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모든 학교의 1학기 기말고사 시험이 끝났다. 항상 기말고사 시험이 끝난 뒤 예상하지 못한 점수에 낙담하는 학부모님들의 상담을 가장 많이 받게 된다.
최상위권인 학생들의 경우 항상 일정한 점수를 유지하지만, 대체로 상위권에서 중위권으로 성적이 떨어지는 학생은 많아지는 반면 중위권에서 상위권으로 올라가는 학생들은 많지 않다, 특히 학년이 높아질수록 더 많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면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일까?
대부분 새 학년을 시작하는 중간고사 시험보다 기말고사의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거기에 더 많은 문법과 어휘가 나오게 되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고 학생이 공부하는 양보다 더 많은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더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1학년의 경우는 특히 그러하다. 대체로 1학년 첫 시험은 어렵지 않다. 짧은 지문과 기본적인 문법만 출제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실력에 크게 상관없이 준비를 열심히 한 학생들은 높은 점수를 받게 된다. 그런데 기말고사로 가면서 난이도가 올라가고 문법이 많아지면서 해야 할 공부의 양이 늘어나게 되어 성적이 내려가는 학생들이 생기게 된다. 그래도 1학년 문제는 그다지 어렵지 않기 때문에 해볼만 하다고 느끼게 된다.
그런데 2학년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1학년에 비해 늘어난 어휘와 복잡한 지문들, 보다 많아진 어법들에 현저히 어려운 외부지문(학교에서 수업하는 프린트 지문)이 늘어나면서 학습량을 감당하기 어려워진다. 꾸준히 공부를 해온 학생들은 그다지 공부가 부담스럽지 않을 뿐 아니라 여전히 높은 점수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1학년 때 좋은 점수를 받은 경험으로 그 정도 공부하면도 2학년 때에도 비슷한 점수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많다. 하지만 부족한 준비로 높아진 시험의 난이도를 따라가지 못해 떨어진 점수에 놀라게 되지만 이번은 ‘실수’였다고 생각하며 위안을 삼다가 기말고사가 끝나고 나면 ‘시험이 어려웠다’는 말로 무마하려고 드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사춘기의 절정’을 거치면서 공부 자체에 흥미를 잃는 학생들이 늘게 되고 영어는 ‘어렵고 하기 싫은 과목’이 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더 힘들어지게 된다.
영문법은 사실 중학교 과정에 모두 들어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3학년 과정은 문장마다 모든 문법을 포함하고 있는데다 어휘수가 늘어나게 되어 독해조차 어려운 학생들이 많아지게 된다. 더구나 3학년 영어 시험은 유일하게 ‘상대 평가’를 하는 과목이다. 특목고(외고, 국제고 등) 시험에서 변별을 위해 출제되기 때문에 난이도가 1, 2학년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어려운 문제들이 등장한다. 결국 3학년이 되어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또는 ‘아무리 해도 안 된다.’는 말을 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수능 시험은 모두 45문제가 출제되며 17문제 [듣기], 28문제는 [독해]이다. 그런데 [듣기]는 어렵지 않아서 등급을 결정하는 것은 [독해]인데 여기에서 어법 문제는 고작 1~2문제가 출제된다. 중학교 시험에서 학생들이 가장 점수를 잃는 문제들은 대부분 문법 문제와 서술형 문제들이다. 그래서 ‘중학교 내신 성적과 수능이 관계가 없지 않느냐’는 말을 들을 때도 있다.
그런데 중학교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은 문법이고 많은 전문가들은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문법을 충분히 공부해야 한다는 말을 하고 있다. 도대체 왜 이런 말을 하는 것일까?
수능 지문에서 한 문장의 길이가 4~7줄 정도로 출제되고 있다. 그런데 학생들에게 한 줄에서 두 줄 정도의 짧은 지문을 주고 독해를 하라고 할 때 모든 단어를 알고 있는데도 해석을 못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그러면 왜 독해가 되지 않는 걸까?
예를 들어 보자. [신디는 백승찬을 좋아해. / 좋아해 신디는 백승찬을 / 백승찬을 신디는 좋아해.] 와 같이 우리말은 조사가 있어서 위치가 바뀌어도 말의 의미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영어는 말의 순서가 바뀌면 전혀 다른 말이 되기 때문에 구조를 모르면 제대로 해석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우리말과 순서가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어려울 수밖에 없다. 또한 ‘what’, ‘to’, ‘that’ 같은 간단한 단어는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충분한 문법적 지식이 있어야 정확한 해석을 할 수 있다.
최근의 대부분 일산지역 중학교 시험들은 객관식의 경우 대부분 ‘수능’ 형태로 출제되고 있으며, 후곡에 위치한 학교의 서술형 시험은 영문 영답 형태의 문제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작문이 제대로 되려면 튼튼한 문장 구조와 어법이 필요하다. 결국 내신이든 수능이든 문장 구조와 어법이 결정하게 된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휘라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우리가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우리말도 수백 번에서 수천 번 넘게 들으면서 익힌 것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노력 없이는 아무것도 될 수 없다.
델라영어학원
원장 김효선
문의 031-905-0888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