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기를 마치고 잠시 숨을 돌리는 여름방학이지만, 학부모와 학생에게는 오히려 2학기를 어떻게 준비하느냐가 더 중요한 시점이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움의 깊이와 교과 난이도는 높아지고, 특히 2학기에는 단원평가, 수행평가, 서술형 문항 등 다양한 평가 방식으로 인해 학습 격차가 뚜렷해지는 시기이다. 단순히 진도를 따라가고 성적을 맞추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지금은 전략이 필요한 시기이다.
왜 지금 ‘전략’이 필요한가?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여전히 영어와 수학 중심의 학습에 집중하고 있다. 물론 기초 학습 능력으로서의 중요성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흐름은 점점 더 융합적 사고력, 글쓰기와 표현력, 교과 간 통합 이해력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사회, 과학, 국어 등 비주요 과목에 대한 대비 부족은 서술형 평가에서의 약점으로 드러난다. 교과서에서 다루는 핵심 개념, 어휘, 문장 표현에 익숙하지 않다 보니 ‘아는 듯하지만 막상 쓰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되는 것이다. 결국, 읽고 이해하고 표현하는 힘이 성적과 직결되는 흐름 속에 있다.
학년별로 다른 준비 전략이 필요하다
초등 저학년은 ‘인풋’ 중심의 시기이다. 다양한 책을 읽고, 말로 표현하고, 일기로 풀어보며 표현의 즐거움을 키워야 한다. 읽기 → 말하기 → 간단한 쓰기로 이어지는 훈련이 필요하다. 초등 고학년에서 중등 초반은 과목별 개념과 어휘, 간단한 정리·요약 훈련이 핵심이다. 사회·과학 교과서를 읽고 핵심을 추려 쓰는 연습은 중등 서술형 대비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중학생은 본격적인 내신과 수행평가 대비가 시작된다. 하지만 많은 아이들이 단순 암기에 익숙해, 문제의 이유를 설명하거나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 시기에는 반드시 비문학 독해, 독서 기반 글쓰기, 논리적 주장 정리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글쓰기와 독서는 모든 교과의 바탕
글쓰기는 단지 국어 과목만을 위한 기술이 아니다. 생각을 정리하고, 정보를 구조화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설득하는 능력은 모든 교과와 평가의 핵심 역량이다. 하지만 많은 아이들이 글쓰기를 어렵게 느낀다. 무엇을 써야 할지 모르고, 단어가 부족하며, 문장 구성이 단순해 자신감을 잃기 쉽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단계적인 훈련과 ‘말하기 → 생각하기 → 쓰기’의 연결 경험이다. 좋아하는 것에 대해 한 줄 쓰기부터 시작해, 점차 문단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안내해 줘야 한다.
아이들은 왜 글쓰기를 어려워할까?
많은 아이들이 이렇게 말한다. “무슨 얘기를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 “기억이 안 나요.”, “그냥 안 쓰고 싶어요.” 이는 단지 글쓰기가 어렵다는 뜻만은 아니다. 자신의 감정을 마주하는 것이 낯설고, 표현하는 법을 몰라 두렵기 때문이다. ‘일기 쓰기’조차 힘들어하는 이유는, 소재를 떠올리는 경험이 부족하고 감정 표현 훈련을 못 해서 완벽하게 써야 한다는 부담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디 갔다 왔어?”라고 물었을 때 기억이 안 난다고 말하는 아이들이 많다. 이는 단순히 기억력의 문제가 아니라, 일상을 바라보고 정리해 남기는 훈련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아이들은 책을 읽어도 생각을 정리하지 못하고, 생각을 해도 글로 옮기지 못한다.
지금 필요한 건 ‘잘 쓰는 글’이 아니다
우리가 지금 해야 할 일은 글을 잘 쓰게 하기보다, 글을 두려워하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일상 속 작은 감정을 말로 표현해 보기, 한 줄 일기부터 시작해 보기, “이런 것도 써도 되는구나” 하는 자유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줄거리 요약보다는 읽은 책에서 느낀 한 문장, 한 장면을 말하고 쓰는 것으로 시작해도 충분하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아이들은 표현을 피하고, 책을 멀리하며, 자기 생각을 숨기려 한다. 하지만 그럴수록 우리는 작고 쉬운 글쓰기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 시작은 일기 한두 줄, 말로 나눈 이야기, 그림책 한 페이지 감상일 수 있다.
지금이 바로, 아이의 생각을 길러줄 시간이다
2학기 준비는 단순한 점수 맞추기가 아니다. 아이의 배움과 표현을 어떻게 회복시킬 것인가가 핵심이다. 방학이 단지 쉬는 시간이 아니라, 도약을 위한 준비 시간이 되려면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학습 전략과 독서 환경, 그리고 작은 글쓰기 경험이 필요하다.
파주 운정 하랑국어해법논술학원
김아현 원장
문의 010-8728-7742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