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총 46,198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대학 편입 전문학원 ‘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 편입은 이미 대학에 진학한 학생이 대학과 진로를 바꿔볼 수 있는 현실적이고 현명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해마다 1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새롭게 편입학 준비에 돌입한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대학 편입학에 성공하려면 노력은 물론 과학적인 전략과 체계적인 학습 관리 등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대학 편입 전문학원 ‘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는 오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미 검증된 수업 및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 매년 높은 합격률을 자랑한다.2026학년 편입 대비 신규 학생 대상 ‘편입영어 종일 몰입반’ 운영대학 편입학 준비를 연초에 일찍 시작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망설이다 뒤늦게 준비에 들어가는 학생들도 많다. 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에서는 이들을 위해 ‘편입영어 종일 몰입반’을 운영한다. 영어 과목은 인문·자연 계열 공통 시험 과목으로 절대 학습량을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 편입영어 종일 몰입반은 4~6월 3개월 동안 주 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영어 과목을 몰입해 공부하도록 만들어진 반으로 19명 정원 소수정예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먼저 단어 테스트를 치르고 수업 전후 2시간씩 자기주도학습 시간을 갖는다. 김영편입학원 노량진캠퍼스 민희라 상담실장은 “필요한 모든 학습이 학원에서 진행될 수 있게끔 만들어진 반으로 이를 마치면 7월부터 문제 풀이 과정으로 들어가 기존반과 동일한 커리큘럼으로 수업을 받게 된다”고 전했다.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의 자랑, 시그니처 학습 관리 프로그램 ‘올케어100(ALL CARE 100)’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는 지난해 ‘학원 만족도와 강의 만족도 최우수 캠퍼스’로 선정됐다. 학습 관리 프로그램 만족도와 학습 분위기 조성, 담임 학생 관리 등에서 재원생들의 최고 만족도를 이끌어내 얻은 성과다. 그만큼 학습 관리가 재원생의 이해와 요구에 맞게 철저히 이루어진다는 말인데,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이 바로 학습 관리 프로그램 ‘올케어100(ALL CARE 100)’이다. 민 실장은 “올케어100은 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만의 오랜 노하우를 바탕으로 이미 검증된 ‘시그니처 합격 프로그램’으로 우리 캠퍼스의 자랑”이라고 말한다.그에 걸맞게 프로그램은 학습 관리를 위한 모든 요소가 촘촘히 구성돼 있다. 우선 데일리/백지/피드백 테스트와 위클리 모의고사, 김영 모의고사, 최종 배치고사 등 다양한 모의고사 콘텐츠를 통해 수험생들은 현실 감각을 익힌다. 또한 유형별 및 성적별로 분석된 합격자 분석 자료는 재원생의 강점을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도록 돕는다.매주 치르는 모의고사 리뷰 작성과 그에 맞춘 담임 강사의 상담 및 과목별 피드백을 제공을 통해 체계적인 학습 방향 설정을 위한 ‘1:1 맞춤 지도’ 역시 철저히 이루어진다. 또한 온/오프라인 학습 플래너와 주말 자습, 숙제 확인 등도 담임 강사가 꼼꼼히 진행한다. 특히 보다 효율적인 학습이 요구되는 대학 재학 수험생들에겐 꼭 필요한 관리다. 더불어 수업 결손이 있거나 복습이 필요한 재원생에겐 수업 동영상을 제공하며, 과목 담당 강사와 학습 조교가 질의 응답 및 매월 1:1 개별 성적 상담을 진행해 ‘완전 학습’을 꾀한다.이밖에 모의면접 준비와 서류전형 시행 대학 편입 준비를 위한 서류 첨삭 관리, 최상위권 학생을 위한 프리미엄 케어, 파이널 배치 상담, 여름방학 공인영어 특강, 합격생 및 취업생 초청 간담회, 학부모 간담회 등 편입 성공을 위해 체계적으로 마련된 프로그램이 알차게 진행된다.여름방학 기간에 열리는 ‘공인 영어 특강’은 공인 영어 성적이 필수로 요구되는 대학 편입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것으로, 리스닝 테스트를 포함해 실제와 똑같이 토익 모의고사 수업을 진행한다.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에서는 지난해 ‘취업생 초청 간담회’를 진행해 재원생들의 높은 호응을 얻었다. 이곳에서 편입을 준비하고 합격과 취업까지 성공한 이들을 초청해 생생한 경험담과 조언을 들을 수 있는 자리로 실제로 도움이 됐다고 하는 학생들이 많다. 민 실장은 “김영편입 노량진캠퍼스는 대학 편입 시험 합격은 물론, 이후 성공적인 취업까지 도움을 주려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위치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로 156 센타빌딩 4층(지하철 1,9호선 노량진역 3번출구 도보 2분)문의 02-812-7033 2025-04-12
-
2025년 양천고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킬러 문항 분석 및 대비 방안 [양천고1 1학기 중간고사 총평]양천고 시험 유형은 모의고사 타유형으로 골고루 변형되어 출제됨. 어법, 주제, 요약문, 세부 내용 파악, 제목, 글의 순서, 지칭 대상 고르기, 연결 부사 고르기, 영영 풀이, 문법 영작 등 다양한 유형을 종합하여 출제함. 특히 어법, 주제, 요약, 세부사항 파악 유형이 다수이거나 난도가 높음. 특이한 점은 듣기 문제 비중도 높으며 교과서 및 수능 모의고사 듣기 유형과 TED 강연 등의 외부 지문을 혼합하여 듣기로 출제함. 특히 외부지문은 스크립트를 미리 나누어 주지 않으므로 평소 듣기 실력 향상이 필요함. 교과서, 모의고사 외 추가 지문 출제.[출제 선택형+ 서/논술형 총 100점 만점]선택형 24문항 : 70점(듣기 8문항 포함) + 서술형 6문항 : 30점[21년도 기출 유형 Point] (순서 = 체감 난도 순서 / ☆ = 중요도 순서)1. 주제문, 핵심어 빈칸, 요약문 ☆☆☆☆☆2. 어법 ☆☆☆☆☆3. 세부 내용 파악 (영어 보기 출제) ☆☆☆☆4. 영영 풀이 ☆☆☆5. 모의고사 타유형 변형 ☆☆☆☆(주제 빈칸, 문단 순서, 문장 위치, 흐름 상 어법, 흐름 상 어휘, 제목, 지칭 대상 등)5. 특이 사항 : 듣기 외부지문 (TED 강연 등) 스크립트 없을 수 있음.[총 분석 및 대비 방안]1. 주제문, 핵심어 빈칸, 요약문 : 서술형 있음. 주제문과 주요 문장 암기 대비.2. 어법 : 어법 활용 영작 서술형 있음, 단독 문제 많음3. 세부 내용 파악 : 추가 지문 포함 출제 됨. 모든 지문 세부 내용 및 흐름 이해하기.영어 보기도 출제되므로 평소 어휘력 독해력 꾸준한 실력 향상 필요4. 모의고사 타유형 응용 대비 : 평소 기출 모의고사 연습으로 모든 유형 대비5. 서술형 : 주제문, 주요 문장, 어법 포함 된 문장, 어법 활용, 세부 내용 이해 대비 필요.[킬러 문항 대표 예시 유형]1. 주제문, 핵심어 빈칸, 요약문 ☆☆☆☆☆2. 세부 사항 ☆☆☆☆<1. 주제문, 핵심어 빈칸, 요약문 ☆☆☆☆☆><서답형 1번>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쓰시오. (4점)Creative thinking was behind Josephine Cochrane‘s invention of the modern dishwasher. Before her line people used to place dishes in a dishwasher add water and let scrubbers clean the dishes. There has a problem though. The scrubbers sometimes badly damaged dishes. Cochrane approached the process of dishwashing differently. She used water - water pressure – itself instead of scrubbers because she though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조 건>1. 내용에 근거하여 쓰되 열 단어 이하의 영어 문장으로 쓸 것.2. 자문에 있는 단어만 사용하되 필요시 어형변화 가능3. Would와 without을 반드시 사용할 것4. Scrubbers는 사용하지 말 것답 : water pressure would wash the dishes without damaging them.< 대비 방안 >주제문 또는 핵심어 빈칸 유형이 꽤 출제 되거나 요약문 완성하기가 주어지는 단어 없이 출제 됨. 지문의 주제와 써머리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통찰력이 요구 되므로 모든 지문에 대한 주제문 암기 필수. 평소 주제문 이해와 통찰력 있는 독해력 및 영작 실력 향상 연습 필요. 영어 보기 품사 변형에 대비한 어휘력도 동시에 대비 필요.<2. 세부 사항 ☆☆☆☆><객관식 16번>다음 글을 읽고, 추론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점)It is widely cited that the concept of mentoring originated with the Odyssey. In Greek character of Mentor in Homer’s mythology, Odysseus was the king of Ithaca, a small city-state in Ancient Greece. Mentor was a loyal friend and adviser to Odysseus. When Odysseus left for the Trojan War, he had to leave his wife Penelope and infant son Telemachus. He placed Mentor in charge of Telemachus and his palace, no doubt anticipating a swift return. Unexpectedly, Odysseus faced a series of obstacles and challenges that stopped him from returning home for decades and during that time Mentor nurtured Telemachus‘ teacher and supported the boy. Mentor became coach, counselor and protector, building a relationship based on affection and trust, Mentor was almost like a second dad to Telemachus. started lusting over noblemen..........(이하 지문 생략/ 위 지문의 2배 길이)① Odysseus entrusted his young son, Telemachus to the care of Mentor, his trusted companion, when he went to fight in the Trojan War② Young nobles demanded that Penelope choose one of them in re-marriage, in the hope of usurping control of Ithaca and ensuring Telemachus his birthright③ Athena took the form of Mentor when she appearedin front of Telemachus in order to be unnoticeable from the suitors of Penelope④ The goddess encouraged Telemachus to defy and challenge the suitors and go abroad to find out what happened to his father⑤ Odysseus and Telemachus reunited and cast down would-be usurpers of Odysseus’ throne and Telemachus‘s birthright.답 : ②< 대비 방안 >주어진 지문이 교과서 또는 추가 리딩에서 발췌하여 출제하므로 지문의 길이와 보기의 길이에 대한 압박이 큼. 세부 내용이나 추론 내용을 출제 하여 난도가 높음. 보기가 영어로 출제되니 평소 어휘력과 독해 실력이 요구됨. 우선 지문의 주제와 세부 내용을 먼저 완벽하게 이해 시키는 것이 중요함. 평소 어휘력 대비와 지문을 정확하고 빠르게 이해하는 연습 필요함.목동 뒷단지 센트럴프라자 종필영어학원 김종필 원장02-2650-8887 2025-04-12
-
목동중 3학년 중간고사 대비 기출 킬러 문항 살펴보기 1. 2024년 중3 2학기 기말고사 - 목동중학교9번 문항Q. 위 글을 바르게 이해한 학생을 모두 고른 것은?S1: I guess that Mr. Boggis didn’t know there was some valuable furniture before he entered Rummins’ house.S2: I think Mr. Boggis should thank Rummins for his favor. Rummins didn’t charge Mr. Boggis for cutting the legs of the table.S3: I believe Rummins knew that he had something valuable in his house. Also, he was aware of the true value of his table.S4: I suppose Mr. Boggis’ plan to buy the valuable table at a low price failed. It’s because Rummins’ table without legs wasn’t valuable.S5: It is surprising that Mr. Boggis got to know the table in Rummins’ house was an exact copy of antique furniture at the end of the story.S6: I think Mr. Boggis was not a good man because he hid the fact that he found a valuable piece of furniture in Rummins’ house. He even lied to Rummins and Bert.해설목동중학교에서는 주로 ‘원인-결과’, ‘전-후’, ‘병렬’의 세 가지 의미 관계를 중시합니다. 문제를 해결할 때 이러한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전-후 관계 (시간 흐름 확인)S1 문항에서는 Rummins’ 집에 들어가기 전과 후의 시간 흐름을 통해 이전에는 몰랐다는 관계가 드러납니다.주어진 지문에서 집을 직접 찾아가는 과정이 묘사되므로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해석은 오답이 됩니다.병렬 관계 (접속부사 활용 확인)S3 문항에서는 ‘Also’라는 접속부사를 통해 두 문장을 병렬로 연결하고 있습니다.그러나 앞, 뒤 문장이 틀린 상태에서 병렬이 이루어졌으므로 정답을 정확히 판단해야 합니다.원인-결과 관계 (인과 관계 논리 체크)S4 문항에서는 이미 가치를 잃었다는 원인이 실패했다는 결과로 이어집니다.하지만, 문제 설계상 값을 적게 주었으므로 성공했다는 미시적인 판단을 유도하는 함정이 숨어 있습니다.▶ 문장의 구조와 의미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선후 관계가 올바른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접속사(전후 관계, 인과 관계 등)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암기한 지문 내용을 감에 의존하여 번역하면 오답을 유도하는 요소가 많으므로 논리적인 해석 연습이 필수입니다.▶ 독서와 문장 구조 분석을 꾸준히 연습하여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면 완벽한 점수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2. 2024년 중3 2학기 기말고사 - 목동중학교28번 문항Q. 윗글을 읽은 후의 학생들의 반응이다. 글을 바르게 이해한 사람을 모두 고른 것은?S1: I want to call pacers and pit crews real heroes because they help the players to win even though they don’t get a trophy.S2: I think pacers and pit crews work hard because they are famous and popular.S3: It’s interesting that every pacer should run at the same speed in a marathon.S4: Pacers run to win and they are good at it.S5: We may not see a pit crew during most car races, but a pit crew is as important as the driver.S6: A pit crew helps a driver by checking the car and changing the tires during a race.S7: I think it will be difficult to change the tires because there are only two members on a crew.해설S1: 원인-결과 관계의 논리적 연결트로피를 받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도움을 준다는 지문의 핵심 요지를 원인으로 설정하고 화자의 긍정적인 답변을 결과로 설정하여 선후 맥락을 파악하고 지문의 주제와 요지를 정확히 이해했는지 이중으로 확인합니다.S2: 일반적인 통념을 반대로 설정하는 논리 구조일반적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일을 열심히 수행한다는 논리를 따를 것으로 예상되지만 문제에서는 이를 반대로 설정하여 지문의 요지를 올바르게 파악했는지를 평가합니다.S4: 병렬 관계 확인문장에서 병렬 구조가 사용되었으며 뒷 문장은 맞지만 앞 문장은 틀림을 확인해야 합니다. 문장 간의 논리적 관계를 분석하는 능력을 요구하는 문항입니다.▶ 단순히 지문을 번역하고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출제됩니다.▶ 지문의 핵심 내용과 문단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한 후 선지와 연결하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 유형은 고등학교 언어 능력 커리큘럼 과정에서도 필수적으로 다루는 사고력 기반 학습 요소이므로 미리 대비하는 차원의 목적에서 매우 유익한 학습이 될 수 있습니다.**목동중학교 영어 시험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두기 위해 논리적인 독해와 문법 학습을 철저히 준비하세요!목동 뒷단지 센트럴프라자 종필영어학원김종필 원장02-2650-8887 2025-04-12
-
목동중 2학년 중간고사 대비 기출 킬러 문항 살펴보기 14번 문항 - 대표 추론 문항Q. 위 글을 읽고 난 후의 학생들의 반응이다. 글을 바르게 이해한 학생만을 고른 것은?(A) S1 : My finger moves when I close my left eye. This means I mainly use my left eye.(B) S2 : If you mainly use your left eye you should sit on the left side in the theater.(C) S3 : To follow the steps you need to point your finger at something very close to you.(D) S4 : I am sitting on the right side in my classroom. I think I need to change my seat to the left side because my finger moves when I close my right eye.해설이 문제는 단순히 지문의 내용을 번역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소재와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습니다. 특히 손가락 위치에 따른 눈의 변화, 주로 사용하는 눈의 위치, 좌석 배치라는 세 가지 요소의 이분법적 관계를 통해 지문의 내용과 일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마지막 (D) 문항에서는 “교실 오른쪽 좌석에 앉았다”는 상황을 활용하여 지문의 흐름을 역으로 추론하도록 하였으며 결과 문장에서 because라는 접속사를 사용하여 “왼쪽 자리에 앉아야 한다”는 결론과 “손가락 위치가 바뀌는 눈이 오른쪽이다”라는 사실을 병렬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수능 국어 추론 문제의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이 문제는 단순한 지문 이해를 넘어 문장의 역할을 분석하고 암기한 지문의 소재와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높은 교육 목표 수준을 가지고 있는 목동중학교 2학년 기출문제 중에서도 우수한 유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2. 2024년 중2 1학기 기말고사 – 목동중학교27번 문항Q. 윗글을 읽고 답할 수 없는 질문끼리 묶인 것은?a. What does Simon think of Max?b. In what place did Max finish the race?c. How long did the race take from start to finish?d. What did the official wave to signal the last lap?e. How does Max feel when he gets near the finish line?f. How many more laps does Max have to complete when he finishes his tenth lap?해설학생들이 의문문을 활용한 내용 일치 문제를 풀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특히 In what place와 같은 다소 복잡한 표현을 사용하여 번역의 정확성을 시험하였으며 마지막 문항에서는 how many (more laps)의 목적어를 도치하여 지문을 암기한 학생들도 확신을 갖기 어렵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문장 구조와 자리 배열을 정확히 파악하고 꼼꼼한 독해 연습을 통해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2024년 중2 2학기 중간고사 – 목동중학교12번 문항Q. 윗글에서 일어난 사건 순서대로 (A) ~ (E)를 나열한 것은?(A) Bella ate lunch alone.(B) Jenny yelled at Bella.(C) Bella forgot her lines during the school musical.(D) Jenny and Bella made up with each other.(E) Bella wrote a diary and cried while doing that.해설이 문제는 사건의 선후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Bella가 혼자 점심을 먹게 되어 울었다”와 “Bella의 실수로 Jenny가 야단쳤다”는 두 가지 원인-결과 패턴이 반복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단순히 사건을 시간 순서대로 분류하는 번역 차원의 문제를 넘어 사고력과 추론 능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목동중학교 2학년 문제는 국어 실력과 관련된 역량도 일부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목동중학교에서 완벽한 100점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 암기식 학습을 넘어 평소 독서를 꾸준히 하거나 집중적인 학습 트레이닝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시험 대비 전략목동중학교 2학년 영어 시험은 어휘 문법 독해 세 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됩니다.▶ 어휘: 지문의 단어를 꼼꼼히 확인하고 암기하며 문장 내에서 품사 변화까지 분석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문법: 저희 종필 영어학원을 통해 기본 개념을 선행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학생 수준에서는 세부적인 함정을 깊게 다루지는 않지만 다양한 문제를 풀고 개념을 익혀야 외부 문법 문제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독해: 추론 문항이 약 2문제 정도 출제되며 단순 독해보다는 문장 구조(예: 5형식, 접속사 등)를 분석하여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지문에서 학습한 개념을 새로운 문장에서 적용하는 방식이므로 중3 수준의 언어적 추론 능력이 필요합니다.▶ 고등학교 과정을 대비하기 위해서도 독서를 꾸준히 하며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은 중요합니다.목동 뒷단지 센트럴프라자 종필영어학원김종필 원장02-2650-8887 2025-04-12
-
2025년 목동고 1학년 1학기 중간고사 킬러 문항 분석 및 대비 방안 [목동고 중간고사 총평]목동고 중간고사 대비의 핵심은 어휘력과 모의고사 핵심 주제 이해. 고1~3 범위의 수능 포함 모의고사 지문이 모두 출제되고 모든 지문에 지문 주제문과 핵심어 파악 및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연습 필요함과 동시에 흐름 상 알맞은 동의어, 반의어, 영영 풀이 이해 및 관련 어휘의 파생 품사 활용 능력 필요. 고난도 모의고사 독해력과 내신 대비 범위 지문 내 어휘뿐만 아니라 평소 어휘력 대비가 매우 중요함. 모의고사 타 유형으로 변형되어 출제되므로 평소 다수의 모의고사 풀이 연습이 필요함. 서술형은 요약문을 다수 출제하므로 내 핵심어를 활용하여 요약문 완성하는 통찰력이 요구됨.[출제 선택형+ 서/논술형 총 60점 만점]선택형 24문항 : 40점서/논술형 6문항 : 20점[23년도 기출 유형 Point] (순서 = 체감 난이도 순서 / ☆ = 중요도 순서)1. 어휘 ☆☆☆☆☆(동의어/반의어, 영영 풀이 연계, 흐름 상 빈칸 어휘 완성, 어법 및 품사 변형)2. 문법 오류☆☆☆3. 세부 내용 파악 (영어 보기 출제) ☆☆☆4. 요약문 (서술형 주요 유형) ☆☆☆☆5. 주제문, 핵심어 빈칸 ☆☆☆☆☆☆6. 모의고사 타유형 변형 ☆☆☆☆(주제 빈칸, 문단 순서, 문장 위치, 흐름 상 어법, 흐름 상 어휘, 제목 등)7. 특이 사항 : 고3 모고 지문 또는 외부 지문 추가 프린트 양 많음.[총 분석 및 대비 방안]1. 흐름 상 어휘 : 빈칸, 동의어, 반의어, 영영 풀이 연계 대비2. 주제문, 핵심어 빈칸 다수 출제3. 흐름 상 어법 : 어법 활용 있음4. 서술형 : 요약문 다수 출제 , 흐름 상 어휘, 어법 출제5. 세부 내용 파악 : 보기가 영어로 출제되므로 평소 어휘력 독해력 꾸준한 실력 향상 필요6. 모의고사 타유형 응용 대비 : 지문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크게 어려운 유형은 아니지만 모의고사를 많이 접해 보지 않은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타 유형 숙지 필요 / 변형문제 대비[킬러 문항 대표 예시 유형]1. 어휘 유형 ☆☆☆☆☆2. 문법 오류 유형 ☆☆☆<1. 어휘 유형 ☆☆☆☆☆><객관식 6번 or 서술형 5번>**객관식 6번은 지문 내 어휘 동의어 대비**서술형 5번 빈칸 어휘 넣기 : 예문 대비 x, 주어진 보기 어휘 품사 활용 및 어법 변형<객관식 6번>각 단어의 괄호 안 유의어를 참조하여 글의 흐름에 알맞게 아래 글을 완성하려 할 때 쓰이지 않는 단어를 고르면? (1.9점)As we navigate through an era marked by rapid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notion of the “metaverse” has begun to capture the imagination of many. In the buzz of the digital age, people are giving a lot of thought and ______________(thinking, consideration) to the “metaverse” a concept that seems to be phenomenally reshaping our understanding of interaction and connectivity. This term, which at first was just a topic of _____________(guess, prediction), is now becoming a solid hypothesis in the tech world. Within this virtual space, linguistic abilities have found an invaluable ______________(connection, pertinence), altering a new platform where communication unfolds in a richer and more dynamic manner Even though it‘s a place where ___________ (togetherness, bonding) can flourish, allowing individuals from various corners of the globe to unite, it is not without its___________ (flaw, drawback) Many point out the lousy aspects of spending too much lime in a virtual worl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balance.답 : ④① deliberation ② speculation ③ relevance ④ solidarity ⑤ downside< 대비 방안 >글의 흐름을 이해하며 유의어를 유추 해야 함. 지문 어휘 변형 있을 수 있음.지문 내 어휘 동의어 최대한 암기 병행해야 함. 어휘가 고2 수준 이상의 모의고사 출제 어휘들이므로 평소 수능 단어장을 병행하여 기본 어휘 실력을 올려야 할 필요도 있음.관련 동의어 반의어 영영 풀이 연계 이해 연습으로 어휘 대비가 목동고의 핵심.<2. 문법 오류 유형 ☆☆☆><객관식 12번 or 16번>** 12번은 어법 종합 출제, 지문 대비 가능** 16번은 어법 난이도 쉬움, 예문 대비 불가능<객관식 12번>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부분을 포함한 문장끼리 짝지은 것은? (2.0점)ⓐSome parents become anxious when faced with having to deal with their child’s emotional needs. ⓑBecause of their nervousness, they may be unable or unwilling to respond to their child in a comforting way, which may cause them to ignore their child, become angry, or shame them for any emotional displays. This reaction teaches the child that they cannot rely on their parents for emotional support, and they develop an avoidant attachment. ⓒKnow that being emotional will be poorly received the child learns to hold their feelings back. ⓓAlthough they still experience sadness and other emotions, they teach themselves that these feelings do not matter and find ways to comfort themselves that does not involve going to their parents. This tendency to self-soothe carries over into adulthood. ⓔBecause people with avoidant attachment have learned to rely on themselves, they may be uncomfortable with receiving emotional support from others or discussing their struggles. ⓕThis can make them have difficulty forming close relationships.① ⓐ, ⓒ ② ⓑ, ⓓ ③ ⓒ, ⓓ ④ ⓓ, ⓕ ⑤ ⓔ, ⓕ답 : ③ⓒ 2025-04-12
-
내신과 수능 수학 1등급, 중학교 수학 공부 습관이 결정한다 알록달록하다. 우리 첫째 아이의 1학년 수학 교과서를 처음 받고 펼쳐 본 느낌이다. 입체도형(구, 원뿔, 다면체 등등)들은 사진인지 컴퓨터 그래픽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다. 쉽고 친절하며 상세한 건 덤이다. 아파서 일주일 결석해도(수업을 듣지 못해도) 집에서 아빠나 엄마, 혹은 형이나 누나한테 알려 달라고 하면 금방 채울 수 있을 만큼의 난이도이다. 그렇게 6년을 지내고 나면 수학의 자상함과 부드러움에 속기 마련이다.중학교에 입학하면 수학의 거칠고 까다로운 본성이 그제야 드러난다. 원래 수학은 어렵고 만만하지 않으며, 쉽게 얼굴을 내밀지 않는다. 아직도 풀지 못한 난제가 10개가 넘고, 문제마다 10억 원 정도의 상금이 걸려 있다는 걸 보면 만만치 않아 보인다. 노벨상에 버금가는 필즈상도 수상 자체가 어렵거니와, 수상자의 나이 제한이 없는 노벨상과 다르게 필즈상은 40세 이하로 제한을 둔 점도 “심심한데 수학 문제나 풀어볼까?”라는 쉬운 도전을 금기시하고 있다. 여기까지 읽어 보면 수학이 난공불락의 요새처럼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우리는 수학자가 아닌, 수학 문제를 잘, 제대로, 빠르게 풀어야 하는 학생이기 때문이다.초등학교 졸업 후 갑자기 변해버린 외모만큼, 갑자기 난도가 높아진 수학이라는 과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첫째, 연산 연습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계산 실수로 틀린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문제의 핵심만 맞으면 되지, 계산 실수는 금방 극복할 거야.”라는 그릇된 자기 암시 때문에 점수가 오르지 않는다. 어떤 면에서 보면 연산은 수학의 맞춤법이다. 문장을 틀리게 써도 전체 내용은 파악되지만, 틀린 것은 틀린 것이다. 수학에서도 문제 풀이를 보면 무슨 의도를 가지고 풀이하려는지 분명히 보인다고 할지라도 계산이 틀리면 올바른 답을 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연산이 유독 약한 사람들은 학년을 불문하고 시간을 따로 내서 하루에 30분씩 꼭 연습하길 바란다.둘째, 도형이나 그래프 문제가 나오면 문제집에 그려져 있는 도형이나 그래프 위에서 풀지 말고, 풀이 노트(연습장, 이면지)에 스스로 그려 가면서 푸는 습관을 들이자.연습장에 그려 가면서 풀게 되면 그냥 풀 때는 보이지 않던 보조선의 위치라든가, 동위각 또는 엇각, 이등변삼각형 등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각 학년 2학기 수학 교과서 내용은 거의 도형이다. 특히 중학교 2학년 2학기 때 배우는 ‘도형의 닮음’은 중학교 3년이라는 기간 중 가장 높은 난도를 자랑한다. 특히 도형의 기본이 되는 삼각형은 중요도가 상당하다. 다각형은 결국 삼각형이 모여서 만들어진 것이고, 삼각형의 내각의 총합인 180도가 모여서 다각형의 내각의 총합이 결정되며, 정다각형의 넓이를 구할 때도 중심에서 각 꼭짓점에 보조선을 긋게 되면 다각형의 변 개수만큼 이등변삼각형이 나오게 된다. 이등변삼각형의 넓이를 구한 뒤 개수만큼 곱하면 정다각형의 넓이도 구할 수 있다. 이렇듯 가장 기본이 되는 삼각형 단원은 직접 그려 가면서 이리저리 생각하고 고민하면서 푸는 것이야말로 도형 문제에 대한 안목을 키우는 좋은 방법이다.셋째, 자기만의 노트를 만들자.이차함수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다. 그런데 문제는 이차함수 자체의 중요성보다는, 문제의 내용에 따라 이차함수를 능수능란하게 변형할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이차함수를 인수분해할 수도 있고, 완전제곱식으로 바꿀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 인수분해가 필요하고, 어떤 문제에서 완전제곱식으로 변형해야 하는지 구분할 줄 모른다면, 힘들게 공부하면서 외웠던 인수분해, 완전제곱식으로의 변형은 실체만 있고 잡히지 않는, 그야말로 주머니 속의 모래다.또, 판별식을 예로 들어보자. 이차함수와 판별식은 그 중요도가 거의 비슷하다. 그런데 판별식 자체는 외우면서도, 언제 사용하는지, 이차함수와 축의 위치에 따라 판별식의 부호가 어떻게 되는지 많은 학생들이 헷갈려한다. 다음 문제를 보자. 아래로 볼록한 이차함수를 f(x)라 하자.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f(x) > 0이기 위한 조건으로 맞는 것은? 이라는 질문에 많은 학생들이 D > 0이라는 어이없는 답을 내놓는다. 이유를 물어보면 f(x)가 0보다 크니까 D도 0보다 커야 하지 않느냐고 반문한다. 정답은 D < 0이라고 설명해 주면 그제야 고개를 끄덕인다. 이렇듯, 개념은 알아도 문제의 속뜻을 몰라서 오답을 체크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이러한 내용을 자기만의 노트에 담아 틈나는 대로 보는 것이다. 혹시 이런 내용이 책에 있더라도 손으로 직접 쓰는 것을 추천한다. 쓰면서 보게 되고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위에 제시했던 세 가지 필수 노력인 연산 연습, 직접 그리면서 문제 풀기, 자기만의 노트 만들기를 꾸준히 실천해서, 2025년에는 열정까지 덤으로 얻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목동 앞단지 수학학원김학준수학학원김학준 원장위치 서울 양천구 목동서로 67 8층문의 02-2647-0569 2025-04-12
-
2025학년도 대입 수시 합격생 인터뷰 -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공규빈(한가람고) 학생 한가람고를 졸업한 공규빈 학생은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에 합격했다. 규빈 학생은 평소 법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던 중 김승섭 교수의 <아픔이 길이 되려면>이라는 책을 읽고 질병의 사회적 책임에 관해 관심을 가졌다. 규빈 학생은 사회적 요인이 사회적 약자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며 이에 관한 법과 정책은 어떤 해결책을 마련해야 할까에 대해 공부하고 싶어 진로를 정했다. 자신의 진로에 맞춘 다양한 학교 활동을 했고 꼼꼼하게 필기하면서 내신 성적도 꾸준히 우수하게 유지했다. 규빈 학생의 합격 비결을 살펴보자.박선 리포터 ninano33@naver.com합격 비결-수능 최저 기준 맞추기 규빈 학생은 2025 대입 수시전형에서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에 학업우수전형으로 합격했다. 규빈 학생은 자신의 합격 비결을 수능 최저 학력 기준(수능 최저)을 잘 맞추었던 것으로 꼽았다. 고려대 학업우수전형은 국‧수‧영‧탐(1과목) 4개 등급의 합이 8 이내로 적용된다. 4~5과목을 모두 공부해야 하므로 난도가 상당히 높아 실제로 많은 학생이 최저 기준을 맞추지 못해 탈락하게 된다. 규빈 학생은 내신 성적보다 수능 최저 충족이 우선한다고 보고 수능 최저를 맞추기 위한 경쟁력을 확보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전공 적합 활동-다앙한 학교 활동 참여<규빈 학생의 진로 적합 활동>*포럼-고2 때부터 탐구과목을 더 깊이 배우기에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탐구할 수 있음. 학기 말 열리는 포럼에 참여하면 무엇이든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관한 탐구를 정리해 발표할 기회가 주어짐.-규빈 학생은 평소 관심을 가진 사회문제 이론이나 사회복지와 관련해 기사나 논문을 통해 자료수집, 포스터 제작해 전시함.*GCP(Global Citizenship Program)-지속 가능한 발전목표 17가지 중 관심 있는 항목을 골라 관련한 쟁점들을 조사하고 정보 공유와 공감 유도를 위한 활동을 기획해 영어로 발표하는 활동임.-규빈 학생은 양질의 교육, 건강과 웰빙, 평화-정의와 제도 등의 항목을 선택해 발표하면서 진로에 대한 열정을 표현함. *북클럽-이 프로그램은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과 함께 팀을 만들어 특정 주제와 관련한 책을 읽음. 그리고 3개 이상의 논제에 관하여 토론을 나누고 보고서를 제출하는 활동임.-관심있는 주제에 관해 열정을 표현할 수 있음.학습 방법-꼼꼼한 필기<규빈 학생의 내신 공부법>*수업 시간-규빈 학생은 학교 수업을 놓치면 절대 성적이 잘 나올 수 없다고 생각했기에 평소 학교 수업에 빠지지 않고 출석해 모든 수업 내용을 필기로 남겼음.-학원을 다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필기를 해두어야 배우는 내용이 머리로 들어가고 혼자 문제를 풀거나 개념을 회독할 때 지체없이 이어나갈 수 있었음.*시험-시험 전 한 달이 다가오게 되면 학교에서 배웠던 내용을 토대로 (학원을 다니는 과목이라면 추가 수업을 듣거나 문제 모음을 받아)개념 복습, 문제 풀이, 기출 확인의 연속으로 학습했음. 반복이 가장 좋은 공부라고 생각했음.*플래너-규빈 학생은 중2 때부터 공부하는 날에는 무조건 스터디 플래너에 오늘 해야 할 일을 적었고 고등학교에 진학해서는 월별 계획을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달력을 활용하기도 했음.-공부하려고 자리에 앉을 때마다 잡생각이 들면서 공부를 밀어내고 싶어질 수 있음. 그렇기에 스터디 플래너를 써야한다고 생각함.-플래너는 태도를 바꾸게 하는 힘이 있다고 생각함. 공부를 하기 싫다가도 관성처럼 책상에 앉아 플래너를 꺼내면 그 행동 자체가 공부의 시작이 되는 것임.동아리-시사탐구부 ‘집현전’규빈 학생은 시사탐구부인 ‘집현전’동아리에서 활동했다. 매주 전반적인 사회 상황과 관련한 논제에 대해 찬반을 나누어 토론하고 의견을 주고받는 활동을 했다. 매주 토론을 준비하며 해당 논제와 관련한 쟁점에 관한 공부였기에 배경 지식을 정말 많이 쌓을 수 있었다.예를 들어 생명과학 동아리와 콜라보 활동으로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또는 연구를 허용해도 되는가’라는 논제로 토론을 할 때 사회과 동아리임에도 불구하고 배아줄기와 관련한 기사나 논문을 참고하며 공부했다. 그렇기에 배아줄기 생명윤리에 관한 입장을 보다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었고 ‘생명과윤리’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함께 활용할 수 있었기에 학제적인 탐구를 할 수 있었다. 규빈 학생은 “다른 활동으로 ‘대형마트 강제휴업은 부당한가’에 대해 토론할 때 대형마트 노동자들의 주말 휴식권과 건강권 보장 등의 복지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 볼 기회가 되었던 점도 인상 깊었어요”라고 말했다.주제 탐구 활동-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주제로규빈 학생은 고3 1학기 사회포럼에서 ‘최저임금 차등적용에 대한 모든 것’을 주제로 탐구했다. 주제 탐구를 할 때 너무 어려운 주제를 고르기보다는 학교에서 배운 내용에서 착안해 한 발 더 나아가 보는 주제를 고르기 위해 노력했다. 대학에서 배운 것을 토대로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어떻게 심도 있는 탐구를 해나갈 것인가를 중시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규빈 학생은 “전문성만을 돋보이게 하기보다는 주도적인 학습과 학제적인 탐구 태도를 보여주려고 했어요. 탐구 활동을 통해 교과서에서 벗어나 실제 우리 사회 전반을 파헤쳐보고 싶었어요. 단순히 시험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진 지식을 토대로 세상을 바라보고 노력해야만 무언가 우리 사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고민을 할 수 있음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어요”라고 말했다.가족들이 가장 힘이 돼규빈 학생에게 힘든 수험생활 중에 의지가 되었던 건 가족들이었다. 고3이 되자마자 규빈 학생은 공부를 정말 외로운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그럴 때마다 가족들과 간단하게 저녁을 먹거나 마트를 가는 등 기분전환을 했다. 규빈 학생은 “저를 위해 최선을 다하는 우리 가족들을 보며 위로와 원동력을 받고 더 힘내서 공부할 수 있었어요”라고 가족들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2025-04-12
-
2025학년도 대입 수시 합격생 인터뷰 -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한승우(마포고) 학생 마포고를 졸업한 한승우 학생은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에 합격했다. 승우 학생은 평소에 미래가 유망한 컴퓨터 분야에 관심을 가졌기에 진로를 컴퓨터와 인공지능으로 결정하고 학교생활 내내 성적을 꾸준히 유지하고 학교생활기록부(생기부)를 꼼꼼하게 채워나갔다.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전공 적합성을 나타낸 승우 학생의 수시 준비를 살펴보자.박선 리포터 ninano33@naver.com합격 비결-끊임없는 노력 승우 학생은 2025 대입 수시전형에서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에 합격했다. 승우 학생은 자신의 합격 비결로 ‘노력’을 꼽았다. 승우 학생은 평소 다른 친구들에 비해 뛰어나다고 느껴본 적이 없었고 글을 읽을 때도 내용이 바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느낀 적이 있었다. 그래서 다른 친구들의 몇 배로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또, 최선을 다하기만 하면 결과가 예상대로 나오지 않아도 자기 자신에게 만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승우 학생은 정말 아쉬움이 없을 정도로 모든 것을 쏟아부어 입시를 준비했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전공 적합성-충실한 교과 활동과 진로 분야 탐구, 자신만의 특이점 살리기승우 학생은 전공 적합성을 드러내기 위한 활동으로 교과 활동에 충실했고 진로 분야에 대한 탐구를 했으며 자신만의 특이점을 살리기 위해 노력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적절하게 어우러지면서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교과 활동에 충실함을 드러내고자 ‘케플러 법칙의 증명’을 하는 활동을 했고 진로 분야 탐구를 위해서는 스스로 인공지능을 개발해 보기도 했다. 자신만의 특이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과학자의 올바른 태도 탐구를 진행하면서 전공 적합성을 나타냈다.동아리와 주제 탐구 활동<승우 학생의 동아리와 주제 탐구 활동>*아이로봇반-코딩, 축제 프로젝트를 개발하는 등의 컴퓨터 분야 활동함.-동아리 활동 시간을 노는 시간, 쉬는 시간이라고 생각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절대 안 됨.-아까운 공부 시간을 차지하는 시간인 만큼 생기부에 도움이 될 의미 있는 성과가 있도록 모든 주의와 집중을 기울여 효율적으로 시간을 계획해야 함.*삼개제 축제 프로젝트 만들기-친구들과 협력해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역할 분배, 부분들의 연결에 힘썼음. 하지만 결국에는 혼자 하는 프로젝트가 오히려 유익하다고 생각함.-친구들이 공평하게 참여하려 했지만, 현실적으로 참여 비중이 차이가 날 수밖에 없었고 끝난 후 서로의 역할 비중에 대한 논의가 곤란한 부분이 있었음. 또, 개인의 역할이 크게 부각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음을 느꼈음. -단체 프로젝트보다는 스스로 혹은 자신이 명시적으로 주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라는 것을 조언함.학습 방법-끝까지 지치지 않고 일정하게<승우 학생의 학습법>*내신 준비1. 가장 중요한 건 끝까지 지치지 않고 일정하게 하는 것임. 승우 학생도 매우 일정한 양을 시험 때마다 공부했다고 생각하지만, 점수는 괘 변동이 있었음. 만약 공부를 조금이라고 소홀히 했다면 안 좋은 결과가 있었을지도 모름.2. 중요한 것을 파악하고 그것을 위주로 공부를 해 시험 기간 내에 최대한의 효율을 만드는 것이 최대한의 성적을 만들어내는 것임.-중요 사항 뽑아내기, 불필요한 공부는 안 하더라도 불안해하지 않기, 아무리 귀찮은 형태의 공부라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면 망설임 없이 하기가 가장 중요함.*노트 필기-내신에 있어 교사의 모든 중요한 설명을 기록하는 것임.-수업하는 교사가 출제자임.-살짝 중요하지 않은 것처럼 언급하는 것이 문제로 출제되는 경우도 매우 많고 이미 아는 내용이더라도 다시 쓰면서 복습까지 할 수 있어 수업 시간 필기는 매우 중요함.선택과목-전략적으로 선택해야승우 학생은 선택과목을 정할 때는 우선 내신이라면 그 과목 생기부의 중요도를 잘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신의 생기부 내용과 진로에 따라 그에 적합한 선택과목을 정하는 것이 자신만의 스토리를 만드는 것에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했다. 또, 이과 학생이라면 과학 과목을 3개 이상 구상하는 것이 불이익당하지 않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승우 학생은 “수능 과목은 정말 전략적으로 잘 선택해야 합니다. 우선 가능하다면 2학년 때 내신으로 배운 적 있는 선택과목을 정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요즘처럼 과학1 과목에서 다른 과목들에 대비해 좋은 표준점수나 백분위를 좋게 얻는 것이 어렵다는 것 또한 잘 생각해서 타협점을 찾아야 합니다”라고 조언했다.면접 준비-기출문제 분석승우 학생은 면접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요한 시험이기에 매우 떨렸다. 반면 준비는 그 어느 때보다도 안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준비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너무 없었다, 면접을 보고 난 뒤에도 긍정적으로 결과를 생각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모든 학생이 비슷하게 촉박한 시간에 부족한 준비를 하고 지금까지 형성된 자신을 최대한 시험해 보는 시험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승우 학생은 “면접은 그 누구도 완벽하게 준비할 수 없음을 다시 한번 명심해야 합니다. 실질적인 준비 방법으로는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올해 기조 변화 공지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학원은 1회 수강하고 이후 자신의 필요에 따라 학원의 지속적인 수강을 하거나 스스로 학습하면서 대비해야 합니다”라고 조언했다. 2025-04-12
-
2025학년도 수능 수학·국어 만점자 인터뷰 - 배재고 안상준(가톨릭대학교 의예학과) 2025년 수능 만점자는 11명으로 이중 졸업생(N수생)이 7명, 재학생은 4명이었다. 배재고등학교 안상준군은 딱 한 문제를 틀려 아쉽게 만점자 명단에 이름을 올릴 수 없었다. 국어는 ‘언어와 매체’, 수학은 ‘미적분’, 탐구는 ‘물리학1’과 ‘생명과학1’을 선택해 전체에서 생명과학1 한 문제를 틀린 상준군. 가톨릭대학교 의예학과(학교장 추천 전형)에 합격한 상준군에게 수능 국어, 수학 만점 비결을 들어봤다.Q. 먼저 수학 수능 만점 공부법이 궁금합니다.- 고등학교 3학년이 되기 이전부터 수학 과목에 자신이 있었고 수능 준비를 하게 되면서 어느 순간부터 100점을 받을 수 있는 실력은 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모의고사를 보면 꼭 1~2개를 틀리곤 했었어요. 그래서 어려운 문제를 빨리 푸는 것에 집중하기보다는 제가 빈번히 실수하는 유형들을 정리해 해당 유형들을 마주했을 때 동일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자 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천천히’ ‘꼼꼼히’ 읽어 실수를 하지 않을 수 있었고, 또 운 좋게도 시험 종료 5분 전에 계산 실수를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Q. 나는 수학 천재? 아니면 노력형?- 저는 제 수학 실력이 타고난 것 반, 노력 반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릴 때 수학을 잘한다는 칭찬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기분이 좋아서 열심히 하려고 했던 점도 있고, 문제를 풀고 답이 깔끔하게 떨어지는 것이 좋아 타 과목보다 재미있게 공부했었던 것 같습니다.Q. 국어는 정말 성적 올리기가 어려운 과목이라는데, 수능 국어 만점 비결은?-저도 1년 동안 국어 공부에 정말 심혈을 기울여 집중했습니다. 1, 2학년 때엔 내신 준비하면서 국어 공부를 했습니다. 당시 모의고사 국어 성적이 그렇게 저조하지는 않았지만, 고득점을 하지는 못했죠. 그리고 막상 수능을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시기가 오고, 고등학교 3학년 난이도의 모의고사를 풀자 3, 4등급 대의 점수가 나오게 되었고, 꽤 충격을 받았었습니다. 제 부족한 국어 실력을 극복하기 위해 저는 겨울방학에 매일 적게는 4시간, 많게는 7시간까지 국어 공부에 시간을 투자하였고, 그 결과 자연스럽게 성적이 오르게 된 것 같습니다. 특별한 비결이 있었다기보다는, 포기하지 않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것이 제 수능 국어 만점을 만들어 준 것 같습니다.Q. 본격적인 수능 대비 시기는? 그리고 방법은?- 3학년으로 올라가는 겨울방학인 12월 전후로 하여 수능을 대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전까지는 모든 시간을 내신 시험들을 준비하는데 투자해왔고, 그에 따라 학습 방향도 수능과 모의고사보다는 내신 시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습니다. 해당 기간이 되자 본격적으로 수능을 준비해야 했기 때문에, 공부 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국어 선택과목인 언어와 매체는 인강을 통해 기초를 잡고, 3학년 1학기에 내신을 준비하면서 확실히 다지는 방식으로 학습했습니다, 독서와 문학의 경우에 두 파트가 굉장히 달라 보이지만, 결국에는 제시된 글을 얼마나 잘 이해할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이라는 깨달음을 얻기까지 위에서 말씀드린 만큼 정말 많은 시간을 투자했었습니다.수학은 수능 응시 과목 중 미적분이 약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겨울방학에 학원에서 다양한 실전 개념들을 배우고 훌륭한 친구들과 풀이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며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영어는 하루에 적은 시간을 투자하되 꾸준히 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고 감을 잃지 않되 다른 과목 학습할 시간을 뺏지 않으려 노력했습니다탐구 과목은 우선 개념을 다시 한 번 정리하고, 어려운 추론형 문제 풀이에 집중하여 제한된 시간 안에 모든 문제를 풀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였습니다.Q. 수학과 국어 과목에서 수능과 내신 대비의 차이점이 있다면?- 저는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 총 5학기, 10번의 배재고 내신 시험에서 수학은 모두 1등급을 받았고, 그 중 7번은 만점이었습니다. 국어는 개별 고사에서는 2등급을 2번, 만점은 1번이었지만 학기말 성적은 모두 1등급이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우선 수학 과목에서 내신과 수능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본 적 있는 문제의 유무’라고 생각합니다. 배재고 학교 내신의 경우 최고난도 2문제 정도를 제외하고는 기존 시험 범위인 교과서, 부교재, EBS교재 등을 간단히 변형하여 출제하는 대신, 문제 수 대비 풀이 시간이 조금은 빠듯하게 출제됐었습니다. 반면, 수능의 경우 시간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지만 처음 보는 문제들을 풀어나가야 한다는 점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국어 과목은 정말 차이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내신은 암기가 95퍼센트 이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시험 범위의 문학작품과 비문학 제시문 글들을 읽고 내용을 모두 아는 상태에서 깊은 내용을 물어보는 문항들을 푸는 반면, 수능은 비록 EBS 연계가 있다 하더라도 처음 보는 글들을 읽어낸 후 글을 올바르게 독해해내었는지를 알아내는 문제들을 해결해나가는 부분이 크죠. 따라서, 저는 두 과목 모두 내신 준비를 할 때는 시험 범위에 해당하는 내용들과 문제들의 풀이법을 철저하게 암기하여 시험장에서 빠르게 문제들을 풀어나가도록 하고, 수능은 어떤 문제들을 마주할지 모르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교재와 모의고사들을 풀어보면서 처음 보는 문제들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길렀습니다.Q. 나만의 문제 풀이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우선, 수학은 저만의 문제 풀이 방법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비록 주로 선택하는 변수 설정이나 식을 적는 순서가 다른 친구들과 같지 않을 수는 있지만, 이 점이 학업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국어는 특히 수능에서 독서 파트에서 비문학 제시문을 읽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제시문에 특정 단어가 나올 때마다 매칭되는 다양한 종류의 밑줄, 박스, 괄호 등을 사전에 정해놓아서 글을 읽으면서 표시해나갔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서 문제를 읽다가 필요한 부분으로 되돌아가 글을 읽을 때, 그 위치와 흐름을 빠르게 다시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제가 많은 글을 읽는 과정에서 제가 편한 방식으로 조금씩 살을 덧붙여나간 방법이므로, 무작정 따라 하는 것보다는 본인만의 표시법이나 풀이법 등을 스스로 찾아 나가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Q. 마지막으로 후배들에게 조언을 해 준다면? - 언제나 힘내고요. ‘나는 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본인을 믿으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는 공부를 하는 방법보다는 공부하는 태도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조금 힘들다고 포기하지 말고, 자기 자신을 믿는 바른 마음가짐을 가지고 힘든 수험생활을 헤쳐 나가다 보면 언젠가는 원하는 결과를 꼭 얻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2025-04-11
-
영진전문대학교 대학도서관 평가 1위 독서문화행사 호평 대구 영진전문대학교(총장 최재영)는 지난 2일 이 대학 복현캠퍼스 도서관 앞 벚꽃 숲길에서 봄맞이 독서 문화 행사 ‘북피크닉’을 개최했다.벚꽃이 만개한 도서관 숲길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영진전문대 학생들에게 야외에서 따스한 봄빛을 받으며 독서의 즐거움을 제공하고자 기획됐으며, 독서존과 참여존으로 구성되어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독서존에서는 이 대학 학생들이 전시된 도서를 자유롭게 대출한 후, 캠핑 감성으로 조성된 공간에서 독서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캠핑 의자, 해먹, 빈백 등 편안한 독서 전문 환경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은 여유롭게 독서에 몰입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존에서는 △마음에 드는 책 문장 필사하기 △벚꽃 책갈피 만들기 △삼행시 짓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특히, 벚꽃 책갈피 만들기 코너는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으며 행사 분위기를 한층 더 따뜻하게 만들어 큰 호응을 얻었다. 고 모(영진전문대 조리제과제빵과, 2년) 학생은 “도서관에서 이런 색다른 행사가 열릴 줄 몰랐어요. 벚꽃 아래에서 책을 읽으니 정말 낭만적이고, 참여 프로그램도 재미있어요!”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김 모(영진전문대 간호학과, 1년) 학생은 “곧 중간고사가 다가와서 스트레스가 많았는데, 벚꽃 속에서 책을 읽으며 힐링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앞으로도 이런 행사가 자주 열렸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했다. 대구 영진전문대학교 도서관은 봄을 맞아 이 대학 학생들에게 더욱 다양하고 전문적인 문화 체험과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제4회 메타버스 레이싱 대회, 전자정보박람회 등도 진행하며 전자자료 체험의 기회를 마련하고 있어 호평을 받고 있다.한편, 영진전문대학교 도서관은 지난해 교육부 대학도서관 평가에서 전문대 A그룹(재학생 4,000명 이상)에 1위로 선정돼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전득렬 팀장 sakgane@hanmail.net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