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총 46,237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Fact! 신의 선택 강남한국학원 설명회 *강남한국학원 설명회 안내 - 주제 : 영어 공부의 혁신! on line과 off line 의 조합으로 시간이 부족한 학생들의 공부양(quantity)과 질(quality), 소수인원수업, 수강료 등 네 마리 토끼를 사로잡다! - 설명회 일시 : 12월 28일(수요일) 오전 11:00 - 설명회 장소 : 강남한국학원 대강의실 (강남구 대치1동 623 남서울종합상가 3층) - 설명회 강사 : 구천기 원장 (전과목 수능 만점자, 강남 지역 전교 1등 학생 및 의대*SKY 합격자 다수 배출 / EBS 강의) - 설명회 예약 : 02- 563-1177 http://blog.naver.com/koocheonki/220892318015 - 사전 예약을 하시면 구천기 원장이 내신과 수능 영어를 잡는 비법과 노하우를 상담해드립니다. *강남한국학원 겨울방학 특강 - Regular Class : 예비고1,2반 / 예비고2,3반 / 예비중1,2반 / 예비중2,3반 - Special Class : 재수생반 / 고급문법*독해반 / 중급문법*독해반 / 초급문법*독해반 / Writing*Listening*Reading*Speaking반*강남한국학원의 특장점 오랜 대치동 강의 경험과 EBS 강의 경력을 갖춘 구천기 원장의 Critical thinking power를 위한 영어 교육으로 강남지역 중고교 1등 학생들, 전과목 수능 만점자들, 의대 및 명문대 합격자를 다수 배출하고 있습니다. - 내신 영어시험 6회 연속 100점 받는 전교 1등 학생 배출 - 온오프라인 수업의 절묘한 조화로 수강료를 확 낮췄습니다. - 공부 시간과 성적 향상의 효율성을 확보했습니다. - 모든 수강생의 실력을 향상시켜 드립니다. - 밸런스감각 교육을 바탕으로 전교권 학생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여 전교 1등으로 만들어드립니다. 2016-12-23
- 박희종논술학원(전 하이퍼논술 원장) 개강 ★박희종논술학원(전 하이퍼논술 원장) 개강 안내★■2018 대비 논술 겨울방학 시간표 안내▷시간표http://www.phjnonsul.com/board/bbs_view.asp?BoardId=2&SeqNo=42▷일 6시박희종T 실전반 마감 임박▷중등부 논술반 개강▷문의: 02-566-7911~2 (14시~22시)▷주소:강남구 대치동 1024-2 4층(한티역 3번출구에서 100m)www.박희종논술학원.comwww.phjnonsul.com 2016-12-23
- 미래비전 학부모 무료 특강 2017 미래비전 명문대 합격생 사례 발표 동영상>>> 동영상 보기 클릭 (https://goo.gl/2D95QR) <<<안녕하세요. 명문대 학생부종합전형 전문 미래비전컨설팅입니다.이번에 ‘2017학년도 명문대 등 총 103명 합격생 사례 발표’ 라는 주제로한국교육컨설턴트협의회 전임교수이자, 결정적코치5 (TBS상담받고 대학가자) 저자인 미래비전컨설팅의 박영국 원장이 학부모 특강을 진행합니다.1.일시 : (1차) 12월 28일(수) 11시~13시 (2차) 12월 30일(금) 11시~13시2.장소 : 강남구 대치동 936-15 그린빌딩 4층3.신청 방법 : 010-9855-1298 (학교/학년/학생명/수or금 신청) 문자 발송.4.홈페이지: www.future-vision.co.kr 2016-12-23
- 2017학년도 주요 대학 탐구변환점수 분석 지난 12월 15~16일경 주요 대학들이 입학처 홈페이지에 탐구영역 변환표준점수를 발표했다.탐구영역은 평가원에서 제공하는 표준점수를 입시 평가에 활용할 경우 과목별 난이도 차이가 있어서 같은 만점자라도 점수 차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들은 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백분위를 활용해 변환표준점수를 산출해 반영하고 있다. 그런데 대학별로 그 산출방법이 달라 정시에서 탐구영역이 미치는 영향력도 다르게 나타난다. 즉, 대학들은 탐구영역이 정시에서 미치는 영향력을 탐구변환점수로 조정하고 있는 것이다.주요 대학이 발표한 탐구변환점수를 살펴봤다.참고자료 각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 ‘탐구변환점수’ 발표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학년도 수능 채점결과 자료’정시 영향력 커지는 탐구영역탐구영역은 2014학년도 수능부터 응시과목이 세 과목에서 두 과목으로 줄어들었다. 그렇지만 주요 대학들은 응시한 두 과목을 모두 반영하므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그 영향력도 커졌다. 특히 주요 대학 자연계열은 과학탐구를 수학과 마찬가지로 30%를 반영하고 있어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다.2017학년도 수능에서 탐구영역은 과목별 난이도 편차가 줄고 지난해보다 다소 어렵게 출제됐다. 인문계열의 경우 사회탐구의 반영비율이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자연계열의 경우 과학탐구의 반영비율이 높은 데다 난이도 상승으로 정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지난해 대비 어려워진 탐구, 최고(만점자) 백분위 과목별 차이는 감소사회탐구의 경우 총 9개의 과목 중 ‘법과 정치’, ‘사회문화’ 두 과목이 최고 백분위가 100으로 높으며 ‘세계지리’의 경우 최고 백분위가 97로 가장 낮아 과목별 만점자 기준으로 백분위 3점 차이를 보였다. 세계지리의 경우 쉽게 출제돼 1등급 컷이 100점이었다. 지난해에는 최고 백분위 96이 2개 과목, 97이 2개 과목이었으므로 과목별 차이는 줄어들었다. 과학탐구의 경우는 총 8개 과목 중 ‘물리Ⅱ’만 최고 백분위가 99이고 나머지 7개 과목의 최고 백분위가 100이어서 대체로 모든 과목이 어렵게 출제됐으며 그 차이도 크지 않았다. 지난해에는 ‘물리Ⅱ’의 최고 백분위가 94, ‘지구과학Ⅱ’의 최고 백분위가 96으로 그 차이가 컸다. <2017 사회탐구 과목별 최고 표준점수와 최고 백분위>과목최고 표준점수최고 백분위2016 최고 백분위생활과윤리659997윤리와사상669999한국지리659898세계지리659796동아시아사6799100세계사679996법과정치6810097경제689999사회문화6610099<2017 과학탐구 과목별 최고 표준점수와 최고 백분위>과목최고 표준점수최고 백분위2016 최고 백분위물리Ⅰ72100100화학Ⅰ7210099생명과학Ⅰ72100100지구과학Ⅰ69100100물리Ⅱ679994화학Ⅱ70100100생명과학Ⅱ6910099지구과학Ⅱ71100962017 대학별 인문계열(사회탐구, 제2외국어/한문) 변환표준점수주요 6개 대학의 2017학년도 수능 사회탐구 변환표준점수를 살펴보면 백분위가 100인 경우 한양대의 변환점수가 가장 높고, 서강대의 변환점수가 가장 낮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는 모두 66.33으로 동일하다. 또한 백분위 100부터 85까지의 점수 간 변환점수의 차이를 보더라도 한양대가 가장 점수 차가 크고 서강대의 점수 차가 가장 적다.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에서 사회탐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한양대는 25%로 가장 높고, 서강대는 10%로 가장 낮은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두 대학의 사회탐구 영향력은 큰 차이를 보인다.사회탐구의 과목별 만점의 변환점수는 만점자 백분위가 100인 ‘법과 정치’, ‘사회문화’의 경우 66.19~66.92, 만점자 백분위가 97인 ‘세계지리’의 경우 65.22~65.31로 대략 1점 이상의 차이가 나는데 한양대는 1.61점의 큰 차이가 나는 반면 서강대는 0.9점의 차이로 가장 적다. 지난해에 비해 과목 선택에 따른 유·불리 현상은 줄어들었지만 탐구과목 2과목이 반영되는 점을 감안하면 소수점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 정시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점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2017 주요 대학 인문계열(사회탐구) 변환표준점수>백분위서울대연세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한양대10066.3366.3366.3366.1966.3366.929966.1165.8666.1166.0066.1166.399865.6865.5265.6865.6265.6866.89765.365.2265.365.2965.365.319664.9364.9464.9364.9664.9364.949564.5864.5864.5864.6564.5864.589063.0163.0163.0163.2763.0163.018561.7361.7461.7362.1561.7461.742017 대학별 자연계열(과학탐구) 변환표준점수주요 6개 대학의 2017학년도 수능 과학탐구 변환표준점수를 살펴보면 백분위가 100인 경우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가 70점으로 동일하고 한양대가 69.66, 서강대가 69.27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백분위 100부터 85까지의 점수 간 변환점수의 차이를 보면 서강대를 제외한 5개 대학이 모두 8점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데 비해 서강대는 6.79점 차이를 보여 점수 차가 가장 적다.수능 영역별 반영비율에서 과학탐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가 30%로 높으며, 서울대가 20%, 서강대가 15%로 가장 낮다. 대학별 과학탐구의 영향력이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과학탐구의 과목별 만점의 변환점수는 만점자 백분위가 100인 과목이 물리Ⅱ를 제외한 7개 과목이고 물리Ⅱ 한 과목만 99이므로 과목별 유·불리 현상은 크지 않지만 백분위 100과 99의 변환점수 차이는 1.08~1.38점으로 큰 편이다. 이는 2016학년도 수능에서 연세대 기준으로 물리Ⅱ 만점자(백분위 94, 변환점수 64.16)와 생명과학Ⅰ 만점자(백분위 100, 변환점수 68.38)의 점수 차가 4.22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것이다. <2017 주요 대학 자연계열(과학탐구) 변환표준점수>백분위서울대연세대고려대서강대성균관대한양대10070707069.277069.669968.6268.6368.6268.1768.6368.589867.3167.3167.3167.1267.8867.559766.3966.466.3966.3966.8166.749665.8165.8165.8165.9266.1066.119565.3565.3565.3565.5565.7665.579063.2363.2463.2363.8663.5363.248561.5161.5261.5162.4861.5261.52※ 서울대의 경우 과학탐구 변환점수는 동일한 과목, 동일한 백분위라 하더라도 표준점수 차이에 따라 변환점수 차이를 보이는 구간이 있으며, 과목별로도 차이가 있으므로, 서울대의 과학탐구 과목별 정확한 변환점수는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함. 2016-12-23
- 2016년 재현고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출제경향 분석 객관식 27문항, 주관식 및 서술형 7문항 / 난이도 : 중상총평 : 재현고 출제 경향은 교과서 내용에 충실한 문제와 더불어 외부 지문과 병행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유형으로 출제가 되며 문제에 응용되는 외부 지문이 낯선 지문인 경우가 많다.다행히 이번 2학기 중간고사에서는 익숙한 외부 지문이 등장하였으나 독서 수행평가 활동으로 읽어야 했던 ‘이생규장전’ 작품에서 객관식3문제 서답형 1문제가 출제가 되어 이에 대한 대비를 하지 않았을 경우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고전 문법 부분에서 기초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문제가 출제가 되었기 때문에 향후 문법이 내신 범위에 포함 될 경우 심화 적용 학습을 통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한 출제 경향을 보인다.객관식 : 객관식 27문항 중 문학부분에서 11문제 고전문법에서 13문항이 출제되었고 독서 수행평가로 진행되었던 ‘이생규장전’ 내용에서 3문제가 출제되어 학교 시험 범위와 관련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객관식 문학 부분에서는 작품에 대한 개괄적인 지식을 묻고 있으며 외부 지문과 연계하여 ‘객관적 상관물’과 관련된 작품을 고르는 문항과 반영론적 관점에 의해 해석이 이루어 진 보기를 고르는 문항, 문학 작품을 영화로 제작하였을 경우 의논을 해야 하는 사항을 고르는 문항 등 폭넓은 사고력을 바탕으로 풀어야 하는 재현고의 출제 경향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문법 부분에서는 교과서에 수록되어 이론을 바탕으로 각 시기별 특징을 점검하는 유형으로 출제가 되어 전반적인 시대 흐름과 관련된 문법의 변화를 익혀야 해결할 수 있도록 출제되었다.서술형 : 서술형 7문제 중 문학에서 3문제, 문법에서 4문제가 출제되었다. 모의고사 유형을 따르고 있는 객관식에 비해 서술형은 교과서의 기본적인 이론을 점검하는 유형으로 출제가 되고 있다. 특히 재현고는 빈칸을 채우는 유형이 매 시험마다 출제가 되고 있으며 이번 기말고사에도 4문제가 이러한 유형으로 출제가 되어 재현고 출제 경향에 맞는 꼼꼼한 학습이 필요한 부분이다.재현고는 모의고사 유형의 출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방면에서 철저한 대비를 해야 하는 학교이다. 재현고에서 좋은 등급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내신 교과와 관련된 내용을 정확히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외부지문과의 연계문제가 다수 출제되기 때문에 본원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수업과 클리닉 모의고사를 통해서 다양한 작품을 접하고 해석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한다. 또한 낯선 외부 지문과의 연계를 통해 깊은 사고력을 묻는 유형의 문제가 많은 비중으로 출제되기 때문에 높은 등급을 얻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대비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원에서는 재현고의 출제 경향에 맞추어 많은 작품을 접하게 하고 이해학습을 시키고 있으며 모의고사 클리닉 수업으로 적용학습을 시켜서 난해한 문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재현고는 서술형이 7문제로 평상시에 학습활동을 바탕으로 꾸준한 연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과서 본문을 꼼꼼하게 학습해야 풀 수 있는 빈칸 채우기 문제가 매 시험마다 꾸준히 출제되고 있어서 교과서 본문에 대한 반복학습이 우선시 되어야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조건을 제시하고 이에 부합되게 답을 써야 하는 유형의 문제가 4문항이 출제되어 조건에 맞게 답을 쓰는 연습이 이루어져야 좋은 등급으로 연결될 수 있다.국권국어논술학원국권 원장 2016-12-22
- 전국연합학력평가는 무엇을 공부하고 연습해야 할까? 아웃풋 트레이닝-실전 epilogue 2017년도 전국연합학력평가 일정이 발표되었다. 2017년 3월 9일 목요일 전국의 고등학생은 첫 모의고사에 도전하게 된다. 각 월의 시행 영역과 과목 안내가 발표가 되었고, 예비 고3 학생들의 경우 월별로 모의고사 시험 범위를 준비하는 계획을 세울 시기인 겨울방학이 다가오고 있다. 아마도 대부분의 예비 고1 학생들은 고등학생으로 처음 시험을 중간고사로 알고 있겠지만 수학의 경우 새로운 형식의 30문제를 100분 안에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처음 경험하게 될 것이다. 예비 고2 학생들과 예비 고3 학생들은 자신의 모의고사 공부 방법을 점검해보아야 할 시기이다. 모의고사 전 1~2주가 아니라 최소 1개월 정도의 여유를 두고 한주에 1일은 모의고사 준비를 해야 한다.전국연합학력평가-준비 수능을 포함해서 모의고사는 30개의 수학 영역에서 출제 유형의 개념이 정해져 있다. 수능이나 모의고사 문제를 완벽하게 예상하는 족집게 선생님은 없어도 족집게 유형은 존재한다. 먼저 30개의 문제를 편하게 풀어보자. 그리고 30개의 문제들 중 자신이 틀린 유형들을 적어보자. 이제 준비는 끝났다. 그 틀린 유형을 찾아서 먼저 공식이나 내용 정리를 한 후 필요한 부분을 적고 기출문제집을 통해서 같은 유형들을 3문제 이상 찾는다. 그리고 오답노트는 틀렸던 대로 정리 후 틀린 부분을 수정해서 정리하자. 준비해둔 예제들을 3문제 정도 다시 풀어보고 반복한다. 그리고 반드시 연결된 심화 문제(개념의 응용이 혼합된) 역시 풀어본다. 지금까지는 양궁 선수가 맞추어야 할 과녁이 어디 인지를 익혔다.실전 감각을 익히는 훈련을 한다. 준비과정에서 편하게 시간 제약 없이 문제를 풀고 정리했다면 이제 실전이다. 다른 연도의 모의고사나 또는 사설 모의고사를 이제 실전처럼 연습한다. 생체시계 연습이다. 크게 4개의 분류로 연습한다. 첫째 전 국민의 문제인 1번부터 8번까지 그리고, 22번부터 24번까지를 문제당 1~2분 안에 푸는 연습을 한다. 둘째, Skip도 능력이다. 11번부터 21번까지 중에 막히는 문제 2-3문제를 Skip 하고 2~3분에 한 문제씩을 푸는 연습을 한다. 셋째 위기가 찬스다. 등급을 가를 수 있는 문제들 25번부터 30번까지 중에 2~3문제를 Skip 하고 꼼꼼하게 문제별로 5분 내외로 문제를 푼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운명의 시간이다. Skip 해두었던 4~5문제에 집중하는 시간이다. 풀 수 있는 문제들을 정리하고 남은 시간 5분을 항상 남겨두자. 100분 중에 우리는 95분을 연습한다. 마킹의 시간을 고려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항상 연습은 실전처럼 한다. 이제 활을 쏘았다. 맞지 않으면 다시 과녁을 향해 준비하고 활을 쏘는 연습을 반복하면 된다.모의고사의 자신감을 갖는 고등학생이 되자! 수학을 가르치다 보면 학생들에게 받는 가장 많은 질문은 자신은 개념학습은 충분히 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른 친구들은 틀린 문제를 금방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자신은 3~4번 이상 풀어보고 복습해야 하는 것이 너무 힘들다는 어려움을 호소하며 해결 방법을 묻는다. 그때마다 마음속으로 기쁘다. 이런 질문을 하는 학생은 이미 해답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실행시키는 동기부여가 필요할 뿐이다. 틀린 문제를 다시 풀고 정리하는 반복학습은 힘들다. 하지만 이것이 최고의 성적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꼭 명심해야 한다. 목적 있는 학습이 최고의 결과를 만든다. 국가 대표 양궁선수는 금메달을 위해 활시위만 잡아당긴 것이 아니라 과정별 훈련을 모두 마친 자신감 있는 선수이다.김우헌 원장델타수학학원 2016-12-22
- 끊임없이 변화하는 입시제도 입시제도는 늘 변화해 왔으며, 지금도 변화하고 있고, 계속 변화되리라 예상됩니다. 현재 대입 모집인원은 대략 수시 70%, 정시 30%입니다. 수시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특히 학생부 종합 전형 모집 인원이 늘어 날 것이라 예상됩니다. 예비고2/예비고3 수험생은 지금의 입시 전형에 초점을 맞추어 준비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예비고1 학생이라면 약간의 변수를 생각하며 현 입시에 초점을 맞추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모의고사 실력을 튼튼히 준비할 것을 당부합니다. 정권은 곧 교체될 예정이며, 정권 교체는 입시제도의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만들게 됩니다. 수시/정시 모집 인원 비율의 변화나, 다른 변화 요소가 생겨 날 수 있으니, 변화에 늘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학습 기술 +학생/학부님의 소통 원활 + 학원의 엄격한 악역고1→고2→고3이 되어 가면서, 학생이 학부님에게 가장 많이 하게 되는 말은 “내가 알아서 할게!”입니다. 학부님이 가장 많이 사용하시는 단어는 “빨리......”, “더.....”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학부님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학생과 대화를 하기 위해 학생이 사용하는 용어로 대화를 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게임용어/스포츠용어/연예인이름/친구이름으로 말씀을 하시며, 게임/스포츠/TV를 줄여달라, 친구의 명확한 이름으로 시작해서 학교생활에 대해 대화하시기 바랍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가정 내에서 학부님과 소통이 잘 되는 학생은 자존감이 정상수치보다 월등히 높습니다. 높은 자존감은 긍정/행복감/포기감소/도전의식증가 등의 결과로 나타나게 됩니다. 학습 기술은 학원에 전적으로 의존하시고, 학원에서 악역을 담당하게 하시고, 학부모님들은 좋은 역할을 하시며 소통에 전력을 다 해 주시기 바랍니다.자신에게 맞는 전형을 선택하고 집중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현 입시는 내신/비교과(동아리,독서)/논술/수능/적성고사/실기(예체능)로 구성됩니다. 고1은 내신/비교과/수능 위주로 학습을 하며, 고2 또한 내신/비교과/수능 위주로 학습하고, 고3 시기에 수시/정시 방향을 구체화하면 됩니다. 내신이 강한 학생의 경우 학생부종합전형/학생부교과전형으로 준비하되,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여부를 확인하여 수능 준비도 해야 합니다. 내신이 조금 부족하나 논술에 강점이 있다면, 내신+논술+수능최저학력기준(적용여부확인) 3가지를 준비하고, 내신의 약점을 논술 점수로 상쇄하면 됩니다. 즉, 논술전형에서는 내신의 실질반영률이 상당히 낮으며, 논술 점수로 내신의 약점을 충분히 보완할 수 있습니다. 내신과 모의고사 성적이 2개 등급 차이로 모의고사가 강점이라면 정시로 방향을 잡는 것이 좋겠습니다.창의적/융합적 사고가 잘 드어나는 논술/면접/자기소개서대학/기업에서 추구하는 미래의 인재는 창의적/융합적 사고가 강한 사람입니다. 따라서, 대학/기업의 논술/면접/자기소개서에는 창의적/융합적 요소를 가장 높이 평가하게 됩니다. 그의 반대 개념은 진부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논술/면접/자기소개서를 형식적인 진부한 내용들로 채우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의심을 해봐야 합니다. 따라서, 평소에 다른 관점으로 사고하는 습관을 길러 주시길 바랍니다. 주어진 정답에 대해 다른 방법은 없을까를 늘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수학의 다른 풀이 경로, 사회에서의 가치성 판단 문제, 과학에서의 다른 관점의 가설 등등 생활 속에서 창의적/융합적 사고를 습관화하는 것만이 논술/면접/자기소개서에서 자신을 빛나게 해 줄 것입니다.장동호어학원김양수 부원장 2016-12-22
- 학생별 맞춤 수업과 과외식 밀착 관리 병행 이과 지향적인 사회적 추세가 확대되고 있는 요즘, 고교별 이과 반이 늘어나고, 현 중2의 문·이과 융합교육이 예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과학학원에 관심이 있는 학부모라면 중계지역 중·고등 과학특화학원으로 ‘중학생 재원생 90%이상 90점 이상’, ‘놀라운 등급 향상’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잼과학학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마들프라자 5층에 자리한 이곳의 수장 전규범 원장은 지역에서 인정 받아온 베테랑 전문 강사다.학생별 목표달성에 따른 과외식 맞춤수업, 치밀한 누적반복 학습, 개별적인 관리를 경쟁력으로 입시에 특화된 과학학원이기 때문이다. 쨈 과학학원의 차별화된 강점을 정리했다.잼과학학원 학생들의 성적상승 사례#1. 고현우 학생 (가명, S중, 하나고 합격)S중에 입학한 해부터 2년 6개월. 꾸준히 잼과학학원에서 과학 실력을 쌓아온 고현우 학생. 영재고 진학을 목표로 물리와 화학에 대한 심화학습까지 학습해 온 현우는 전교 1등을 거의 놓친 적 없는 노력파 학생이었다. 현우는 이미 물리I과 화학I을 3회 반복하고, 물리II, 화학Ⅱ 역시 1회 완성한 상태로 최근 하나고에 합격했다.#2. 이영석 학생 (가명, S고2 물리1 7등급 -> 3등급)중학교 시절 과학에 무관심했던 영석이는 고등학교 진학 후 융합과학을 포기할 정도로 성적이 낮았다. 학교 진도를 쫓아가기 힘들었던 영석이는 친구 소개로 ‘과외식 학생별 맞춤수업’이 진행되는 잼과학학원을 찾았다. 처음 학원에 등록한 영석이의 성적은 7등급, ‘내신 중심반’에 들어간 영석이는 물리의 기초개념부터 공부하기 시작한 지 불과 2개월여 고2 1학기말 3등급으로 급상승했다.모든 수업은 학생이 설명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 누적수업잼과학학원의 중·고등부 수업은 반 별로 4~5명 소수정예로 학생 개인별 확인학습을 강조한다. 수업 중 주요개념을 질의 응답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이 쉽게 까먹지 않고 개념을 스스로 설명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누적 학습을 강조한다. 또한 학생의 학습능력과 특성에 맞춘 과외식 치밀한 관리가 병행 지원된다.전 원장은 “과학은 개념이해가 핵심이다. 개념수업을 통해 학생이 개념을 설명할 수 있을 때까지 개인별 파악을 통해 치밀하게 관리한다. 개념 이해, 숙제, 오답 관리, 내신대비에 이르기 까지 모든 과정에서 과외식 개인관리가 진행된다.”고 강조한다.학생별 특화된 소수정예 맞춤 수업과 과외식 치밀한 관리 잼과학학원은 획일적인 커리큘럼이 아니라 학부모와 학생의 학습목표에 맞춘 맞춤수업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중등부는 ‘내신중심’, ‘영재과학고 진학’, ‘이과진학대비 고등과학 선행’, ‘올림피아드 대비’ 등 학생의 진로방향에 맞춘 특화된 반을 구성하여 지도한다.처음 학원을 방문하면 학부모와의 상담을 통해 학생의 과학학습 이력을 파악하고 학습상황과 진학목표에 맞춰 특화된 반을 구성하고, 반 별로 최적화된 학습계획을 세우고, 학습을 지도한다. 과학을 처음 시작할 때 물리I은 4개월, 화학I은 3개월 과정으로 진행되며 이후 수업은 기간을 줄여가면서 반복학습이 가능하다. 따라서 내신대비 역시 반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신 3주반, 2주반, 4주반으로 구분하여 성적향상을 관리한다.영역별 확실한 공부법 제시, 매일10분 복습과 오답관리로 등급 UP공부법에 있어 타의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유명한 전 원장은 “물리와 화학은 개념을 어떻게 잡느냐가 중요하다. 개념에 대한 잘못된 이해 혹은 1~2가지 방법으로만 이해하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개념을 바라볼 때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할 수 있는 수업을 강조한다. 한 문제를 풀더라도 3~4가지 방법을 제시, 지도하여 문제가 변형되어도 풀어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생물과 지구과학은 용어싸움이다. 누가 용어를 많이 알고 있느냐가 관건이다. 생물의 인체구조 역시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면 용어습득이 수월하다”고 덧붙였다. 수업마다 주요용어를 세세하게 정리하여 학생의 반복학습을 도와준다.또 다른 공부법은 ‘매일 10분 복습’이다. 과학은 주1회 수업내용을 매일 10분씩 꾸준히 보면 등급 상승이 가능하다는 생각에서다. 결국 1회 수업내용을 6일 동안 꾸준히 반복 학습하며, 월 4회 수업을 누적 공부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또한 문제풀이 후 치밀한 오답 관리도 강조한다. 문제집에는 답을 적지 않고 틀린 문제만 체크해놓았다가 다음 수업시간에 문제와 선택지에서 이해 못한 내용까지 확실하게 정리하면서 학생 스스로 ‘자신이 모르는 지점’을 명확히 확인시키는 방식이다. 2016-12-22
- 예비고1과 고3의 논술 대비법 잔인한 입시계절이다.성적순으로 행복이 결정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격은 다음 단계로 가는 계단 일 뿐이다. 인생 전체로 보았을 때 원하는 고등학교 합격이나 대학교 합격이 중요한 것은 분명하지만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최악의 상황이라도 어떻게 대처하고 극복하느냐가 자신의 미래를 더 큰 차이로 이끌어 낼 수 있다.외고에 떨어지고 서울대학교에 합격한 학생도 있고, 일반고에서 내신5등급을 극복하고 논술전형으로 합격한 학생도 있다. 어제는 논술전형으로 합격한 학생이 찾아와서 자신의 기적 같은 스토리를 2시간 넘게 이야기하고 갔다. 대한민국 대입수험생 중 1명 있을까 말까하는 기적 같은 반전의 스토리였다. 내가 직접 지도한 학생이어서 매우 자랑스러웠다. 학생들의 소식을 기다리며 기분이 가라앉아 있었는데 큰 기쁨을 주었다. 혼자만 알고 있을 스토리가 아니어서 합격후기를 사실에 근거해 써오라고 했다. 다음 주에 그 학생의 합격후기를 기고할 예정이다. 결과만 먼저 언급하면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에 논술전형으로 합격한 학생의 이야기이다. 기적을 바라고 공부에 임하는 자세는 나쁘지만 최선을 다해 기적 같은 합격을 했기 때문에 소개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번 기고를 쓰는 이유는 예비고1학생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이야기와 고3수험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가 있기 때문이다. 예비고1학생들은 입시제도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지금 입시제도의 큰 변화는 교과 성적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시대는 지났다는 것이다. 그래서 상위권 대학에서는 교과(종합)전형과 논술전형으로 많은 학생들을 선발한다. 2018학년도 수시에서 73.7% 정시에서 26.3%를 선발한다. 2018학년도 수험생 전체로 볼 때 학생부(교과) 40%, 학생부(종합)23.6%, 논술위주 3.7%, 실기5.3%, 정시 26.3%이지만 2017학년도 수시전형의 경우를 보면 서울 상위권 대학은 학생부 교과 10.9%, 학생부 교과(종합)27.7%, 논술 22.2%, 정시 36.8%를 선발했다. 서울 상위권대학을 지원하려는 경우는 학생부 종합전형과 논술을 가볍게 준비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서울 상위권 대학 선발비율에서 알 수 있다. 논술준비를 통해서 심층면접을 준비할 수 있다. 고려대가 논술전형을 폐지했지만 심층면접을 본다. 심층면접은 서울대에서도 선발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말로 하는 논술이라고 보면 된다.바뀐 제도를 좀 더 살펴보면 먼저 고교 영어의 절대평가가 과목의 중요도 순위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고1의 경우 3월9일(목) 전국학력평가고사를 본다.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전국 석차를 보고 놀라게 된다. 실질적인 전국 석차를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내년에는 특히 국어와 수학은 그대로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국어의 중요도는 말할 필요가 없다. 특히 영상세대인 요즘 학생들은 어휘력과 독해력이 부족하다. 독서를 통한 독해력 향상을 기본으로 하고 입시전형을 미리 알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 과정 중, 교과 +독서+동아리 +봉사 등 해야 할 일이 많다. 무엇보다 자신의 경쟁력 있는 장점을 키워서 대학입시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최소한, 하고 싶은 일 좋아하는 일을 찾아야한다. 고1 이 되기 전에 점검하고 경쟁력 있는 인재가 되기 위한 방향 설정이기 때문이다. 고등학교의 생활기록부에 기재된 내용은 성적을 비롯한 모든 내용이 대입전형과 직결된다. 중요도의 차이가 있지만 학생이 그것을 알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고1이 되기 전에 자신의 장단점과 꿈을 점검하라는 것이다. 학습적인 면도 중요하지만 `나의 꿈의 목록`을 기록해 보길 바란다. 그래야만 자신의 진로와 대학 진학을 맞출 수 있고 무엇보다 자신의 장점을 키울 수 있고 경쟁력 또한 만들어 진다. 지신이 좋아하는 대학을 합격할 수 있도록, 자신이 좋아하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자신의 삶이 행복할 수 있도록 이번 겨울 방학이 소중한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특히 논술에 있어서도 지금 준비해야한다. 올해 논술전형 결과를 보면 기적 같은 경우도 있지만 철저하게 준비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기 때문에 인문논술 경우 최소한 2년은 준비를 해야 한다. 예비고2의 경우는 겨울방학 때 반드시 준비를 해야 하고 예비고3의 경우는 논술전형 원서를 쓸 성적이면 무조건 준비를 해야 한다. 고등학교 3년은 빨리 지나간다. 고3의 1년은 계절이 바뀌는지도 모르게 더 빨리 지나간다. 그러나 3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삶의 방향은 완전히 다르다. 고3의 1년은 계절이 바뀌는 지도 모르게 빨리 지나간다. 물리적 시간을 탓하지 말고 긴장하고 나에게 꼭 필요한 정신적 시간으로 무장하는 겨울 방학이 되길 바란다. 끝으로 고3 수험생과 재수생들에게 그동안 수고 했으며 아직 남은 추가합격자 발표에서 행운을 기원하며 정시전형에서도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 결과만 중시되는 잔인한 계절이지만 모든 결과가 다 발표되기 전에 과정을 함께한 분들께 결과에 상관없이 고맙다는 문자라도 보내라. 왜냐하면 함께한 분들이 지금의 나를 만들어 주셨고 미래의 나를 위해 도움을 주심은 물론 기쁨도 슬픔도 함께할 분들이기에.서장원 원장서장원맥국어논술학원 2016-12-22
- 두뇌자극 logic 암기와 기억은 다르다 ‘암기’와 ‘기억’은 거의 같은 개념으로 인식된다. 예를 들자면 ‘단어를 암기한다’라거나 ‘단어를 기억한다’라는 말은 비슷한 시점이나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지금부터 30분 동안 50개 단어 암기하기’와 ‘일주일 동안 배운 단어 300개 시험보기’라는 말이 있다면 전자는 주어진 말 그대로 ‘암기’라는 말이 더 맞고 후자는 ‘기억’이라는 말이 더 맞아 보인다. 시험이란 ‘암기한 것’을 시험장에서 ‘기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억’이란 ‘암기’ 한 것을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도 회상할 수 ‘구간’의 개념이라면 ‘암기’는 그러한 기억의 구간을 채워주는 ‘순간’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학생들 중에는 암기는 잘하지만 기억을 잘 못하거나 또는 암기 자체를 잘 못하는 학생들도 있다. 100단어를 암기하는데 1시간이면 외우는 아이들도 새로운 100개의 단어를 추가하여 외우거나 2-3일 지나면 기억을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가 암기는 잘 하지만 기억을 못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하지만 단어 자체를 외우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다. 암기를 못하는 학생에 해당한다. 암기단계와 기억단계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찾아서 그에 맞는 적절한 대처와 훈련이 필요하다. 누누이 말하지만 암기는 ‘생각하는 암기’훈련을 기본으로 한다. 그냥 막하는 암기 또는 소위 쌩(?)으로 하는 암기는 공부를 지치게 하기 때문에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암기와 기억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어 있다. 단어든 문장이든 용어든 예문이든 할 것 없이 공부에 필요한 개념이나 원리를 쉽게 익히는 그런 방법들이다.암기가 약한 경우는 단어나 문장등 암기할 대상의 ‘이해’가 부족하거나 뇌가 낯설게 느끼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공부는 낯선 것을 익숙하게 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의미한 것을 의미 있게 뇌가 받아들이는 훈련이 효과가 있다. 기억이 약한 경우는 암기한 내용이 유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암기한 것을 잘 떠 올릴 수 있는 단서가 있다면 효과적일 수 있다. 그래서 ‘암기공식’이 중요하다. 암기의 공식을 알고 있으면 기억 역시 그 공식대로 기억하기 때문에 암기와 기억이 수월해지게 된다. 이번 겨울방학에는 암기와 기억에 대한 공식을 배워보는 것도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했던 ‘두뇌저장을 위한 공부’의 세계를 경험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두뇌스포츠센터김성림 대표 2016-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