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답분석은 미루지 말고 시험 직후에
수능 국어를 대비하는 기본이자 필수인 학습은 기출 모의고사 풀이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모의고사 후 오답 분석에 소홀하다. 어떤 시험이든 오답 분석과 정리로 자신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고쳐나가는 사후 학습이 시험을 보는 것보다 중요하다. 특히 문제를 푼 기억이 가장 크게 남아 있는 직후 바로 오답 분석을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국어 모의고사, 나의 취약점은?
“국어에서 어떤 영역이 취약한가요?”라는 질문에 ‘문법이 어렵다’, ‘과학, 기술 지문 해석이 취약하다’, ‘고전 문학이 어렵다’는 등 각양각색의 어려움들을 호소한다. 오답 분석의 첫걸음은 자신이 어떤 영역에 취약한가를 자각, 인지하는 것이다. 틀린 문제나 유형이 일회적일 수도 반복적일 수도 있기 때문에 꾸준한 모의고사 풀이와 분석을 통해서 자신의 취약점을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
수능 국어, 시간이 부족해!
최근 학생들이 수능 국어를 어렵게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시간 안배이다. 무려 16쪽 분량의 많은 지문과 45문항의 문제를 80분 안에 풀어야 한다. 속독 학원이라도 다녀야 하나? 독서 지문이 길어짐과 동시에 제재 간 융합 지문과 신유형 문제들이 출제되면서 시간 안배의 문제는 모든 수험생들의 골칫거리가 되었다. 시간이 부족해서 지문을 다 읽지 못하거나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했다면 그야말로 낭패! 오답분석 시 그 이유를 추적하여 어떤 지문과 문제 때문이었는지 되돌아보고, 자신만의 적절한 시간 안배 전략을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오답 유형을 파악해라
국어 모의고사에서 오답하는 유형은 크게 이해 부족형, 정보 파악 미숙형, 선택지 혼동형, 실수 문항으로 나타난다. ‘이해 부족형’은 문법지식, 독서 지문 이해, 문학 작품 감상 등이 부족하기 때문이고, ‘정보 파악 미숙형’은 제시문에 들어있는 핵심정보를 찾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선택지 혼동형’은 누구나 경험하는 아까운 유형. 최종 남은 두 개의 선택지 중 고민하다가 오답을 선택하는 경우이다. ‘실수 문항’은 중상위권 학생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마킹 실수나 옳은 답을 찾는 문제에서 옳지 않은 답을 고르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오답의 유형은 자신의 문제점을 비추는 거울이다. 거울에 보이는 얼굴의 티를 보고 지나치는 사람은 없다. 꾸준한 모의고사 오답 분석, 그것은 ‘티’를 닦아 얼굴을 맑게 하는 것이리라.
이진 원장
목동진국어학원
문의 02-2603-1228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