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문수 원장
이지논술학원
Tel.02-412-3312
■논술은 문학 작품이 아닙니다.
논술에 재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나 수필처럼 작가적 재능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지요.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우선 논술은 문학적 재능을 뽐낼 수 없습니다. 주어진 질문에 왜 그렇게 판단했는지 나름의 근거를 대며 서술하게 됩니다. 은유, 비유, 반어, 풍자, 드라마 같은 반전미를 논술 답안에서 시도하는 것은 큰일날 일입니다. 면접관의 질문에 갑자기 노래로 답하는 꼴이죠.
■국어를 잘 못하는데 논술 괜찮을까요?
국어와 논술은 다른 분야입니다. 수능에서 국어는 독해력이 중요합니다. 긴 글을 읽고 내용을 제대로, 빠른 시간 안에 파악하는지를 평가합니다. 쉽게 말해 복잡하고 낯선 글을 접하고도 재빠르게 말귀를 알아 듣는 게 중요하죠. 세밀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는 밝은 눈, 문제를 풀 때까지 지문을 머릿속에 담아두는 기억력이 필요합니다.
■논술은 독해력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논술 지문은 매우 쉬워졌습니다. 대신 출제자가 던진 질문에 생각해서 답하라는 식의 문제가 나옵니다. 수능 국어가 출제하는 어려운 지문을 읽고 정보가 타당한지만을 따져온 학생들이 논술 스타일의 쉬운 지문을 보면 당황합니다. 지문을 다 독해해 놓고도(쉬워서 시간도 얼마 안 걸립니다) ‘한번에 파악하는 쉬운 지문이 있을 리가 없어’라며 지문을 보고 또 봅니다. 지문 파악은 너무나 쉽고, 질문에 어떻게 답할 작정인지 고민하는 게 논술의 핵심이라는 것을 잘 몰라 벌어지는 일이죠. 논술을 늦게 배우거나, 수능 국어 공부에 매몰돼 논술의 콘셉트를 받아들이기 어려울 순 있어도, 독해력이 부족한 것은 논술에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맥락으로 이해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
논술을 잘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맥락적 사고입니다. 사실,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고 있는 사고방식이지요. 3・1절을 전후해 일본 여행객이 너무 많다는 기사, 연예인 누가 3・1절에 일본 여행을 갔다가 대중의 눈총을 받고 있다는 기사를 매년 만나지 않나요? 100년 전 일본에 맞서 민족 자주 의지를 실천한 역사적 사건과 개인 여가로서의 일본 여행을 하나의 맥락으로 이어붙여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엄마 말은 잔소리로 치부하는데, 선생님 말은 곧잘 듣는다”는 얘기들을 많이 하시는데요, 학생에게 엄마가 오늘 하는 말은 지난 2년 동안 엄마가 해온 말의 맥락 위에서 이해됩니다. 엄마의 조언이 매우 지당하다 해도, 아이는 맥락화를 통해 ‘엄마는 나를 간섭하고 구속한다’고 이해해 버립니다.
학원 선생님의 조언이 효과가 있는 이유는 과거로부터 이어져온 맥락이 없는, 비교적 낯선 사람인 까닭에 학생이 조언 자체에 귀 기울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쿨 하지 못한 마음, 논술에 도움
이전에 있던 일로 꿍해 있다가 오늘의 일에 예전 일을 보태서 이해하는 사람이 주변에 한둘 정돈 있지 않나요? 오전의 말과 오후의 말을 개별 사건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이어붙여 하나의 맥락으로 상상해 사건을 해석하는, 쿨 하지 못한 사람 있지 않습니까? 그런 쿨 하지 못한 마음으로 논술 지문을 봐야 합니다.
논술 문제에 딸려 있는 지문이 (가), (나), (다) 이렇게 3개라고 하면요. (가)를 스윽 보고, (나)도 스윽 보고, (다)도 스윽 보고, 세 지문을 마치 한 사람이 나에게 들여주는 이야기라고 상상해 보는 게 바람직한 논술 독해입니다.
각각의 지문을 깊게 파고 드는 것은 도리어 방해가 될 겁니다. 각각 지문이 개별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맥락으로 이어져 있다는 꿍한 시선이 필요한 것이죠. 성격이 쿨하지 못해서 지난 사건과 이번 사건을 연결하는 경향이 있는 학생이라면 그런 방식을 논술 지문을 볼 때 적용해보면 됩니다.
■사회 교과서 두 번 읽으면 논술 능력자
논술은 시험 범위가 사회 교과로 정해져 있습니다. 수능 국어는 낯선 지문이 나와 학생들을 당황하게 하지만, 논술은 교과서에 실려있던 지문이 대부분입니다. 사회 교과서 <사문>, <생윤>, <윤사>, <정법>을 한 번만 정독해줘도 올해 나올 웬만한 지문은 이미 훑고 시험장에 들어 가는 셈입니다. 두 번 정독해서 내용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다면 논술 시험에 매우 유리한 고지에 있는 겁니다.
고작 교과서 4권을 두 번 정독하는 걸로 시험에 유리해 질 수 있는 거냐고요? 논술에 응시하는 학생들은 이전 편에서 말씀 드렸듯이 사실 패자부활전을 치르는 학생들입니다. 이들 중에 교과서 4권을 두 번씩 정독하는 학생은 매우 드뭅니다. 시험 범위조차도 한번 훑어 보지 않는 경쟁자들이 많은 몰리는 곳이 바로 논술 전형이니까요.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