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기고] 수능 원서 접수 마감과 수시 원서 접수로 시작된 진정한 26학년도 입시 전쟁!

지역내일 2025-09-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발표에 따르면 올해 수능 지원자는 55만 4174명으로 지난해 지원자 52만 2,670명에 비해 6% 정도 증가했다. 특히 재학생이 37만 1,897명으로 크게 증가했는데, ‘황금돼지띠’ 2007년생들이 증가한 이유가 크다. 반면 졸업생 지원자는 15만 9,922명으로 16만1,784명이었던 작년에 비해 1.2% 감소되었다. 


올해 입시는 의대 인원 감축과 사탐런이라는 두 가지 변수가 큰 영향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의대 인원의 증감 결정이 늦어진 탓에 많은 졸업생들이 수능 원툴로 ‘킵 고잉’하는 상황이 발생했고, 이는 당연히 올해 고3 상위권 학생들에게는 큰 부담이다. 또 내년으로 끝나는 현행 입시의 상황을 고려할 때, 의대를 목표로 하는 수험생들 이외에도 약대 등 비의대 메디컬 및 스카이 상위권을 노리는 수험생 모두에게 부정적 변수로 작용한다. 


여기에 올해 특히 가중된 ‘사탐런’ 현상은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사탐영역, 과탐영역 지원자 중 선택과목 두 과목 모두 사탐만 지원한 학생은 32만 4,405명, 과탐만 지원한 학생은 12만 692명, 사탐과 과탐을 각각 한 과목씩 선택한 학생은 8만 6,854명이다. 지난해 사탐만 선택한 학생 비율이 51.8%였던데 반해 올해는 9.3% 포인트 더 증가한 추세이다. 이러한 원인은 수능에서 대학들이 선택과목 제한을 폐지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학습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사탐영역으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특히 과탐 영역에서 N수생의 영향으로 고득점을 획득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고3 상위권 이과 학생들의 이탈이 커지면서 그 파급 효과는 더 커졌다.


결론적으로 올해 입시는 수시나 정시 모두 전년도보다 높은 경쟁률을 감당해야 하므로 안정 지원 중심의 전략 선택이 중요해졌다. 특히 고3에게는 수시에서 더욱 적정, 안정을 추구하는 지원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9월 평가원 모의고사의 흐름으로 볼 때, 올해 수능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되는데 이럴 경우 아무래도 경험치가 앞서는 N수생들이 더 유리한 입지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그럴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 통과 여부 등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아지는 것은 결국 현역의 몫이 될 것이다.


유웨이진로진학대치센터 박성철 센터장
문의 02-56500177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