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 검색결과 총 2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한복의 품격이 다른 일산한복전문점 ‘예성한복’ 정발산역에 인근에 위치한 ‘예성한복’은 진주에서 올린 최상급 원단으로 100% 자체 제작만을 고집하는 한복전문점이다. 엄숙희 원장은 20대부터 시작해 30년 넘게 한복 만드는 일을 해온 베테랑이다.한복은 원단의 퀄리티에 따라 느낌과 품격이 달라지는데, 이곳은 디자인부터 원단 구입까지 직접하고, 제작 또한 외부에 맡기지 않고 전부 직접 한다. 엄숙희 원장은 한복 고유의 고전미를 기본으로 하면서 실용성을 가미하는 정도의 디자인을 추구하여, 편하면서도 아름답고 품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성한복은 55, 66, 77 사이즈 등 기성복을 판매하는 일반 대여점과는 달리 자체 제작한 한복만을 다룬다. 그리고 한복의 기본 소재는 본견이다.전통한복을 기본으로 하면서 필요에 따라 개량한복까지 조합이 가능하고 특히 신랑신부, 혼주 등 결혼식 행사 전체적인 분위기를 감안하여 기획해준다, 혼주한복 신랑신부 한복 대여 시 악세사리 및 촬영소품 등도 무료로 서비스해준다. 본견 소재에 자연스러우면서 고급스러운 디자인 그럼에도 가격은 일반 대여점보다 저렴한 편이다.위치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로 47 웅신아트프라자 403호 (일산동구청 앞)문의 031-902-0862 2020-04-10
-
경운박물관 <이영희 회고전 - 玄(현)·泫(현)전> 지난 10월 25일 경기여고 100주년 기념관 경운박물관(관장 장경수)에서 <이영희 회고전 - ‘玄 泫’전>의 막이 올랐다. ‘바람의 옷’으로 한복의 아름다움을 전 세계에 알린 故 이영희 디자이너의 작품은, 전시장을 둘러보는 내내 한시도 눈을 뗄 수 없었다.한복의 아름다운 색과 우리 옷의 자유롭고 다양한 선지난해 5월 별세한 故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는 세계가 인정한 한복의 거장이다. 불혹의 나이에 패션디자이너가 되어 1993년 국내 디자이너로는 최초로 프랑스 파리 프레타포르테(기성복쇼)에 참가해 한복을 선보였고, 1996년 파리 뤽상부르그 궁오랑제리 전시실에 저고리 없는 한복 드레스 ‘한복: 바람의 옷’ 전시해 세계인의 찬사를 받았다.2000년 미국 뉴욕 카네기홀 ‘윈드 오브 피스토리’ 패션 공연, 2004년 뉴욕 맨해튼 이영희 한복 박물관 개장, 2007년 워싱턴 스미스소니언박물관에 한복 12벌 영구 전시, 2008년 구글 ‘세계 60 아티스트’ 선정, 2010년 한복 최초 파리 오트쿠튀르(주문복) 패션쇼 등 한복에 디자인의 개념을 도입하여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의상으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았다.이번에 열리는 회고전의 제목처럼 玄(검을 현)과 泫(이슬 빛날 현) 즉, 그윽하면서 고요한 것과 깊고 넓게 흐르며 빛나는 것이라고 풀이해, 단순히 의상이 시각적인 색상뿐만 아니라 우리 옷에 대한 자유롭고 다양한 선을 발견한 이영희를 회고한다.파리에서 선보인 80여 점의 작품소재부터 염색, 형태 등 한복의 美전시장에 들어서면 한복 특유의 화려한 색감과 더불어 검은색·흰색과 같은 무채색의 아름다운 조화가 눈길을 끈다. 로봇공학을 전공하고 엔지니어링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정원석 작가의 콜라보로, 故 이영희 디자이너의 전시품들이 ‘무빙 워킹’으로 관객들에게 다가간다.생각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엔지니어링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한복의 색감과 선이 주는 아름다움을 시적 표현을 더한 감성적 오브제로 완성해내 한복에 숨결을 불어넣었다. 특히 이번 전시는 이영희 디자이너의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전통적인 한복뿐 아니라, 그의 독특한 패션디자인으로 창조된 80여 점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단순히 형형색색의 아름다움 색감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소재나 염색, 그리고 한복의 선을 따라 다양한 해석과 미학을 뿜어내는 한복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기본을 지키며 그 안에서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이 무조건 새롭고 특이한 것을 지향하는 것보다 옳다고... 무엇보다 나는 전통적인 한복 자체의 아름다움과 경쟁력을 믿는 사람이니까”_ 故 이영희이영희 회고전 <玄(현)·泫(현)전>전시일정 : 10월 25일 ~ 2020년 2월 29일관람안내 : 무료 (월 ~토 10:00~16:00 / 일요일, 공휴일은 휴관)위치 : 강남구 삼성로 29 경기여자고등학교 100주년 기념관 ‘경운박물관’문의 : 02-3463-1336 2019-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