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케데헌' 전 세계 1위, 그 핵심 주역이 홍익대 출신이라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를 비롯해 K-애니, K-디자인이 글로벌 무대를 휩쓸고 있는 배경에는 홍익대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국내 미술 교육이 자리하고 있다.
미대 입시에 대한 궁금증
이런 성공 사례들을 보며 "우리 아이도 미술 분야에 도전해 볼까?"라고 생각하는 학부모들이 늘고 있다. 9월 8일 시작된 수시 원서 접수를 보며 "미대 입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라는 질문이 많아졌다. 국영수 위주 입시에 익숙한 학부모들에게 미대 입시는 여전히 낯선 영역이기 때문이다.
미대 입시의 세 가지 큰 갈래
미대 입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서류와 면접으로 선발한다. 둘째, 수시 실기전형으로 실기 실력이 당락을 좌우한다. 셋째, 정시 실기전형으로 수능 성적과 실기의 균형이 중요하다.
학종의 핵심, 대학별 독자 서류
수시 학종에서 주목할 점은 상위권 대학들이 각자 독자적인 서류 양식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홍익대 '미술활동보고서', 이화여대 '활동보고서', 고려대 '창의활동보고서', 중앙대 '미술실적보고서'가 그것이다. 생기부 외에 이 서류들이 평가의 핵심이 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대학마다 다르다. 홍익대 3개 영역 합 9등급, 이화여대 2개 영역 합 7등급, 고려대 3개 영역 합 8등급 이내다. 서울대, 국민대, 서울과기대, 경희대 등도 학종으로 선발한다.
실기전형의 두 가지 유형
수시 실기전형도 두 갈래로 나뉜다. 실기 반영비율이 높은 '실기 위주 전형'과, 내신으로 일정 배수를 선발해 실기 기회를 주는 '다단계 전형'이다. 한양대, 서울과기대, 숙명여대 등이 다단계 전형을 운영한다.
정시의 특별한 케이스, 홍익대
최상위권 대학을 필두로 미대 입시는 수능을 더 신뢰하는 지표로 활용하기 때문에 서울대, 국민대, 이화여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상위권 미대 대부분이 정시에서 많은 인원을 선발한다. 그런데 홍익대만은 정시에서도 학종 방식을 유지한다는 점이 특별하다. 수능 성적으로 1차 선발 후 서류 평가를 거쳐 최종 선발하는 구조다.
세계 무대, 미대 입시에서 시작하다
최상위권 학생은 수시에서 홍익대, 정시에서 서울대를 목표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 전략이다. 두 대학 모두 단순한 실기 실력보다 종합적 사고력을 중시하기 때문에 준비 방향성도 비슷하다.
미술과 디자인에 관심 있는 자녀를 둔 학부모라면, 이제 미대 입시의 전체 구조를 파악했으니 자녀에게 맞는 전형을 선택해 체계적으로 준비해 보자. '케데헌'의 주역처럼 우리 아이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기회가 열려 있다.
아트로직 온라인 미대 입시 송원근 강사
문의 02-532-0508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