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소식
양천·강서·영등포 총 8,564개의 기사가 있습니다.
-
초등생 두뇌 계발과 집중력, 영어실력 향상을 돕는다 학부모와 학생의 소망 중 하나가 공부를 잘하는 것이다. 학교 수업 후 이곳저곳 학원을 다녀도 결과는 항상 제자리, 원인이 무엇일까? 사람은 일생동안 타고난 능력을 10%도 활용하지 못한다는데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릴 수는 없는 것일까? 평생 두뇌계발 학문을 연구하고 개발해온 최정수 교수는 최근 영어 속독법을 개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발명특허 두뇌계발 프로그램을 활용한 집중력영어속독집중력 영어속독은 최정수 교수가 발명특허(10-0855202/10-1297651)를 획득한 두뇌계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집중력은 마음의 근원이다’란 원리에 맞추어 과학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 교수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릴 때부터 영어 교육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만 시간을 쏟은 노력에 비해 결과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편”이라며 “이는 뇌신경망 형성과 두뇌계발의 황금기인 유,초등 때에 바른 인성과 두뇌계발이 제대로 훈련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2004년부터 영어 속독 프로그램 개발에 나선 최 교수는 영어를 어차피 배워야만 하는 시대이지만 보다 효과적으로 배우는 것은 물론 동시에 두뇌를 함께 계발하는 과학적 원리를 구현할 있도록 영어 속독 교본을 개발했다. 교본은 영어를 활용한 시력강화 훈련, 장기기억훈련, 좌뇌-우뇌 활성화 훈련, 집중력 훈련, 쓰기, 듣기, 말하기 훈련 등 1단계부터 50단계까지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다.이 프로그램은 시신경과 뇌신경의 생리학에 맞추어 안구운동으로 두뇌를 기분 좋게 하여 좌뇌와 우뇌를 활성화하면서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원리이다. 이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인성+두뇌계발+영어학습이 동시에 향상시키는 융합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최 교수는 “바른 인성이 확립되어야 두뇌가 활성화되고 모든 공부를 잘할 수 있다”라고 말하며, 유치부와 초등부에서부터 시작해야 효과가 높다고 했다.매달 집중력영어속독 강사 양성 교육 진행최 교수는 집중력 영어속독 프로그램을 초등학생에게 지도할 강사양성을 위해 오는 11월부터 서울 경기대 평생교육원과 부산 동아대 평생교육원에서 주1회 3시간 5주 코스로 매달 강사양성 교육과정을 진행한다.최정수 박사의 직강 통해 초보자도 유능한 강사로 책임 육성할 계획이다. 과정을 수료하면 초등학교 방과후 강사 등 전문교육자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강사 교육 내용은 <집중력영어속독훈련>의 기본적인 원리설명, 지도방법과 훈련, 괴테 어머니의 독서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홈페이지 www.cjsenglish.com교육장소 경기대학교 평생교육원 (서대문구 충정로)문의 최정수 교수 연구실 02-365-1137 / 010-6690-1137 2021-10-29
- 성적을 올리고 싶다면 오답노트를 활용하라 수학문제를 풀고 복습을 하는 습관은 수학실력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수학이라는 과목은 자칫 암기과목이 아니라고 생각을 하는데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생각이다. 문제를 통해 문제해결방법을 알고 있어야 응용된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틀린 문제에 대한 반복 숙지가 기본적으로 되어 있지 않다면 매 단원마다 기본문제만 풀고 응용된 문제는 풀지 못하면서 선행을 나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복습이 습관적으로 진행이 된다면 반복 숙지가 된 단원들이 모여 탄탄한 실력이 형성이 되고 그 이후에 나오는 단원의 심화문제까지 아우르게 된다. 응용된 문제 대부분이 전에 배운 내용을 토대로 출제가 되기 때문에 추후 선행 개념의 응용된 문제까지도 쉽게 풀 수 있게 되는 것이다.복습을 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답문제를 따로 모아 반복 숙지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데 아래 몇 가지 사항에 맞춰 오답문제를 반복 숙지한다면 더 효율적으로 수학 복습이 이뤄질 것이다. 1. 오답노트는 단원별로 처음 틀린 문제, 계속틀린 문제로 나눠서 반복 숙지하는 것이 좋다틀린 문제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문제 및 조건을 잘 못 보거나 풀이과정에서 오류가 나서 틀린 문제는 여러 번 반복할 필요까지는 없다. 다만 계속 틀린 문제는 따로 모아 단원별로 분류해 놓는다면 추후 피드백을 할 때 빠르게 전에 배운 단원을 복습 할 수 있다.2. 문제별로 틀린 이유에 대해서 간단히 적어 넣어라다시 틀린 문제를 확인 할 때는 개념이 부족해서 틀렸는지 문제 푸는 방법을 몰라 틀렸는지 정확히 알고 복습을 해야 더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틀린 이유에 대해서 정확이 알고 있어야 본인의 약점을 스스로 정확하게 파악을 할 수 있으며 좀 더 완성도 높은 피드백이 가능하다.3. 틀린 문제가 안 풀리더라도 단어 외우듯이 문제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틀렸던 문제를 풀기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나 일정 시간이 지나도 무작정 보고만 있으면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를 영어단어 외우듯이 여러 번 읽어 기억해 놓으면 오답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그동안 풀지 못했던 문제들의 해결방법을 알게 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따라서 반드시 틀린 문제를 풀어야하는 압박감을 가지는 것보다 틀린 문제를 여러 번 보면서 문제를 기억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한번 해결해 놓은 문제유형들은 수능 볼 때까지 잊어버리는 경우가 거의 없다. 4. 오답노트를 만들 때 시간투자를 너무 많이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오답노트는 결국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드는데 있어 시간을 많이 투자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꼼꼼히 노트를 보기 좋게 만드는 것보다 정확하게 분류해 놓는 것이 좋으며 오답노트를 대신 나만의 노트를 대신 만들어 줄 수 있는 선생님 또는 스터디 그룹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목동 한별수학 강한규 원장02-2645-6660 2021-10-29
- 목동 지역 고등학교 영어 내신 1등급 비법 중2부터 내신이 시작된다. 중학교 현행시험은 코로나 상황 탓에 모두 객관식이다. 현 중학생들은 주관식 서·논술형의 냉정하고 혹독함을 경험해 보지 못한 셈이다.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 영어 주관식은 정확한 스펠로 조건에 맞는 어법과 구문 표현을 통해 바른 글씨체로 답을 써내야 한다. 이 자체만으로도 부담스러운데 배점 또한 높아 등급이 갈리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입학 전 서술형 연습은 필수 과제라 할 수 있다. 본원의 영작 수업 예를 들어보자. [1단계 : 실전문제 풀어보기]학습 내용 : 가목적어 it + 목적보어 + 진목적어(to 부정사) 학습30.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We often ignore small changes because they don’t seem to ①matter very much in the moment. If you save a little money now, you’re still not a millionaire. If you study Spanish for an hour tonight, you still haven’t learned the language. We make a few changes, but the results never seem to come ②quickly and so we slide back into our previous routines. The slow pace of transformation also makes it ③easy to break a bad habit. If you eat an unhealthy meal today, the scale doesn’t move much. A single decision is easy to ignore. But when we ④repeat small errors, day after day, by following poor decisions again and again, our small choices add up to bad results. Many missteps eventually lead to a ⑤problem. [2020년 3월 모평 29번]우리는 흔히 작은 변화들이 당장은 크게 중요한 것 같지 않아서 그것들을 무시한다. 지금 돈을 약간 모아도, 여러분은 여전히 백만장자가 아니다. 오늘 밤에 스페인어를 한 시간 동안 공부해도, 여러분은 여전히 그 언어를 익힌 것은 아니다. 우리는 약간의 변화를 만들어 보지만, 그 결과는 결코 빨리 오지 않는 것 같고 그래서 우리는 이전의 일상으로 다시 빠져든다. 변화의 느린 속도는 또한 나쁜 습관을 버리기 쉽게(→어렵게) 만든다. 오늘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어도 저울 눈금은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 하나의 결정은 무시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가 잘못된 결정을 반복적으로 따름으로써 작은 오류를 나날이 반복한다면, 우리의 작은 선택들이 모여 좋지 않은 결과를 만들어낸다. 많은 실수는 결국 문제로 이어진다. [정답 : 3][2단계 : 직접 작문해 보기]* 다음 지문은 2020년3월 전국연합 모의고사 지문 중 발췌한 내용입니다. 직접 작문을 해 보세요. 우리는 약간의 변화를 만들어 보지만, 그 결과는 결코 빨리 오지 않는 것 같고 그래서 우리는 이전의 일상으로 다시 빠져든다. 변화의 느린 속도는 또한 나쁜 습관을 버리기 어렵게 만든다. 오늘 몸에 좋지 않은 음식을 먹어도 저울 눈금은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 [2020년 3월 29번 전국연합 발췌]Tip: 제시문에 ‘~ 하지만, ~ 먹어도’ 등의 ‘양보절’에 해당하는 구문이 있으므로 ‘양보절 접속사 => though, even if 등’의 사용을 생각해 볼 수 있고, 5형식 문장구조는 ‘주어+불완전타동사+목적어+목적보어’인데 특이하게 가목적어 ‘it’을 사용해서 ‘주어+불완전타동사+’it’(가목적어)+목적보어+진목적어‘ 구조로 써야만 하는 ‘불완전 타동사’들이 있는 것에 주의할 것.참고 사용 표현: a few, seem to, slid into, scale[학생 작문 예시 & 첨삭]1. We (1)tried to make (2)a few transformation, but the result is not coming soon.So we slide into previous routines. Also a slow pace of transformation makes it hard (3)to threw away bad habits. Despite eating (4)the unhealthy food, the scale does not move so much. (신서중3. 이 00)[첨삭/점검] (1) 영작 제시문은 늘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 사실을 얘기하는 것이므로 과거시제를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tried’를 ‘try’로 바꿔야한다.(2) ‘(a) few’는 항상 복수형을 수식하므로 ‘a few transformations’로 써야한다.(3) ‘to 부정사’는 항상 ‘to’ 뒤에 ‘동사원형’을 써야하므로 ‘to throw’로 바꿔야한다.(4) 정관사 ‘the’는 특정한 명사를 지칭할 때 사용하므로 위의 경우는 어색하다. 2. We (2)made a few changes, but the result (1)seemed not to come fast. So we slide into previous routines. Also, The slow of changes (2)make it (3)us hard to let out of bad habits. Although we eat unhealthy food today, the scal 2021-10-29
- 진명여고 1학년 2학기 영어 중간고사 분석 2021년 10월 7일에 치러진 시험은 총 30문항 중에 선택형 25문항 70점, 서답형 5문항 30점으로 이뤄졌다. 듣기 문제는 객관식 5문제와 서답형 1문제 그리고 서답형 문제 내에 Dictation(받아쓰기) 3문제가 함께 들어있어 1점, 2점, 3점식으로 문장 전체를 쓰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작은 실수라도 있으면 부분 점수 없이 다 틀리게 했다. 서답형 문제는 1학기 시험과 차이는 없었지만 객관식 문제 유형들은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여러 개 고르는 유형으로 조금 바뀌었다. 듣기 내용은 같으므로 내용 숙지만 하면 푸는 데는 큰 문제가 없었다. 어법문제는 총 5문항, 어휘 총 6문항, 독해 9문항으로 비슷한 문제의 개수였으나 이번 시험에서 어법은 정답을 여러 개 고르는 문제였으므로 시간도 더 걸리고 꼼꼼히 보지 않으면 틀렸을 것이다. 하지만 어법, 어휘, 독해는 지문을 꼼꼼히 외웠거나 내용 이해를 해놨을 경우 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서술형 4문항들은 듣기 문제 유형처럼 1문항 당 2개의 문제들이 있어 각각 문제당 점수 배점이 달랐고, 부분점수는 없었다. 단답형으로 쓰거나 어법 틀린 것을 고치는 건 그리 어렵지 않았으나 1문제씩은 문장 전체를 암기해서 써야 하는 경우는 지문 전체를 완벽히 외워두지 않으면 틀릴 수도 있었다. 하지만 해석과 단어들이 주어지고 어법에 맞게 조금 변형해서 쓰는 문제였기에 어려운 문제라고 볼 수는 없다. 예전처럼 주어진 단어 제외하고 문장 쓰는 것, 어형 변화 시켜 쓰는 어려운 문제들은 없었다. <예시>서술형 3-2번 <보기>의 단어를 모두 사용하고 <우리말 해석>을 참고하여 밑줄 수에 맞게 배열하시오. 필요한 경우 동사의 어형을 어법에 맞게 배열하시오.<우리말 해석> 언어는 우리가 구체적이도록 허락하며, 이것이 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점이다.<보기> key/us/to/this/specific/play/allow/is/conversation/where/be/a/role<정답> Language allows us to be specific, and this is where conversation plays a key role. <총평> 항상 진명여고에서 가장 어렵고 점수 배점이 컸던 주어진 단어를 제외하고 어형 변화를 통한 문장 쓰기가 없어 이번 시험은 크게 어렵지는 않았으나, 본문과 모의고사를 완전히 외워야 고득점을 받을 수 있는 시험이었다. 그리고 정답을 여러 개 고르는 문제가 많이 출제되다 보니 철저한 암기가 안 된 경우 시간이 부족했을 것 같다. 이번 시험에서는 어려운 서술형이 나오지 않았으나 기말고사에서는 출제될 가능성이 높으니 서술형 대비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목동 썬영어 원장 선수현문의 010-3799-5667 2021-10-29
- 2022년 중학교 진학하는 예비 중1 학생을 둔 학부모님께 드리는 국어 학습 방법 제안 쨍하게 상쾌하고 차가운 아침 공기에서 ‘가을이구나~!’하는 생각이 확연히 드는 요즘이다. 이맘때가 되면 학부모님들은 시시각각 형형색색의 다른 옷을 갈아입는 가을의 모습보다도, 이제 곧 학년이 올라갈 텐데도 학습에 아무 긴장감이 없어 보이는 자녀의 모습이 더욱 확실히 눈에 띄실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초등학생에서 중학생으로 올라가는 예비 중1 학생을 둔 학부모님들은 더욱 공감하길 것이다.그러나 자녀를 바라볼 때 믿음과 여유를 가지시라는 말씀과 함께 중학생이 되기 전에 국어 학습을 위해서는 꼭 해야 할 몇 가지 제안을 드릴까 한다. 예비 중1 학부모님의 마음가짐가장 중요하고도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부모님들의 마음가짐이다. 중학교에 첫발을 딛는 예비 중1 자녀들의 학부모님들은 거의 예외 없이 학습에 있어서 학생 본인보다 더 긴장되고 과도한 의욕에 넘쳐있으시곤 한다. 이것이 결과적으로는 자녀에게 독이 될 가능성도 높다. 부모님의 과도한 긴장과 기대가 아이가 가진 능력을 위축시키고 눈치를 보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중학교 시기는 우리 아이의 학습 그릇 용량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고, 그 용량을 확장시키는 과정에 주력해야 할 시기이지, 목표와 결과에 주력할 시기가 아니라고 본다.독서는 모든 과목의 기본국어에만 해당하지 않는 필수 미션이 있다. 독서이다. 단순히 국어 학습 뿐 아니라 모든 과목의 학습을 잘 수행하고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독서’가 필수 중 필수임을 명심하시라. 할 수만 있다면 중학교 1학년은 아예 ‘독서 능력 향상을 위한 시기’로 정하셔도 된다. 가능한 닥치는 대로 ‘읽기’에 주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좋다.그러나 요즘은 학부모님들이나 학생들이 서로 바쁘고 시간이 없다. 그 때문에 자칫하면 읽는 척 만하는 ‘가짜 독서’를 하게 될 위험성이 있어 걱정이 되기도 한다. 특히 아이를 학원에 보내는 경우, 학원 선택이 잘못 되면 잘못된 독서 습관이 더 강화되어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불러올 수도 있다. 그러니 신중한 학원 선택이 중요하다. 어찌됐든 중학교 시기는 즐거운 마음으로 최대한 많은 텍스트를 읽는 훈련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길 바란다.국어의 경우 문법에 유의해 공부하기또한 국어학습에서 문법 파트는 수준에 맞춰 전체적으로 공부해 두는 것이 좋다. 국어 문법에 관련해서는 시중에 좋은 교재들이 많이 있다. 핵심 개념 설명이 간결하게 잘 정리 되어 있고, 실전 연습 문제가 약간 들어 있는 얇은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문법 파트는 개념과 실전 문제 연습을 수 없이 반복할 기회가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어려운 교재로 깊게 공부할 필요는 없다.집중과 휴식의 리듬을 찾아라마지막으로 중학교에 진학하면 공부의 리듬을 확실히 잡아야 한다. 중학생에게 하루 종일 공부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물론, 최상위권 학생들 중에서는 먹고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모든 시간에 공부를 하는 중학생들도 있긴 하다. 필자도 그런 학생을 종종 만난다. 그러나 그런 학생들은 거의 예외 없이 행복하지 않거나 심지어 우울해 보였다. 그 중 십중팔구는 머지않아 질풍노도의 반항의 시간을 보내는 것을 많이 봤다. 인간에게 질풍노도의 시기는 절대 피해 갈 수 없다. 시기가 문제인데, 만약 어른이 되어 그 시기를 겪으면 큰 사고를 치게 되니, 청소년기에 감기처럼 연착륙으로 잘 지나가는 것이 최선이다.아무튼 공부할 것은 많고, 시간은 부족한데...어떻게 해야 할까?그래서 학습 리듬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의 능력에 따라 1~2시간(또는 3~4시간) 집중 공부 하고 쉬고, 또 집중 공부하고 쉬고. 이런 방식으로 리듬을 맞춰 공부하는 것이다. ‘집중의 힘’은 놀랍다. 중학교 시기는 이 집중력을 기르는 시기라는 점을 명심하시라. 처음에는 쉬는 시간에 신경 쓰지 말고 하루 한 번, 시간이 짧더라도 집중 공부 시간을 규칙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유리나 원장목동 생각의지평 국어논술 학원문의 02-2646-1241 2021-10-29
- 우리 지역 2021 수시 합격생에게 물었다 - 불끈 힘을 솟게 하는 나만의 동기 부여 바로 앞 선배들의 수능시험 날부터 ‘예비 고3’으로 불리며 고3 대우를 받게 되는 수험생들은 1년을 꼬박 긴장과 절제의 시간으로 살아가야 한다. 무엇을 하든 안 하든 늘 주변의 기대와 걱정을 느끼지만 사실 이마저도 부담스럽기 그지없고 다 내려놓고 그만두고 싶기만 하다. 그럴 때마다 힘을 주는 나만의 동기 부여가 있다면 어렵고 힘든 시간이지만 잘 이겨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지역 2021 수시합격생들에게 ‘어려운 수험 생활 나를 다잡을 수 있었던 동기 부여가 되었던 말, 사람, 상황은 무엇인가?’를 물었다. 불끈 힘을 솟게 하는 나만의 동기 부여를 찾아보자.박 선 리포터 ninano33@naver.com*서울대학교 의예과 박준성 학생저는 잠자기 직전에 수능이 끝나거나 입시가 끝나면 할 일들을 상상하고 때론 정리하기도 했습니다. 수능 이후 계획을 보면서 수험 생활을 버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내가 그 일을 하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고 결과가 좋게 나와 마음이 편할 그 상황을 생각하고 상상하며 어려운 생활을 그나마 보낼 수 있었습니다. 저는 수능 직전에 1차 발표가 난 성균관대와 연대에서 모두 탈락했어요. 탈락 발표 직후에는 진짜 힘들고 불안했는데 이전에 학교 선배의 일이 떠올랐어요. ‘수시에서 진짜 끝까지 가봐야 안다. 처음에 5장이 떨어져도 마지막 1장만 붙을 수 있는 게 입시다’. 수시 6장을 모두 붙는 것이 오히려 다 떨어지기보다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생각하고 마음이 한결 편해지고 남은 기간 수능에 집중하며 결과를 겸허하게 그리고 마음 편하게 기다렸습니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조민재 학생저는 가족들로부터 가장 큰 힘을 얻었습니다. 내신공부를 할 때 지나친 암기량과 매우 쉽게 출제된 중간고사로 변별력 있는 결과를 얻지 못해 지쳐 있어 기말고사를 앞두고는 무기력해졌습니다. 하지만 가족, 친척들을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잠시 쉬어가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 후 나를 뒤에서 응원해주는 사람들이 많이 있음을 느꼈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처음 공부를 시작했을 때 공부한 자료들을 봤어요. 그때 앞만 보고 열심히 공부한 1학년의 제가 포기하지 말라고 저에게 말하는 듯했습니다. 이에 다시 초심을 잡고 기말고사와 생기부 활동을 잘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유정민 학생저는 제 자신의 성적에 있어서는 혹독한 편입니다. 가장 의지가 떨어지던 10월에는 9월 모의고사 성적표를 독서실 책상에 붙여두었어요. 매일 보면서 그때의 나보다 발전한 모습을 증명해내겠다는 의지가 저를 다시 공부하게 했어요 *공군사관학교 김재엽 학생공군사관학교를 나오신 아버지의 생도 생활 이야기를 들으며 저도 내년에는 그런 생활을 하고 있으리라 생각 하며 매일매일 마음을 다잡았어요. 자신의 하고자 하는 꿈을 이미 이루고 그 과정을 겪어본 선배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정말 좋은 동기 부여라고 생각합니다*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이재현 학생힘들 때마다 ‘나만 그런 게 아니다. 전국의 모든 고3이 이렇게 하고 있다’를 상기했어요. 그러다 보면 조금 힘이 나는 것 같았습니다*연세대 신소재공학부 임지우 학생면접 영상을 학교에서 찍고 돌아오는데 친구를 만났습니다. 친구는 “지우! 면접 봐?”라고 물었어요. 제가 제 서류에 자신이 많이 없어서 ”응. 그런데 백 퍼센트 떨어질 것 같아“라고 말하니 친구가 ”아니야. 넌 분명 붙을 거 같아“라면서 ”넌 뭐든 될 것 같은 사람이야“라고 말해줬어요. 그 이야기를 들으면서 친구에게 정말 고마웠어요. 그리고 힘이 빠질 때는 일기를 쓰면서 생각을 정리해보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자고 되뇌었습니다*서울대학교 재료공학과 황준영 학생코로나로 상황도 좋지 않았고 학원과 자습에 시간을 전부 투자하는 바람에 누구를 만나는 일은 거의 없었어요. 대신 전화 통화를 정말 많이 했어요. 거의 항상 하루에 1시간씩 전화 통화를 했어요. 별다른 위로를 받지 않았지만, 그저 친구들도 나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위로가 되었어요*해군사관학교 김진현 학생고3 수험 생활 하는 동안 나를 다잡는 것은 환경이었습니다. 사관학교 1차 시험 과목인 국어, 영어, 수학에 집중하기 위해 수능 과목에 들어가는 탐구과목을 거의 공부하지 않았어요. 누군가는 너무 무모한 짓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수능이라는 차선책이 없다 보니 더욱 사관학교 공부에 열중할 수밖에 없었어요. 1차 시험을 통과하고 2차 시험을 바로 준비하는 과정에서 수능 공부는 거의 안 하고 체력 시험과 면접에만 올인하면서 준비했어요. 정말 사관학교 합격 말고는 안되는 환경을 만들다 보니 벼랑 끝의 심정으로 준비했던 것 같아요*가톨릭대학교 의예과 안재승 학생3년간 어려운 일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그럴 때마다 저는 목표를 생각하며 버티고 발전했다고 생각합니다. 이 어려움만 넘으면 원하던 의대 진학이라는 꿈을 이룰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스스로 응원하고 격려하며 공부했어요. 힘들 때마다 <Michael Jordan : The Life> 책을 읽으며 느꼈던 감동을 되새겼어요. 그의 성공 뒤에는 끝없는 좌절과 실패가 있었지만, 그는 농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선수로 남게 되었어요. 실패를 기회로 여기는 마음가짐을 이 책을 읽으며 가질 수 있었습니다*서울대학교 인문계열 윤가현 학생수험생인 저에게 가장 큰 동기를 유발해주신 분은 담임 선생님과 아버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저는 담임 선생님이 해주신 말씀이 가장 기억에 남아요. 저에게 ‘갈대처럼 많이 흔들려도 뿌리는 깊게 잘 버티고 선 멋진 사람’이라고 해주셨는데 ‘내가 진짜 그런 사람인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면서 앞으로도 정말 그렇게 중심이 딱 잡힌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또, 시험을 잘 못 보거나 힘들었던 순간마다 아버지께서 ‘넘어졌다는 사실보다도 다시 일어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라는 걸 기억 하라고 말씀해주셨을 때도 기억에 남아요. 수험생활하며 항상 좋을 수만은 없었어요. 저조차도 시험에서 노력한 것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았어요. 그래도 그 잠깐의 불안정한 순간을 이겨내지 못하면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매번 어떻게든 그 순간들을 이겨내려고 애썼어요. 그리고 입시가 끝난 지금, 3년을 돌아봤을 때 무엇보다 제가 그 어렵고 힘든 상황을 딛고 다시 일어났던 순간들이 가장 자랑스러워요. 그 순간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제가 있는 것일 테니까요. 개인적으로 제가 노래 듣는 걸 좋아해서 ‘달리기’라는 노래를 정말 많이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거기서 ‘틀림없이 끝이 있다는 것’이라는 가사를 보면서 정말 이 치열한 입시도 끝이 있을 거니까 그때까지만 참자는 생각으로 버텼던 것 같아요. 정말 고등학교 3학년 때는 이런 생활이 끝이 없을 것만 같아서 너무 무서웠거든요*연세대학교 간호학과 강채은 학생성적이나 다른 부분보다도 학생부 활동에 자신이 있었는데 어떤 선생님께서 학생부에 장점이 없고 활동적인 측면이 부족해 ‘그냥 적당한 정도다’라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이후 자소서라도 잘 써야겠다는 생각에 자소서에 혼을 갈아 넣는 동기가 되었습니다. 원서를 넣을 학교를 알아보며 자신 있던 부분에 대한 자신감도 떨어지고 자존감이 많이 낮아졌던 시기가 있었어요. 그 시기에 많은 친구가 ”네가 대학 못 가면 누가 대학 가겠어?“, ”대학 골라 갈 수 있을 거야“ 등 긍정적인 위로를 해주어서 나 자신을 믿고 높은 대학에도 원서를 넣어 볼 수 있었던 것 같아요*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고승모 학생수험 생활 내내 부모님이 하신 말씀이 제게 가장 큰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항상 수험 생활을 하면서 ‘내신 시험을 잘 볼 수 있을까? 수능을 잘 볼 수 있을까? 못 보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가득했어요. 하지만 부모님 말씀 중에 ‘사격을 할 2021-10-15
-
2021 대입 수시 합격생 릴레이 인터뷰 서울대 경제학부 박주선(신목고 졸) 학생 입시를 치르는 학생들에게 고3 생활은 말 못 할 고통스러움을 동반한다. 지난해 입시를 준비한 수험생들은 코로나19 상황이라는 초유의 사태까지 겪어내야 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역량을 보여 줄 수 있는 다양한 교내외 활동을 하기도 힘들었다. 그런데도 합격생들은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며 학습역량을 상승시켰고 개성 만점인 활동들을 통해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며 합격의 기쁨을 누렸다. 우리 지역 고등학교의 2021 수시합격생에게서 지원 대학에 합격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들어본다.박선 리포터 ninano33@naver.com경제학 관련 전공 적합성 갖추고 진로 희망까지 연결 지어신목고등학교(교장 정영철)를 졸업한 박주선 학생은 2021 대입 수시전형에서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 일반전형으로 합격했다. 주선 학생은 자신의 합격 비결을 생기부와 자소서안에 드러난 전공 적합성이라고 말했다. 경제학의 전공 분야와 경제정책연구원이라는 진로희망을 생기부에 기재되는 모든 교과와 비교과 항목에 녹여내기 위해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해당 과목의 활동 특성에 맞으면서도 주선 학생만의 개성과 창의성을 드러낼 수 있는 연결고리를 고민하고 시도한 점이 합격의 결정적 요인이라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경제학이라는 학문이 수학을 기반으로 하며 수학능력이 중요하다는 전공의 특성을 이해하고 2학년 때 개설된 기하 과목을 선택해 심화 내용을 이수했다. 기하 수업을 통해 위치벡터 개념을 경제 현상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과 연결 지은 ‘경제 수학과 벡터’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작성해 전공 적합성을 나타냈다. 이후 선생님께서 세특에 이러한 노력을 언급해주셨고 이 내용을 자소서 1번에 활용함으로써 독창적인 포트폴리오가 되었다. 생각의 폭 넓힌 동아리 활동주선 학생은 2학년 때 1년간 시사경제부(EPIC)의 부장으로 활동하면서 동아리를 이끌었던 활동을 가장 의미 있는 활동으로 보았다. 1학년 때부터 시사경제부에서 활동하면서 선배, 친구들과 함께 제주도의 예멘 난민수용, 코스피 시장에 대한 정부의 공적 자금 투입 등 사회 전반에 걸친 이슈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고 토론했다. 2학년 때는 부장을 맡아 연간 활동을 꼼꼼하게 기획했고 시사 경제 칼럼 프로젝트와 토론, 학교 축제인 새나무제 부스 제작과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주선 학생은 “동아리 활동을 통해 사회문제에 대해 생각의 폭이 넓어지고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었어요. 부장으로서는 선후배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를 편성해 부원간 소통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한 점이 기억에 남아요” 한다.본인 생기부 먼저 숙지하세요 자소서는 3학년 1학기를 마무리하고 여름방학이 시작될 때 초안을 작성하기 시작했다. 우선 자소서 항목별로 생기부에 기재된 굵직한 활동을 1~2개씩 배치해 개요를 짠 뒤 글을 작성하면서 사이사이 강조하고 싶은 세부적인 활동들을 추가해 나가면서 글의 완성도를 높였다. 주선 학생은 “자소서는 백지에서 시작하는 글이 아닙니다. 문항에 맞는 답을 본인의 생기부에서 찾아 풀어쓰는 글이지요. 따라서 자소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생기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먼저 필요해요. 먼저 생기부를 처음부터 쭉 읽어가면서 살리고 싶은 부분들을 형광펜으로 표시해 보세요. 자소서 문항에 맞는 구조를 짰을 때 근거로써 사용하고 싶은 활동들을 선별해 개요를 작성하면 글로 풀어쓸 때 훨씬 수월할 거예요”라고 조언했다. 대회 준비는 직접 설계한 주체적인 연구로~주선 학생의 대표적인 수상실적은 2학년 때 주제학습 탐구대회에서 인문사회 부문 우수상을 받은 것이다. 1학기 말에 팀을 이뤄 여름방학에 걸쳐 ‘넛지 정책을 이용한 학교생활 개선의 행동경제학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수상했다. 학교 급식 잔반 문제를 비롯한 교내 문제 사항에 대한 행동경제학적 분석 및 해결책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작성했고 수상 후 연구논문집에 수록되는 성과를 냈다. 2학년 때 독서골든벨대회는 가장 힘써 준비한 대회다, 선정된 책 3권을 읽고 책 내용에 대해 객관식과 주관식 문제를 푸는 대회였다. 이 대회를 준비하면서 방학 동안 외출을 해도, 심지어 버스 안에서도 이 책들을 붙잡고 꼼꼼하게 읽었다.주선 학생이 이야기하는 수상 팁은 학교에서 이뤄지는 대부분의 대회는 내신 시험과 유사한 시험 문제들을 풀어서 고득점을 받으면 수상할 수 있으니 해당 과목의 교과서적인 지식을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해당 과목의 수업 담당 선생님께서 문제를 내는 경우가 많으니 평소 수업 시간에 배운 교과서의 내용을 복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또, 교과 선생님께 출제과목이나 범위에 대해 문의드리는 것도 하나의 팁이 된다. “보고서를 작성하는 대회의 경우 본인이 속한 팀이 직접 설계하고 실행한 실험 및 연구 내용이 많이 들어갈수록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이론적 배경이나 외부자료에 대한 인용보다는 본인 팀만의 주체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팀의 적극성과 성실성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정도로 진행해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어요” 한다.‘매일 조금씩’ 의 효율적인 독서 전략주선 학생은 독서 활동에 ‘매일 조금씩’의 전략을 사용했다. 학교 도서관에서 학기 중에 진행하는 ‘123 책읽기 프로그램’을 이용해 점심시간 중 20분간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5분간 읽었던 부분에 대한 내용과 느낀 점을 짧게 적었다, 처음에는 20분밖에 안 되는 시간 동안 책을 얼마나 읽을 수 있을까 생각했지만 학기당 20회차에 걸친 시간 동안 책 1~2권을 전부 읽을 정도로 점심시간 20분의 힘, 매일 조금씩의 힘은 컸다. 또, 교과수업 시간이나 동아리 활동, 자율 활동에 독서 활동을 결합해 진행하면 효율적이면서도 두 가지 활동의 연관성을 보여 줘 좋다. 2021-10-15
-
2021 대입 수시 합격생 릴레이 인터뷰 가천대 한의예과 오지민(백암고 졸) 학생 입시를 치르는 학생들에게 고3 생활은 말 못 할 고통스러움을 동반한다. 지난해 입시를 준비한 수험생들은 코로나19 상황이라는 초유의 사태까지 겪어내야 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역량을 보여 줄 수 있는 다양한 교내외 활동을 하기도 힘들었다. 그런데도 합격생들은 꾸준한 성적을 유지하며 학습역량을 상승시켰고 개성 만점인 활동들을 통해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며 합격의 기쁨을 누렸다. 우리 지역 고등학교의 2021 수시합격생에게서 지원 대학에 합격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릴레이 인터뷰를 통해 들어본다.박선 리포터 ninano33@naver.com문,이과융합 영어 동아리 활동 의미 깊어백암고등학교(교장 권진국)를 졸업한 오지민 학생은 2021 대입 수시전형에서 가천대학교 한의예과에 가천의예-학생부종합전형으로 합격했다. 지민 학생은 고교 생활 하는 동안 가장 의미 있었던 활동으로 ‘헤럴드’ 영어신문 동아리를 꼽았다. 동아리에서 거의 유일한 이과 회원이었는데 학생들이 관심 있는 주제로 기사를 쓰는 것은 문?이과를 가리지 않고 의미 있는 활동이라고 생각했다. 특히 지민 학생은 진로에 관련한 주제에 관해 기사 작성을 자주 했는데 그 중 한의학과 서양의학의 다른 점을 영어 기사로 작성한 적이 있었다. 마침 학교에 호주 자매학교에서 온 학생들이 수업을 함께 들었는데 그중 한 학생에게 기사를 보여주면서 한의학에 대해서도 함께 소개했다. 영어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한의학의 세계화에 조금이라도 기여한 것 같아 뿌듯해 자소서에 작성도 했다. 영어 기사를 쓰면서 생각을 좀 더 넓게 발전시킬 수 있었다.진솔한 나만의 이야기를 적는 자소서지민 학생은 자소서를 여름방학 때 대충 구성을 했고 본격적으로 작성하기 시작한 것은 2학기 시작하면서였다. 가장 중점을 둔 항목은 1번과 2번이었는데 가지고 있는 지적 호기심을 스스로 해결하는 교과 활동들을 어필해서 ‘오지민’이 어떤 학생인지 보여주려고 노력했다. 지민 학생은 자소서 작성의 팁을 “본격적으로 자소서를 작성하기 전에 내 생기부를 보고 활동을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한 것 같아요. 저도 생명과학적 관심을 두고 한 활동, 공학적 관심을 두고 한 활동, 융합적 사고를 보여주는 활동 등으로 나누고 문항을 구성했어요” 한다. 또, 너무 꾸미려 하지 말고 진솔한 자신의 이야기를 쓰면 좋을 것 같다고 강조한다. 많은 활동을 쓰고 과정을 나열하기보다 그 활동을 통해 내가 느낀 점, 깨달은 점 등을 위주로 쓰는 게 더 좋은 것 같다고 팁을 전했다.학교대회를 최대한 많이 참여하세요지민 학생은 가장 대표적인 수상실적으로 3년 내내 수상한 과학 독후감 대회를 꼽았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문?이과 융합적인 사고를 나타내기에 가장 적합한 대회였다는 생각이다. 생명과학 경시대회도 고2, 고3 연속으로 1등을 해 지민 학생에게는 의미가 깊은 대회다, 고3 때는 경시대회에서 전 과목 입상한 것도 뿌듯한 부분이다. “대회 수상의 노하우는 사실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회에 많이 참여하는 게 좋은 것 같아요. 저는 1학년 때 진짜 의욕이 넘쳐서 학교에서 하는 모든 대회는 다 참여했어요, 또, 대회를 한 번 나갈수록 노하우를 익혀서 내년에는 더 잘 준비해 대회에 참가할 수 있게 되는 것 같아요”라고 전했다. 주제탐구로는 학교 급식을 분석해서 한의학 사상 중 약식동원 사상을 실천했던 탐구가 인상 깊었다. 지민 학생은 개인적으로 학교 급식을 먹으면 항상 속이 더부룩했던 경험을 계기로 4개월 급식표를 보고 급식의 구성을 분석하면서 다른 학교의 급식표와도 비교했다. 또,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채소를 거부감없이 먹을지 레시피를 짜거나 영양사 선생님께 퇴식구 쪽에 소화가 잘되는 차를 배치하는 것은 어떤지 건의하면서 한의학 사상 중 평소 건강하게 음식 먹는 것을 중요시하는 약식동원 사상을 실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동 내용은 자소서 2번의 의미 있는 활동으로 기록할 수 있었다.면접은 꾸밈없는 나를 보여주는 기회지민 학생은 생기부 기반 면접과 의료제시문으로 본인의 생각을 말해야 하는 제시문 면접을 준비했는데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다. ‘어떻게 해야 교수님의 마음에 드는 대답을 할까?’, ‘나는 말을 잘 못 하는데 어떻게 하지?’ 이런 생각으로 힘들었다. 그런데 면접은 말 잘하거나 교수님 마음에 드는 사람을 뽑는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깨달은 이후에는 모든 대답에 제가 어떤 학생인지 표현하도록 노력했어요. 저 같은 고민을 하신다면 자신의 어떤 점을 면접에서 많이 나타내야 하나를 중심으로 생각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교수님의 마음에 들고 조리 있게 답변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라고 조언했다. 또, 모든 면접에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준비해두라는 말도 잊지 않았다. “저는 가천대 면접에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에 사행 시를 하면서 이 학교에 입학하고 싶다는 마음을 보였는데 그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 같아요” 한다.집중이 안 되면 학습장소를 바꿔보세요지민 학생은 진로 진학에 가장 도움이 되는 활동으로 대학견학을 꼽았다. 동국대학교 한의대를 견학 가 본 적이 있었는데 그 이후로 정말 한의대에 가고 싶은 마음이 커졌다. 진로 진학을 결정하는 데는 동기 부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한의대 견학을 통해서 지민 학생은 큰 동기 부여를 얻을 수 있었다. 지민 학생은 “매일의 힘을 믿어보세요. 수능 전날까지 하루 동안 모든 과목을 공부해 보세요. 또, 집중이 안 될 때는 장소를 바꿔가면서 공부하면 좋아요. 독서실도 1년 내내 같은 곳을 다닐 필요는 없어요. 저도 후반부에는 집에서도 공부하고 오픈된 스터디 카페에서 공부하는 등 장소를 자주 바꾸면서 집중력 있게 공부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답니다”라고 조언했다. 2021-10-15
-
목동 강원희국어학원, 초등 국어 전문 ‘파피루스 문해원’ 오픈 요즘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가장 까다로운 과목 중 하나는 바로 ‘국어’ 과목일 것이다. 선지의 문장이 모두 정답 같은 알쏭달쏭한 느낌은 수험생들을 절망에 빠뜨리고 다른 과목 시험까지 줄줄이 영향을 미친다. 이에 효율적인 독서 프로그램으로 문해력을 키우고 공부할 수 있는 머리를 만드는 교육을 목표로 ‘파피루스 문해원’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책만 많이 읽는 독서가 아닌 사고의 확장을 가져오는 독서 프로그램에 대해 최수진 부원장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국어 공부는 사고의 확장이 먼저국어 과목의 공부량은 생각보다 상당하다. 입시를 앞두고 국어를 공부하기 시작하면 당연히 지식적인 공부를 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국어 과목은 수학처럼 문제를 많이 풀면서 그 능력을 키우는 것과는 다르다. 그렇다고 책만 많이 읽는다고 해결될 문제는 아니다. 최수진 부원장은 “초등 때부터 제대로 된 독서를 통해서 국어영역에 필요한 모든 능력을 종합적으로 길러주어야 중고등때 입시에 맞는 최적화된 공부를 했을 때도 최대한의 효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국어 공부는 올바른 독서를 통한 사고의 확장이 우선되어야 합니다”라고 강조했다. 학생들의 올바른 독서와 효과적인 국어공부를 위해 ‘파피루스 문해원’은 강원희국어전문학원에서 꼼꼼히 준비한 끝에 만들었다. 하나의 주제로 문학, 비문학, 디베이트까지독서를 할 때도 아이의 발달과 사고력 단계에 맞춰야 한다. ‘파피루스 문해원’에서는 학생들에게 성장단계에 따른 다양한 분야의 책을 선정해 독서 지도한다. 가장 먼저 감성을 키우는 문학 중심의 독서를 시작하는데 나의 정체성 알기에서 시작한 독서는 가족, 사회에서 과학, 인권, 법, 정치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인지하는 주제 확장 독서로 이어진다. 분야별 다양한 독서 후에는 자기 생각을 글을 쓰면서 표현해 본다. 주제에 맞춘 책을 읽어가면서 조금씩 생각의 틀이 넓어지게 되면 사고력을 키우는 디베이트 토론이 이뤄진다. 문학 독서를 통해 이미 학습한 주제와 연계해 최신 시사, 신문 기사, 논문 등을 통해 사회 이슈까지 폭넓게 다루는 토론을 한다. 토론을 통해 읽었던 책을 다시 한 번 정리할 수 있고 내가 생각하는 바를 다른 사람들 앞에서 조리 있게 말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고 나와 다른 의견도 들을 수 있는 유연함도 배울 수 있다. 문학 독서와 디베이트로 쌓은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비문학 독해를 진행하면서 독해력은 차곡차곡 쌓이게 된다. 중등 국어 개념과 문법, 어휘까지 한 번에‘파피루스 문해원’에서는 문해력을 키우는 독서 지도뿐만이 아니라 국어 공부에서 빠져서는 안 되는 국어 개념과 문법, 어휘까지 빠짐없이 관리한다. 정규수업 중 1교시는 책을 읽으며 작성한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학생 스스로 만든 질문과 그 답을 찾는 능동적 독서로 사고력을 확장한다. 학생들이 책을 읽고 난 후 자기 생각을 글로 써 오면 첨삭을 받게 되고 학생 개인별 파일에 저장된다. 학생의 모든 글은 중등에서 독서록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수행평가 대비를 위해 수필, 설명문, 논설문, 비평문 등 다양한 글쓰기 형식으로 진행된다. 2교시는 문법과 어휘를 학습한다. ‘문법’은 한자로 풀이하면 ‘글(文)을 읽는 법(法)’이다. 수학 공식을 모르면 문제를 풀 수 없듯, 문법을 모르면 정확한 독해가 이루어질 수 없다. 초등 문법은 읽은 책 내용 중에 문법과 연관된 문장을 통해 가르친다. 문장 안에서 적용된 문법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문법이 들어간 다른 문장들까지 배우게 된다. 학생이 이미 읽은 책 안에서 문법과 국어의 개념을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쉽고 지루하지 않게 문법을 배울 수 있다. 또한 어휘력을 키우기 위해 중고등 개념어 및 한자성어 중심으로 학습한다. 학생별 1:1 클리닉으로 비문학 구조도까지 익혀‘파피루스 문해원’은 정규수업 시간 외에 학생별 1:1 클리닉 수업을 진행한다. 학생이 원하는 시간에 약속을 정하고 등원해 여유 있게 학습할 수 있다. 담당 강사와의 질의응답을 통해 정규수업에서 학습했던 내용을 복습한다. 학생이 작성한 글을 강사와 대면해서 1:1로 첨삭하고 정리한다. 학생 개인별로 대면 첨삭이 이뤄지기 때문에 학생은 궁금했던 부분을 바로 질문할 수 있어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그리고 클리닉 시간에는 비문학 작품에 대한 구조도를 그려보는 과제가 있다. 비문학의 경우 머릿속으로는 이해한 것 같아도 각각 흩어진 내용을 한 번에 모으면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데 구조도를 만들어보면 한눈에 파악이 되는 장점이 있다. 공감 독서로 꿈을 키우는 국어교육까지‘파피루스 문해원’의 모든 교재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자체 제작한 교재로 구성돼 있다. 비문학 교재의 경우 지문을 공부한 후 쉬운 난이도의 수능기출 문제를 풀어볼 수 있게 구성해 자연스럽게 수능 스타일의 독해력도 익혀볼 수 있다. 클리닉 수업이 끝나면 바로 학부모에게 문자를 통해 학생의 학습 상황을 전달하고 학부모가 원하면 언제든지 전화상담이나 대면 상담이 이뤄진다. ‘파피루스 문해원’의 강사진은 초중등 논술만 10여 년이 넘게 지도해왔다.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마음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어 공감 가는 독서와 다양한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는 토론 수업이 가능하다. 국어 학습의 바탕이 되는 사고의 확장과 문해력, 문법, 어휘까지 단계별로 차곡차곡 쌓아가고 싶다면 ‘파피루스 문해원’의 문을 두드려보자. 주소 양천구 목동서로 349 센트럴프라자 3층문의 02-2650-8505(3층) / 02-2650-8503(4층) 2021-10-14
-
영작을 활용한 고등 내신 수능 1등급 대비하기 중학교 성적이‘A'일지라도 고등학교 성적은 '4'등급이하 일 수 있다?!중학교 성적은 A~D로 나뉘고, 90점 이상이면‘A’이다.‘학교알리미’싸이트를 보면 대개 학년별 인원의 20%~30%가 'A'이다. 하지만 고등은 선택인원의 4%만 1등급이다. 따라서 중학교 때 ‘A’를 받았다 할지라도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1등급부터 4등급을 받고 심지어 4등급이하를 받을 수 있다는 말은 팩트이다.아무리 공부해도 고등학교 내신은 잘 오르지 않는다?!고등학교 입학 후, 3월 반편성고사 혹은 3월 전국모의고사 성적이 고3까지 간다라는 무서운 말이 있다. 영어를 놓고 보자. 중학교 시험은 대체로 2~3과정도의 범위와 프린트물에서 출제된다. 그러나 고등학교는 시험 범위 자체가 많고, 부교재, 모평 등 공부해야 할 게 너무 많다. 한마디로, 평소 실력으로 보라는 말이다. 특히, 배점이 큰 서논술형은 짧은 시간에 정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나름 열심히 공부해도 내신이 잘 오르지 않는다는 말 역시 팩트이다. 그렇다면 평소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까? 본원 영작 수업의 일례를 들어보자. [1단계 : 스스로 영작해보기]그 사람이 여러분에게 진정으로 중요하다면, 그 사람에게 치유되는 데 필요한 시간과 공간을 주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이다. 그 사람이 즉시 평상시처럼 행동하는 것으로 바로 돌아갈 것이라고 기대하지 마라. [2020년 3월 전국연합모의고사 31번 발췌]<Key Words and phrases>of essence = essential 필수적인 be worthwhile to do ~하는 것이 가치가 있다 heal 치유되다 go back to (이전 상황ㆍ상태)로 돌아가다 normally 평상시처럼 immediately 즉시, 곧[2단계 : 학생 영작 예시] 1. If the person is really important to you, it is worthwhile to give him or herthe time and (1)the place (2)that he or she needs being healed. Don't expect that he or she will immediately go back (3)to act normally. (강서고 1. 이 00)[첨삭/점검](1) ‘시간과 공간’을 분리된 개념으로 보지 않고 ‘bread and butter=버터발린 빵’처럼 결합된 개념으로 봐서 앞부분에 ‘the time ~’이 나와 있으므로 이 부분의 ‘the’는 쓰지 않아도 되고, ‘공간’이라는 개념은 영어 ‘space’가 더욱 분명하게 의미를 전달한다.(2) ‘being healed’가 ‘needs’의 목적어로 쓰인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동격절’형태의 문장이고 ‘being healed’는 ‘치유하는 행위자’가 따로 존재해야 함으로 어색하다.*Plus : ‘that’을 관계대명사로 본다 해도 ‘needs’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가 되어야 하므로 뒤의 ‘being healed’는 어색하다.*원어민쌤 : It is worthwhile to give him or her the time and space (which is) needed to heal.(3) ‘to act’는 ‘to 부정사’가 되는데 이곳의 ‘to’는 ‘(대)명사’를 목적어로 갖는 ‘전치사’이므로 ‘to acting’으로 써야한다.2. If someone really (1)matter to you, it is worthwhile to give him/her (2)a time and a space to heal. Don't expect him/her to go back (3)to act normally immediately. (영일고1. 박 00)[첨삭/점검](1) 주어가 ‘someone’ 이므로 동사를 단수형태인 ‘matters’로 써야한다.(2) ‘명사’앞에 ‘부정관사 = a’를 쓰면 그 ‘명사’들은 ‘보통명사’화 된다. 제시문의 ‘시간과 공간’은 추상적 개념으로 쓰인 것이므로 ‘the time and space’로 쓰면 된다.* Plus : 제시문에 ‘치유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공간’으로 되어있으므로 ‘space’ 뒤에 ‘(which is) needed’를 첨가하면 더욱 깔금한 영작이 된다.(3) ‘to act’로 쓰면 ‘행동하기 위해 ~(구체적인 장소)로 돌아간다.’의 의미가 되므로 어색하다. ‘to acting’으로 바꿔야한다. 3. If the person is very important to you, it is worthwhile to (1)give the time and (2)the space required to heal. Don't expect the person to go back (3)to act normally immediately. (양천고1. 김 00)[첨삭/점검](1) ‘give’와 ‘the’ 사이에 ‘목적어 = him or her’를 써야한다. 이곳에 목적어를 쓰지 않으면 ‘space’ 뒤에 ‘to him or her’를 써야한다. 하지만, 후자처럼 쓰면 ‘required’와 바로 붙어 있어서 ‘him or her’가 선행사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4형식 형태인 => give him or her the time~’으로 쓰는 것이 더 낫다.(2) ‘the time and space’를 결합된 한 개념으로 봐야 하므로 ‘space’ 앞의 ‘the’를 생략해야한다.(3) ‘to act’는 ‘to 부정사’이고 해석이 ‘즉시 평범하게 행동하기 위해 (물리적인 장소로) 돌아간다’의 뜻이 되므로 어색하다. 이곳의 ‘to’는 ‘(대)명사’를 목적어로 갖는 ‘전치사’이므로 ‘to acting’으로 써야한다.*Plus : ‘전치사 to’가 ‘to 부정사’로 쓰이는지 단순 ‘전치사’로 쓰이는지 잘 구별할 필요가 있다. 자주 쓰이는 구문들은 암기해두면 좋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to’를 쓸 때마다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다.[3단계 : 모범 문장과 비교] If the person is truly important to you, it is worthwhile to give him or her the time and space needed to heal. Do not expect the person to go right back to acting normally immediately.배운 내용을 내 것으로 완전히 체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영어의 경우 체화의 마지막 단계는 바로 영작을 해보고 전문가의 첨삭을 받아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다시 한 번 분명히 인지하고 심화어법과 우리말과 영어 문장의 문해력 신장 등 영어 전반의 내공을 쌓아야 한다. 단순 암기를 넘어 공부의 깊이를 더하면 내신 1등급을 확실히 거머쥘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목동 이태윤영어중국어학원 이태윤 원장02-2650-8777 2021-10-14