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 검색결과 총 4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어느 날 시력의 변화를 느낄 때 48세 무렵인 듯하다. 책을 읽다 TV 화면을 보는데 TV화면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았다. 지속적으로 보니 다시 선명하게 보이기 시작했다. 책의 글씨가 순간적으로 초점이 맞지 않았다. 노안의 시작이었다.40세 중반 이후에 나타나는 노안40대 중반 이후에 근거리 시력장애와 더불어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데 이를 노안이라 한다. 초점의 전환이 늦어지는 현상, 눈의 침침함, 피로와 과도한 눈물, 두통이 있을 수 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안구의 조절력은 감소하게 된다. 이는 모양체(수정체의 양끝에서 수정체의 굴절력을 조절하는 근육)근의 근력저하와 수정체의 탄력성 저하, 수정체의 비대에 의해 발생한다. 나이가 젊을 때에는 모양체나 수정체가 탄력이 뛰어나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때 모양체가 수축하고 수정체가 두꺼워져 굴절력이 증가되어 또렷이 볼 수가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수정체가 탄력성이 떨어지고 비대해진다. 가까운 것을 볼 때 수정체의 굴절력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먼 거리는 잘 보이고 가까운 곳에 있는 상이 흐리게 보이게 된다.특히 가까운 거리의 상이 흐릿하게 보여 멀리 띠워야 초점이 맞춰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시력이 정상이었던 분들은 멀리 띠운 작은 글씨가 잘 안보여 돋보기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근시로 안경을 썼던 분들은 가까운 곳을 볼 때 안경을 벗어야 잘 보이는 현상도 일어난다.노안의 관리와 치료노안의 관리와 치료에 있어서 양방은 여러 가지 수술적 처방을 내놓고 있지만 한방에서는 노안의 지연과 노안 진행의 완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노안이 진행되면 눈의 원근 운동을 권한다. 우리 눈은 다행히 원근 운동을 통하여 모양체근의 굴신과 이완을 모양체의 조절력을 일정부분 향상 시킬 수 있다. 5분~10분 정도 눈의 원근 운동으로 눈에서 한 방울의 눈물을 뽑아 낼 수 있다면 노안은 완만하게 진행 될 수 있다. 한방에서 말하는 경락의 흐름이 집중되어 있는 곳이 눈이다. 따라서 눈 주위를 가볍게 마사지해주는 것부터 침을 놓는 방법까지 다양한 눈의 보강법이 있다. 선침패치를 잠자는 동안 붙이고 자는 것도 방법이다. 잠자는 동안 눈 주위 기혈순환을 개선하고 눈의 피로를 회복시켜 노안을 지연시키고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유용우한의원 유용우 원장 2020-11-20
-
교육부 ‘2019년도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발표 교육부는 지난 23일(목) ‘2019년도 학생건강검사 표본통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초중고생의 신체발달 상황, 건강생활 실천정도(건강조사) 및 주요 질환(건강검진)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 1,023개 표본 학교의10만 4,380명의 건강검사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해봤다.자료참조 교육부 <2019년도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발표 및 분석 결과>초중고 신체발달 상황과체중 이상 비율은 25.8%검사 항목은 신체발달 상황, 건강조사, 건강검진 등 총 3가지 부문이다. ‘신체발달 상황(초1 ~ 고3)’은 3개 영역인 키, 몸무게, 비만도를 검사했다. 건강조사(초1 ~ 고3)는 9개 영역에서 영양섭취‧식습관, 신체활동, 수면, 개인위생, 안전, 음주‧흡연, 가정 및 학교생활, 심리정서, TV시청‧인터넷 사용 등의 검사가 이루어졌다.‘건강검진(초1‧4, 중1, 고1)’은 13개 영역에서 근․골격 및 척추, 눈(시력‧눈병), 귀(청력‧귓병), 콧병, 목병, 피부병, 구강(치아우식‧치주질환‧부정교합), 혈압, 기관능력(호흡기‧순환기‧비뇨기‧소화기‧신경계‧기타기관능력), 소변(단백뇨‧혈뇨), 혈액검사(혈당‧총콜레스테롤‧간기능‧혈색소), B형간염항원, 흉부방사선검사가 이루어졌다. (단, 구강검진은 초등 전체에 해당)먼저 신체발달 상황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 학교 급별 최고 학년의 평균 신장을 보면 초등학생의 성장세는 큰 변화 없고, 중학생은 남녀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고등학생은 2017년 이후 남녀 모두 증가했다.2019년 기준으로 통계를 보면 남학생 평균 키는 고3 174cm, 중3 170.5cm, 초6 152cm, 여학생 평균 키는 고3 161.2cm, 중3은 160.4cm, 초6은 152.3cm로 나타났다.(그래프 ‘학교 급별 남녀 학생 키’ 참조) 남학생 평균 몸무게는 고3 71.5kg, 중3 65.3kg, 초6 48.8kg이고, 여학생 평균 몸무게는 고3 58kg, 중3 55.3kg, 초6 46.1kg로 나타났다. (그래프 ‘학교 급별 남녀 학생 몸무게’ 참조)과체중 이상 비율은 25.8%(비만 15.1% + 과체중 10.7%)로 최근 5년간 매년 1%p 수준으로 증가했다.(그래프 ‘과체중 및 비만 비율’ 참조)건강조사 결과, 학생들의 하루 6시간 이내 수면율고등학교 남학생 34.98%, 여학생 51.48%초중고 전체 ‘건강조사’ 결과에 따르면 ‘음주‧흡연 부분에서 음주 흡연 전문가와 상담 요청율’은 중학교 남학생 0.62%, 여학생 0.42%, 고등학교 남학생 1.35%, 여학생 0.35%로 고등학교 남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하루 6시간 이내 수면율’은 초등학교 남학생 2.96%, 여학생 2.37%, 중학교 남학생 9.2%, 여학생 18.46%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하루 6시간 이내 수면율이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끈다. 고등학교는 남학생 34.98%, 여학생 51.48%로, 여학생 중 절반 이상이 하루 6시간 이내 수면율을 보였다. 통계를 미루어 짐작해보면 고등학교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하루 수면율이 훨씬 더 적다고 볼 수 있다. 중‧고등학생을 통틀어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면율이 더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주3일 이상 격렬한 신체 활동 실천율’을 보면 초등학교 남학생 68.96%, 여학생 47.64%를 보였다. 중학교 남학생 46.88%, 여학생 22.39%, 고등학교 남학생 32.58%, 여학생 11.47%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할수록 신체 활동이 점점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습량이 많아지고 학업에 집중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신체활동이 줄어들었을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PC 게임이나 스마트폰 등 실내 활동 비중이 늘어났기 때문으로도 해석해볼 수 있다. (그래프 ‘주 3일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 참조)아침식사 결식률은 고등학생 21.6%, 중학생 17.65%, 초등학생 5.64%, 패스트푸드 섭취율(주1회 이상)은 고등학생 81.11%, 중학생 78.71%, 초등학생 68.59%, 라면 섭취율(주1회 이상)은 고교생 82.59%, 중학생 88.28%, 초등학생 78.3%, 우유와 유제품 섭취율은 고등학생 21.29%, 중학생 30.24%, 초등학생 44.96%, 채소 섭취율은 고등학생 22.67%, 중학생 25.04%, 초등학생 27.88%로 나타났다.(그래프 ‘초중고 학생의 식습관’ 참조)중학교 1학년 65.56%, 고등학교 1학년 74.48% 시력 이상건강검진 항목 중에 콧병 가장 많이 발생시력 이상(나안시력 0.7 이하 또는 교정중인 학생)의 비율은 2017년 이후로 53% 수준으로, 최근 최근 5년간 추이(2015년 54.71% → 2-16년 55.73% → 2017년 53.88% → 2018년 53.72% → 2019년 53.22%)를 보면 소폭 감소하는 추세이다.2019년 기준으로 시력 이상을 보인 학생은 초등학교 1학년 27.12%. 4학년 46.62%로 고학년으로 가면 2배 가까이 시력이 나빠진 것으로 풀이된다. 중학교 1학년은 65.56%, 고등학교 1학년은 74.4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 시력 교정 중인 학생은 초등학교 1학년 5.07%, 4학년 22.50%으로 인원이 크게 늘어났다. 중학교 1학년은 44.58% , 고등학교 1학년은 54.15%의 학생이 시력 교정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건강검진 항목은 근골격 및 척추 이상, 눈(시력, 눈병), 귀(귓병), 코(콧병), 목(목병), 피부(피부병), 기관능력 이상(호흡기, 순환기, 비뇨기, 소화기, 신경계, 기타 이상), 혈압(혈압 상승), 소변검사(단백뇨, 혈뇨) 등이다. 혈액Ⅰ(혈당 상승, 총 콜레스테롤 상승, 간 기능 이상) 검사는 비만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혈액Ⅱ(빈혈), 간염(B형간염항원양성), 흉부방사선검사(결핵) 등이 이루어졌다.이중 콧병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초1 3.87%, 초4 3.94%, 중1 5.31%, 고1 4.89%였다. 혈압 상승도 주목할 부분이다. 초1 2.97%, 초4 4.65%, 중1 5.35%, 고1 6.7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많은 질환은 피부병으로 초1 2.02%, 초4 2.44%, 중1 2.36%, 고1 2.57%로 나타났다.학교 급별 남학생 평균 키(cm)학교 급별 여학생 평균 키(cm)학교 급별 남학생 평균 몸무게(kg)학교 급별 여학생 평균 몸무게(kg)과체중 및 비만 비율(%)주 3일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 비율(단위: %)초중고 학생의 식습관(단위: %) 2020-07-30
-
근시 있고 시력 나쁜 아이 눈 건강 지키려면? 방학을 앞두고 자녀의 드림렌즈 착용이 고민된다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드림렌즈는 미국의 FDA(식품의약품안전국), 우리나라 KFDA(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안전성을 인증 받았고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지만, 장단점이 존재한다. 드림렌즈 착용을 앞두고 고려해야 할 부분은 무엇일까? 안과 전문의의 조언에 귀 기울여보자.성장기 어린이·청소년 근시 환자 많아근시 진행은 성장기와 관련이 깊다. 몸이 성장하면서 안구도 커지고 모양이 앞뒤로 길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물체의 상이 망막 앞에 맺혀 먼 곳의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근시가 생길 수 있다.2019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통계자료(연령별 근시 환자 수)에 따르면 전체 근시 환자 119만 8,016명 중에 10~19세가 43만 918명, 0~9세는 24만 8,099명으로 근시 환자 대부분이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근시 환자가 늘면서 근시 진행 억제와 시력 교정 효과가 있는 드림렌즈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시과학연구회(IOVS)가 발표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만 6~10세의 근시 환아를 대상으로 드림렌즈 착용 그룹과 안경만 착용한 그룹을 나눠 2년간 비교·관찰한 결과, 드림렌즈 착용 그룹의 43%에서 근시 억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연세본안과 이지민 원장은 “연구 결과처럼 드림렌즈는 근시가 시작되는 초기부터 치료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특히 7~8세에 시작할수록 근시 진행 억제 효과가 더 높다. 어릴수록 각막 탄성이 높아 교정된 시력이 유지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드림렌즈 착용 전 눈 건강 상태 점검 자녀의 드림렌즈 착용을 고려한다면 먼저 안과에서 아이의 눈 건강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이지민 원장은 “세극동 현미경 검사, 각막 지형도 검사, 각막 곡률 측정, 굴절 검사를 실시한다. 아이가 렌즈를 착용하기 적합한 도수인지(즉, 근시나 난시 정도), 각막·결막 등 전안부 이상이나 염증이 있는지, 안구건조증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 드림렌즈 착용이 적합한지 확인하는 것이 먼저이다. 그 다음 드림렌즈 착용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자녀가 중등도 이하의 근시나 난시가 있거나 안경을 불편해 한다면, 혹은 근시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거나 활동량이 많고 축구·수영·농구 등 운동을 즐기는 아이라면 드림렌즈 착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 원장은 “드림렌즈는 만 6세부터 시술이 가능하지만, 아이에 따라 눈에 이물감을 심하게 느끼거나 눈에 뭔가를 넣는다는 것에 거부감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서 드림렌즈 착용 시작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밤에만 착용, 낮에는 일상생활 제약 없어드림렌즈는 밤에 잘 때만 렌즈를 착용하면 낮에는 렌즈나 안경 없이도 정상 시력으로 활동할 수 있어서 일상생활에 제약이 없고 운동 등 야외활동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다. 또, 시력교정 수술과 달리 가역적(렌즈를 며칠 착용하지 않으면 원래의 각막 상태로 복구)이어서 안전하다. 물론 드림렌즈는 근시가 너무 심하거나 약시 난시가 심한 경우 혹은 수면 시간이 7~8시간이 확보되지 않거나 똑바로 누워 자지 않는 경우(예: 엎드려서 자는 경우)에는 충분히 각막이 눌리지 않아 시력 교정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그러나 중등도 이하 근난시 어린이와 청소년이라면 ‘근시 진행 억제’와 ‘시력 교정’ 두 가지 효과를 다잡을 수 있으니, 당연히 얻는 것이 더 많다. 자녀의 눈 건강에 드림렌즈가 최선의 선택일 수 있다는 의미다.이지민 원장은 “드림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일정 시간 적응기간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렌즈 세척을 매일 꼼꼼하고 청결하게 관리해야 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근시 진행 정도와 부작용 예방을 위해 3개월에 한 번 정도 안과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2020-07-30
-
아이의 눈 건강 상태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평상시 아이가 눈을 찡그리고 본다거나 자주 비비고 깜빡인다면, 혹은 TV를 볼 때 자꾸 앞으로 다가간다면 ‘소아 근시’를 의심해 봐야 한다. 근시는 아동기에 나타나 성장기 내내 급격히 진행된다. 근시가 있는 아이는 시력 저하와 근시 진행이라는 두 가지 ‘악재’를 겪게 되므로, 초등생 및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라면 아이의 눈 상태를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초등1,2학년 안과 검진으로 근시 여부 확인근시 진행 파악하는 것이 눈 건강의 첫걸음근시는 멀리 있는 물체의 상이 망막 앞쪽에 맺히는 굴절 이상, 가까운 곳은 잘 보이고 먼 곳은 잘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연세본안과 이성준 원장(안과 전문의)은 “근시를 유발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고,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난다. 근시의 원인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유전과 근거리 작업(TV 시청, 독서 등)이며 이 외 영양, 스트레스, 야외활동 부족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런데 이들 요인 중에 유전(선천적 요인)에 주목하다 보면, 어쩔 수 없는 것으로만 여겨 자칫 근시 억제 적기를 놓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근시는 일반적으로 초등 저학년 때 나타나 사춘기가 시작되는 초등 고학년부터 중학생 시기까지 급격히 진행된다. 따라서 근시 억제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초등 1, 2학년 때 안과 검진을 받아, 시력과 근시 진행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근시 진행 억제하는 드림렌즈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이미 근시가 시작되었다면 근시가 덜 진행되도록 억제하는 치료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이성준 원장은 “현재 적용 가능한 근시 진행을 억제하는 의학적 방법은 ‘드림렌즈’와 ‘아트로핀 점안’이다. 두 방법은 각각 특징이 있어 근시 환자의 상황에 맞게 처방한다. 가령 시력 교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정도의 근시라면 아트로핀 점안을, 시력 교정을 함께 해야 하는 근시라면 드림렌즈를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다만 어린이 및 청소년 근시 환자 대부분이 근시 진행과 시력 저하가 동반되어 나타나므로, 근시 치료 효과가 검증된 ‘드림렌즈’ 치료가 주로 이루어진다는 것. 또, 이 원장은 “눈이 덜 나빴을 때 드림렌즈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다. 성장이 계속될수록 근시 진행 속도도 급격히 빨라지므로, 초기에 착용해 근시 진행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성장과 함께 근시 진행이 빨라지는 초중고생까지 드림렌즈 착용을 고려해볼 수 있고, 가급적 근시가 심하지 않을 때 시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미다.드림렌즈 시작 시기, 방학이 최적기인 이유시력 교정 적응 필요한 ‘과도기’ 시간 고려 겨울방학이 드림렌즈 최적기로 손꼽히는 이유는 단지 시간적 여유가 많기 때문만은 아니다.시력이 나쁜 아이가 드림렌즈 착용 후 일정 시력으로 올라가는 적응 기간이 필요한데, 이 역시 사람마다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이성준 원장은 “어떤 환자는 하루 이틀만 착용해도 빠르게 안경 시력에 도달하지만, 또 어떤 환자는 2주 정도 긴 시간이 소요된다. 이것을 ‘과도기’라고 말하는데, 짧으면 3~4일에서 길면 2주 정도 소요된다. 학기 중에는 칠판 글씨가 잘 보이지 않아 불편이 따르지만, 방학 중에는 부담 없어 적응해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또, “드림렌즈 착용 후 렌즈를 교환하거나 조정이 필요할 수 있어서, 상대적으로 방학 때 드림렌즈를 시작하는 환자가 많다”라고 설명했다.성장기의 근시 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지 않으면 성인이 되어 근시로 인해 심각한 눈 질환(녹내장, 망막열공, 망막박리, 황반변성 등) 위험도 커지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시력 검사 및 근시 여부를 파악해 눈 건강을 지켜나가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2019-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