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은 논술을 왜 어려워 할까요? 학생들에게 논술을 제대로 가르치려면 학생들이 논술을 왜 어려워 하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직접 물어본 결과 얻은 대답은 다음과 같습니다.
○ 논술이 좋은 건 알지만 제 실력으로는 안될 것 같아 자신이 없습니다.
○ 글쓰기 경험도 없고, 쓰기도 싫습니다. 생각만 해도 끔직합니다.
○ 접근 방식을 모르겠습니다. 무얼 어찌하라는 말인지요?
○ 문단 구성 방식을 모르겠습니다.
○ 중심 내용을 요약할 수 없습니다.
○ 제시문 독해법을 모릅니다.
○ 서론, 본론, 결론에 들어가야 할 내용도 모르고 구성 방식도 모릅니다.
○ 500자, 1,000자를 말하는데 분량을 가늠할 수 없습니다.
○ 답안을 작성할 때 분량을 어떻게 배분해야 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 유형별 문단 전개 방식을 알고 싶습니다. 이러한 학생들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논술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가를 생각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논술’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 ‘논술’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삶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더욱이 현대 사회에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만큼 심각한 문제들도 많이 발생한다. 인간은 이러한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해야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고, 계속 생존할 수 있다.
○ ‘논술 시험’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 대학에서는 논술 시험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다. 논술 시험에서 제시하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독해력, 요약 능력, 분석력,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 논리적 사고능력, 표현 능력 등 종합적인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대학에서 학문하는 과정을 위해 필요한 능력을 논술 시험은 대부분 평가 요소로 갖추고 있다.
○ ‘논술 시험’의 내용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 ⇒ 제시문에는 학생들이 풀어야 할 ‘문제 상황’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논제에는 ‘문제 해결의 방법과 조건’이 제시되어 있다. 출제자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상황을 제시문에 제시하면서 더불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서도 제시한다. 그러므로 수험생은 먼저, 제시문에 나타난 사회 문제를 인식하고, 문제 해결의 단서를 바탕으로 논제에서 요구하는 문제 해결의 방법과 조건에 맞게 문제를 해결하여 답안으로 제시해야 한다.
○ ‘논술 시험’은 왜 어려운가? ⇒ 논술 시험에서는 수험생에게 문제 상황을 주고 그 문제를 해결하라고 요구한다. 하지만 그 문제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수험생들은 종합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해결 방안을 잘 제시하지 못한다. 문제가 복잡한 이유는 현대 사회의 문제가 그만큼 복잡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정한 분량으로 답안을 작성하여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답안 작성 능력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글쓰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그 과정은 매우 어려운 과정이다.
○ ‘논술 시험’을 치르기 위해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 ⇒ 논술 시험은 ‘논제’와 ‘제시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먼저, ‘논제 분석 능력’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제시문 분석 능력’이 필요하고, ‘제시문 간의 관계 파악’을 하는 능력도 필요하다. 또 ‘제시문을 활용하여 논제에 맞게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으로 ‘답안지’로 작성하는 표현 능력이 필요하다.
○ ‘논술 시험’을 치르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 ⇒ 먼저 ‘독해력’과 ‘분석력’을 길러야 논제와 제시문을 이해할 수 있다. ‘독해력’과 ‘분석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단의 구성 원리를 숙지한 다음 계속해서 문단 단위의 글을 읽으며 요약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다음 문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단들이 관계 맺는 기본적인 방식을 이해한 후 계속해서 실전 훈련을 해야 한다. 논제에 맞추어 제시문을 바탕으로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것 역시 기본적인 방법론을 숙지한 후 계속해서 실전 훈련을 해야 한다.
○ ‘배경지식’은 어떻게 기를 것인가? ⇒ 지금까지 쌓아온 배경지식들은 ‘간접자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앞으로 쌓아갈 배경지식은 ‘직접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논술 시험에 초점을 맞추어 그에 맞는 지식 위주로 공부해야 한다. 또한 지식을 단순히 이해하는 차원을 넘어 필요한 경우에 적확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 ‘독해력’은 어떻게 기를 것인가? ⇒ 독해력의 수준은 적어도 지문에 제시되는 내용을 무난하게 읽어낼 수 있는 정도는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시문을 지속적으로 독해하고 요약 정리하여 독해력을 기르는 한편, 매일 일정한 분량의 글을 정독으로 반복해서 읽는 훈련을 해야 한다. 매일 같은 내용의 글을 3독 이상 하면 일정 시간 후에 독해력이 매우 많이 향상된다. 같은 글을 반복해서 읽으면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 ‘답안 작성 능력’은 어떻게 기를 것인가? ⇒ 두 말할 필요없이 계속 써봐야 한다. 답안 작성의 기본 원리를 익히고 난 다음에는 ‘쓰고, 첨삭하고, 다시 쓰고’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답안지의 완성도를 높여 나가야 한다.
위에 제시된 내용을 잘 이해하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노력한 만큼 성과가 반드시 있을 것입니다.
프로메테우스
원장 윤우상
문의 031-917-6801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