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해력' 검색결과 총 1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영어의 독해력과 어휘력 향상의 효율적인 전략 중.고등학생의 영어실력 향상의 기본이 되는 것은 체계적이고 풍부한 어휘력을 기르는 것이다. 똑같은 시간을 들이고도 많은 어휘를 숙달시키는 학생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못한 학생이 있는데 그 차이점은 무엇일까?많은 어휘를 뇌를 자극하지 않고 막연하게 억지로 암기하면 곧 잊어버리기 쉽다. 다시말해서 별 생각 없이 기계적으로 암기한 어휘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쉽게 망각되는 것이다.오랫동안 많은 학생들은 지도하다보니 체계적이고 풍부한 어휘력을 기르는 전략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어휘 암기 시에 자연스럽게 물 흐르듯이 자연스럽게 발음해 나가면서 발음시에 통발음식 뜻 암기를 권한다. 모의고사나 학교 영어성적이 잘 안 나오는 것 들 중에 하나가 어휘력의 부족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많은 어휘를 자연스럽게 기억하기 좋은 방법 중 에 하나는 온라인 보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원어민의 발음을 들으면서 뜻을 고르고, 뜻을 보고 영어스펠링들을 찾고, 예문 속에서 밑줄친 곳의 단어를 찾고 스펠링을 치는 온라인 4단계 보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어휘력을 넓힌다.두 번째 영어독해 속에서 나오는 단어의 여러개의 동의어들과 반의어들을 많이 연결해서 정리하고 암기한다. 특히 스펠링이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운 어휘형 어법들의 단어들은 신경 써서 정리한다. 예를들면 독해지문의 수업에서 ‘Proper’ 라는 단어가 나온다고 하면,‘Proper : 적절한, 알맞은’ 과 동의어들을 정리한다는 것이다.Proper = adequate, appropriate, suitable, moderate, right, reasionable, fit반의어도 정리하는데, 부적절한 : improper , inadequate, unsuitalle, unfit, out of place.또한 Proper 와 Prosper의 차이도 정리해 놓는다.Prosper : 번영하다, 번창하다 = thrive, flourish, boom.독해 수업 때에 나온 단어들의 많은 유의어들과 반의어들을 정리하고 암기한다면,다음번에 여러 단어들 중에서 appropriate 라는 단어가 나오면 이번에는 appropriate의 동의어들을 또 정리하다 보면 반복되면서 연결이 되는 자연스러운 학습으로 효과가 높아진다.보카 노트를 마련해서 정리 해나가면 단편적인 어휘력이 아닌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어휘력의 향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거기에 온라인 보카를 통해 자연스럽게 매일 꾸준히 자연스럽게 섭렵해온 어휘력이 연결된다면 그 효과는 배가 된다.셋째, 자연스럽게 향상된 어휘력을 바탕으로 독해력을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어휘만 많이 알고 있다고 좋은 독해력이 완성됐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전쟁터에서 적군과 총으로 전투 할 때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가장 기본은 무엇보다도 많은 총알들일 것이다. 적군보다 총알이 먼저 떨어진다면 패배인 것이다.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적군보다 더 많은 총알들은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며, 다음으로 총알들로 적을 쓰러뜨릴 수 있도록 명중률이 높아야 하는 것이다. 풍부한 어휘는 있지만 속독속해의 정확한 Skim Reading이 되어야 하고, 단락별 문맥의 흐름을 꿰어서 연결시켜야 한다.글의 핵심이 무엇인지, 글의 흐름을 정확히 파악해야 빈칸추론 문제들이나 문장넣기 문제들, 순서잡기 문제, 어휘형 어법과 신경향 어휘문제를 매끈하게 풀 수 있는 것이다.쉽게 말해서 전장에서 총격전으로 승리하려면 그만큼 총을 잘 쏘는, 즉 명중률을 높여야 하는 것처럼 많은 유형의 문제들과 독해력 연습을 부단히 해야 한다는 것이다.영어도 국어처럼 많은 지문들을 빠른 속도로 전체흐름과 주제를 정확하게 끌어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영어의 고난이도 독해 문제들은 국어영역의 축소판과 같다고 할 수 있다.특히 내용일치 여부문제들을 오답 없이 잡기 위해서는 단순한 독해 유형문제만 연습해서 스킬만 키울게 아니라, 심오한 독해력을 키우고 거기에 실전유형 문제들의 학습이 어우러져야된다. 정해진 시간 내에 정확한 속독과 skim 리딩 능력을 키워야 한다.결국 독해력의 향상을 위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어휘력이고 거기에 속독속해를 통한 전체문맥의 정확한 파악이 중요하다. 풍부한 어휘력의 바탕위에 정확한 독해력과 유형별로 문제를 속독으로 풀 수 있는 능력을 키워 나가야한다. 그래야 학교 영어시험과 수능과 모의고사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독해력은 영어학습의 종합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에이플러스 학원 2019-03-21
- 독해력 어디서부터 어떻게 키워줘야 할까? 2019년도 수능 국어가 이슈로 떠올랐다. 2018년 국어만점자가 3,214명이었던 것에 비해 2019년 148명으로 전년대비 현저히 줄어들었다. 무엇이 문제였을까? 수능국어 점수를 가르는 주요원인은 독해력에 있었다는 분석이다. 첫 문제부터 엄청난 양의 지문이 등장해 수험생들은 시작부터 시간 부족에 시달려야 했다. 특히 독서(비문학)파트 문제들은 역대 최고난도 수준이었다. 결국 지문과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읽어내는 능력이 수능 성패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이었던 것이다. 앞으로도 수능에서는 독해력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그렇다면 독해력은 어디서부터 어떻게 키워주어야 할까?독해력은 단지 중고등 시기에 닥치는 문제가 아니라 당장 초등교과 공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초등3학년부터 사회, 과학 교과 학습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초등3학년이후부터 교과목이 배로 늘고 학습내용이 심화되면서 교과 속 어휘 역시 어렵고 까다로워지기 때문에 독해력이 없다면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없다. 따라서 입학 전부터 학년과 아이들의 읽기 발달 단계에 따라 그에 맞는 독해력을 키워야 한다. 독해력은 단순히 많이 읽거나 문제풀이를 한다고 늘지 않는다. 독해력이 좋다는 것은 ‘단순히 잘 읽는다.’가 아니라 긴 문장, 긴 글이 이해가 되고, 여러 문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전체적인 맥락과 주제까지 파악할 수 있고, 문제가 어려워도 지문을 해석하고 문제에 대입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독해력의 가장 기본은 어휘력이다. 국어는 모국어라는 이유로 단어 이해를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교과서에 등장하는 어휘 대부분은 한자어, 개념어, 관념어들로 이를 제대로 이해 못하는 아이들이 많다. 게다가 교과 어휘를 평가에서 제대로 활용하려면 유의어, 반대어, 상의어, 하의어 등 확장개념까지 알고 있어야 한다. 아는 단어라고 지나치지 말고 직접 활용하며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체득해야 한다. 독해는 정확한 내용이해가 되어야 한다. 지문을 제법 잘 읽고 이해하는데 막상 문제를 풀면 틀릴 때가 많다. 이는 내용 이해를 정확히 하지 못하고, 자기 주관을 개입하여 해석하기 때문이다. 문장 간 관계를 보여주는 단어가 없음에도 임의로 해석하는 습관을 갖게 되면고치기 어렵기 때문에 수시로 체크하여 바로 잡아주어야 한다. 아이가 글을 읽고 나면 내용을 떠올려 이야기하게 하거나, 글의 내용을 토대로 퀴즈를 내고 맞히게 한다. 또한 책을 읽고 줄거리를 시간 순서대로 간단하게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영어 독해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독해력을 키우려면 문학과 비문학은 다르게 읽어야 한다. 최근 수능에서의 문학과 비문학 출제 경향을 보면 문학은 지문의 길이가 엄청난 수준으로 길어지고, 시/소설/희곡 등의 여러 장르가 융합된 복합 지문이나 문제가 출제되는 추세이나, 비문학의 경우는 문제유형은 비교적 단순하나 지문의 난도가 매우 높다. 문학과 비문학은 본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다르게 읽어야 한다. 문학에서는 작가나 등장인물에 공감하며 읽는 능력이, 비문학에서는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을 파악하는 능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리하자면 독해가 요구하는 진짜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어휘력’과 ‘정확한 내용 이해 습관’은 기본이며 ‘문학과 비문학 다르게 읽기’ 그리고 교과 학습 내용과 연결해 읽을 수 있는 책과 활동으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것이다.한우리독서토론논술 김순애지부장상록지부 408-1939 2018-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