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사회+과학’ 혼합 응시 접수 인원 2025학년도 대비 34,659명 증가

피옥희 리포터 2025-09-11

지난 9월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오는 2025년 11월 13일(목)에 실시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발표했다. 응시원서 접수 마감 결과, 전년 대비 31,504명 증가한 554,174명이 지원했다. 재학생이 전년 대비 31,120명 증가한 371,897명(67.1%), 졸업생은 1,862명 감소한 159,922명(28.9%),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246명 증가한 22,355명(4.0%)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이 전년 대비 15,045명 증가한 283,744명(51.2%), 여학생은 16,459명 증가한 270,430명(48.8%)으로 나타났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살펴봤다.
도움말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참고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보도자료


자격별 접수 인원 변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보면 재학생, 검정고시 등 인원 증가했으나, 졸업생 인원은 감소했다. 전체 접수 인원 역시 31,504명 증가했기 때문에 졸업생은 인원뿐 아니라 비율에 있어서도 감소했다. (표1 참조)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감소가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흔히 졸업생은 감소했으나 검정고시생의 증가로 흔히 ‘졸업생 등’으로 표현되는 인원은 384명 소폭 증가했다.”라고 분석했다. 


표1. 대학수학능력시험 자격별 접수 인원 변화


국어・수학 선택 영역 현황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한 선택 영역・과목별 현황 중 국어, 수학 영역을 보면 다음과 같다.
국어 영역 지원자 548,376명 중 화법과 작문 선택자는 375,359명(68.4%), 언어와 매체 선택자는 173,017명(31.6%)이다. 수학 영역 지원자 521,194명 중 확률과 통계 선택자는 297,726명(57.1%), 미적분 선택자는 207,791명(39.9%), 기하 선택자는 15,677명(3.0%)이다.
탐구 영역 지원자 536,875명 중 사회·과학탐구 영역 선택자는 531,951명 (99.1%), 직업탐구 영역 선택자는 4,924명(0.9%)이다. 탐구 영역에서 선택 가능한 최대 과목수인 2과목을 선택한 지원자가 529,772명으로 탐구 영역 선택자(536,875명)의 98.7%를 차지했다.
김 소장은 “국어 영역에서는 ‘화법과 작문’, 수학에서는 ‘확률과 통계’ 접수 인원이 증가했다. 표준점수의 유리함보다는 학습량과 함께 자신이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경향의 증가로 볼 수도 있지만, 어렵거나 학습량이 많다고 알려진 과목을 기피하는 경향의 증가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회·과학탐구 접수 인원 변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발표에 따르면 사회·과학탐구 영역 지원자 중 사회탐구 영역만 선택한 지원자는 324,405명 (61.0%), 과학탐구 영역만 선택한 지원자는 120,692명(22.7%), 사회탐구 1개 과목과 과학탐구 1개 과목을 선택한 지원자는 86,854명(16.3%)이다.
사회·과학탐구 영역 지원자 531,951명 중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263,047명 (49.4%)이 ‘사회・문화’를 선택했고, 과학탐구 영역에서는 115,435명(21.7%)이 ‘지구과학Ⅰ’을 선택했다. 직업탐구 영역 지원자 4,924명 중 4,749명(96.4%)이 전문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선택했다. 제2외국어/한문 영역 지원자 102,502명 중 34,048명(33.2%)이 ‘일본어Ⅰ’을 선택했다.
탐구 영역 응시 접수 인원을 더 세밀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병진 소장은 “2025학년도부터 심화된 ‘사탐런’ 현상에 따라 사회탐구 1과목과 과학탐구 1과목에 응시하는 혼합 응시 접수 인원이 86,854명으로 2025학년도 52,195명에 비해 34,659명 증가했다.”라고 말했다.
이에 사회탐구, 과학탐구 응시 접수 인원 531,951명 대비 16.3%의 비율을 보여 2025학년도 10.3%보다 6%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사회탐구 2과목에 응시하는 접수 인원도 62,897명 증가한 반면, 과학탐구 2과목에 응시하는 접수 인원 70,342명 감소하여 22.7%로 나타났다. (표2 참조) 


표2.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과학탐구 응시 접수 인원 변화


사회·과학탐구 과목별 접수 인원 변화
사회탐구·과학탐구 과목별 접수 인원 변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표3 참조)
증가 규모가 가증 큰 탐구 과목은 사회·문화로 2025학년도 대비 42.2%인 78,033명이 증가하여 263,047명이 접수했다. 다음으로는 생활과 윤리가 2025학년도 대비 22.4% 증가한 224,552명이 접수했다.
김 소장은 “감소 규모가 가장 큰 과목은 지구과학Ⅰ으로 2025학년도 대비 25%가 줄어든 115,435명이 접수했다. 다음으로는 2025학년도 대비 20.5% 줄어든 생명과학Ⅰ으로 112,128명이 접수했다. 2025학년도 접수 인원이 큰 폭으로 줄었던 화학Ⅰ은 2026학년도에도 감소 추세가 이어져 2025학년도 대비 45.3% 감소한 26,683명이 접수했다.”라고 분석했다.  


표3. 사회탐구·과학탐구 과목별 접수 인원 변화


접수 인원에 따른 과목별 1~3등급 등급별 인원 변화
대학수학능력시험 접수 인원에 따른 과목별 1~3등급 등급별 인원 변화도 눈여겨봐야 한다. (표4 참조)  
이에 김 소장은 “응시 인원은 증감은 상대 평가로 치러지는 수능에서 등급별 인원 변화와 관련된다. 이는 결국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과도 긴밀한 관련을 갖기 때문에 유의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라며 “등급별 추정 인원의 증감이 곧 수험생 자신의 등급 획득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남은 기간의 학습에 집중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올해부터 전국에 도입된 수능 응시원서 온라인 사전 입력 시스템을 이용한 수험생은 전체 접수인원 554,174명 중 501,234명(90.4%)이 이용했으며, 시스템 이용자 501,234명 중 재학생은 365,736명(98.3%)이, 졸업생 등은 135,498명(74.3%)이었다고 밝혔다.     


표4. 사회·과학탐구 주요 과목 등급별 추정 누적 인원 비교(2025vs2026)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피옥희 리포터 piokhee@naver.com

기사제보

닫기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이름*
휴대폰
이메일*
제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