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면 문제를 심화시키는데, 정서조절의 어려움의 영향력이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재엽 교수 연구팀은 전국 중·고교 재학 중인 청소년 1,000명을 설문조사한 ‘2024 청소년 생활 실태조사’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025년 8월호에 게재되었다.
청소년 2명 중 1명 수면 문제 겪어
청소년의 15.9% 극심한 학업 스트레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 2명 중 1명(53.8%)은 수면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수면 문제를 더 겪고 있었다. 청소년의 주중 수면시간은 5.8시간, 주말 수면시간은 8.4시간이었는데, 이는 OECD 국가들 중 최하위였다. 2019년과 비교하여 청소년의 주말 수면시간은 0.5시간 감소한 반면, 주중 수면시간은 1.6시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수면 문제를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15.9%는 극심한 학업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데, 이들의 수면 문제는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청소년보다 약 2배 이상 높았다. 수면 문제는 청소년의 정서조절 어려움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문제를 겪는 청소년 중 18.2%는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는데, 수면 문제를 겪지 않는 청소년 중 정서조절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보다 약 2배 이상 높았다.
연구를 주도한 김동현 연구원은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서는 양질의 수면은 필수적인데, 학업 스트레스과 정서조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학교와 가정에서 청소년의 수면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가정에서는 자녀에게 학업 성취만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자녀 간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정서적인 지지를 통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해야 한다. 학교와 지역사회 청소년 시설에서는 청소년의 정서조절 능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가 청소년의 수면 문제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 문제를 야기하는 위험 요소로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조절을 주목해야 함을 시사하며, 향후 청소년의 수면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