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 검색결과 총 6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공부습관 만들면 최상위 수학도 문제없다! 문·이과 구분 없이 대입에서 수학 영역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요즘, 학령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고민이 깊다.평촌 개념폴리아 학원 강승원 원장은 “입시에서 변별력 높은 수학 실력은 초중등 수학학습을 빼고는 거론할 수 없다”라며 “수학에서는 물론 모든 영역에서 최상권이 되기 위해서는 공부습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대치동에서 이미 실력을 인정받고, 1월 평촌관 개원 준비로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는 평촌 개념폴리아 학원 강승원 원장을 만나 초중등 수학 공부법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수학 잘하는 공부습관 만드는 방법“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좋은 머리도 중요하고 열정도 중요하다. 하지만 초중등 시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습관이다. 그래서 학생을 지도하는 사람은 어떻게 좋은 공부습관을 만들어 줄 것인가를 항상 고민해야 한다.”강 원장은 “학원에서 시험을 보고, 오답 노트를 만들고, 풀이 과정을 꼼꼼하게 적도록 하는 것, 문제를 끝까지 읽고 생각을 한 후 풀이 과정을 적도록 하는 것이 모두, 공부습관을 만들기 위함”이라며 “올바른 공부습관을 갖지 않으면 결국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을 어려워하게 되고 포기하게 되기 때문에 어릴 때부터 좋은 공부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하지만 학생과 학부모들은 좋은 공부습관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몇 시부터 몇 시까지 수학 공부를 하고, 국어 공부를 하겠다’는 계획은 좋은 습관이라고 할 수 없다. 공부는 양으로 해야 한다. 좋은 공부습관은 ‘오늘은 수학을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끝낼 것이다’라는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끝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문제를 풀 때도 마찬가지. 몇 점을 맞았는지가 아니라 무엇을 못 풀었는지, 틀린 문제에 집중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학부모 역시 시험이 끝난 후 이번 시험에서 몇 점을 받았는지 묻기보다는 무엇을 틀렸는지 묻고, 틀린 것을 다시 보는 습관을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국어 능력을 키우는 것도 중요하다. 긴 문장들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습관을 갖게 되면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도 좋아진다. 수준 높은 강의, 빈틈없는 관리로 수학 최상위권 학습자 배출개념폴리아 학원은 수준 높은 강의와 체계적이고 빈틈없는 관리로 수학 최상위권 학습자를 많이 배출하며 대치동과 서초동, 압구정동, 잠실 등에서 학부모들의 입소문을 타고 성장한 학원이다.일반적으로 수학 프로그램이 3개월 단위로 2회 기본, 응용, 심화 과정을 진행하는 반면, 개념폴리아 학원은 빠르게 여러 번 반복 학습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개념과 기본 문제 중심으로 한 차례 학습하고 다시 학습하기를 반복하며 유사문제와 심화 문제까지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러한 학습 방법은 같은 6개월 과정이라 하더라도 타 프로그램과 달리 자신이 무엇에 취약한지, 잘못 알고 지나친 것은 없는지 꼼꼼하게 살피며 학습하기 때문에 학습 효과가 우수하다.강 원장은 “평촌개념폴리아를 개원하며 평촌 학생들의 수준을 대치동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개념폴리아를 대치동 어머님들이 좋아하는 이유는 선행을 하면서도 자기 학년의 수업을 꼼꼼하게 병행하기 때문”이라며 “3시간이 수업 중 1시간은 항상 자기 학년 수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내신 성적이 우수한 것은 물론 학교에서의 수업 태도도 적극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개념폴리아 학원은 수학 과학 전문학원으로 초·중·고등 과정을 모두 가르치는 학원이다. 평촌 개념폴리아 학원은 초등 3학년부터 중1까지 개념폴리아에서 교육하고 중2부터는 연계된 인재와고수 학원에서 교육받는다. 현재 초등 대상 수학 과목 입학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 1월 2일 정규 개강한다. 2022-11-10
- 누구나 (학습)계획은 있다 2022년도 어느새 1/4이 지났습니다. 연초에 세워놓은 학습계획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 점검해야 할 시기입니다.학습계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가능성입니다.‘누구나 그럴싸한 계획이 있다. 맞기 전까지는’(Everyone has a plan ‘till they get punched in the mouth)전설적인 권투선수 마이크 타이슨이 본인을 이길 수 있다며 도발하는 도전자에게 한 말입니다. 학생들이 도전자이고 학습계획이 타이슨이라면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합니다. 나름 완벽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지만 생각한 만큼 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학생들이 많을 것입니다.학생들이 빈번하게 하는 실수는 학습계획을 단순히 시간의 분배로만 생각하여 하루 혹은 일주일에 수학 몇 시간 과학 몇 시간 등의 학습 시간 분배로 하는 것입니다. 학습 시간보다는 학습량을 더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학습계획은 학습 시간과 더불어 일주일에 몇 쪽의 문제를 풀어낸다거나 아니면 몇 챕터를 공부한다거나 하는 등의 학습량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실행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100쪽짜리 책이니 하루에 10쪽씩 공부해야지.’ 같은 단순한 계획을 세우지 않는 것입니다. 같은 과목에서도 주제마다 문제마다 학습의 수월성이 다르기에 단순 계산으로 계획을 짜지 말고, 학습 난이도를 고려하여 계획을 세우도록 합니다. 처음 공부하는 과정이나 책이라면 담당 과목 선생님께 조언을 구하여 목표 학습량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학습계획은 타이슨의 펀치와 같은 예상하지 못한 변수를 만나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진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너무 여유가 없게 학습 시간과 기간을 계획한다면 생각지 못한 변수로 인해 학습계획을 지키지 못할 수 있습니다. 일주일에 몇 시간은 이런 변수들을 대비하는 시간으로 비워두기 바랍니다. 계획했던 것보다 학습이 부족하거나 혹은 휴식이 필요할 때 이 시간을 활용한다면 학습계획을 지키며 장기적으로 효율적인 공부할 수 있습니다. 학습계획은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이 매우 중요합니다.학습을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진도와는 다른 지표를 만들어 두는 것도 학습계획을 지속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수학 문제를 풀 때 이용한 연습장을 버리지 않고 모아 둔다면 한 달 동안 혹은 한 학기 동안 내가 어느 정도 공부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진도가 나가지 못했을 때의 학습량을 파악하여 학습계획을 수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입니다.본인에게 맞는 학습계획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변의 선생님들과 자주 소통하시길 바랍니다. 각각의 과목에 대한 학습 노하우는 학생보다 당연히 담당 선생님이 많이 가지고 계십니다. 본인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도움을 받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마세요.마지막으로 학습계획이 지켜지지 않아도(혹은 없어도) 조금만 노력하면 쉽게 원하는 학습성취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게으른 천재’ 학생들에게 타이슨의 말을 전합니다.‘전 항상 제 실력을 의심합니다. 의심은 저에게 구세주와 같고 제 실력을 향상 시킵니다. 항상 안심하고 있는 사람은 그 위치를 잃기 쉬워요. 그래서 저는 완전히 안심하지 않아요. 항상 의심하며 삽니다. 그건 제게 동력과도 같아요.’타이슨이 본인의 실력을 의심하는 동안은 연승했지만 안심하면서부터 시합에서 졌습니다. 공부하는 학생은 항상 자신의 실력을 의심하며 노력해야 발전할 수 있습니다.중등와이즈만CNI 평촌센터원종근 원장 2022-05-04
- 창의적문제해결력 키우는 중등 과학,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과학 인재 양성은 국가 과제일뿐 아니라 초·중등 자녀의 교육을 고민하는 학부모들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이다. 이러한 부모의 고민과는 달리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은 과학을 어려워하고 멀리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가 과학을 잘 하고 좋아하는 과학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을까? 중등 와이즈만CNI 평촌센터 유현재 중등팀장을 만나 그 해답을 찾아 보았다.Q. 중등 와이즈만CNI 평촌센터는 영재학교와 과학고, 자사고 입학에 필요한 융합사고력을 키워 영재학교 전형 대비는 물론 특목고 심층면접까지 체계적인 준비로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중등 와이즈만CNI 평촌센터 과학프로그램만의 특징은 무엇인가?A. 중등 와이즈만 CNI는 초등에서 확장한 융합사고력을 중등에서 완성한다는 목표로 운영된다. 예비중등인 13세부터 중등 16세까지를 대상으로 수학 과학 전문 교사와 진로진학 전문 컨설턴트의 우수한 수업과 학습관리를 통해 학업성취는 물론 입시까지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과학 이론은 어느 학원에서나 가능하다. 초등 와이즈만에서는 아이들이 실험을 하면서 자기 생각을 이야기하고, 토론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표현력과 문제 해결력을 키워나간다. 중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단순히 지식을 넣어주는 학습이 아니라 지식을 어떻게 응용해야 하는가를 아는 인재양성을 목표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Q. 중등 와이즈만 CNI 평촌센터의 차별화된 과학 수업 방식이 궁금하다.A. 중등 와이즈만CNI 평촌센터의 과학 수업은 학생 참여와 체험, 실험 수업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어, 영상이나 글을 통해 우리 생활 속에서 지금 배우고 있는 내용이 어떻게 접목되어 있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접근하고, 학생들이 적극적인 토론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초등부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실험 수업이 중등부에 올라가면서 부족한 부분들이 많은데 중등와이즈만 CNI 평촌센터는 실험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관심과 성취감을 꾸준히 이어갈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 부족했던 실험 부분들을 더 강화해 올해부터는 6개월 단위로 기본반과 실전반을 운영한다. 실험 설계부터 문제를 해결하고 표로 정리하는 과정까지 모두 스스로 해 보면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그래프의 해석까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운영될 계획이다.처음 실험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경우 잘 따라갈 수 있을지 걱정하는 학생과 학부모님들이 많은데 기본반은 실험 도구를 다루는 것부터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참여할 수 있다. 특히 다른 과목도 그렇지만 과학 실험은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한데, 중등와이즈만 CNI 평촌센터의 선생님들은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실험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안내자로서의 역할에 탁월한 분들이다. 무엇보다 중등 와이즈만CNI 평촌센터는 물리,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영역별 전문 강사진으로 구성되어 있어 학생들은 더욱 질 높은 교육을 경험할 수 있다.Q. 3월 개강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와 달리 변화된 내용이 있다면.A. 기존 학년별 종합 시스템에서 1년간의 연구 과정을 거쳐 올 3월부터 학년별 단원별 단과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학생 개개인의 능력치와 목표에 맞게 프로그램을 세분화하여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학생 맞춤형 수업 시스템이다. 학생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수업을 원하는 시기에 대학교 수강 신청하듯 신청해서 참여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유 팀장은 “평소 학생들에게 잔소리를 많이 하는 편인데 잔소리는 결국 어드바이스이고, 그 어드바이스가 개개인의 학생에 맞춰서 진행되듯이 수업도 개개인의 학생에 맞춰서 계획되고 진행되어야 한다”라며 “아이가 자기 주도적으로 생각하고, 그 생각을 표현하며, 일상생활에서 응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이 있는 융합형 과학 인재로 성장하길 원한다면 중등와이즈만 CNI 평촌센터가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2022-02-24
- 수학 학문, 그 고난(苦難)의 이해 수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을 주로 다루는 과목이다. 정수의 곱셈을 배운 학생들은 (-1)×(-1)=(+1)이라는 수식으로 ‘숫자 1’의 개념을 이해하고 있지만, 실생활에서는 (-1g)의 질량을 표현할 물체를 찾지는 못한다. 위대한 수학자였던 파스칼은 (-1)×(-1)=(+1)이라는 것을 죽을 때까지 이것을 인정하지 않았다. 추상적인 개념의 구체적인 정리를 위한 수학의 공식과 이론들은 여러 세대에 걸친 논의와 협의 산물이다. 그렇기에 수학이 어려운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수백~수천 년에 걸쳐 만들어진 수학 개념들을 몇 번의 도전으로 이해하지 못하여 포기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또한 수학은 추상적 개념을 다루기 때문에 연속성이 매우 큰 과목이다. 현재 학습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다면 다음 과정으로의 진행이 매우 어렵다. 이는 고학년으로 진행될수록 더 크게 난다. 일차방정식이 어려운 학생에게 이차방정식이 쉬울 수 없다. 현재 학습이 어렵다면, 필요한 이전 과정의 복습을 필수로 병행해야 한다. 결국 수학은 추상적이면서도 연속성이 강한 과목이기에 수학 과목을 잘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공부’가 필요하다. ‘공부(工夫)’를 중국어로 나타내면 ‘功夫’라 쓰고, ‘쿵푸’라 읽는다. 흔히 중국 무술로 생각하는 ‘쿵푸’는 사실 ‘시간, 틈’이라는 뜻에서 시작되었다. 즉, ‘공부’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행위를 말한다. 잔꾀 없이 정직하게 시간을 투자해야 무술의 고수가 될 수 있기에 ‘쿵푸’가 무술을 뜻하는 말이 된 것이다. 수학은 ‘쿵푸’를 연마하는 것과 비슷하다. 힘들고 어려워도 굴하지 않고 꾸준하게 도전해야만 무술의 고수가 되듯이, 열심히 정직하게 ‘수학 공부’에 시간을 투자한다면 그 시간이 내공이 되어 ‘수학 고수’가 될 것이다. 수학은 노력하는 사람에게 합당하고 정직한 보상을 준다. 편하고 빠르게 공부하려는 사람들은 약 3000년 전에 유클리드(Euclid)가 이집트의 왕 프톨레마이오스에게 한 이야기를 기억하기 바란다. ‘학문(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다.’중등와이즈만CNI 평촌센터원종근 부원장 2022-02-10
-
강남서초 6개 중학교,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중등 영재교육원 현황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중등 영재교육 협력학교인 개원중, 경원중, 구룡중, 대명중, 대왕중, 서운중은 과학·수학·융합정보·미술 등 각 분야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올해는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수업시수 축소 및 운영 계획에 변화가 있을 수 있지만, 지난 8월 강남서초교육지원청이 밝힌 2020학년도 중등 영재교육원 운영계획서를 토대로 올해 진행 중인 각 중학교 영재교육 계획을 살펴봤다. 자료참고 2020학년도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중등 영재교육원 운영계획서(협력학교 6교), 각 학교 영재교육 운영계획서개원중 _ 과학 영재개원중학교는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중등과학영재원(중1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기 중에 물‧화‧생‧지‧융합수업(62시간)과 영재캠프-지질답사(6시간)를 진행하며 인성교육과 행사 프로그램으로 메이커 및 AI 교육(8시간), 창의적 산출물 발표(3시간), 인성-독서‧진로 수업(5시간), 행사-입학식‧수료식‧설명회(1시간) 총 85시간으로 편성되어 있다.영재교육 수업시수는 연간 100시간 이상으로 운영해야 하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85시간으로 감축 운영한다. 학기 중 수업은 토요일 실시를 원칙으로 하며 영재 캠프를 당일 현장체험학습 형태로 실시한다. 선행학습이 아닌 심화학습 형태의 탐구/실험 중심으로 운영하며 학생들의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단, 코로나19로 인한 영재교육기관 운영 지침에 따라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한다. ▒ 개원중학교 2020학년도 중등과학영재원 주요 교육과정(중1 대상)※ 연간 교육과정 중 일부 내용임 ※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교육과정은 변동될 수 있음경원중 _ 과학 영재경원중학교는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중등과학영재원(중1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영재교육원 수업 시수는 연간 61시간 이상으로 운영(선행학습형, 사교육 유발형 영재교육과정 운영 금지) 하며 올해는 총 수업 시수 76시간이 예정되어 있다.인성‧리더십‧진로 교육과정을 총 수업 시수의 10% 이상 운영하고 STEAM 및 메이커 교육과정을 총 수업 시수의 10~15% 이상, AI 연계 영재교육 과정을 총 수업 시수의 10% 이상 운영한다. 아울러 과제 연구와 창의적 산출물 발표회를 열고 학기 중 수업은 토요일에 실시(부득이한 사유로 수업이 어려울 경우 다른 요일에 실시) 한다.학기 중에 집중이수 캠프와 진로 상담을 실시한다.▒ 경원중학교 2020학년도 중등과학영재원 주요 교육과정(중1 대상)※ 연간 교육과정 중 일부 내용임 ※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교육과정은 변동될 수 있음 구룡중 _ 수학 영재구룡중학교는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중등수학영재원(중1, 중2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영재교육원 수업시수는 연간 100시간 이상으로 운영하지만 2020학년도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90시간 이상 운영한다. 1, 2학년 모두 수학(전문 심화, 기하, 대수), 수리과학융합, 특강(인성), 창의적 산출물 수업/발표, 여름 집중수업(전문 심화, 인성)이 진행된다. 선행학습이 아닌 심화학습 형태의 탐구실험 중심으로 운영되며 모둠별 또는 학생 개인의 연구 주제를 선정해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창의적 산출물 프로그램을 운영해 연 1회 발표회를 갖고 우수 학생은 시상한다. 여름방학 중 영재 캠프 또는 전일제 집중 수업을 실시하며 영재교육 수료 학생은 소속 학교 학교생활기록부 교과 관련 특기사항 란에 기록‧관리한다.다만 인성교육은 총 교육과정 중 12% 이상(1학년, 2학년 각 10시간), 융합교육은 총 교육과정 중 12% 이상(1학년, 2학년 각 12시간) 실시한다.▒ 구룡중학교 2020학년도 중등수학영재원 주요 교육과정(중1, 중2 대상)※ 연간 교육과정 중 일부 내용임 ※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교육과정은 변동될 수 있음 대명중 _ 수학 영재대명중학교는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중등수학영재원(중1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영재학급 수업 시수는 연간 75시간 이상으로 운영하며, 선행학습이 아닌 심화학습 형태의 탐구/실험 중심으로 운영한다. 학기 중에는 수학, AI 관련 교육이 이루어지며, 인성 교육과 행사 영역으로 STEAM 관련 수업, 과제 평가, 특별 강연, 산출물 발표회 준비/발표, 입학식과 수료식이 진행된다. 2020학년도에는 1학기 9주, 2학기 10주 활동 계획으로 삼고 수업 시수는 총 78시간으로 진행된다.▒ 대명중학교 2020학년도 중등수학영재원 주요 교육과정(중1 대상)※ 연간 교육과정 중 일부 내용임 ※ 코로나19 상황과 맞물려 교육과정은 변동될 수 있음 대왕중 _ 융합정보 영재대왕중학교는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융합정보영재교육원(중1, 중2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 2학년 합쳐서 한 학급(학생 수 20명)이 운영되며 영재교육원 수업 시수는 연간 100시간 이상으로 운영하지만 2020학년도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총 수업 시수 84시간으로 운영한다. 융합정보영재교육 수업은 학기 중에 토요일에 실시함을 원칙으로 하며, 여름방학 중에는 영재 캠프 또는 전일제 집중 수업을 실시한다. 이 외 인성/리더십/진로교육으로 현장 체험이 이루어지며 STEAM 및 메이커 교육(산출물 제작) 등 총 84시간으로 진행된다.▒ 대왕중학교 2020학년도 융합정보영재교육원 주요 교육과정(중1, 중1 대상)서운중 _ 미술 영재서운중학교는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융합정보영재교육원(중1, 중2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미술 분야에 흥미와 재능이 탁월한 학생의 잠재능력을 계발해 다양한 영역의 미적 체험을 통한 감수성 배양과 적성에 맞는 진로 탐색이 가능하도록 미술 영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영재학급 수업 시수는 총 76시간을 운영하며 학기 중에는 미술, 방학 중에는 미술 집중 수업이 진행된다. 인성/리더십진로교육과 관련해 특별 강연(인성교육 특강), 진로 및 인성 수업, 산출물 발표회(전시), STEAM 교육과 메이커 교육 3D프린트(융합), AI 연계 교육 등이 이루어진다.▒ 서운중학교 2020학년도 미술영재교육원 주요 교육과정(중1, 중1 대상) 2020-09-10
- 강남서초지역 학생 수 지난달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9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청소년 인구(9∼24세)는 876만5천명으로 1982년 정점(1,420만9천명)을 찍은 후 감소 중이며, 학령인구(6∼21세)는 804만7천명으로 2029년에는 624만9천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라고 한다. 이에 교육 특구라 불리는 강남서초 지역에서는 학생 인구가 어느 정도이며, 지역 내에서의 편차는 어느 정도인지 조사해보았다.참고 학교알리미 사이트 공개용데이터 ‘학교 현황’(공시년월: 2019년 5월)가장 학생 수 많은 초등학교 - 대도초(2157명)·잠원초(1591명)학교알리미 사이트에 공개된 학교 현황 자료를 활용해 강남구, 서초구 지역 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생 수 현황을 조사했다. 강남서초 지역 초, 중, 고 학생 수 현황 집계 시 특수학급은 제외했으며 2019학년도 현재 휴교 중인 개원초와 개포초, 개포중도 제외했다. 고등학교의 경우 일반고와 자율고만 대상으로 했으며, 특목고 및 특성화고는 제외했다.강남구 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총 31개 학교이고, 모두 공립이다. 31개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학교는 대도초로 학생 수 2157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언북초(1870명), 도성초(1737명), 대치초(1567명), 언주초(1547명) 순이다. 반대로 강남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대청초(146명)이다.강남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초등학교는 대도초로 학생 수 2157명에 62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4.8명이다. 그다음으로는 대치초(34.1명), 대모초(33.9명), 언북초(32.2명), 도성초(31.6명) 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대청초(12.2명)이다. 강남구 전체 초등학생 수는 2만 5321명, 학급 수는 952학급이며, 강남구 초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6.6명으로 나타났다.서초구 지역 조사 대상 초등학교는 총 24개 학교이며, 이 중 서울교대부초는 국립, 계성초는 사립이다. 24개 초등학교 중 가장 학생 수가 많은 초등학교는 잠원초로 학생 수 1591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신동초(1503명), 반원초(1373명), 우면초(1368명), 서래초(1,66명) 순이다. 반대로 서초구에서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방현초(332명)이다.서초구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많은 초등학교는 서원초로 학생 수 1196명에 38학급으로 학급당 학생 수 31.5명이다. 그다음으로는 원명초(31.3명), 우면초(31.1명), 신동초(30.7명), 원촌초(30.6명) 순이다. 학급당 학생 수가 가장 적은 초등학교는 방현초(20.8명)이다.서초구 전체 초등학생 수는 2만 2925명, 학급 수는 866학급이며, 서초구 초등학교 평균 학급당 학생 수는 26.5명으로 나타났다.<도표1 강남구 초등학교 학생수 현황> (단위: 개, 명) 학교명1학년2학년3학년4학년5학년6학년학생수 합학급수학급당 학생수1 서울대도초333 301 324 339 428 432 2157 62 34.8 2 서울언북초340 318 320 268 317 307 1870 58 32.2 3 서울도성초256 263 306 247 311 354 1737 55 31.6 4 서울대치초202 231 235 258 307 334 1567 46 34.1 5 서울언주초244 287 280 234 261 241 1547 51 30.3 6 서울대곡초143 154 195 197 247 285 1221 43 28.4 7 서울세명초243 220 197 151 159 160 1130 42 26.9 8 서울대모초144 167 179 183 218 193 1084 32 33.9 9 서울압구정초200 177 174 179 174 162 1066 37 28.8 10 서울율현초221 191 146 138 141 126 963 38 25.3 11 서울대왕초118 148 181 158 137 155 897 37 24.2 12 서울도곡초121 114 140 152 185 159 871 36 24.2 13 서울개일초130 129 149 123 136 170 837 31 27.0 14 서울왕북초163 125 132 117 149 146 832 31 26.8 15 서울자곡초164 119 99 113 90 103 688 27 25.5 16 서울대현초67 75 82 126 139 174 663 28 23.7 17 서울봉은초87 86 91 98 101 122 585 25 23.4 18 서울삼릉초102 91 75 82 93 107 550 23 23.9 19 서울신구초88 71 87 92 93 107 538 24 22.4 20 서울일원초79 56 71 85 108 121 520 24 21.7 21 서울청담초75 75 99 85 72 104 510 24 21.3 22 서울구룡초74 86 81 74 85 85 485 24 20.2 23 서울학동초86 71 74 69 92 93 485 21 23.1 24 서울양전초72 80 62 60 86 90 450 24 18.8 25 서울포이초61 71 63 67 77 91&nbs 2019-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