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그라미
김양자 원장
아동·청소년들의 우울 현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두 개의 사례
1.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이로 학교에서 산만하고 집중을 못하는 등 많은 시간 선생님으로부터 지적을 받아 왔다. 아동은 우리의 만남에서 산만함은 보이지 않았다. 그림은 주로 회색으로 그려졌으며 주제는 주로 외계인이나 우주를 표현 했다. 아동은 우리의 작업을 통해 양육자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기 시작 했다.
아동은 부모의 사정에 따라 다른 곳에서 살다 얼마 전부터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그 부모는 아동을 양육한 사람들과 아동을 대하는 태도가 너무 달랐고 아동은 과거 양육자에 대한 그리움을 가지고 있으나 부모에게 돌아온 그는 그것을 표현 할 수 없었던 것 같다. 나와 부모는 함께 아이와 전 양육자에 대한 그리움을 인정하고 점진적인 이별의 과정이 진행 되도록 도왔다.
2.몇 년 전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 남학생으로, 보고된 다른 문제는 없고 단지 잠에서 깨어나지 못해 학교를 가지 못하는 상황이 장기화 되는 일로 찾아왔다. 지능은 보통보다 다소 높았고 말을 할 때도 전혀 우울해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그 지능이 높은 청소년이 자신의 의사를 표현 할 때 요점이 모호했다. 좀 더 진행이 되고 나서는 일상적인 이야기가 오고 갔다. 그 이야기는 부모의 이혼 사유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부모의 갑작스런 이혼이 자신의 인생에 큰 오점을 남겨진 것이라 생각했으나 그에 대한 어떤 언급도 하지 않고 마음속에 담아 두고 있었던 것이다. 담아 두었던 불편한 감정은 일어나지 못하는 잠으로 표현된 것 같았다.
어른들과는 다른 아동·청소년들의 우울현상
몇 년 전부터 청소년들의 우울한 정서 상태를 염려하는 통계 자료들이 보고 되고 있다. 그 통계를 보고 많은 사람들이 놀라워 하지만 구체적으로 아동·청소년들의 우울현상이 어떤 상태로 나타나는지 통계 만큼 알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왜냐 하면 아동·청소년들의 우울현상은 어른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어른은 열이 나면 춥고 오한이 나 그야말로 사우나를 하듯 보온을 필요로 한다. 아동의 경우 열이 나면 옷을 가볍게 하여 몸에 난 열을 식혀야 한다. 이렇듯 열을 정상 체온으로 돌리는 방법이 어른과 다르듯이 아동·청소년들이 그들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어른과 차이점을 보이기 때문이다.
어른의 우울은 무기력으로 대표된다. 그러나 우울한 아동·청소년들은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의력이 부족하여 자주 어디를 다치고,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고, 의도 없이 다른 사람들의 말에 귀 기울지 않고, 게임에 빠지고, 꿈이 없다고 말하거나 때로는 전혀 반대의 행동으로 과한 식욕, 지나친 잠 등으로도 나타난다.
정서적인 면에서는 공격적이거나 부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현실적으론 무슨 말을 하는 지, 무엇을 원하는지 표현을 어려워하고 때로는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우울한 아이들, 감정적인 부모대응
유전적 소인도 있을 수 있으나 그것은 심리 상담치료로 접근이 어려우나 환경적 영향은 상담을 통해 원인과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아동 청소년의 우울현상은 집안의 정서적 분위기의 결핍이나 적절한 자율이 보장되지 않는 부모들의 양육태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 성취위주의 삶, 가족 간의 정서적 갈등, 과잉보호나 간섭, 감당하기 힘든 경험에 기인하기도 한다.
우울한 아이들은 자아가 성장하지 못하고 자존감이 떨어지며 감정을 제어 할 수 있는 능력의 성장이 늦어진다. 이는 아이들의 성장에 맞는 문제 해결력 부족과 의존적 성향을 야기하며, 나아가 현실 지각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대인관계의 어려움까지 초래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부모는 학업 능률이 오르지 않거나, 그들의 에너지가 부정적인 곳으로 새나가는 현상으로 보고 감정적인 대응을 하기 일쑤다.
아이들이 보내는 신호에 주위 기울여야
아이들의 말과 행동은 그들의 몸과 정신 상태에 대한 표현이다. 우울한 아이들은 부모나 주변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구조 신호를 보낸다. 이럴때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그들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그런 행동에 대한 근본원인이 접근을 해야 한다. 물론 문제를 파악했다고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 경험들을 통해 왜 그런 욕구들이 생겼는지 이해해 나가야 한다. 그런 노력속에서 스스로 자신의 상황을 깨닫게 되며 이후 적절한 치유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어른들이 이들의 신호를 알아듣고 대처하게 된다면 그들은 그들의 삶에 자발성을 가지고 살아가게 될 것이다.
언젠가 내게 자신의 아이를 보냈던 젊은 주부의 이야기가 생각난다. 그녀가 처음 아이를 내게 데리고 왔을 때는 아이의 문제 행동에만 관심을 두었다. 그러나 그녀는 몇 년 동안의 아이 상담을 통해 가족 전체를 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되어서 그들 부부의 노후대책이 튼튼하게 마련되었다는 이야기를 내게 들려주었다. 실제 그 가족의 전체 모습은 예전의 긴장과 불안이 사라지고 아이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조잘조잘 하는 가정으로 바뀌었다.
끝으로 덧붙이자면, 필자가 많은 아동, 청소년들을 대상으로한 심리상담 결과는 나이가 어릴수록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검색: 네이버/일산미술치료 / 심리상담연구소 동그라미
www.ildonggrami.co.kr
상담시간: 평일 오전10시~오후9시, 일요일 오후3시~8시
상담문의: 031-902-1647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