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훈 원장
대한논리정독학원 신정본원
문의 02-2646-8214
읽기의 대상인 텍스트는 ‘문자 언어를 매개로 하여 하나의 통일되고 완결된 사고 내용을 담은 한 문장 이상의 언어 조직체’를 말한다. 텍스트는 문장들이 무작위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앞뒤로 문맥이 통하는 문장들이 연결되어 그 나름의 특성들을 나타내는 통일적인 언어 조직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텍스트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바른 이해는 독자가 글을 읽고 내용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기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독서 할 때 효과적인 보조수단
이런 텍스트를 구조유형에 따라 읽어나가며 수행하는 ‘의미시각화’는 각자가 정한 기호에 따라 텍스트의 내용 전체를 체계적으로 연결 짓는 도식화 작업을 의미한다. 독서 후에 하게 되는 ‘독서 후의 의미시각화’와 독서를 하면서 하게 되는 ‘독서 중의 의미시각화’로 구분된다.
생소한 텍스트를 정독할 때 텍스트의 의미를 확실하게 이해하고 기억하기 위하여 읽으면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표시를 하여 기억의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이것을 ‘독서 중의 의미시각화’라고 하고, 설명적 텍스트를 구조 유형에 따라서 내용을 도식화할 때 특히 효과적인 독서 보조 수단이 된다. ‘독서 후의 의미시각화’는 읽은 내용을 독서 후에 정리하여 도식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미 시각화 훈련’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의미시각화 훈련의 장점
첫째, 생각기호를 활용하여 보다 능동적인 읽기 태도를 배양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둘째, 글의 구조를 결정짓는 ‘구조 표지어’를 찾아 빠르고 정확하게 글에 담긴 정보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글의 구조를 시각화하여 체계적으로 글의 내용을 인식하도록 도움을 준다.
2. 의미시각화 훈련 방법
① ‘생각기호’ 표시하기
생각기호 | 사용 예 |
| (밑줄) 중심 문장 |
○ | 핵심어 |
? | 어렵거나 의문이 있는 경우 |
! | 이미 알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 |
☆ | 새로운 사실이나 중요한 정보를 발견한 경우 |
✕ | 나와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
# | 의견에 동의가 될 경우 |
*단, 자신만이 사용할 수 있는 생각기호를 만들어 써도 좋다.
② ‘구조 표지어’ 찾기
글에는 ‘구조 표지어’가 있어서 글의 구조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구조 표지어’에 주의를 기울이면 글의 전체 흐름과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4가지 글의 유형에 쓰이는 ‘구조 표지어’의 예는 다음과 같다.
수 집 | 예를 들어, 나열하면, 그리고, 또한, 자세히 말하면, 다시 말해, 덧붙여 말하면, 더군다나, 뿐만 아니라, 역시, 게다가, 또 다른 예로는, 첫째, 그 다음으로는, 마지막으로, 끝으로 |
인 과 | 그 이유를 말하면, 그 결과, 그러므로, 왜냐하면, 결과적으로, 그래서, 그리하여 |
문제/해결 | 문제는~, 답은~ |
비교/대조 | 반면에, 이와 같이, 공통점으로는, 한편, 하지만, 그러나, ~달리, 반대로, 달리 보면 |
③ 의미시각화 후에 글의 요점 정리하기
정교한 의미시각화가 이루어지면 요점 정리도 그만큼 쉬워진다. 요점을 정리하는 것은 의미시각화를 통해 도달한 글 전체의 인식을 강화하고, 기억의 망각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다.
④ 토의/강평하기
5~6명씩 모둠을 만들어 자신이 표시한 생각기호, 구조 표지어, 의미시각화한 것을 비교하고 토의한다. 지도교사는 몇 개의 수행된 자료를 가지고 강평을 할 수 있다.
3. 의미시각화 훈련의 응용
의미시각화 훈련을 학교공부에 응용할 수 있다. 교과서나 참고서에 의미시각화 작업을 하고, 해당 문제집을 푼다. 그리고 틀린 문제는 그 부분을 잘못 이해(정독)한 것이므로 다시 교과서로 돌아와 선생님께 질문하여 해결하거나 이해될 때까지 반복학습을 한다. 끝으로 요점노트나 오답노트를 작성하여 시험 때까지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이 방법을 시험공부에 활용한다면 얼마든지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