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경우 1학기 중간고사가 끝난 후 긴 연휴기간이 있다보니 많은 학생들이 매우 긴 휴식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문제는 그렇게 긴 휴식시간을 가진 경우에는 다시 공부에 집중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시험이 끝난 후나 혹은 긴 연휴의 끝, 방학이 끝난 직후 등에 주로 발생하는데 이번 중간고사의 경우 시험의 끝과 연휴가 겹치는 바람에 더더욱 일상으로의 복귀가 늦어지고 있다. 이에 중고등학생 입장에서 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기말고사를 대비한 공부계획을 세워보자.
중간고사가 끝난 이 시점부터 기말고사까지는 생각보다 시간이 짦다. 대략 6월말부터 7월초에 걸쳐서 기말고사가 진행되므로 남은 시간은 대략 7~8주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는 중간고사보다 기말고사의 시험범위가 더 길고, 수학의 경우 학년에 관계없이 뒷부분이 앞부분보다 더 어렵기 때문에 공부할 양은 더 많다. 심지어 몇몇 학교는 특정 과목을 중간고사는 치르지 않고 기말고사만 치르는 경우도 있어서 더더욱 기말고사의 대비한 학습량이 더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하루빨리 기말고사 대비를 시작해야한다. 아직 여유가 있다고 느껴지는 학생도 있을 수 있겠지만, 그런 학생도 작년 기출문제를 한번 풀어보면 생각이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확신한다.
크게 5월과 6월로 나눠서 5월에는 국어, 영어 수학 정도의 과목만 집중해서 준비를 하고, 6월에는 다른 과목까지 모두 준비를 해야한다. 즉, 국어, 영어, 수학에 관해서는 6월초에 시험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에 맞춰서 준비를 하는 것이다. 그렇게 5월말까지 국어, 영어, 수학에 관해서는 기말고사 내신대비를 마치고, 6월부터는 실전 모의고사만 반복해야한다. 그러면서 국영수를 제외한 다른 과목에 대한 본격적인 내신대비를 6월초부터 병행하는 쪽으로 계획을 세우는 편이 효율적이다.
2. 중간고사 시험지를 다시 한번 보고 오답을 정리해보자.
많은 학생들이 중간고사가 끝난 후에는 해당 시험지를 다시 보지 않는다. 다시 봐도 점수가 바뀌는 것도 아니고, 기말고사 시험범위도 아니기 때문에 굳이 열심히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중간고사는 어쨌든 열심히 집중해서 본 시험이기 때문에 문제에 대한 기억이 아직 생생하게 남아있다. 따라서 틀린 문제들을 다시 볼 때, 중간고사를 볼 때의 상황이 기억이 나기 때문에 오답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알게된 지식 역시 꽤 오래 기억에 남게 된다. 이러한 중간고사에서 풀었던 문제에 대한 기억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옅어지므로, 해당 기억이 아직 남아있을 때 하루빨리 오답정리를 해야한다.
그 외에도 보통 중간고사를 출제한 선생님과 기말고사를 출제한 선생님이 같은 분이기 때문에, 중간고사에 대한 철저한 오답정리를 통해 출제하신 선생님의 출제경향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기말고사 대비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이므로 꼭 확실하게 오답정리를 해야만 한다.
3. 매일매일 규칙적으로 할 공부를 따로 정하자.
시험이 끝난 후 학교나 학원에서 이미 다음 진도를 나가기 시작했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의 마음은 아직 연휴기간에 머물러있기 때문에 공부가 그다지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을 확률이 높다. 이때 해볼 수 있는 방법이 매일매일 규칙적으로 할만한 공부를 정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학교숙제나 학원숙제와 상관없이 무조건 하루에 20문제의 수학문제를 푼다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그렇게 학교부교재도 아니고, 학원교재도 아닌 책을 한권 정해서 그 문제집을 매일 20문제씩 푸는 것이다. 이는 학교수업이나 학원수업이 연휴의 여파로 느슨해지는 상황에서도 변함없이 진행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아무래도 일상으로 빨리 복귀하게끔 해준다. 학생에 따라 상황은 다르겠지만 매일 할 분량으로 ‘5분이상 고민해야하는 수준의 수학문제 20문제 풀기’와 ‘전혀 모르는 단어 30개 외우기’정도면 충분할 것이다. 이정도만 해도 기말고사때까지 꽤 많은 공부를 할 수 있게 해주므로, 일상으로의 빠른 복귀에 도움을 주는 건 물론이고 기말고사 대비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이상으로 긴 연휴의 끝에 빨리 일상으로 복귀하는데 도움이 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다. 중간고사 종료 및 연휴로 인해 풀어진 일상을 되돌리기 위한 방법들인데, 사실 더 좋은 것은 아예 느슨해지지 않는 것이다. 즉, 공부를 그냥 밥먹는 것이나 씻는 것처럼 평범한 일상의 한 요소로 생각해서 생활의 한 부분으로 여기는 것이다. 그렇게 시험여부와 상관없이 일상적으로 공부를 한다면 심리적인 굴곡없이 수험생활을 잘 마칠 수 있을 것이다.
조 지덕 부원장
수와식학원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