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부동산·금융
생활·문화
건강·의료
사회·이슈
지역별 소식·웹진
학부모교육강좌
지역별 소식
강남·서초
노원·도봉
송파·강동·광진
양천·강서·영등포
안양·군포·의왕·과천
안산
일산·파주
운정·교하
부천
대구경북
강남·서초
총
2,965
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Page index is out of range
웹진보기
모든웹진보기
강남·서초
강남1063호
강남1062호
강남1061호
강남1060호
강남1059호
강남1058호
강남여름특집호2506
강남1056호
강남1055호
강남1054호
바로보기 →
카테고리 내 가장 많이 본 기사
2026학년도 주요 12개 대학 수시 경쟁률
지난 9월 8일(월)부터 12일(금)까지 202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실시됐다. 주요 12개 대학의 수시 모집인원은 2025학년도 대비 136명이 증가했고, 지원자는 2,021명이 감소해 12개 대학의 평균 수시 경쟁률은 다소 낮아졌다. 의·약학 계열의 강세는 여전했지만 지난해보다 완화되었으며, 논술전형의 경쟁률은 여전히 높았다. 서울 소재 주요 12개 대학의 수시 전형별 경쟁률과 선호도 높은 모집단위의 경쟁률을 살펴봤다.참고 : 12개 대학별 2026학년도 수시지원현황(지원 최종 경쟁률)※수시 6회 지원 위반자 결과에 따라 각 대학의 모집단위별 지원인원과 경쟁률은 변경될 수 있다.주요 12개 대학 2026학년도 수시 경쟁률성균관대 32.49:1로 가장 높고, 서울대 8.12:1로 가장 낮음서울 소재 주요 12개 대학의 2026학년도 수시 경쟁률을 살펴보면 성균관대가 32.49: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한양대가 30.99:1, 중앙대가 30.39:1로 경쟁률이 높았다. 지난해 수시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대학은 한양대로 31.94:1이었다. 서울대의 수시 경쟁률은 8.12:1로 12개 대학 중 가장 낮았고 지난해의 9.07:1보다 낮아졌다.12개 대학 중 전년 대비 경쟁률이 상승한 대학은 5개 대학이며,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국외대 등이다. 그 중 이화여대의 경쟁률 상승폭이 2.88로 가장 크고 고려대 상승폭은 0.05로 미미하다. 경쟁률이 하락한 대학은 7개 대학이며 서울시립대(-1.83), 경희대(-1.69), 연세대(-1.30)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지난해에는 수시 경쟁률이 상승한 대학이 8개 대학으로 하락한 대학보다 많았었다.주요 12개 대학의 수시모집 인원은 2025학년도에 22,188명이었는데, 2026학년도에는 22,324명으로 136명 늘었다. 이에 비해 12개 대학 수시모집에 지원한 수험생은 503,791명(중복 지원 포함 합계)으로 지난해의 505,812명보다 2,021명이 줄어 12개 대학 평균 수시 경쟁률은 지난해의 22.80:1에서 21.39:1로 소폭 낮아졌다. <2026학년도 주요 12개 대학 수시지원 경쟁률>* 2026학년도와 2025학년도의 경쟁률 비교를 동일 기준으로 적용하기 위해 전년도(2025학년도) 경쟁률도 수시 6회 지원 위반자 결과를 반영하지 않은 수시 마감일 지원경쟁률 기준으로 비교함.* 성균관대를 제외한 모든 대학은 서울캠퍼스 기준임2026학년도 주요 대학 전형별 수시 경쟁률# 서울대학교:일반전형 의예과 12.70:1, 치의학과 9.80:1, 경영대학 5.62:1서울대는 전체 2,207명 모집에 17,930명이 지원해 8.12:1의 경쟁률을 보였다.지역균형선발전형은 509명 모집에 2,419명이 지원해 4.75:1의 경쟁률을 보였고, 일반전형은 1,515명 모집에 13,695명이 지원해 9.04:1의 경쟁률이었다. 기회균형특별전형(사회통합)은 183명 모집에 1,816명이 지원해 경쟁률은 9.92:1이었다. 지난해의 서울대 수시 경쟁률은 지역균형선발전형이 4.91:1, 일반전형이 10.22:1이었다.지역균형선발전형은 인문대학 인문계열이 4.44:1, 역사학부가 1.89:1이었고, 사회과학대학에서는 사회복지학과가 5.00: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자연과학대학에서는 생명과학부가 6.57:1로 가장 높았다. 공과대학에서는 조선해양공학과가 7.33: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화학생물공학부가 6.00:1, 산업공학과가 5,50:1로 높았다. 공과대학에서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인 곳은 컴퓨터공학부로 2.33:1이었다.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는 식품·동물생명공학부가 8.43:1로 가장 높았고, 사범대학에서는 체육교육과가 7.00:1로 가장 높았으며, 생활과학대학에서는 식품영양학과가 9.00:1로 경쟁률이 높았다. 간호대학은 8.40:1, 경영대학은 1.88:1, 의예과 8.08:1, 수의예과 5.17:1, 약학계열 9.45:1, 자유전공학부 6.35:1, 첨단융합학부 5.50::1의 경쟁률이었다.일반전형은 인문대학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철학과가 15.56:1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과학대학에서는 사회학과가 16.50: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자연과학대학에서는 지구환경과학부가 10.47:1로 가장 높았으며, 공과대학에서는 원자핵공학과가 11.73:1로 가장 높았다.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는 응용생물화학부가 19.27:1로 가장 높았으며, 사범대학에서는 체육교육과가 26.25:1로 상당히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간호대학은 10.96:1, 경영대학은 5.62:1, 의예과 12.70:1, 치의학과 9.80:1, 수의예과 10.71:1, 약학계열 9.00:1, 자유전공학부 10.35:1, 첨단융합학부 7.58:1의 경쟁률이었다. <서울대 2026학년도 수시 전형별 경쟁률># 연세대학교:학종 활동우수형 의예과 11.29:1, 논술 치의예과 107.60:1연세대는 전체 2,215명 모집에 33,438명이 지원해 15.10: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지난해 경쟁률의 16.39:1보다 다소 낮아졌다.학생부교과전형(추천형)에서는 IT융합공학전공이 13.80: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고, 다음으로 언론홍보영상학부가 11.33:1, 사회복지학과가 9.80:1, 교육학부가 9.56:1, 대기과학과가 9.20:1 순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의예과는 6.00:1, 치의예과 7.90:1, 약학과 5.60:1, 경영학과는 4.21:1이었다.학생부종합전형(활동우수형)에서는 진리자유학부(자연)이 18.67: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다음으로 생화학과가 18.25:1, 생명공학과 17.10:1, 생명과학부 16.83:1,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16.36:1, 수학과 16.29:1 등으로 높았다. 의예과는 11.29:1, 치의예과는 12.33:1, 약학과는 13.43:1, 경영학과는 8.13:1이었다.논술전형은 전체 48.72:1의 경쟁률로 지난해의 50.03:1보다 다소 낮아졌다. 논술전형에서는 치의예과가 107.60: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약학과가 103.00:1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경영학과는 82.07:1로 지난해의 105.73:1보다 낮아졌고, 진리자유학부(인문)은 83.58:1을 기록했다. <연세대 2026학년도 수시 전형별 경쟁률># 고려대학교:학종 학업우수전형 환경생태공학부 34.08:1, 논술전형 경영대학 170.58:1고려대는 전체 2,703명 모집에 55,009명이 지원해 20.35:1의 경쟁률을 보여 지난해의 20.30:1과 비슷했다.학생부교과 학교추천전형에서는 가정교육과가 25.29: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환경생태공학부가 14.18:1, 의과대학이 12.89:1, 물리학과가 12.50:1로 경쟁률이 높았다. 경영대학은 3.29:1로 지난해의 6.13:1보다 낮아졌다.학생부종합 학업우수전형에서는 환경생태공학부가 34.08: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가 29.85:1, 보건환경융합과학부가 28.55:1, 의과대학이 28.29:1, 가정교육과가 28.29:1, 지구환경과학과가 27.33:1, 건축사회환경공학부가 26.06:1로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경영대학은 11.69:1이었다. 지난해에는 의과대학이 38.34:1로 가장 높았었다.학생부종합 계열적합전형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의과대학이 25.00: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철학과 22.33:1, 화학과 20.80:1, 글로벌한국융합학부 18.80:1, 국제학부 18.70:1 등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경영대학은 9.43:1이었다.논술전형에서는 경영대학이 12명 모집에 2,047명이 지원해 무려 170.58:1
2026학년도 교육감 선발 후기고등학교 입학전형 요강 요약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
잠 못드는 청소년, 청소년 수면시간 OECD 꼴찌!
2026학년도 주요 의대 수시 경쟁률
[의학칼럼] 수능 앞둔 여학생, 학부모가 챙겨야 할 생리통, 컨디션 관리
‘2025 강남페스티벌’ 9월 25일 개막, 모두가 즐기는 K-컬처 축제
기사제보
(주)내일엘엠씨(이하 '회사'라 함)은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고 있으며, 지역내일 미디어 사이트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에 대한 귀하의 동의를 받고자 합니다. 내용을 자세히 읽으신 후 동의 여부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관련법령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 제17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회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하여 회사가 이용자로부터 제공받은 개인정보를 어떠한 용도와 방식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어떠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알려드립니다.
1) 수집 방법
지역내일 미디어 기사제보
2)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이용 목적
기사 제보 확인 및 운영
3) 수집 항목
필수 : 이름, 이메일 / 제보내용
선택 :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아래 개인정보 항목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수집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 쿠키, MAC 주소, 서비스 이용 기록, 방문 기록, 불량 이용 기록 등)
4) 보유 및 이용기간
① 회사는 정보주체에게 동의 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이 달성된 경우 지체 없이 개인정보를 복구·재생 할 수 없도록 파기합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따라 개인정보를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개인정보를 보존합니다.
② 처리목적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의 등록일로부터 3개월
※ 관계 법령
이용자의 인터넷 로그 등 로그 기록 / 이용자의 접속자 추적 자료 : 3개월 (통신비밀보호법)
5) 수집 거부의 권리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수집 거부 시 문의하기 기능이 제한됩니다.
동의합니다.
이름
*
휴대폰
이메일
*
제목
*
내용
*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