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진명여고 2학년 1학기 문학 중간고사는 선택형 28문제로 구성되었고, 전체 난이도는 ‘중’ 수준이었다. 교과서 작품 외에도 학교 프린트와 부교재(EBS 올림포스)에 수록된 작품이 일부 포함되어, 다양한 작품들을 연계하여 작품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는 능력이 관건이었다.
총 9개의 지문이 출제됐으며, 대부분의 지문이 두 작품 이상을 엮어 구성됐다. 특히 고려가요, 고대가요, 가사 지문처럼 고전시가를 한꺼번에 묶어 비교하는 문제가 많았고, 표현상의 특징, 시어의 기능, 화자의 태도 등을 동시에 파악해야 했기 때문에 지문 해석과 선택지 분석에 시간이 소요되는 구조였다.
현대시는 내재적 관점, 주객전도, 윤리적 기능, 상호텍스트적 맥락 등 문학 개념과 감상 능력을 동시에 묻는 형태로 출제되었다. 주객전도 표현법을 적용한 시를 고르는 문제나, 상호텍스트 맥락 문제는 난이도가 높았고, 부교재 문제와 유사한 형태의 문제가 그대로 나와 해당 자료를 학습한 학생에게는 유리했다.
고전소설 지문에서는 ‘유충렬전’, ‘이춘풍전’, ‘장끼전’, ‘사씨남정기’ 등이 출제되었고, 작품 간 내용 비교, 인물 분석, 사건의 기능, 꿈의 역할 등 기본적인 줄거리 이해는 물론 세부 내용까지 물었다. 그리고 사자성어, 반영론적 관점으로 작품을 감상하는 내용을 묻는 문제도 출제되었다.
극과 현대소설 영역에서는 ‘북어 대가리’, ‘소리의 빛’, ‘나상’이 출제됐다. 상징적 소재의 의미, 시나리오로 각색한 내용, 소재의 기능 등 작품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해야 하는 유형이 다수 등장했다. 동일한 기능을 지닌 소재를 고르는 문제는 특히 변별력 있게 출제된 고난도 문항이었다.
정리하면, 시험 자체가 단편적인 지식보다는 다양한 작품에 대한 비교, 맥락 이해, 개념 적용 능력을 요구했다. 지문 분량이 많고 그만큼 작품 수도 많기 때문에 평상시에 꾸준하게 학습이 이루어졌어야 했다. 기말고사를 대비하려면 다양한 작품을 비교, 분석하는 능력과 더불어 부교재에 수록된 문제를 반복 학습하고, 작품 간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정리하는 것이 필수다. 짧은 시간 안에 여러 작품을 이해하려는 벼락치기식의 작품 학습이 아닌, 장기간에 걸친 작품 학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목동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02-2653-3644~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