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중학교일 때 곧 잘했던 내 아이가 고등학교에 와서 내신점수가 생각처럼 나오지 않아 고민인 학생 학부모들이 많다. 왜 고등학교에 올라와서 점수가 떨어졌을까? 고민이 된다하더라도 쉽사리 분석이 되지 않는다면 다음 항목에 주의하여 생각해보자.
1. 시간이 부족하다.
시간이 부족해서 본인이 준비한 만큼의 성적이 나오지 않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습이 부족한 경우이다. 연습이 부족하다는 의미는 중학교 때와 비교할 때 특별히 공부량이 늘어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내신은 연습량에 비례하여 점수가 오른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대체적으로 쉬운 1~12번 사이의 문제에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나왔을 때다.
시험문제 중 1번과 12번 사이에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까다로운 문제를 출제했을 때 학생들 입장에서는 그 문제를 건너뛰고 풀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 시간 조절에 실패하여 서술형을 제대로 풀지 못한 경우에 그렇다. 이러한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학생 입장에서는 난이도가 높았다고 생각을 한다.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학생은 내신 문제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며, 필자에 경우에는 서술형 문제를 먼저 풀며 시간이 걸리는 문제는 과감하게 건너뛰고 풀 것을 추천한다. 어려운 문제를 틀린다고 해서 내가 준비한 만큼의 성적이 나오지 않는 이유가 아니다.
2. 실수를 많이 한다.
실수를 많이 하는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풀이과정이 좋지 않은 경우와 문제를 끝까지 정확하게 읽지 않는 경우이다.
우선 풀이과정이 좋지 않은 학생의 경우를 살펴보면,
풀이과정이 산발적으로 이쪽저쪽 체계적이지 않게 쓰는 경우 대부분 정확하게 식을 쓰지 않고 암산과 혼재하여 문제를 풀게 된다. 평소에 풀이과정을 정확하게 끝까지 쓰고 답을 내는 연습을 해야 하며 암산보다는 식을 손으로 끝까지 써내려가야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문제를 끝까지 정확하게 읽지 않는 학생의 경우다.
가끔씩 ‘옳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라는 문제를 ‘옳은 문제를 고르시오’로 착각하여 문제를 푸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징은 문제를 정확하게 읽지 않기 보다는 문제를 읽다가 눈에 익은 문제 일수록 경험상 미리 물음에 대한 결론을 지어버리고 문제를 푸는 경우가 많다. 많은 학생들이 문제를 많이 풀다보면 기계적으로 문제를 푸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유형별로 되어 있는 문제집을 풀 때 그렇다. 그렇기에 내신기간이 아닌 평소 문제를 풀 때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끝까지 문제를 읽고 푸는 습관이 필요하다.
3. 긴장을 해서 평소의 실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긴장을 많이 하는 이유는 2가지 유형이 있다. 성적이 좋은 학생과 좋지 않은 학생이 있는데, 좋지 않은 학생은 충분히 공부하지 않은 불안감 때문이므로 공부량을 늘려 충분히 연습을 하면 해결할 수 있다. 문제는 성적이 좋은 학생들 중에 유난히 시험만 되면 긴장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평소에 실수를 하지 않으며 풀이과정이 좋은 학생도 시험에만 들어가면 벌벌 떨면서 시험을 보게 되어 준비한 만큼의 성적이 나오지 않는 경우 정말 안타깝다. 심리적으로 100점을 맞아야 한다는 압박감과 혹시 점수가 낮게 나오면 어떻하지라는 생각이 머리 속을 지배하면서 평소에 잘 풀었던 문제들도 함정이라고 생각하고 의심부터 하여 시간을 잡아먹게 되는 경우든지 심장이 떨려 눈에 문제가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학생들은 시험에 대한 압박감을 좀 더 벗어날 수 있는 개인적인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 또한 시험 보는 연습을 충분히 하도록 한다. 여러 학교 기출문제를 1~12, 12~객관식 끝번호, 서술형으로 나누어 시간을 재면서 시험 보는 연습을 시험보기 일주일 전부터 한다면 시험 당일 떨리는 압박감에서 조금이나마 해소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수학 내신은 정해진 시간 안에 빠르고 정확하게 푸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평소에 수학 공부를 하는 방식과는 별개로 접근을 하는 것이 맞다. 풀었던 문제도 빠르고 정확하게 풀기 위해 여러 번 반복을 해야 한다. 하지만 학생들 대부분은 모르는 문제를 풀려고 노력을 한다. 그 문제는 학교 시험에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훨씬 높다. 그렇다면 보편적인 난이도 있는 문제를 연습하면서 쉬운 문제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지겹도록 반복을 하는 것이 올바른 내신대비라고 할 수 있다.
목동 한별수학 강한규 원장
02-2645-6660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