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남북미 3개국의 해빙무드는 현재 진행형이 되었다. 예전처럼 막연하게 ‘철마는 달리고 싶다’는 넋두리가 아닌 현실성 있는 얘기들이 여기저기서 들려온다. 남북은 6월 26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철도협력 분과회의를 진행했으며, 철도협력과 관련된 서로의 입장을 교환했다. 추후 회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회의에서 대북제재로 구체적인 사업 추진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하면서 우선 공동연구 등을 진행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보인다. 일단 기간산업인 철도와 도로가 남북 간에 연결되면 다음 단계는 실제적인 물류의 수송이 가능해진다. 실제 북한과 남한의 물적, 인적자원이 교류할 길이 열리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는 예전의 1980년대의 중동 건설 붐보다 더 큰 시장이 열릴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자원 잠재적 가치
우리나라는 1년에 23조 9천억 원에 달하는 지하자원을 외국에서 수입한다. 부존자원이 빈약하기 때문이다. 반면 북한은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2008년 기준 북한 광물 매장량의 잠재가치는 무려 약 7,000여 조로 우리나라의 289조원의 24.1배에 이른다. 또한, 최근 2017년 기준으로 미국 온라인 경제전문 매체 쿼츠(Quartz)는 ‘북한은 이미 돈방석에 앉아있는 나라’이며 ‘손도 대지 않은 광물이 7조 달러(약 8050조 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세계 총 매장량의 50%가 매장되어 있는 마그네사이트는 세계 2위, 흑연은 세계 3위, 텅스텐은 세계 6위에 랭크되어 있을 만큼 우리나라가 절대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금, 은, 동과 아연, 철, 마그네사이트 등의 지하 광물자원들이 북한에는 전역에 두루 분포되어 있다. 또한 최근 세계적으로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우라늄의 북한 매장량은, 현재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는 호주의 130만 톤을 가볍게 뛰어넘는 수준인데, 139억 달러 수준의 잠재가치를 지녔다고 한다. 중국은 2010년부터 자국 내 희토류 생산량을 제한하고 수출량을 감축시킴으로서 희토류 자체를 정부 통제 하에 자원무기화 하려는 정책을 펴고 있다. 이에 가격이 자연스레 급등하게 되었다. 북한에 이러한 희귀자원인 희토류가 20억 톤이 묻혀 있어, 매장량과 수출량의 집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정도라고 한다. 심지어 영국 석유개발회사는 수 년여 현지 조사를 거쳐 북한에 40억~50억 배럴의 석유가 매장되어 있다고 밝히기도 하였다. 이러한 통계와 수치에 대한 진위 논란은 있지만 평화 논의가 무르익으면서 북한의 막대한 지하자원 개발을 놓고 장밋빛 기대를 키우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대한 자원이 미국이 주도로 하는 경제제재로 인해 기술력부족과 투자자원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개발을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제 경제재재가 풀리면 우선적으로 우리의 기술과 자금이 북한입장에선 제일 절실 할 것이다.
자원개발관련학과 현황 및 입학전형
이제 미래의 시대가 현재로 바뀌고 있다. 북한의 자원개발에 필요한 실제적인 기술과 지식을 우리는 준비해야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국내 주요 대학에 설치된 자원개발관련학과 현황과 커리, 입학전형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에너지자원개발에 관련된 전공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학교로는 서울대의 에너지자원공학과,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한양대 자연환경공학과,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등이 있다.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는 공과대학소속이며 에너지자원과 광물자원의 탐사와 생산, 분배, 재활용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가정책과 지구환경변화 등 인류와 에너지자원과 상호관계를 다루는 학문이다. 에너지자원은 석유, 가스 등 전동화석에너지원에서 지열, 바이오에너지, 가스하이드레이트, 폐기물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다. 광물자원은 철, 구리, 우라늄, 금, 은, 다이아몬드 등의 산업 및 전략광물을 포함한다. 타 대학의 에너지관련학과도 학부 커리에서는 크게 차이가 없다. 서울대 에너지공학과의 전공은 에너지자원개발시스템과 신재생에너지, 지구환경 및 인간생활환경, 에너지인프라 및 선설기반 등의 네 분야로 나뉘어져 있다. 졸업하면 환경부 등 에너지 관련 정부 부처와 자원개발관련 연구소, 공사 및 일반 기업체에 주로 진출하고 있다. 올해 서울대 에너지공학과 신입생선발은 지역균형으로 7명, 일반전형으로 18명 등 총 25명을 선발하며, 정시로는 선발하지 않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2018학년도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의 다빈치형 내신평균등급은 1.91이었으며, 탐구형은 3.60,학생부교과전형의 내신평균등급은 1.62였다. 학생부종합으로 자원개발관련학과에 진학을 원하는 학생은 수학, 화학, 지학, 영어의 내신관리, 관련 동아리활동과 결과물 산출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목동 씨앤씨학원 특목입시전략연구소 김진호 소장
문의 02-2643-202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