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선유고 1학년 2학기 중간고사 국어는 선택형 24문제, 단답형 4문제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난도는 ‘중상’ 수준으로 분석된다. 시험은 문학과 문법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화법 영역에서는 모의고사 형태의 발표 지문이 등장했다. 수업 시간에 다룬 학교 프린트 중심의 내용이 대부분 출제되었지만, 문법의 경우 개념 적용 능력을 요구해 체감 난도가 다소 높았다.
화법 영역에서는 교과서 대신 모의고사 발표 지문이 사용됐다. 발표자의 말하기 방식, 발표 개요, 청중의 반응 등을 묻는 문제로 구성되어, 모의고사 경험이 있는 학생이라면 무난히 풀 수 있는 수준이었다. 다만, 지문이 생소해 지문 독해 속도에 따라 체감 난이도에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문학 영역은 학교 프린트로 학습한 시조, 향가계 고려가요, 가사, 현대시 작품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시조에서는 갈래의 특징, 표현법, 유사 작품 비교, 구절 해석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단답형은 ‘지평’ 개념과 ‘안빈낙도’ 주제를 묻는 문제로 수업 필기 내용이 그대로 반영됐다. 또한 <정과정>과 <속미인곡>은 현대시와 함께 출제되어 화자의 태도, 객관적 상관물, 대화의 흐름 등 세부적 분석을 요구했다. 문학 영역은 전반적으로 수업 내용을 충실히 정리한 학생에게 유리했으며, 교과 외 확장보다는 수업 내 정리의 정확성이 중요했다.
문법 영역은 중세국어 단원에서 출제되었다. 음운 체계, 창제 원리, 문자 운용법, 구개음화, 격조사, 높임 표현, 의문문, ㅎ종성 체언 등 주요 개념이 모두 포함됐다. 특히 복합 개념을 적용한 예문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고, 이는 수능형·모의고사형 접근을 요구하는 수준이었다. 단답형으로는 어두자음군, 된소리 표기, 성조 구분 문제가 출제되어 기초 개념뿐 아니라 세부 구분까지 이해해야 풀 수 있었다.
이번 시험의 핵심은 학교 수업 중심의 정리와 문법 개념의 ‘적용력’이었다. 문학은 프린트 내용을 충실히 학습한 학생이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던 반면, 문법은 개념을 단순히 암기하는 수준을 넘어 문제 속 예문에 정확히 적용할 수 있어야 했다.
기말고사 대비에서는 문법 심화 개념을 체계적으로 복습하고, 학습한 문학 작품의 표현법과 주제, 화자의 정서를 비교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선유고의 출제 경향상 학교 수업 내용을 기반으로 하지만, 이를 수능형 문제로 변형하여 출제하는 경향이 뚜렷하므로 수업 필기 복습과 문제 적용 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목동 앞단지 고등 국어학원
한얼국어논술전문학원
김운식 원장
02-2653-3644~5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