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학년 1학기 경복여고 국어 중간고사는 선택형 22문항(70점), 서답형 6문항(30점)으로 구성되어 총 28문항이 출제되었다. 전 영역에서 고르게 출제되었으며, 특히 문법과 문학의 출제 비중이 높았다.
경복여고는 문학, 비문학, 문법 등의 모든 영역이 고루 출제된다는 특징이 있다. 비록 비문학 문제의 경우 지문 하나의 수준으로 크게 부담이 되지는 않는 편이라고는 하지만, 올바르게 대비되지 않으면 최상위권으로 도약하기 어렵다. 문학의 경우 교과서, 올림포스 국어, 3월 모의고사 등 많은 작품이 출제되었는데 다양한 작품이 나오는 만큼 개별 작품의 표현상의 특징은 철저하게 암기한 상태에서 다른 작품과의 비교할 줄 아는 능력을 길러야한다
비문학은 부교재인 올림포스 지문을 활용하여 학생의 사고력과 논리적 독해력을 평가하였다. 내용 이해의 사실적 읽기와 이를 <보기>에 적용할 수 있는 추론적 읽기가 뒷받침되어야 하기에 평소 비문학 지문을 꾸준히 정리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문법 영역에서는 음운 체계와 변동, 표준 발음법, 된소리되기 등 음운 영역이 골고루 출제되었다. 다만 작년과는 다르게 단순 암기를 요구하는 문제는 다소 줄어들었다. 그 대신 ‘옷값’, ‘닳지’, ‘싫어도’, ‘무릎이’ 등 실제 단어의 발음을 바탕으로 복합 음운 변동을 분석하는 문제 위주로 출제되어, 개념을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 적용력이 요구되었다.
문학은 현대시(「숲」, 「깊은 흙」, 「연두에 울다」, 「농무」 등), 고전 시가, 고전 산문(「흥보전」), 현대 소설(「돌다리」, 「배반의 여름」)까지 다양한 갈래의 작품이 고르게 출제되었다. 시적 공간, 정서 변화, 시어의 상징성을 파악하는 문제가 많았고, 맥락을 바탕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도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학생의 감상문을 분석하여 어떤 맥락(작가, 독자, 사회문화 등)을 중심으로 감상했는지를 묻는 문제가 출제되어 문학 감상의 사고 깊이를 요구했다. 또한 서사 갈래에서는 서술자의 시점, 인물 심리 묘사 등을 통해 서술 방식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였다.
이번 시험은 개념 암기뿐만 아니라, 실제 적용과 해석 능력, 감상의 폭넓은 사고가 요구되는 종합적 사고형 평가였으며, 특히 서답형에서는 개념을 정확한 용어로 기술하고 조건에 맞게 서술하는 능력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기말고사에서는 문법의 심화 개념(형태소, 품사, 문법 요소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고, 문학 역시 다양한 작품 간 비교 감상 능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단순한 암기에 그치지 않고, 각 영역별 사고력과 분석력을 꾸준히 길러야 할 필요가 있다.
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02-2653-3644~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