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기말고사가 끝나고 학생들이 기다리던 겨울방학이다. 그러나 예비고1이 되는 학생들은 지금쯤이 자신의 진로나 학습 방향에 대해 한 번쯤 고민을 해 봐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최근의 수능에서 국어는 영어 수학보다 더 까다롭게 출제되면서 당락을 결정하는 열쇠가 되고 있고, 수시 입학에서도 논술이나 독서 활동, 자기소개서 같은 국어 및 독서 관련 요소가 중요성을 더해 가고 있는 만큼 학생과 학부모의 국어에 대한 스트레스는 이전과 다르게 더 크게 다가오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정작 국어 학습에 대한 명확한 지표가 없는 경우라면 더욱 답답해질 수 있다.
언어적 사고의 확립과 향상이 학습의 선결 과제
실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언어가 아니라 언어적 사고를 키움으로써 이후의 삶과 직업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배우는 것이 학교와 시험에서의 국어이다. 입시에 어려운 비문학 지문이 나오고, 읽을 일 없는 고전 문학이 나오는 이유도 이것이다. 낯선 형식과 내용, 긴 지문, 복잡한 사고 과정을 요하는 글들을 제시함으로써 학생의 언어적 사고가 어느 수준에 와 있는지를 테스트하는 것이 최근의 입시 경향이고 차후 몇 년간 이 기조는 이어질 것이다. 그렇다면 언어적 사고는 어떻게 학습하고 발전시킬 것인가? 많은 책을 읽고 그것을 체화하는 것이 물론 가장 좋다. 특히 이제 고1에 올라갈 준비 중인 학생들이라면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다른 제약이 있을 수 있고, 학생이 독서를 몹시 싫어할 수도 있다. 싫어하는 사람에게 독서를 강제한다고 효과가 있을 리는 만무하다. 대신, 다독(多讀)이 아니라 책 한 권을 읽더라도, 지문 한 꼭지를 읽더라도 정확히 보고 이것이 자신의 지식과 사고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글을 읽기 위한 준비 과정이 필요하고, 혼자서 준비하는 것이 힘들다면 이를 도와 줄 매체나 사람(선생님)이 필요하다.
배경지식이 전혀 없는 독서란 있을 수 없다. 어느 정도의 필수적인 배경지식 – 예를 들어 어휘나 용어에 대한 지식, 상황 맥락에 대한 지식 등이 필요한 것이다. 또, 기초 지식이 준비되었다면 본격적인 독서, 독해를 효율적으로 학습하도록 이끌어 주고, 현재의 학생의 상태를 파악해서 어떤 부분이 취약한지를 알려 주는 좋은 매체나 선생님이 필요한 것이다.
강서 세계로학원 마명훈 국어강사
문의 02-2667-050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