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원조칼제비가 미사본점으로 새로이 확장 오픈했다. 팔당대교 인근에 위치한 팔당점이 가장 유명하지만 팔당점은 2층에 위치해 있어 다리가 불편한 부모님과 함께 가기에는 불편함이 많았다. 또. 주말이면 팔당대교에 진입하려는 차들 때문에 엄청난 교통난을 겪어야 하고, 급기야 중간에 포기하고 돌아서는 경우도 있을 정도다.
새롭게 오픈한 이곳 본점은 1층과 2층으로 구성되어 계단 오르내리기가 힘든 어르신들도 편하게 찾을 수 있고, 길이 막히지도 않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팔당원조칼제비 본점을 찾았다.
1층에서, 웨이팅 없이!
내비게이션을 맞추고 출발, 어느샌가 미사리경정공원 경정장이 눈에 들어온다. 경정장 초입에 공원 주차장으로 들어서려는 차들이 많지만, 우리의 목적지는 이들과 달라 긴 줄을 무시하면 된다. 길 끝에서 우회전을 하면 오른쪽으로 ‘팔당원조칼제비 전용 주차장’이 눈에 들어온다.
매장은 더 안쪽에 있지만 주차는 이곳에 해야 한다. ‘들어가면 주차 공간이 있겠지?’라는 생각에 계속 들어온 사람들이 매장 앞쪽에서 차를 돌려 주차장으로 가는 것을 몇 번으로 볼 수 있었다. 주차장이 보이면 바로 주차하시길.
주차를 하고 조금 걷다 보면 정면에 매장이 위치해 있다. 팔당점보다 뭔가 아늑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 마당엔 넓게 잔디가 깔려 있고 고즈넉한 성처럼 생긴 건물에 ‘팔당 원조 칼제비’ 간판이 걸려 있다. 들어가자마자 오른쪽으로 1층 홀이 보이고 왼쪽으론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있다. 아직 본점 입소문이 나지 않아서인지 ‘다행히’ 팔당점과 달리 웨이팅 없이 바로 테이블에 앉을 수 있었다.
‘시원 수제비+겉절이’가 최고!
메뉴는 팔당점과 동일하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뚜렷한 취향이 있다.
먼저 칼국수파, 수제비파, 칼제비파로 나뉘는데 우린 완전한 ‘수제비파’. 이유도 뚜렷하다. 칼국수보다 쫄깃하면서 숟가락과 젓가락을 같이 사용해야 하는 칼제비와 달리 수제비는 숟가락만으로 그 맛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
다음으론 ‘시원파’와 ‘얼큰파’로 나뉘는데 이 역시 우린 망설이지 않고 ‘시원’을 선택한다. 바지락, 새우, 황태 등을 넣어 말 그대도 ‘시원~한’ 국물맛을 진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 얼큰수제비는 매운맛에 국물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다는 것인 우리의 소신(?)이다.
반찬도 ‘겉절이파’와 ‘석박지파’로 나뉘는데 시원수제비와는 겉절이가 제격이라 ‘강력하게’ 주장하고 싶을 만큼 겉절이를 선호한다. 겉절이는 막 무친 듯한 그 맛과 배추의 아삭함이 그대로 느껴지는 식감이 최고. 석박지는 딱 알맞게 익어 나름의 맛을 ‘뿜뿜’하고 있지만 자꾸 손이 가는 건 역시 겉절이. 겉절이와 석박지는 셀프 리필이 가능한데, 겉절이는 2번 정도는 리필해 먹을 정도로 맛있다.
죽은 필수! 사이드메뉴도 굿~
이곳은 커다란 냄비에 수제비를 넣어 가스 불 위에 끓여 먹는 전골식으로 음식이 제공되는데, 불을 잘 조절하는 것도 필수다. 너무 끓이다 보면 짜질 수 있고, 초반이 불을 너무 줄이면 깊은 맛을 느낄 수 없기 때문. 마지막엔 시원한 국물에 죽까지 끓여 먹으면 이곳에서의 만찬은 끝.
이곳에는 만두, 감자전, 김치전, 부추전, 해물파전, 다슬기부추전 등 다양한 사이드메뉴가 마련되어 있어 칼제비만으로 부족한 경우 사이드메뉴로 배를 채울 수 있다.
식사를 마친 후 달달한 밀크커피 한잔을 손에 들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며 걷다 보면 이내 주차장에 도착한다.
위치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로40번길 178-35 1층 팔당원조칼제비 본점
영업시간 10:30~23:00 (브레이크타임 없음)
메뉴 시원칼제비(칼국수/수제비) 1만1000원
얼큰칼제비(칼국수/수제비) 1만1000원
감자전 1만3000원 김치전 1만3000원
죽 3000원
주차 가능
문의 0507-1440-0651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