다. 인상된 출산지원금은 얼마인지, 안양시의 다른 출산 지원정책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봤다. 안양시 출산지원금 2배 인상안양시는 지난 9일, 5월 1일 출생아부터 2배 인상된 출산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안양시 시의회는 ‘안양시 출산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5월 2일 의결했다. 의결된 내용은 출산지원금을 인상하고 기존의 일시지급 방식을 분할지급으로 변경한다는 것.이에 따라, 2023년 5월 1일 출생아부터는 첫째가 기존 100만원에서 200만원의 출산지원금을 받게 되며, 둘째는 기존 200만원에서 2배 인상된 400만원의 출산지원금을 지급받게 된다. 또한, 셋째는 300만원, 넷째부터는 500만원이었던 기존 지원금이 ‘셋째부터 1000만원 지급’으로 일괄 변경되어 시행된다.단, 출산지원금의 지급방식은 기존의 일시지급 방식에서 첫째와 둘째는 연 2회, 셋째부터는 연 4회 분할해 지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안양시의 출산지원금은 출산일 기준 12개월 전부터 신청일까지 안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한 사람 중 출생아와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로 되어있는 부 또는 모에게 지급된다. 출산지원금 신청은 관할 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자녀의 출생신고 시 함께 하면 된다.최대호 안양시장은 “출산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건강한 양육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출산지원금 2배 인상을 결정했다”며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안양시’ 중장기 로드맵을 통해 산모의 건강과 아이의 미래까지 책임지는 안양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임신축하금, 산후조리비, 육아용품 지원 등 다양한 지원사업안양시는 출산지원금 2배 인상 지원 외에도 다양한 출산 지원사업을 마련해 시행 중이다.우선, 임신을 축하하는 뜻에서 임산부에게 임신축하금 10만원을 지급한다. 신청일 이전 3개월 이상 안양시에 주민등록상 거주한 임산부가 대상이며, 축하금은 지역화폐인 안양사랑상품권 지류형으로 지급된다. 임신일부터 출생신고일까지 안양시 보건소 모자보건실을 방문에 신청하면 된다. 신청 시, 신분증, 임신확인서 또는 초음파 사진이 부착된 산모수첩, 주민등록등본 등의 서류를 반드시 지참해야 한다.또한, 건강한 출산을 돕기 위해 출산준비교육과 엽산제 및 철분제 지급, 초기 혈액검사, 기형 검사쿠폰 발급 등의 임산부 지원사업도 마련되어 있다.출산 후에는 산후조리비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첫만남이용권’이 지급된다. 첫만남이용권이란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 중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영아에게 출생아당 200만원의 지원금을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로 지급하는 사업이다.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아동 출생일로부터 1년 안에 사용해야 한다.이뿐만 아니다. 출생 축하 용품을 지급하는 ‘아이좋아 행복꾸러미’ 서비스도 지원된다. ‘아이좋아 행복꾸러미’는 전용 사이트에서 원하는 육아용품을 골라 주문하면 택배로 배송해 주는 서비스로, 2023년 출생일 기준, 첫째 아이는 20만원, 둘째 아이는 30만원, 셋째 아이 이상은 40만원 상당의 물품을 지원받을 수 있다.서비스 신청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할 수 있으며, 안양시에 거주하는 부 또는 모가 안양시에 자녀를 출생신고할 경우 해당된다. 2023-05-24
- 안양시 각종 지원금 놓치지 마세요! 코로나 기간 재난지원금이라는 명목으로 몇 번의 지원금을 받았지만, 일상이 정상화된 지금은 재난지원금을 기대하기 힘들거라 생각하지만, 안양시에서 지원하는 각종 지원금과 혜택이 생각보다 많다. 물가는 점점 오르고, 살기는 더욱 팍팍해진 지금 놓치면 아쉬울 안양시에서 지원하는 각종 지원금과 혜택을 알아봤다.안양시 재난기본소득 5만 원, 5월31일까지 신청안양시는 2023년 2월 9일 24시 기준 안양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내국인, 영주권자, 결혼이민자 등에게 1인 5만 원의 재난기본소득을 지급한다. 신청 기간은 5월 31일까지로,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주소지의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온라인으로 신청하기 위해서는 안양사랑페이카드를 소지해야 하며, 미성년자는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세대주가 합산해 신청할 수 있다. 이미 안양사랑페이카드를 소지한 분들은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다음 날 바로 충전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안양사랑페이가 없거나 신청하기 어렵다면,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는 수고를 해야 한다. 평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토요일은 오후 5시까지 전담창구에서 신청을 받고 있다. 단, 5월 연휴 기간은 5일, 6일, 27일, 29일은 전담창구를 운영하지 않는다. 직계가족의 경우 신분증이 있으면 대리신청이 가능하다. 사용 기간은 8월 31일까지다. 이미 재난기본소득을 신청해서 요긴하고 쓰고 있는 안양시민들도 있지만, 신청방법을 모르거나 날짜를 놓쳐 신청을 못 하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문의 1899-7997안양사랑페이 월 50만 원 한도 10% 할인구매 가능안양시는 지역내 소비를 진작시키고, 골목상권, 전통시장 등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안양사랑페이 할인구매율을 5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0%로 높였다. 단, 1인당 구매 한도는 지류형은 20만 원, 카드형은 30만 원으로 총 50만 원 한도다.지류형은 관내 NH농협35개소에서 신분증 지참하여 현금으로 구매 가능하다. 18만 원으로 20만 원어치의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다. 카드형은 ‘경기지역화폐’ 스마트폰 앱에서 카드 신청후 충전하면 된다.안양사랑페이는 30% 소득공제가 가능하며, 종이형 가맹점은 안양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카드형 가맹점은 경기지역화폐 가맹점 찾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청년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최대 30만 원 지원안양시는 청년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취업률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구직활동에 필요한 어학•자격시험 응시료를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1983년1월2일부터 2004년 1월 1일까지 출생한 자로서 2023년 1월1일부터 신청일까지 주민등록상 경기도에 거주하고 신청일 기준 안양시 거주자다. 지원과목은 어학 19종, 국가기술자격(한국사능력검정시험포함), 국가공인 민간자격으로, 2023년 1월1일부터 실시한 어학•자격시험에 한해서다.1인 3회, 회당 10만 원 이내 지원(최대 30만 원)하며 자격시험의 경우, 필기·실기 시험이 있는 경우 각 1회로 간주한다. 자격시험 취득을 위해 필기 1회, 실기 1회 별도 응시한 경우 2회로 산정한다. 신청 기간은 1차는 5월1일부터 6월 30일까지이며, 2차는 10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다. 신청방법은 경기도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에 접속해 신청하면 된다.문의 031-8045-5779만24세, 청년기본소득 분기별 25만 원청년의 사회적 기본권 보장 및 지역화폐 사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청일 현재 안양시에 거주중인 만24세 청년 중 경기도 내 3년 이상 계속 거주자 또는 주민등록 합산 경기도 10년 이상 거주자에게 분기별 25만원(1인 연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한다. 지급형식은 카드형 안양사랑페이로 1분기 (1998. 1. 2. ~ 1999. 1. 1.), 2분기(1998. 4. 2. ~ 1999. 4. 1.), 3분기(1998. 7. 2. ~ 1999. 7. 1), 4분기 (1998. 10. 2. ~ 1999. 10. 1.)별로 경기도 일자리플랫폼 잡아봐(apply.jobaba.net)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문의 031-8045-5788안양 청년 월세 지원사업, 월 최대 20만 원안양시는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청년월세한시특별지원사업과 함께 안양 청년 월세 지원사업을 추가로 실시한다. 국토교통부가 실시하는 청년월세 한시특별지원사업이 만 19~34세의 무주택 청년에 한정한다면 안양시는 혜택을 받지 못하는 만35~39세 무주택 청년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지원대상은 안양시에서 부모와 따로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 독립가구 중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재산기준 1억700만원 이하, 임차보증금 5000만 원 이하 및 월세 60만 원 이하 건물에 거주하는 경우 신청할 수 있다. 월 최대 20만원씩 12개월분의 월세를 지원 받는다. 월세가 60만 원을 초과하더라도 임차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를 합산해 70만 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하다. 안양청년 월세 지원사업 신청 기간은 4월 24일부터 8월 21일까지로,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로 방문해 신청하면 된다. 국토교통부의 월세 한시 특별 지원사업도 8월 21일까지 복지로(www.bokjiro.go.kr)나 거주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된다.문의 031-8045-5787 2023-05-10
-
새로운 취미, 운동, 자격증에 도전해 볼까? 이미 3월도 중반이다. 쌀쌀한 바람에도 따뜻한 봄 햇살에 설레기만 하는 3월. 마스크도 벗어 던지고, 그동안 미루었던 새로운 일에 도전해 보자. 취미활동이면 취미활동, 운동이면 운동, 자격증이면 자격증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개설된 곳이 생각보다 많다. 지역 내 취미, 운동, 자격증 등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찾아봤다.안양시 평생학습센터, 160여 과목 운영 중안양시 평생학습센터는 이전의 동안여성회관과 만안여성회관을 평생학습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동안평생학습센터와 만안평생학습센터로 이원화하여 운영되고 있다.동안구청 맞은편에 있는 동안평생학습센터는 현재 84과목 125개 반의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약 2600여 명의 수강생이 수강하고 있으며, 만안평생학습센터는 81과목 11개 반의 교육프로그램에 약 2600명의 수강생이 수강하고 있다.강좌는 중국어, 영어, 일본어 등 외국어 강좌를 비롯해 컴퓨터 활용능력, 사진, 유튜브, 홈패션, 화훼장식사, 북아트 지도사, 수납전문가, 미용기능사, 제과기능사 등 자격증반, 밑반찬, 샌드위치만들기 등 요리관련 강좌 등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이외에도 생활도예, 드로잉, 유화, 수채화, 우쿨렐레, 오카리나, 난타, 통기타 등 음악미술강좌, 하와이안훌라, 발레, 요가, 한국무용, 사물놀이 등 건강강좌도 운영된다. 직장인들을 위한 야간강좌도 운영되고 있으며 다양한 특강이 운영되고 있다.접수방법은 인터넷으로 접수해 컴퓨터 추첨으로 이루어지며 1인 2과목 신청 가능하다. 동일과목은 동안 및 만안 평생학습센터 중 1곳에서만 신청이 가능하다. 수강료는 대부분 4개월에 6~8만 원 정도로 부담이 적어 인기 있는 과목은 지원자가 몰리는 경우가 많다. 교육프로그램은 4개월 단위로 운영되며 다음 차수인 5월~8월에 운영되는 강좌는 4월에 접수를 받는다.문의 동안평생교육센터031-8045-6041~4,6048/만안평생교육센터031-8045-6064,6065,6066평촌아트홀, 특색있는 예술문화 교육프로그램 다양자유공원내에 있는 평촌아트홀에서도 다양한 예술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평촌아트홀 아카데미는 좋은 시설과 환경, 실력있는 강사들로 인기를 얻고 있다.예술공연 인문학 ‘박물관과 오페라하우스로 떠나는 예술도시 여행’, 영화 인문학 ‘영화로 읽는 세계문학’, 클래식 인문학 ‘계절에 듣는 클래식’, 테마로 보는 서양미술의 흐름, 피아노가 있는 클래식 살롱 등 예술과 인문학을 결합한 강의는 예술과 인문학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 주는 평촌아트홀 아카데미만의 특별한 강좌다.이외에도 드럼, 바이올린, 우쿨렐라, 통기타 등 음악강좌와 무용, 요가, 살풀이춤, 진도북춤 등 무용강좌, 한국화, 사진, 연필화, 수채화, 유화 등 미술강좌도 운영되고 있다.수강 신청은 홈페이지나 현장방문을 통해 가능하며 현재 운영되고 있는 강좌는 2월 20일부터 5월 13일까지 3개월 단위로 운영되는 강좌다. 다음 강좌의 수강 신청은 4월에 진행될 예정이다.문의 031-687-0550, 0542안양여성인력개발센터, 자격증 도전하고 취업까지취미나 운동도 좋지만, 자격증도 따고 취업에 도전해보는 것은 어떨까? 안양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는 경력단절여성들을 위한 다양한 강좌가 개설되어 있다. 여성가족부의 지원을 받아 수강료에 대한 부담없이 수강이 가능한 강좌도 있다. 멀티미디어콘텐츠디자이너 및 디지털마케팅전문가육성과정은 국비직업훈련과정으로 본인부담 10만원으로 수강이 가능하다. 다만 수강하기 위해서는 서류접수후 면접을 통해 선발되어야 한다. 모집기간은 3월 15일부터 5월 29일까지이며 수강기간은 6월 7일부터 9월 14일까지다. 수료후 6개월 내 취업 시 수강료 10만원은 전액 환급된다.내일배움카드로 훈련이 가능한 다양한 요리자격증 관련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다. 한식조리기능사취득 과정, 양식조리기능사취득과정, 떡제조기능사자격증취득과정, 카페브런치 과정, 포차안주&사이드메뉴과정 등 다양하다. 취업시 필요한 한글엑셀실무능력향상과정, 유튜브 크리에이터과정, 온라인마케팅과 sns 콘텐츠 제작 실무과정, 쇼핑몰, 스마트스토어과정 등도 개설되어 있다. 이외에도 카페창업에 도전하는 분들을 위한 바리스타 자격증과정, 정리수납전문가자격증 취득과정, 요양보호사 자격증취득과정등도 개설되어 있다. 자격증 뿐 아니라 가볍게 수강할 수 있는 특강도 있다.새로운 취미나, 운동, 자격증 등에 도전하고 싶다면 주변의 교육프로그램을 잘 활용해 보자. 새로운 마음으로 도전해 본다면 생활에 새로운 활력이 생기지 않을까. 백세시대에 평생교육은 필수인 시대가 되었다. 모처럼 마스크도 벗어 던지고 봄바람과 함께 찾아온 기회를 놓치지 말자.문의 031-453-4360 2023-03-23
- 안양시 도서관의 겨울방학 프로그램 알아보기! 겨울방학을 맞아 안양시립도서관에서는 어린이 대상 겨울방학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일부 도서관은 겨울방학 특강 참여자 모집을 시작했으며, 나머지 도서관은 1월부터 참가자를 모집하고 본격적인 겨울방학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올해는 비대면과 함께 도서관을 방문해 직접 참여해 즐기는 다양한 대면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겨울방학 동안 어린이들이 즐길 수 있는 특강 프로그램은 무엇이 있는지, 안양시립도서관의 겨울방학 프로그램을 소개해 본다. 비산도서관, 문해력 향상 및 교과연계, 독서활동 등 진행안양시 비산도서관은 겨울방학을 맞아 책과 연계된 특강을 준비하고 참가자 모집에 나선다. 우선, 예비초등 1~2학년 학생 15명을 대상으로는 ‘상상하N.I.E. 문해력 UP!’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초등 저학년생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해 기획된 이번 특강은 신문의 사진과 표제어 등을 활용해 어휘력과 창의력, 논리력 향상을 꾀하고 문해력이 좋아지는 효과도 기대한다. 오는 1월 25일부터 2월 15일까지 매주 수요일 오전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진행되며, 비산도서관 4층 시청각실에서 대면으로 진행한다. 신문 1부와 필기구, 가위, 풀을 준비하면 된다.예비초등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는 교과연계 프로그램인 ‘동화야 노올자’가 진행된다. 1월 26일부터 2월 16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5시부터 6시까지 진행되며, 온라인 특강으로 만나게 된다. 교과서 동화 읽기를 통해 교과서와 친해지는 시간으로 꾸려지며, 필기구와 가위, 풀을 지참하고 참여하면 된다. 재료비는 15000원이 있다.예비초등 3~4학년 15명을 대상으로는 ‘우주로 가는 북아트’가 예정되어 있다. 온라인 강의로 진행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스토리텔링과 그림책으로 우주에 대해 배워보고, 북아트에 기록하는 활동을 진행한다. 1월 27일부터 2월 17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3시 30분부터 5시까지 진행되며, 스케치북과 싸인펜, 가위, 풀을 지참하고 온라인으로 참여하면 된다.비산도서관의 겨울방학 특강은 오는 1월 11일 오전 10시부터 안양시립도서관 홈페이지의 ‘문화행사 신청 게시판’에서 참가신청을 받는다.호계도서관, 세계사 특강과 독후 활동, 경제 프로그램 준비호계도서관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예비초등 1~2학년을 대상으로는 ‘그림책을 만나는 시간’ 특강이 진행될 예정이다. 그림책으로 영역별 독후 활동이 이뤄지며, 온라인 줌으로 참여할 수 있다. 오는 2월 7일부터 10일까지 매일 오후 4시 30분부터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며, 필기도구와 색연필 등 준비물과 재료비 6000원이 있다.예비초등 3~4학년을 대상으로는 ‘경제 골든벨을 울려라’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경제 동화로 개념을 배우고 신나게 퀴즈도 풀어보는 시간으로, 호계도서관 3층 문화교실에서 열린다. 2월 7일부터 10일까지 매일 오후 1시부터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될 예정. 예비초등 5~6학년은 ‘경제가 보이는 모의금융투자체험’에 참여해 볼 수 있다. 2월 7일부터 10일까지 매일 오후 3시부터 4시 30까지 도서관 3층 문화교실에서 진행될 예정이다.이들 프로그램은 1월 17일 오전 10시부터 시립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선착순 신청을 받는다.또한, 1월 31일부터 2월 3일까지는 예비초등 4~6학년을 대상으로 한 ‘전쟁으로 알아보는 세계사’ 특강이 열린다. 전쟁으로 살펴보는 세계사의 흐름과 이를 이해하는 내용의 특강으로, 온라인 줌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참가신청은 1월 10일 오전 10시부터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진행한다.삼덕도서관, 놀이코딩과 과학교실 등 진행삼덕도서관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코딩과 과학 프로그램을 겨울방학 특강으로 준비했다. 우선, 예비초등 2~3학년을 대상으로는 ‘보드게임으로 배우는 놀이코딩’이 진행된다.예비초등 4~6학년을 대상으로는 다양한 과학 현상을 알아보는 ‘과학교실’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1월 31일부터 2월 3일까지 매일 오전 10시부터 두 시간 동안 진행되며, 삼덕도서관 3층 시청각실에서 대면으로 진행된다. 참가신청은 1월 19일 오전 10시부터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하면 된다. 2023-01-05
-
안양지역 학생 수 가장 많은 학교는? 지난 8월 교육부가 발표한 ‘2022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교 학생 수는 527만5054명으로 전년(532만3075명) 대비 4만8021명(0.9%↓) 감소했다.세부적으로는 266만4278명으로 8062명(0.3%↓) 감소, 중학교는 134만8428명으로 2342명(0.2%↓) 감소, 고등학교는 126만2348명으로 3만7617명(2.9%↓) 감소, 기타학교는 5만1902명으로 431명(0.8%↑) 증가했다.그렇다면 우리 안양지역 초·중·고 학생 수는 몇 명이며, 지역 내에서의 편차는 어느 정도일까? 안양교육통계(안양과천교육지원청 홈페이지)와 학교알리미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알아봤다.참고자료: 안양교육통계(안양과천교육지원청), 2022년 교육기본통계(교육부), 학교알리미안양과천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2022년 학교 현황 자료와 학교알리미 자료를 활용해 안양지역 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 수 현황을 조사했다. 안양과천교육지원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초·중·고 학생 수 현황 집계 기준일자는 2022년 3월 1일이며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학년별·학급별 학생 수는 2022년 5월 공시된 내용을 참고했다. 고등학교는 일반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는 제외했다.안양시 학생 수 많은 초·중·고는 귀인초·평촌중·평촌고안양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총 41개교로 모두 공립이다. 41개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귀인초로 학생 수는 1634명이다. 다음으로는 평촌초 1244명, 호성초 1059명, 호원초 1053명 순이다. 반대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달안초이며 전교생이 164명이다. 안양호암초(198명), 비산초(215명), 나눔초(254명), 희성초(264명), 안양관악초(279명) 등도 학생 수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안양과천교육지원청 자료 결과 2022년 3월 1일 기준 안양 전체 초등학생 수는 2만6550명이며, 학급수는 1102학급으로 안양시 초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4.1명으로 나타났다.안양시 조사 대상 중학교는 총 24개교이다. 그중 사립은 근명중, 성문중, 신성중, 안양여자중 등 4개 중학교이다. 24개 중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평촌중으로 학생 수는 1254명으로 지난해 1266명보다 12명이 감소했다. 그다음으로는 귀인중 1158명, 안양부흥중 1118명, 범계중 854명, 연현중 761명, 신성중 746명, 부림중 722명 순이다. 반면 안양시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중학교는 안양서중으로 202명이다.안양과천교육지원청 자료 결과 2021년 3월 1일 기준 안양시 전체 중학생 수는 1만4397명으로 지난해 1만4943명보다 546명 감소했다. 학급수는 503학급으로 지난해 504학급에서 1학급이 줄었으며 안양시 중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8.6명으로 나타났다.안양지역 조사 대상 고등학교는 일반고 총 13개교이다. 그중 백영고, 성문고, 신성고, 안양여고, 양명고, 양명여고 등 사립이 6개 학교이고, 공립이 7개 학교이다.13개 학교 가운데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일반고는 평촌고로 1061명이다. 지난해 1083명보다 22명 감소했다. 다음으로는 동안고 999명, 부흥고 995명, 양명고 967명, 관양고 927명, 백영고 910명 순이다. 안양시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일반고는 안양여고로 전교생이 574명으로 지난해 583명보다 9명 감소했다.안양시 일반고 학생수는 총 1만1301명으로 지난 2021년 1만1638명보다 337명(2.9%) 감소했고, 2020년(1만2281명) 보다 980명(8.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또한, 수업교원 1인당 학생수는 초등학교는 안양시 동안구 20.7명, 만안구 19.9명으로 경기도(19.5명)와 전국(17.4명) 보다 많았다. 중학교는 동안구의 경우 16명으로 경기도(15.6명)와 전국(13.7명) 보다 많고, 만안구의 경우 14.3명으로 경기도보다 적고 전국보다 많았다. 전체 초·중·고교 학생 수 0.9% 감소, 교원수 1.4% 증가한편, 교육부가 발표한 ‘2022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 전국 유·초·중등학교 수는 2만696개교로 전년(2만772개교) 대비 76개교(0.4%↓) 감소했다. 이 중 초등학교 및 중학교 수는 9421개교로 전년(9402개교) 대비 19개교(0.2%↑) 증가했으며, 특수학교도 전년 대비 5개교 증가했다. 초등학교는 6163개교로 6개교(0.1%↑), 중학교는 3258개교로 13개교(0.4%↑), 기타학교는 340개교로 5개교(1.5%↑)가 각각 증가했다.전체 유·초·중등 학생 수는 587만9768명으로 전년(5,957,118명) 대비 7만7350명(1.3%↓) 감소했고, 초·중·고교 학생 수는 527만5054명으로 전년(532만3075명) 대비 4만8021명(0.9%↓) 감소했다. 유치원은 55만2812명으로 2만9760명(5.1%↓) 감소, 초등학교는 266만4278명으로 8062명(0.3%↓) 감소, 중학교는 134만8428명으로 2342명(0.2%↓) 감소, 고등학교는 126만2348명으로 3만7617명(2.9%↓) 감소, 기타학교는 5만1902명으로 431명(0.8%↑) 증가했다.전체 유·초·중등 교원 수는 50만7793명으로 전년(50만859명) 대비 6934명(1.4%↑) 증가했고, 이 중 초·중·고교 교원 수는 44만1796명으로 전년(43만5582명) 대비 6214명(1.4%↑) 증가했다. 유치원은 5만3696명으로 239명(0.4%↑) 증가, 초등학교는 19만5037명으로 3,813명(2.0%↑) 증가, 중학교는 11만5673명으로 2435명(2.2%↑) 증가, 고등학교는 13만1086명으로 34명(0.03%↓) 감소, 기타학교는 1만2301명으로 481명(4.1%↑) 증가했다.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유치원 10.3명, 초등학교 13.7명, 중학교 11.7명, 고등학교 9.6명으로 전년(유: 10.9명, 초: 14.0명, 중: 11.9명, 고: 9.9명) 대비 유치원 0.6명 감소,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각각 0.3명씩 감소했다.초·중등(각종학교 포함) 다문화 학생 수는 16만8645명으로 전년(16만58명) 대비 8587명(5.4%↑) 증가해, 2012년(4만6954명) 조사 시행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 초등학교는 11만1640명으로 269명(0.2%↑), 중학교는 3만9714명으로 5764명(17.0%↑), 고등학교는 1만6744명으로 2436명(17.0%↑) 증가했고, 각종학교는 547명으로 118명(27.5%↑) 증가했다.초·중등 학생 중 다문화 학생 비율은 3.2%로 전년(3.0%) 대비 0.2%p 상승했다. 초등학교가 4.2%, 중학교 2.9%, 고등학교 1.3%로 전년 대비 초등학교 동일, 중학교 0.4%p, 고등학교 0.2%p 상승했다. 2022-09-22
-
제7회 안양시 사회조사 결과 2020년 안양시의 총 인구는 55만6570명으로 지난 2019년 대비 3.1% 감소했다. 가구주를 대상으로 주택형태와 점유형태를 확인한 결과 주택형태는 ‘아파트’가 61.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정도는 ‘대학(교) 졸업’이 42.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미취학 아동의 부모(가구주 포함)를 대상으로 보육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확인한 결과 ‘보통’이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초중고 학부모(가구주 포함) 대상 공교육 환경 만족도 역시 ‘보통’이 46.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안양시는 지난해 말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1 제7회 안양시 사회조사>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2021 제7회 안양시 사회조사는 안양시민의 평소 생활에 대한 만족도와 사회적 관심사에 대한 의식 구조 등을 집중 조사해 생활의 양적, 질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측정했다. 2021 제7회 안양시 사회조사의 주요 내용을 살펴 봤다.참고 자료: 2021 제7회 안양시 사회조사☞ 제7회 안양시 사회조사의 조사주기는 1년(부문별 2년 주기)이며 복지, 주거, 교통, 문화, 여가 등 6개 분야 57개 항목을 조사했다. 그 중 경기도 공통 조사항목은 42개이며 안양시 특성 항목이 15개이다. 안양지역에 거주하는 1200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15일간 인터넷과 방문조사로 진행했으며, 내용 중 ‘지난 1년’은 2020년 9월 1일부터 2021년 8월 31일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사진1 총인구(단위: 명, %) 사진2 행정구역별 인구◆ 안양시 주요 지표행정구역별 인구, 관양 1동 3만7036명으로 가장 많아2020년 안양시의 총인구는 55만6570명으로 내국인은 55만27명, 외국인은 6543명으로 나타났다. 총인구는 2019년 대비 3.1% 감소했다. 세대수는 전년 대비 2037세대 감소하여 22만552세대로 나타났다. 총인구는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며, 외국인은 2020년 기준 총인구의 1.2% 비율을 차지했다. 2020년 안양시의 행정구역별 인구는 관양1동이 3만7036명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석수2동 3만2565명, 부림동 2만7588명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 대비 안양 7동은 26.7% 증가한 반면 호계1동은 30.5% 감소했다.2020년 안양시 연령별 인구는 50대가 9만7513명(17.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40대가 8만7806명(16.0%)로 많았다. 15세 미만 인구는 2016년 13.0%에서 2020년 11.6%로 1.4%p 감소했다.2020년 안양시의 유소년 인구(0-14세)는 6만3963명, 생산가능 인구(15-64세)는 41만483명, 고령인구(65세 이상)는 7만5581명으로 나타났다. 생산가능 인구가 부양해야 할 총 부양비는 34.0명이며, 유년 부양비는 매년 감소, 노년 부양비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2020년 안양시 노인인구(65세 이상)는 7만5581명으로 전년 대비 3938명(5.5%) 증가했다. 노인인구는 총 인구의 13.7%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6년 이후 매년 소폭 증가하고 있다.2020년 안양시 1인 가구는 4만8533가구로 2018년 대비 4238가구(9.6%) 증가하였고, 성별로는 남자 2만3686가구, 여자 2만4847가구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 가구가 18.1%로 가장 많고, 60대 17.4%, 50대 16.9% 순으로 나타났다.한편 2020년 안양시 전입자는 7만9982명, 전출자는 9만7945명으로 1만7963명이 순유출됐다. 2019년 대비 전입과 전출이 모두 소폭 증가했다. 사진3 주택형태 및 점유형태◆ 주택형태 및 점유형태‘아파트’ 61.5%, 점유형태는 ‘자기 집’ 59.9%가구주를 대상으로 주택형태와 점유형태를 확인한 결과 주택형태는 ‘아파트’가 6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연립/다세대 17.4%, 단독주택 15.1% 순으로 나타났다. 점유형태에서는 자기집이 59.9%로 높고, 전세 23.4%, 보증금 있는 월세 14.0% 순으로 나타났다. 점유형태 중 자기집은 동안구(62.2%), 남자(63.6%), 60세 이상(69.8%), 2인 가구(71.0%)에서 높고, 전세는 동안구(24.0%), 여자(25.2%), 20-29세(38.5%), 1인 가구(30.7%)에서 높게 나타났다. 사진4 교육정도 및 혼인상태◆ 교육정도 및 혼인상태교육정도 ‘대학(교) 졸업’ 42.8%, 혼인상태 ‘배우자 있음’ 52.5%로 가장 높아안양시민의 교육정도와 혼인상태 조사 결과, 교육정도는 ‘대학(교) 졸업’이 42.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고졸’ 32.8%, ‘중졸’ 11.3% 순으로 나타났으며 혼인 상태는 ‘배우자 있음’이 52.5%로 높고, ‘미혼’ 38.8%, ‘사별’ 4.6% 순으로 나타났다.교육정도 세부 분석결과 ‘대학(교) 졸업’은 동안구(48.2%), 30-39세(75.1%), 2022-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