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여대' 검색결과 총 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2021학년도 서울여자대학교 입학전형 서울여자대학교(총장 전혜정, 이하 서울여대)는 노원·도봉지역 여학생들의 최고 인기 대학으로 공동체 가치를 실현하는 플러스형 인재를 양성하고자 1961년 설립되었다. ‘고교교육 기여대학’, ‘학부교육선도대학(ACE)’, ‘대학 특성화사업(CK)’,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여성공학인재 양성사업’ 등에 선정되면서 미래 산업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떠오르고 있다. 입학팀 최일춘 입학사정관을 만나 2021학년도 입학전형에 대해 들어보았다.2021학년도 입학전형 주요 변경사항2021학년도 서울여대 모집인원은 수시 1,123명, 정시 599명으로 총 1,722명(정원 외 86명 포함)이다. 지난해에 비해 수시는 86명 증가했고, 정시는 45명 감소했다. 수시를 나눠보면 학생부교과가 39명,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인 바롬인재전형이 65명, 실기/실적전형이 4명 늘었다. 반면에 같은 학종인 플러스인재전형은 20명 감소했다. 논술전형은 150명, 고른기회전형은 141명으로 그대로다.올해 입학전형의 가장 큰 변화는 데이터사이언스학과의 신설이다. 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컴퓨터, 수학, 통계학을 기초로 인문, 사회, 경제, 예술, 과학 분야의 다양한 응용과 활용에 초점을 맞춘 학과다. 서울여대는 데이터사이언스학과를 통해 사물인터넷(IoT)에서 생성되는 수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뒤에 숨겨진 사람들의 마음과 행동 양식을 읽어 낼 수 있는 창의적 데이터 여성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분야가 첨단과학 분야 유망 직업으로 각광받고 있는 요즈음, 데이터엔지니어, 데이터사이언티스트, 빅데이터분석가, 데이터시각화디자이너, 전략컨설턴트 등 다양한 분야에 필요한 데이터 전문가를 양성함으로써 학생들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2021학년도부터 수시로 26명, 정시로 14명의 신입생을 선발해 총 40명을 모집한다.둘째, 지난해까지 융합인재전형으로 경제학과, 경영학과 등도 선발했으나 올해부터는 SW융합인재전형으로 전형명을 바꾸고 디지털미디어, 정보보호, 소프트웨어융합학과만 선발한다. 플러스인재전형에서는 이 3개 학과는 선발하지 않는다. 교육심리학과는 바롬과 플러스인재전형으로 나눠 선발하던 것을 바롬인재전형에서만 8명을 모집한다. 스포츠운동과학과(체육학과에서 학과명 변경)도 바롬인재전형에 새롭게 4명이 추가되었다.셋째, 단계별 전형이었던 고른기회전형이 서류 100% 일괄합산 전형으로 바뀐다.2021학년도 수시 전형 특징 및 선발방법서울여대는 2021학년도 수시에서 전체 1,722명의 65.2%에 해당하는 1,123명을 모집한다. 학생부교과전형은 221명으로 학생부 교과 100%에 수능 최저가 있다. 국어, 수학(가/나), 영어, 탐구(1과목) 중 2개 합 7등급 이내이고, 각 4등급 이내여야 한다. 단, 영어영역 포함 시에는 2개 합 5등급 이내다. 기독교학과, 스포츠운동과학과, 아트앤디자인스쿨은 교과전형 으로 선발하지 않는다. 2020학년도 교과전형 최종 합격자 상위 12개 과목 내신평균은 2.0등급으로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지난해 1.9보다 소폭 하락했다.학종은 바롬인재전형(313명)과 플러스인재전형(152명)으로 이원화되어있다. 두 전형의 다른 점에 대해 최일춘 입학사정관은 “우선, 면접시기의 차이입니다. 바롬인재전형은 수능 전에, 플러스인재전형은 수능 후에 면접이 이루어집니다. 두 전형의 가장 큰 차이는 서류평가 방식의 차이입니다. 바롬인재전형은 전공적합성(30%), 학업역량(30%), 인성(20%), 발전가능성(20%)을 정성적으로 종합 평가합니다. 반면 플러스인재전형은 특정 평가요소가 우수한 학생의 발전가능성(100%)을 중심으로 정성적으로 종합 평가합니다”라고 한다. 전형방법은 두 전형 모두 1단계 서류평가 100%, 2단계 서류 60%와 면접 40%로 동일하다. 수능 최저는 없다. 서류는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를 토대로 하고 면접은 제출서류 기반이다. 서류평가와 면접평가 모두 블라인드로 진행된다. 아트앤디자인스쿨 공예전공은 학종 모집이 없다. 2020학년도 바롬인재전형 최종 합격자 내신평균은 3.2로 지난해 3.3등급보다 소폭 상승했다. 플러스인재전형은 3.6등급으로 지난해와 동일하다. 〈서울여자대학교 2021학년도 수시모집 1:1입학상담센터〉신청을 하면 8월 15일까지 매주 토요일 상담이 가능하다.논술위주전형은 150명으로 논술 70%에 학생부 교과 30%이다. 최저학력기준은 교과전형과 동일하다. 제시문 자료와 도표 분석을 통해 견해를 제시해야 하는 문항 2개가 출제된다. 자연계열 출제과목은 수학이 아니라 통합과학과 생명과학Ⅰ이다. 기독교학과, 스포츠운동과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아트앤디자인스쿨은 논술 모집이 없다. 2020학년도 논술 최종 합격자 상위 12개 과목의 내신 평균은 3.6등급이었다. 온라인 모의논술은 8월 3일부터 8월 12일까지 실시 예정이다.2021학년도 정시 전형 특징 및 선발방법서울여대는 2021학년도 정시 모집인원 599명 중 (가)군에서 309명, (나)군에서 67명, (다)군에서 223명을 선발한다. 산업디자인학과, 스포츠운동과학과, 시각디자인전공은 실기가 40%, 공예전공, 현대미술전공은 실기가 60%이다. 나머지 학과는 모두 수능 100%로 선발한다.반영영역의 백분위를 영역별 점수 환산 방법으로 환산하여 반영한다. 탐구영역은 2개 과목 중 상위 1개 과목의 백분위를 반영한다. 2020학년도 정시 최종 등록자 백분위 평균은 86.84이었다(예체능계열 제외).표1. 2021학년도 서울여대 모집인원 변경 사항표2. 2020학년도 서울여대 수시모집 전형별 학생부 교과 등급 평균※ 교과우수자전형 학생부 반영 방법 : 각 교과별 상위 3과목씩 총 12과목 성적 반영(학년별 반영비율 없음)※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 성적 산출근거 : 학생부 4개 교과 전과목 평균(정성적 종합평가 전형이므로 교과 성적은 참고용)※ 반영 교과 : 인문사회계열 : 국어, 영어, 수학, 사회 / 자연계열 : 국어, 영어, 수학, 과학 2020-07-30
-
국민대, 명지대, 서울여대, 숭실대 4개 대학 통합 <선택교과목 가이드북> 발간 명지대학교(대표 대학), 국민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가 ‘2018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공동연구’ 과제로 수행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시행에 따른 학생부종합전형 평가방안 도출’ 연구의 일부로 <2015 개정 교육과정 학종 준비 위한 선택교과목 가이드북>이 발간됐다. 교과목 선택을 앞두고 있는 고교생이라면 학생부종합전형 준비와 맞물려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자료 2018 고교교육 기여대학 <2015 개정교육과정 학종 준비 위한 선택교과목 가이드북> 사진출처 각 대학 홈페이지계열과 전공 고려한 선택 교과 명시4개 대학 통합 계열별 선택 과목 가이드에는 인문사회 계열, 자연과학 계열, 공학 계열, 예체능 계열, N.C.E(Not Classified Elswhere : 달리 분류되지 않는 학과)를 대분류로 구분하고 세부적인 학과군을 중분류로 나눠, 각 모집단위에 맞는 일반 선택·진로 선택 교과를 명시했다. 또한, 대학별 선택 과목 가이드로 4개 대학별 계열, 전공과 연계한 선택 교과도 세분화해 공개했다.참고로 가이드북에서 예시로 든 전공 연계 선택 교과는 고교마다 개설 교과목이 다르고 학생 개개인의 세부 진로 방향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단순 참고로만 활용하기 바란다인문사회 계열 진로 선택 교과경영·경제, 교육, 법학, 사회과학, 언어·문학, 인문학. *N.C.E(Not Classified Elswhere : 달리 분류되지 않는 학과. 명지대 전공자유학부&융합전공학부 및 서울여대 자율전공학부가 포함)로 구분해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 교과를 명시하고 있다. 다음은 계열에 맞춰 가이드북이 제시하는 진로 선택 교과를 정리한 내용이다.① 경영·경제 : 기하, 경제수학, 사회문제 탐구, 창의경영, 영어권 문화, 제2외국어Ⅱ, 지식 재산 일반, 진로영어, 수학과제 탐구② 교육 : 사회문제 탐구, 생활과 과학③ 법학 : 사회문제 탐구, 고전과 윤리, 실용영어, 한문Ⅱ, 심화국어④ 사회과학 : 사회문제 탐구, 심화국어, 실용영어, 영어권 문화, 경제수학, 고전읽기, 고전과 윤리, 가정과학⑤ 언어·문학 : 심화국어, 고전읽기, 사회문제탐구, 고전과 윤리, 과학사, 한문Ⅱ, 영미문학읽기, 진로영어, 영어권 문화, 제2외국어Ⅱ (독일어Ⅱ, 프랑스어Ⅱ, 중국어Ⅱ, 일본어Ⅱ, 러시아어Ⅱ)⑥ 인문학 : 사회문제 탐구, 고전읽기, 고전과 윤리, 과학사, 미술 감상과 비평, 한문Ⅱ, 제2외국어Ⅱ⑦ N.C.E : 사회문제 탐구자연과학 계열 진로 선택 교과농림·수산, 생활과학, 생활과학/농림·수산, 수학·물리·천문·지구, 화학·생명과학·환경, N.C.E(명지대 전공자유학부와 서울여대 자율전공학부가 포함)로 구분해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 교과를 명시하고 있다.① 농림·수산 : 기하,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융합과학, 농업생명과학② 생활과학 : 기하, 화학Ⅱ, 생명과학Ⅱ, 융합과학, 가정과학, 생활과 과학, 미술창작, 창의경영③ 생활과학/농림·수산 : 기하, 화학Ⅱ, 생명과학Ⅱ, 농업생명과학④ 수학·물리·천문·지구 : 기하, 수학과제 탐구, 실용수학, 경제수학, 물리학Ⅱ, 화학Ⅱ, 지구과학Ⅱ, 융합과학⑤ 화학·생명과학·환경 : 기하, 수학과제 탐구, 경제수학,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Ⅱ, 융합과학, 공학일반⑥ N.C.E : 수학과제 탐구, 과학사, 생활과 과학, 공학일반공학 계열 진로 선택 교과건설, 기계, 산업·안전, 재료, 전기·전자·컴퓨터, 화공·고분자·에너지로 구분해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 교과를 명시하고 있다.① 건설 : 기하, 공학일반, 융합과학, 물리학Ⅱ, 화학Ⅱ, 지구과학Ⅱ, 수학과제 탐구, 미술 감상과 비평, 미술창작② 기계 : 기하, 물리학Ⅱ, 화학Ⅱ, 융합과학, 공학 일반③ 산업·안전 : 기하, 경제 수학, 물리학Ⅱ, 화학Ⅱ, 융합과학, 공학 일반④ 재료 : 기하, 물리학Ⅱ, 화학Ⅱ, 융합과학, 영어, 공학 일반⑤ 전기·전자·컴퓨터 : 기하, 실용수학, 물리학Ⅱ, 화학Ⅱ, 생명과학Ⅱ, 지식재산일반, 융합과학, 공학 일반, 생활과 과학⑥ 화공·고분자·에너지 : 기하, 화학Ⅱ, 물리학Ⅱ, 융합과학, 공학 일반예체능 계열 진로 선택 교과교육, 연극·영화, 음악, 무용·체육, 미술, N.C.E(명지대 바둑학과 포함)로 구분해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 교과를 명시하고 있다.① 교육 :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② 연극·영화 :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미술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③ 음악 :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④ 무용·체육 : 스포츠 생활, 체육 탐구,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⑤ 미술 :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비평, 음악 연주, 음악 감상과 비평, 실용수학, 실용영어N.C.E인문사회, 자연, 공학, 예체능 계열과 별도로 N.C.E를 중분류로 숭실대 융합특성화자유전공학부가 포함되어 있다.① N.C.E : 사회문제 탐구, 수학과제 탐구, 진로영어, 융합과학※ 참고로 <2015 개정교육과정 학종 준비 위한 선택교과목 가이드북>은 명지대 입학처 홈페이지(http://ipsi.mju.ac.kr) 내 고교-대학연계 → MJ자료실과 숭실대 입학처 홈페이지(http://iphak.ssu.ac.kr) 내 학생부종합전형자료실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선택 과목,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방향은?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더라도 학생부종합전형 평가의 큰 방향성(학생별/역량별 평가, 학생의 성장 과정 중심 평가, 교육과정 및 고교환경 등 고려)은 기존대로 유지된다. <2015 개정교육과정 학종 준비 위한 선택교과목 가이드북>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평가 기준에 대해 이렇게 밝혔다. 첫째, 단편적 지식 암기를 지양하고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의 심층 이해 정도를 평가한다. 둘째,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의 과정을 평가한다. 셋째, ‘학생 중심’ 학습 활동 (선택 과목 구성, 과목 선택의 배경 및 계기, 학습 과정에서의 개별적 특성 등)이 반영된다.먼저, 학업역량은 ‘선택과목의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학업 수행의 특성, 문제해결 과정, 학업에 대한 도전적 태도 및 의지 등을 포함해 평가’ 한다. 전공적합성은 ‘관심분야에 대한 열정 및 노력 정도, 이수한 교과목의 구성, 특정 과목을 선택하게 된 배경 및 계기, 학업 수행 과정 및 학업의 질적 수준’을 평가한다. 발전가능성 및 자기주도성은 ‘관심분야에 대한 열정 및 노력 정도, 학생 개개인의 선택과목 및 자기주도적 실천 노력, 선택 과목을 통해 길러진 폭넓은 사고력’을 기준으로 평가한다.서류평가 요소 및 평가 항목(표 참조)은 대학마다 조금씩 다르므로, 각 대학 입학처 수시모집 전형 및 세부 평가 기준을 참고해 선택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4개 대학 서류평가 요소 및 평가 항목4개 대학 서류평가 요소 및 평가 항목국민대-자기주도성 및 도전정신(자기주도성, 발전가능성) -전공적합성(학업능력, 전공잠재력)-인성(공동체 의식 및 협동능력) 명지대-인성(성실성, 공동체 의식)-전공적합성(학업역량, 전공적성)-발전가능성(자기주도성, 도전정신)서울여대-학업역량(학업성취도, 학업태도와 학 2019-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